KR100983964B1 -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 Google Patents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964B1
KR100983964B1 KR1020080003192A KR20080003192A KR100983964B1 KR 100983964 B1 KR100983964 B1 KR 100983964B1 KR 1020080003192 A KR1020080003192 A KR 1020080003192A KR 20080003192 A KR20080003192 A KR 20080003192A KR 100983964 B1 KR100983964 B1 KR 10098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b
control signal
us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327A (ko
Inventor
정중호
Original Assignee
정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호 filed Critical 정중호
Priority to KR102008000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9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은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 및 메인 제어기를 구비한다. 서브 멀티탭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를 장착하고 인접한 플러그 삽입부들과 연결된다. 메인 제어기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은 전원 포트의 개수 및 길이를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어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기기의 개수에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나아가 인접한 전원 포트 사이의 물리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는 전원 포트 단위로 전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량에 근거하여 각 기기별 사용 전력량의 측정 및 전원 포트들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 전력의 감소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용도에 따른 포트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Intelligent power multi-tap and receptacle capable of cable controlling or remote controlling}
본 발명은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탭의 포트의 개수 및 길이를 임의로 설정하여 인접한 전원 포트와의 물리적 간섭을 제거할 수 있고, 멀티탭 및 콘센트의 포트 단위로 전류량과 전력량의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각 포트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멀티탭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다수의 전원 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끼울 수 있기 위해 다수의 플러그 소켓을 구비하는 장치이다. 전원 멀티탭은 대응되는 소켓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원 멀티탭은 각각의 소켓(포트)에 대한 스위치를 수동적으로 동작시켜야 한다. 그리고, 종래의 전원 멀티탭은 과전류가 발생하더라 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전원 멀티탭은 각 소켓(포트)의 간격 또는 플러그 소켓(포트)의 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하고자 하는 전원 기기의 수가 늘어나는 경우, 별도의 전원 멀티탭을 구비하여야 하고, 전원 플러그가 큰 경우 사용되는 포트는 인접한 포트에 물리적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는 전원 콘센트에도 동일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원 포트의 개수 및 길이를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고 인접한 전원 포트 사이의 물리적 간섭을 방지하며, 포트 단위로 전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량에 근거하여 각 기기별 사용 전력량의 측정 및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포트들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대기 전력의 감소 및 용도에 따른 포트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지능형 전원 멀티탭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포트 단위로 전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량에 근거하여 각 기기별 사용 전력량의 측정 및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포트들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대기 전력의 감소 및 용도에 따른 포트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콘센트 및 지능형 전원 콘센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은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 및 메인 제어기를 구비한다. 서브 멀티탭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를 장착하고 인접한 플러그 삽입부들과 연결된다. 메인 제어기는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은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개수의 전원 포트들을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멀티탭들은 각각, 인터페이스부, 스위치들 및 서브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직렬 통신선 및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 제어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전원 포트로의 상기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다. 서브 제어기는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직렬 통신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전원선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코어(current transformer)를 통해 측정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전압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디지털 값을 대응되는 전류량으로 매칭하는 변환 테이블 및 상기 디지털 값 또는 상기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브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샘플링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임의의 시간에 대한 전력량을 산출하는 논리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확장 더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확장 더미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 중 인접한 서브 멀티탭들 사이에 연결되어 인접한 서브 멀티탭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기는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직렬 통신선 및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을 구비하여, 상기 서브 멀티탭들과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수신하여 상기 서브 멀티탭들로 전송하고, 상기 서브 멀티탭들의 전류량, 전력량 및 전원 공급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기는 메인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스위치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에 대한 전원 공급을 온/오프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키 패드,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키 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기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멀티탭 제어 시스템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가 장착되고 인접한 플러그 삽입부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멀티탭 및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상기 서브 멀티탭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기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 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제어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키 