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278B1 -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278B1
KR101855278B1 KR1020160106874A KR20160106874A KR101855278B1 KR 101855278 B1 KR101855278 B1 KR 101855278B1 KR 1020160106874 A KR1020160106874 A KR 1020160106874A KR 20160106874 A KR20160106874 A KR 20160106874A KR 101855278 B1 KR101855278 B1 KR 10185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witch
terminal
tim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055A (ko
Inventor
성홍근
권기진
정동호
최성권
박인보
원영욱
임동원
홍장표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0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2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콘센트로서 3상 콘센트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즉시 또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3상 콘센트 제어 장치는, 3상 콘센트와 상기 3상 콘센트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상 콘센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3상 콘센트는, 3상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1 소켓; 상기 제1 소켓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3상 전원을 인가받아 승압 또는 강압시키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 소켓과는 다른 값의 3상 전원을 인가받앙 동작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2 소켓; 상기 제2 소켓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 상기 3상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A/D컨버터; 상기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기에 구성된 단말타이머와 동기되어 동작하고 설정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상기 A/D컨버터로부터 정류된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즉시 또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설정시간 경과 후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대용량 콘센트로 사용되는 3상 콘센트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대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CKET FOR THREE-PHASE}
본 발명은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콘센트로서 3상 콘센트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즉시 또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전원 배전 시스템은 현재까지 거의 대부분의 건물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콘센트와 플러그의 단자는 대칭 구조인 접속구조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전기에는 가정용 또는 건물용과 같은 상용으로 사용되는 110V/220V의 단상 전원이 사용되고, 산업용에는 220V, 380V, 440V, 460(480)V, 660(690)의 저압군으로 분류하는 것과 3.3kV, 4.16kV, 6.6kV, 13.8kV 등 고압으로 분류하여 보다 높은 전력과 안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산업용으로 3상을 사용하는 이유는 단상 220V로는 거대한 기계 모터 등을 구동하는 데에 있어서 전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은 일시적인 동작 정지에 의해 커다란 피해를 볼 수 있으므로 자체 발전기 또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와 같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3상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장치들은 고압의 전기를 사용하며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거의 매일 동작시키므로 거의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만을 온/오프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산업용 전기가 대기전력에 의한 손실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전력의 유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콘센트로서 3상 콘센트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대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 유실을 방지하는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 콘센트로 사용되는 3상 콘센트를 단말기와 타이머를 이용하고 외부에서 시간에 따라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어 효율은 높인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3상 콘센트 제어 장치는, 3상 콘센트와 상기 3상 콘센트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상 콘센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3상 콘센트는, 3상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1 소켓; 상기 제1 소켓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3상 전원을 인가받아 승압 또는 강압시키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 소켓과는 다른 값의 3상 전원을 인가받앙 동작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2 소켓; 상기 제2 소켓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 상기 3상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A/D컨버터; 상기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기에 구성된 단말타이머와 동기되어 동작하고 설정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상기 A/D컨버터로부터 정류된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즉시 또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설정시간 경과 후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3상 콘센트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단말통신부; 단말기에 설치된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3상 콘센트의 타이머로 동기신호를 전송하고 시스템 클럭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기타이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표시된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의 창에 표시된 키들을 입력받을 수 있는 표시부; 및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다수의 콘센트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상 전원과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사이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은, 제1 스위치 블록과 제2 스위치 블록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블록과 제2 스위치 블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온스위치키;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오프스위치키; 타이머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키; 및 상기 타이머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며 상기 설정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및 상기 설정시간 입력을 결정하는 입력키가 표시되는 숫자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3상 콘센트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어명령 입력을 대기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어입력이 입력되면 타이머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타이머 설정인 경우면 단말기로부터 설정시간을 입력받는 단계; 설정시간을 경과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단계;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타이머 설정이 아닌 경우면 상기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오프 제어단계는, 온스위치키 입력 또는 오프스위치키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 제2 판단단계에서 온스위치키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단계; 상기 제3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면 각각의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를 온시키는 단계;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 오프스위치키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단계; 및 상기 제4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가 가 온 상태인 경우면 대응하는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대용량 콘센트로 사용되는 3상 콘센트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대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대용량 콘센트로 사용되는 3상 콘센트를 단말기와 타이머를 이용하고 외부에서 시간에 따라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어 효율은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 콘센트와 이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센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타이머를 클릭한 후에 온 또는 오프 실행키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타이머 및 온 오프 실행키를 클릭한 후에 숫자키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 콘센트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에 따른 온오프 제어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 콘센트와 이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센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3상 콘센트(100)와 3상 콘센트(1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상 콘센트(100)는 소켓을 막는 뚜겅(102)이 소켓의 상부에 구성된다. 뚜껑(102)은 소켓을 통해 콘센트(100) 내부로 이물질, 특히 액체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술한 뚜껑에 덮인 소켓과는 다른 전압, 예컨대, 220V의 3상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소켓(142)이 구성된다. 한편, 제1 소켓은 후술하는 도면에서 개시하기로 한다.
