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952B1 -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952B1
KR102626952B1 KR1020230034512A KR20230034512A KR102626952B1 KR 102626952 B1 KR102626952 B1 KR 102626952B1 KR 1020230034512 A KR1020230034512 A KR 1020230034512A KR 20230034512 A KR20230034512 A KR 20230034512A KR 102626952 B1 KR102626952 B1 KR 10262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box
outlet
power consumption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3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콘센트박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의 제어를 위한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는, 일정간격마다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일정간격마다 세로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의 공간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각각은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 각각과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콘센트 박스 어레이부와; 상기 콘센트 박스들에 각각에 대하여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Outlet box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load and standby pow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센트 박스의 주변에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전원 케이블들을 배치하고, 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사용 용량을 커버하면서도, 현재 소비전력이 낮은 전원 케이블이나 용량을 따라 대응되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미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 박스는 시스템 박스 또는 아웃렛 박스라고도 불리며, 전기공사에서 배관의 중간 부분이나 끝 부분에 장착하는 금속의 상자로, 전선의 인출이나 전기 기구의 장착 등과 같이 배선용 전기 공급구로서 사용된다.
경제발전에 따라 대형 오피스 빌딩이 많이 건축되고 있는데 오피스 빌딩은 수많은 조명등뿐만 아니라 수많은 개인용 컴퓨터, 복사기, 커피포트와 같은 전열기구, 선풍기 등 각종 전기기기가 사용되어 하나의 오피스 빌딩에서 엄청난 양의 전기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오피스 빌딩 내에서는 조명등 뿐만 개인용 컴퓨터 등 수많은 전기기기를 사용하므로 이들 전기기기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필요가 있다.
개인용 컴퓨터, 복사기 등 주로 오피스 내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는 근무시간에는 사용하지만 퇴근한 후에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퇴근할 때에는 대부분 전기기기의 전원스위치를 오프하여 전력을 차단한다. 그러나 전기기기는 전원스위치를 오프하여도 내부 부품에서 대기전력을 소비하므로 퇴근 후에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아 불필요한 대기전력까지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근무자들은 매일같이 퇴근 시에 플러그를 뽑고 출근 시에는 다시 꽂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 박스는 대부분 건물의 바닥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므로, 플러그를 뽑고 다시 꽂는 작업이 불편하므로,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오피스 건물이나 빌딩 내의 수많은 전기기구에서 많은 대기전력이 소비되어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하나의 전원 케이블에 너무 많은 전기기기 또는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있어 과부하의 위험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641(2012.03.0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 박스의 주변에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전원 케이블들을 배치하고, 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사용 용량을 커버하면서 현재 소비전력이 낮은 전원 케이블이나 용량을 따라 대응되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미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쉽게 전원공급 제어가 가능한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의 제어를 위한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는, 일정간격마다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일정간격마다 세로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의 공간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각각은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 각각과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콘센트 박스 어레이부와; 상기 콘센트 박스들에 각각에 대하여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근무자의 출퇴근 감지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근무자의 출근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중 근무자가 사용하는 사용 콘센트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예상 소비전력 또는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고, 근무자의 퇴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중 상기 근무자가 사용하는 사용 콘센트박스와 근무자를 서로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부와;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와 연결되어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와;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 각각의 현재 소비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와;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 또는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되는 현재시점의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은 상대적으로 저용량을 가지는 하위 전원케이블과 상대적으로 고용량을 가지는 상위 전원케이블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 또는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 또는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기준값보다 미만일 때 선택되는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이 복수 개이면,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들 중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되는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하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콘센트 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기준값 이상일 때 선택되는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이 복수 개이면,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들 중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되는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상위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에 대한 실제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소비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소비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현재 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전원케이블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는 제1콘센트와, 제2콘센트와, 상기 제1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5스위치와, 상기 제2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6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상기 제6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2개의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제1콘센트와 상기 제2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는 제1콘센트와, 제2콘센트와, 상기 제1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5스위치와, 상기 제2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6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에 대한 실제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소비전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소비전력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상기 제6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2개의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제1콘센트와 상기 제2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의 바닥에 콘센트 박스의 주변에 서로 다른 전류 허용 용량을 가지는 전원 케이블들을 배치하고, 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사용 용량에 맞고 현재 소비전력이 낮은 전원 케이블이나 용량을 따라 대응되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미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손쉽게 콘센트 박스에 공급되는 전원공급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센트 박스 어레이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구체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 콘센트 박스의 내부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센트 박스 어레이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구체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300)는 오피스 빌딩 등의 건물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들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콘센트박스 어레이부(100)와 제어부(200)를 구비한다.