패드 및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인터페이스부를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콘센트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콘센트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전원 포트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는 전원 포트의 개수 및 길이를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어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기 기의 개수에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나아가 인접한 전원 포트 사이의 물리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는 전원 포트 단위로 전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량에 근거하여 각 기기별 사용 전력량의 측정 및 전원 포트들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 전력을 감소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용도에 따른 포트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100)은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 및 메인 제어기(150)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100)이 단지 3개의 서브 멀티탭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를 장착하고 인접한 플러그 삽입부들과 연결된다. 이때,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에는 각각, 임의의 개수의 전원 포트들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멀티탭(110)은 하나의 전원 포트를 구비하는 반면, 제 1 서브 멀티탭(110)과 연결되는 제 2 서브 멀티탭(120)은 n개의 전원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100)은 서브 멀티탭들을 적응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기기들의 개수 및 특성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100)은 확장 더미(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확장 더미(140)는 인접한 서브 멀티탭들 사이에 연결되어 인접한 서브 멀티탭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탭터와 같은 전원 플러그의 크기가 큰 기기가 삽입되는 전원 포트는 인접한 전원 포트에 물리적 간섭을 가하게 된다. 확장 더미(140)는 이와 같은 인접 포트 사이의 물리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기(150)는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XCON)에 응답하여 각각의 전원 포트로의 전원(POW)의 공급/차단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신호(XCON)는 각각의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전원 포트 각각에 대한 전원 공 급 여부는,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근거하거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할 수 있다.
이때, 전원 포트 각각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는 서브 멀티탭들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메인 제어기(150)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브 멀티탭들 및 메인 제어기의 구조 및 동작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100)의 동작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서브 멀티탭들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2는 도 1의 서브 멀티탭들을 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특히, 도 1의 제 2 서브 멀티탭(12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다른 서브 멀티탭들은, 구비되는 전원 포트의 개수를 이외에는 도 2의 제 2 서브 멀티탭(1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2 서브 멀티탭(120)에 대한 설명으로 다른 서브 멀티탭들에 대한 설명은 대체한다.
제 2 서브 멀티탭(120)은 인터페이스부(122), 스위치들(SW1, ..., SWn) 및 서브 제어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2)는 메인 제어기(150)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고 메인 제어기(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직렬 통신선(SCL) 및 전원선(PSL)을 구비할 수 있다. 직렬 통신선(SCL)은 직렬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XCON)를 수신하고 전원 포트들(PP1, ..., PPn)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XAMP)를 송신하며, 전원선은 전원 포트들(PP1, ..., PPn)에 전원을 공급한다. 인터페이스부(122)는 또한, 접지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2)의 각 선 들은 도 1의 170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장 위의 선이 직렬 통신선, 그 아래의 두 개의 선들이 전원선, 그리고 가장 아래의 선이 접지선일 수 있다.
스위치들(SW1, ..., SWn)은 서브 제어기(124)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신호(XCON)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다. 도 2의 제 2 서브 멀티탭(120)은 각 전원 포트마다 하나의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전원 포트 각각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서브 제어기(124)는 또한, 전원 포트들(PP1, ..., PPn)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전류량에 대한 정보(XAMP)를 직렬 통신선(SCL)을 통해, 주기적으로 또는 메인 제어기(150)의 요청이 있는 경우, 메인 제어기(150)로 전송한다. 전원 포트들(PP1, ..., PPn)의 전류량은 각 전원 포트로 인가되는 전원선(PSL)에 링처럼 생긴 코어(Current Transformer, COR)를 삽입하여 전류가 흐르는 전원선(PSL) 주위의 자장에 따른 전압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전압은 전원선(PSL)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측정된 전압값은 디지털 값으로 변경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적절한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전류값으로도 쉽게 환산이 가능하다. 이때, 서브 제어기(124)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미도시) 및 디지털 값 또는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서브 제어기(124)는 나아가, 주기적으로 전류량을 샘플링하여, 시간에 따른 전류값들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간만큼 적분하여서 전압값과 곱함으로써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제어기(124)는 전력량 측정을 위한 논리 회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 제어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제어기를 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기(150)는 제 1 인터페이스부(152) 및 프로세서(CPU)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152)는 직렬 통신선 및 전원선을 구비할 수 있다. 