단말기(200)는 3상 콘센트(10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3상 콘센트(10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특히 3상 콘센트(100)의 온/오프를 타이머에 의해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즉시 3상 콘센트(1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2G 핸드폰, 또는 3G 이상의 스마트폰 일 수 있다. 또는 LTE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그리고,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3상 콘센트(100)의 대기전력에 의한 전기 유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산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200)의 원격 제어자가 3상 콘센트(100)의 온오프를 시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센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상 콘센트(100)는 제1 소켓(140), 제2 소켓(142), 제1 스위치(130), 제2 스위치(132), 트랜스포머(131) 및 브레이커(120), A/D컨버터(150), 통신부(170), 타이머(18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제1 소켓(140)은 3상 전원(110)을 인가받아, 3상 전원(110)을 사용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된다. 소켓(140)의 상부에는 두껑(102)이 덮이도록 형성되어 소켓(140)을 통해 3상 콘센트(100) 내부로 물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 소켓(140)에 전원을 제공하는 3상 전원(110)은 380/440V의 전압일 수 있다.
제1 스위치(130)는 제1 소켓(140)과 브레이커(120) 사이에 연결되고 전자 스위치로 구성된다. 제1 스위치(130)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소켓(140)과 3상 전원(110)과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시킨다.
브레이커(120)는 제1 스위치(130)와 3상 전원(110) 사이에 연결되어 3상 전원(110)에서 발생한 과전압 또는 과전류에 의해 3상 전원(110)을 사용하는 장치로 서지전압이 유입되어 장치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브레이커(120)는 3상 전원(110)과 제1 스위치(130), 트랜스포머(131) 및 제2 스위치(132) 사이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트랜스포머(131)는 제1 스위치(130)와 제2 스위치(132) 사이에 연결되며, 3상 전원(110)에서 공급된 전압을 강압 또는 승압시켜 제2 소켓(142)에 인가한다. 예컨대, 3상 전원(110)이 380/440V의 전압인 경우면, 220V로 강압시킬 수 있다.
제2 소켓(142)은 트랜스포머(131)를 통해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인가받아, 3상 전원(110)을 사용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된다. 한편, 제2 소켓(142)을 통해 제공하는 3상 전원은 트랜스포머(131)에 의해 강압 또는 승압된 3상 전압일 수 있다.
제2 스위치(132)는 제2 소켓(142)과 트랜스포머(131) 사이에 연결되고 전자 스위치로 구성된다. 스위치(130)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제2 소켓(142)과 트랜스포머(131)로부터 공급되는 강압 또는 승압된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시킨다.
A/D컨버터(150)는 3상 전원(110)과 제어부(16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3상 전원(110)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5V 내지 12V의 직류전원으로 낮춘 전압을 제어부(160)로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A/D컨버터(150)는 정류기와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무선으로 단말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WiFi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등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또는 장거리 통신 방식인 2G(Generation), 3G 내지 4G, 5G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한다.
타이머(180)는 단말기(200)에 구성된 시스템 클럭과 동기되어 동작하고 설정시간을 카운트한다. 예컨대, 타이머(180) 시간이 설정된 경우면, 해당하는 시간을 경과시킨다. 타이머(180)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 제어부(150)는 3상 콘센트(100)를 오프시키거나 온시킨다.