상기 콘센트박스 어레이부(100)는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케이블들(R1,R2,Rn-1,Rn),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케이블들(C1,C2,Cm-1,Cm),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을 구비하여 이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은 편의상 정한 방향일 뿐이며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제외하면 방향은 다른 방향이어도 관계없다. 상기 콘센스 박스 어레이부(100)는 건물 바닥에 매립되는 구조로 배열되며, 콘센스 박스들(OB)의 경우는 일반적인 콘센트 박스 등과 동일하게 커버를 통해 오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케이블들(R1,R2,Rn-1,Rn)은 n개(n은 0보다 큰 자연수)로 구비되며, 건물 내의 바닥 등에 일정간격마다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케이블들(C1,C2,Cm-1,Cm)은 m개(m은 0보다 큰 자연수)로 구비되어, 건물 내의 바닥 등에 일정간격 마다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R1,R2,Rn-1,Rn)과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케이블들(R1,R2,Rn-1,Rn) 및 상기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케이블들(C1,C2,Cm-1,Cm)은 건물 바닥 등에 바둑판식 배열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케이블들(R1,R2,Rn-1,Rn) 각각과 상기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케이블들(C1,C2,Cm-1,Cm) 각각은 서로 교차배열 구조를 가지지만 교차점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상기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케이블들(R1,R2,Rn-1,Rn) 및 상기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케이블들(C1,C2,Cm-1,Cm) 각각은 전원 공급에 필요한 2개의 전원라인과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하나의 전원케이블은 전기기기 등의 전원공급에 필요하며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2개의 전원라인과 접지라인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박스들(OB) 각각은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R1,R2,Rn-1,Rn)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C1,C2,Cm-1,Cm)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의 공간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콘센트 박스가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콘센트 박스들(OB) 각각은 일반적인 시스템 박스 또는 아웃렛 박스(outlet box)의 구성을 가지며, 근무자나 사용자(여기서는 '근무자'로 통칭함)가 사용하는 여러 가지 전기기기들인 개인용 컴퓨터, 프린터, 유선전화기, 충전기, TV 등의 전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콘센트들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박스들(OB)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콘센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케이블들(R1,R2,Rn-1,Rn) 및 상기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케이블들(C1,C2,Cm-1,Cm)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되고 이에 따라 연결된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은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R1,R2,Rn-1,Rn)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C1,C2,Cm-1,Cm)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개수 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R1,R2,Rn)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C1,C2,Cm-1,Cm)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의 공간들 각각에 하나 이상의 콘센트박스가 배치되도록 하여 더 많은 콘센트박스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R1,R2,Rn)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C1,C2,Cm-1,Cm)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각각은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Rn-1,Rn,C1,C2,Cm-1,Cm) 각각과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를 통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중에서 근무자가 사용하는 특정 콘센트 박스를 선택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 콘센트박스(110)라 칭하기로 하며, 도 2에서 좌측 최상단에 배치된 콘센트 박스(OB)를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는 근무자의 수와 동일 또는 더 많게 구비되게 되고, 그 위치도 근무자의 근무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편의상 사용 콘센트 박스(110)가 하나이고, 도 2에서 좌측 최상단에 배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는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는 제1가로방향 전원케이블(R1), 제2가로방향 전원케이블(R2), 상기 제1세로방향 전원케이블(C1), 상기 제2세로방향 전원케이블(C2)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는 상기 제1가로방향 전원케이블(R1)과는 제1스위치(SW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가로방향 전원케이블(R2)과는 제2스위치(SW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세로방향 전원케이블(C1)과는 제3스위치(SW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세로방향 전원케이블(C2)과는 제4스위치(SW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의 온/오프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치(SW1)가 온 되면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가 상기 제1가로방향 전원케이블(R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제3스위치(SW3)가 온 되면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가 상기 제1세로방향 전원케이블(C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 내에 복수의 콘센트들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전원케이블 또는 복수의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복수의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 중 복수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각각의 경우에도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의 연결구조 및 배치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제어부(200)는, 근무자의 출퇴근 감지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근무자의 출근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중 근무자가 사용하는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예상 소비전력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고, 근무자의 퇴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건물에 전전원을 공급하는 배전함과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콘센트 박스(OB)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는 각각 식별코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온/오프가 제어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WIFI 방식을 포함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각각의 식별코드(ID) 및 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특정 콘센트 박스에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 중 특정 스위치를 제어하여 원하는 콘센트 박스(OB)에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부(210), 콘센트 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 및 스위칭 제어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210)는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중 상기 근무자가 사용하는 사용 콘센트박스(110)와 근무자를 서로 매칭시킨다. 