직렬 통신선 및 전원선은 도 2의 서브 멀티탭(120)의 인터페이스부(122)의 직렬 통신선 및 전원선과 연결되어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과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기(150)의 직렬 통신선은 제어 신호(XCON)를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로 송신하고,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로부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XAMP)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기(150)의 전원선은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의 전원 포트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152)는 도 2의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의 인터페이스부(122)와 마찬가지로 접지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CPU)는 제어 신호(XCON)를 생성하거나 수신하여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XCON)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로부터 수신되는 전류량에 대한 정보(XAMP)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제 2 서브 멀티탭(120)의 제 1 전원 포트(PP1)에 과전류 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CPU)는 제 2 서브 멀티탭(120)의 서브 제어기(124)로 제 1 전원 포트(PP1)로의 전원 차단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XCON)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제어 신호(XCON)에 응답하여, 제 1 전원 포트(PP1)에 연결되는 제 1 스위치(SW1)가 오프됨으로써, 과전류가 발생한 제 1 전원 포트(PP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또는, 제 2 서브 멀티탭(120)의 제 n 전원 포트(PPn)의 사용 전류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해당 기기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제 n 전원 포트(PPn)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 신호(XCON)가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CPU)는 연관성 있는 기기와 연결되는 전원 포트들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제어 신호(XCON)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와 주변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포트들을 하나의 포트군으로 설정하여, 그 포트군에 속한 전원 포트들을 동시에 온/오프하도록 제어 신호(XCON)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XCON)는 사용자로부터, 상기와 같은 제어의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CPU)는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의 전류량, 전력량 및 전원 공급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XAMP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수동으로 전원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와 프로세서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위해, 상태 정보(XAMP 등)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LCD),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XCON)를 수신하는 키 패드(158), 및 키 패드(158) 및 디스플레이 수단(LCD)과 프로세서(CPU)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멀티탭 제어 시스템(1000)은 도 1의 멀티탭(100) 및 메인 제어기(150)로부터 서브 멀티탭들(110, 120, 130)의 상태 정보(XAMP 등)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XCON)를 메인 제어기(150)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구비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메인 제어기(150)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키 패드, LC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200) 및 메인 제어기(150)는 양자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메인 제어기(150)의 경우, 제 3 인터페이스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200) 및 메인 제어기(150) 간의 인터페이스(무선 통신)는 Zigbee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멀티탭(또는 지능형 전원 멀티탭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콘센트(또는 지능형 전원 콘센트 제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멀티탭은 도 2와 같은 하나의 서브 멀티탭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멀티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 및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콘센트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콘센트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콘센트는, 각 전원 포트마다의 전원 공급을 전류량 또는 특정한 설정에 의해 결정할 수 있어,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포트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근거로 전원 멀티탭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브 멀티탭들을 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제어기를 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1. 전원 멀티탭에 있어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가 장착되고 인접한 플러그 삽입부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 및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서브 멀티탭들은 각각,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직렬 통신선 및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 제어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전원 포트로의 상기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들; 및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직렬 통신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들로 전송하는 서브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전류량을 샘플링하여, 시간에 따른 전류값들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간만큼 적분하여서 전압값과 곱함으로써 전력량을 산출하는 논리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직렬 통신선 및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을 구비하여, 상기 서브 멀티탭들과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수신하여 상기 서브 멀티탭들로 전송하고, 상기 서브 멀티탭들의 전류량, 상기 전력량 및 전원 공급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은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개수의 전원 포트들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전원선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코어(current transformer)를 통해 측정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전압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디지털 값을 대응되는 전류량으로 매칭하는 변환 테이블; 및
    상기 디지털 값 또는 상기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 중 인접한 서브 멀티탭들 사이에 연결되어 인접한 서브 멀티탭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확장 더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에 대한 전원 공급을 동시에 온/오프하는 메인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키 패드;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키 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기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12.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가 장착되고 인접한 플러그 삽입부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 멀티탭들 및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멀티탭; 및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상기 서브 멀티탭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기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원 멀티탭 제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제어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키 패드; 및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원 멀티탭 제어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원 멀티탭 제어 시스템.