제어부(160)는 상기 정류된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치(130, 132)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 설정시간이 설정된 경우면, 설정시간이 경과시킨 후에 3상 콘센트(1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130, 132)를 온/오프시킨다. 또는 타이머 설정시간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타이머(130)를 온/오프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단말통신부(210), 단말제어부(220), 단말타이머(230), 표시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통신부(210)는 3상 콘센트(100)의 통신부(160)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기능은 WiFi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등의 방식일 수 있으며, 또는 장거리 통신 방식인 2G(Generation), 3G 내지 4G, 5G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일 수 있다.
단말제어부(220)는 단말기(200)에 설치된 콘센트 어플리케니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통신부(210)를 통해 제어명령을 3상 콘센트(100)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3상 콘센트(100)로부터 전압, 전류 및 전력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특정 이벤트 시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200)에서의 콘센트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특정 이벤트일 수 있다.
단말타이머(230)는 상기 단말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3상 콘센트(100)의 타이머(180)로 동기신호를 전송하며, 단말제어부(220)의 시스템 클럭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여기서 타이머(180)와 단말타이머(230)를 동기시키는 동기신호는 시스템 클럭의 동기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타이머의 동기화를 의미한다. 즉, 단말기(200)와 3상 콘센트(100)는 비동기방식 또는 동기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표시부(240)는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표시부는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표시부(240)에 표시된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의 창에 표시된 키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250)는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다수의 콘센트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설명에서는 1개의 1구의 3상 콘센트(100)를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3상 콘센트(100) 주소를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주소를 불러와 해당 주소에 대응하는 3상 콘센트(100)와 접속함으로써 다수 개의 3상 콘센트(100)를 후술하는 과정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2구로 구성된 본 발명의 콘센트(100)는 동일한 주소로 인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타이머를 클릭한 후에 온 또는 오프 실행키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타이머 및 온 오프 실행키를 클릭한 후에 숫자키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가 3상 전원(110)으로부터 인가되어 2개의 스위치(130, 132)에서 감지한 전압과 전류 및 전력수준이 제1 스위치(130)와 제1 소켓(140)에 의해 나타나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1 스위치 블록(210) 및 제2 스위치(132)와 제2 소켓(142)에 의해 나타나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2 스위치 블록(220)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감지된 전압, 전류 및 전력수준은 통신부(170)와 단말통신부(210)를 통해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표시부(240)를 통해 제1 스위치 블록(210)과 제2 스위치 블록(220)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단말기(200)의 표시부(240)는 3상 콘센트(100)의 제어부(160)가 2개의 스위치(130, 132)에 각각 인가된 전압 및 전류를 인지하고 이를 통신부(170)를 통해 단말기(200)의 단말통신부(200)를 통해 단말제어부(220)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여 현재 3상 콘센트(100)의 상태를 단말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가 측정하는 전압 및 전류는 2개의 스위치(130, 132)에 인가된 전압 및 스위치(130, 132)에 흐르는 전류지만, 각각의 소켓(140, 142) 자체는 부하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스위치(130, 132)와 소켓(140, 142)에 걸리는 전압 및 전류는 거의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력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재의 전압수준과 전류량을 곱한 값이며, 표시부(240)를 통해 전력량도 제1 스위치 블록(210)과 제2 스위치 블록(220)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온스위치키,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오프스위치키, 타이머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키 및 상기 타이머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며 상기 설정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및 상기 설정시간 입력을 결정하는 입력키가 표시되는 숫자키가 각각의 소켓(140, 142) 별로 별도로 표시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 스위치(142)에 대하여 오프스위치를 클릭하면 3상 콘센트(100)의 제2 스위치(132)가 즉시 오프상태가 된다.
또는, 도 4에서 사용자가 2개의 스위치로 구분된 스위치(130, 132) 중 제2 스위치(132)에 대응하는 타이머를 클릭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제2 스위치(132)에 대응하는 온/오프 키가 도시되며, 사용자가 온/오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숫자키가 도시된다. 숫자키는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시간을 분 단위로 설정한다. 예컨대, 도 6에서 120을 클릭하고 확인키(Enter)를 눌러 120분 뒤에 온/오프가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도 5에서 사용자가 온키를 눌렀다면, 120분 뒤에 제2 스위치(132)가 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 콘센트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한편, 2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에 대하여 개시하기로 한다. 예컨대, 제1 스위치(130)를 제어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제2 스위치(132)에 대한 제어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202단계에서 3상 콘센트(100)는 단말기(200)로부터의 제어명령을 대기한다. 일반적으로 3상 콘센트(100)는 공사현장, 공장현장과 같이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넓은 영역에서 통신 가능한 광역통신인 2G 내지 5G 통신 또는 LTE 방식의 통신 또는 광역으로 설치된 WiFi로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S204단계에서 3상 콘센트(100)의 통신부(170)는 단말기(200)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제어명령은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 의한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S206단계에서 상기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입력이 입력되면 타이머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온/오프 제어명령이 함께 입력된다. 즉, 타이머를 클릭한 이후에 온/오프 제어할 것인지를 함께 입력한다. 타이머와 온/오프 제어명령이 입력된 이후에 도 6과 같은 숫자키가 표시된다.