상기 매칭부(210)에서는 상기 근무자가 사용하는 사용 콘센트박스(110)를 서로 매칭시켜, 근무자의 출근시에는 상기 사용콘센트박스(1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근무자의 퇴근시에는 상기 사용콘센트박스(110)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칭부(210)에서는 상기 근무자가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를 통해 연결된 전기기기들의 목록과 각 전기기기들의 소비전력, 즉 상기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목록과 각각의 전기기기들의 최대 소비전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근무자와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전기기기들의 목록과 최대 소비전력 관련 정보는 근무자가 미리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히 최대 소비전력 관련 정보의 경우에는 근무자의 최근 또는 이전의 전력사용량을 토대로 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해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는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와 연결되어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을 합산하여 계산한다. 즉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 각각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을 합산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는 근무자를 통해 제공되어 상기 매칭부(210)에 저장된 전기기기 들의 최대 소비전력을 합산하거나 빅데이터 수집을 통해 추정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을 통해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는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R1,R2,Rn-1,Rn)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C1,C2,Cm-1,Cm) 각각의 현재 실제소비전력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콘센트박스(110)에 복수의 전기기기들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는 제1가로방향 전원케이블(R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상기 제1가로방향 전원케이블(R1)의 현재시점의 실제소비전력을 측정하여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원 케이블에 다수의 전기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전원 케이블의 현재시점의 실제소비전력을 측정하고 계산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콘센트 박스(110)가 여러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에 대한 실제 소비전력을 계산하며, 하나의 전원케이블에 복수의 사용 콘센트 박스(110)가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여 전력소비가 있는 전원 케이블 모두에 대하여 실제소비전력을 측정 및 계산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는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 즉 실제 전력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원케이블의 경우만 케이블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계산하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전원케이블이 있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없으므로, 이의 측정이나 계산이 필요없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 또는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되는 현재시점의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SW1,SW2,SW3,SW4)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되는 현재시점의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과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되는 현재시점의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적으로,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R1,R2,Rn-1,Rn)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C1,C2,Cm-1,Cm)은 상대적으로 저용량을 가지는 하위전원케이블과 상대적으로 고용량을 가지는 상위 전원케이블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은 상대적으로 저용량을 가지는 하위 전원케이블과 상대적으로 고용량을 가지는 상위 전원케이블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이란, 전류 허용용량, 전압 허용용량 등이 높고, 공급 가능한 전원 용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기기가 사용되거나, 전기기기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연결되어 사용되더라도 과부하 없이 안전하게 고용량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원 케이블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하위 전원 케이블이란 상대적으로 공급 가능한 전원 용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낮은 전기기기가 사용되거나 소수의 전기기기들에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 케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의 제어 일예로,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콘센트박스(110)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 또는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 또는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C1 또는 R2)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R1 또는 C2)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예상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으면 하위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높은 전기기기를 사용하는 콘센트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위 전원케이블의 여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C1 또는 R2)이 복수 개이면,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들(예를 들면, C1 또는 R2) 중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되는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하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C1)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복수개의 하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C1 또는 R2)의 현재시점의 실제소비전력을 