  15. 전원 콘센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 및
    상기 전원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코어(current transformer)를 통해 측정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콘센트.
  16. 삭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전압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디지털 값을 대응되는 전류량으로 매칭하는 변환 테이블; 및
    상기 디지털 값 또는 상기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콘센트.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샘플링되는 상기 전원 포트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임의의 시간에 대한 전력량을 산출하는 논리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콘센트.
  1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포트의 전류량 및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포트로의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콘센트;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전원 포트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원 콘센트 제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키 패드; 및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원 콘센트 제어 시스템.
KR1020080003192A 2008-01-10 2008-01-10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KR10098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192A KR100983964B1 (ko) 2008-01-10 2008-01-10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192A KR100983964B1 (ko) 2008-01-10 2008-01-10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327A KR20090077327A (ko) 2009-07-15
KR100983964B1 true KR100983964B1 (ko) 2010-09-27

Family

ID=4133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192A KR100983964B1 (ko) 2008-01-10 2008-01-10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750B1 (ko) * 2012-01-18 2014-02-13 서덕환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27B1 (ko) * 2010-01-25 2012-01-25 정재경 멀티 콘센트 컨트롤러
KR101325336B1 (ko) * 2012-09-17 2013-11-08 진흥전기 주식회사 대기전력 체크 시스템
KR102132245B1 (ko) * 2014-03-19 2020-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웨이에서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전자장치의 자동 매핑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9636B1 (ko) * 2014-09-04 2021-04-12 최병민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KR102208656B1 (ko) * 2015-04-09 2021-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리얼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185054A (zh) * 2015-10-13 2015-12-23 江苏绿扬电子仪器集团有限公司 一种无线智能插线排
CN107632579A (zh) * 2017-08-23 2018-01-26 安徽工程大学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家居电力管理系统
CN109638581A (zh) * 2019-01-15 2019-04-16 江苏东方赛光电有限公司 一种应用于在线监测产品的poe和接线端子组合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667Y1 (ko) * 2005-11-30 2006-02-13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667Y1 (ko) * 2005-11-30 2006-02-13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750B1 (ko) * 2012-01-18 2014-02-13 서덕환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327A (ko)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964B1 (ko)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EP3178145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EP2702656B1 (en) Power demand management on a low voltage network with a plurality of intelligent sockets
US20110032070A1 (en) Wireless switching and energy management
US10019051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US10333380B2 (en) Electronic device
US20170214225A1 (en) Interconnect and metering for renewables, storage and additional loads with electronically controlled disconnect capability for increased functionality
US20150115739A1 (en) Standby-power cutoff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 using power adaptor
JP2017529819A (ja) 制御付き電源アダプタ及びケーブル
WO2009120320A2 (en) Generator ready load center
US9935491B2 (en) Polyphase power dispatching system and method
US11791650B2 (en) Multiple output charging system and controller
CN105515084A (zh) 充电装置
EP3861611A1 (en) Integrated electrical management system and architecture
WO2009145553A2 (ko) 파워메터 겸용 콘센트 장치
CN107069837B (zh) 用于本地直流电分配的系统
JP201204625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00102936A1 (en) Remotely controllable power switch of an appliance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CN108023353A (zh) 一种家庭集中式多类型电能输出管理系统
KR20180022092A (ko)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050003913A (ko) 컴퓨터시스템
KR20230028199A (ko) 전력 분배 패널
US20240128750A1 (en) Load controller with smart relay module
KR101433046B1 (ko) 다채널 부하전류 감지 및 타이머 차단 기능을 가지는 대기전력 절전제어장치 내장형 스마트 배전반
KR102626952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