측정하여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하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C1)을 선택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과부하 방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R1 또는 C2)이 복수 개이면,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들(예를 들면, R1 또는 C2) 중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되는 현재시점의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상위 전원케이블(예를 들면, R1)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의 다른 제어 예로,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에 대한 현재시점의 실제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소비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소비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R1,R2,C1,C2) 중 현재시점의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전원케이블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가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콘센트(112)와, 제2콘센트(114)와, 상기 제1콘센트(112)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5스위치(SW5)와, 상기 제2콘센트(114)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6스위치(SW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상기 제6스위치(SW1,SW2,SW3,SW4,SW5,SW6)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2개의 전원 케이블(예를 들면, R1,C2)을 선택하여 상기 제1콘센트(112)와 상기 제2콘센트(114)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상 소비전력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과부하 여지가 있으므로, 일부의 전기기기는 제1콘센트(112)를 통해 전원공급받고, 다른 일부의 전기기기는 제2콘센트(114)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의 분배가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콘센트(112)는 예를 들면, 제1가로방향 전원케이블(R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콘센트(114)는 예를 들면, 제2세로방향 전원케이블(C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위치(SW1)가 온 상태에서 제5스위치(SW5)가 상기 제1스위치(SW1)와 연결된 전원 라인을 선택하도록 스위칭하고, 제4스위치(SW4)가 온 상태에서 제6스위치(SW6)가 상기 제4스위치(SW4)와 연결된 전원 라인을 선택하도록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콘센트(112)와 상기 제2콘센트(114)의 2개의 콘센트가 구비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3개 또는 그 이상의 콘센트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함은 명백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에 대한 현재시점의 실제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소비전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소비전력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상기 제6스위치(SW1,SW2,SW3,SW4,SW5,SW6)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R1,R2,C1,C2) 중 2개의 전원 케이블(예를 들면, R1,C2)을 선택하여 상기 제1콘센트(112)와 상기 제2콘센트(114)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실제 소비전력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과부하 여지가 있으므로, 일부의 전기기기는 제1콘센트(112)를 통해 전원공급받고, 다른 일부의 전기기기는 제2콘센트(114)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의 분배가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콘센트(112)와 상기 제2콘센트(114)의 2개의 콘센트가 구비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3개 또는 그 이상의 콘센트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복수의 콘센트박스들(OB) 중 사용 콘센트 박스(110)가 하나인 경우(근무자가 1명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110)는 복수개인 경우가 일반적이며,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110)와 관련된 구성 및 이의 동작은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OB)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의 바닥에 콘센트 박스의 주변에 서로 다른 전류 허용 용량을 가지는 전원 케이블들을 배치하고, 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사용 용량에 맞고 현재 소비전력이 낮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미사용시에는 해당 콘센트 박스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손쉽게 콘센트 박스에 공급되는 전원공급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콘센트 박스 어레이부 110 : 사용 콘센트 박스
200 : 제어부 210 : 매칭부
220 : 콘센트 박스 소비전력 계산부 230 :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
240 : 스위칭 제어부

Claims (9)

  1. 건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의 제어를 위한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일정간격마다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일정간격마다 세로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의 공간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각각은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 각각과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콘센트 박스 어레이부와;
    상기 콘센트 박스들에 각각에 대하여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되, 근무자의 출퇴근 감지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중 근무자가 사용하는 사용 콘센트박스와 근무자를 서로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부와;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와 연결되어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와;
    상기 가로방향 전원 케이블들과 상기 세로방향 전원 케이블들 각각의 현재 소비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와;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 또는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되는 현재시점의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를 제어함에 의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하며,
    근무자의 출근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중 근무자가 사용하는 사용 콘센트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근무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들의 예상 소비전력 또는 전원케이블의 실제소비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고,
    근무자의 퇴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박스들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온/오프가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들은 상대적으로 저용량을 가지는 하위 전원케이블과 상대적으로 고용량을 가지는 상위 전원케이블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의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 또는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 또는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기준값보다 미만일 때 선택되는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이 복수 개이면, 상기 하위 전원케이블들 중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되는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하위 전원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콘센트 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기준값 이상일 때 선택되는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이 복수 개이면, 상기 상위 전원케이블들 중 상기 케이블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되는 실제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상위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에 대한 실제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소비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소비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현재 소비전력이 가장 낮은 전원케이블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는 제1콘센트와, 제2콘센트와, 상기 제1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5스위치와, 상기 제2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6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박스 소비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예상 최대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상기 제6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2개의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제1콘센트와 상기 제2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는 제1콘센트와, 제2콘센트와, 상기 제1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5스위치와, 상기 제2콘센트를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되는 4개의 전원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6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사용 콘센트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에 대한 실제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소비전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소비전력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상기 제6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 콘센트박스에 인접된 4개의 전원 케이블 들 중 2개의 전원 케이블을 선택하여, 상기 제1콘센트와 상기 제2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박스 제어장치.
KR1020230034512A 2023-03-16 2023-03-16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KR10262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512A KR102626952B1 (ko) 2023-03-16 2023-03-16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512A KR102626952B1 (ko) 2023-03-16 2023-03-16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952B1 true KR102626952B1 (ko) 2024-01-18

Family

ID=8971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512A KR102626952B1 (ko) 2023-03-16 2023-03-16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9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49A (ko) * 2004-02-11 2005-08-18 김순 전선용량 과부하 감지회로 및 이를 내장한 차단기
KR20100108767A (ko) * 2009-03-30 2010-10-08 씨앤디아이(주) 알에프 무선통신 및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9530A (ko) * 2009-07-22 2011-01-28 (주)참소리전자통신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127641B1 (ko) 2011-09-09 2012-03-22 엠넥스텍 주식회사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49A (ko) * 2004-02-11 2005-08-18 김순 전선용량 과부하 감지회로 및 이를 내장한 차단기
KR20100108767A (ko) * 2009-03-30 2010-10-08 씨앤디아이(주) 알에프 무선통신 및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9530A (ko) * 2009-07-22 2011-01-28 (주)참소리전자통신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127641B1 (ko) 2011-09-09 2012-03-22 엠넥스텍 주식회사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4508B1 (en) Smart outlet
CA2827709C (en) Energy interface system
US9966795B2 (en) Intelligent electric gri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2416464A2 (en) Autonomous module of production, monitoring, storage, ripple and photovoltaic electric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mmunication and control management between modules when "off-grid" inserted
US20090244816A1 (en) Generator Ready Load Center
EP3908843B1 (en) System for connecting and metering distributed energy resource devices
KR101753477B1 (ko) 전기기기 관리 시스템
KR20090077327A (ko)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JP2008541681A (ja) パネルトランス内蔵型配電盤
KR102626952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과부하 방지 및 대기전력 방지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콘센트박스 제어장치
CN113868810B (zh) 电气图纸绘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855278B1 (ko)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A2988021C (en) Storage unit for a consum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torage system
KR101903850B1 (ko)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US10862277B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panel
US11646571B2 (en) Compact modular electrical load management system
JP5808058B2 (ja) 過電流検出装置
JP2012147577A (ja) 配電系統運用方法、配電系統運用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760100B1 (ko)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232214A1 (en) Intelligent electrical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GB2561456A (en) Direct current power system
KR20120001672U (ko) 보조 배전반을 구비한 fpso의 전력 분배 시스템
JP2013123372A (ja) 過電流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