3상 콘센트(100)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이 타이머 설정인 경우면(S206단계, Y) 단말기(200)로부터 설정시간을 입력받는다(S208단계).
S210단계에서 3상 콘센트(10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한 설정시간을 경과시킨다.
S212단계에서 사용자가 단말타이머(180)를 통해 입력한 설정시간과 함께 입력한 온/오프 명령에 따라 제1 스위치(130)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한편, 제1 스위치(13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3상 콘센트(100)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이 타이머 설정이 아닌 경우면(S206단계, N), 전술한 S212단계로 진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 6에 따른 온 또는 오프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는, S302단계에서 제어부(160)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이 온스위치키 입력 또는 오프스위치키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기(200)를 통해 온스위치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302단계, 온스위치키 입력) 제1 스위치(130)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4단계).
제1 스위치(130)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면(S304단계, N) 제1 스위치(130)를 온시킨다(S306단계). 제1 스위치(130)가 온 상태인 경우면(S304단계, N), 현재 제1 스위치(130)가 온 상태에서 온 명령이 입력된 것(S302단계에서 온스위치키 입력)이므로 온 상태를 유지하고 종료한다.
단말기(200)를 통해 오프스위치키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302단계, 오프스위치키 입력) 제1 스위치(130)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8단계).
제1 스위치(130)가 온 상태인 경우면(S308단계, Y) 제1 스위치(130)를 오프시킨다(S310단계). 제1 스위치(130)가 오프 상태인 경우면(S308단계, N), 현재 스위치(130)가 오프 상태에서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것(S302단계에서 오프스위치키 입력)이므로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종료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3상 콘센트 102 : 뚜껑
110 : 3상 전원 120 : 브레이커
130 : 스위치 140 : 소켓
150 : A/D컨버터 160 : 제어부
170 : 통신부 180 : 타이머
200 : 단말기 210 : 단말통신부
220 : 단말제어부 230 : 단말타이머
240 : 표시부 250 : 저장부

Claims (6)

  1. 3상 콘센트와 상기 3상 콘센트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상 콘센트 제어장치에 있어서,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220V 3상 또는 380/440V)상기 3상 콘센트는,
    3상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1 소켓;
    상기 제1 소켓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3상 전원을 인가받아 승압 또는 강압시키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승압 또는 강압된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 소켓과는 다른 값의 3상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2 소켓;
    상기 제2 소켓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
    상기 3상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A/D컨버터;
    상기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기에 구성된 단말타이머와 동기되어 동작하고 설정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상기 A/D컨버터로부터 정류된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즉시 또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설정시간 경과 후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단말기는,
    상기 3상 콘센트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단말통신부;
    단말기에 설치된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서버통신부를 통해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3상 콘센트의 타이머로 동기신호를 전송하고 시스템 클럭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기타이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표시된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의 창에 표시된 키들을 입력받을 수 있는 표시부;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다수의 콘센트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3상 전원과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사이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콘센트 어플리케이션은,
    제1 스위치 블록과 제2 스위치 블록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블록과 제2 스위치 블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온스위치키;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오프스위치키;
    타이머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키; 및
    상기 타이머키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며 상기 설정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및 상기 설정시간 입력을 결정하는 입력키가 표시되는 숫자키;를 포함하는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06874A 2016-08-23 2016-08-23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74A KR101855278B1 (ko) 2016-08-23 2016-08-23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74A KR101855278B1 (ko) 2016-08-23 2016-08-23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55A KR20180022055A (ko) 2018-03-06
KR101855278B1 true KR101855278B1 (ko) 2018-05-08

Family

ID=6172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74A KR101855278B1 (ko) 2016-08-23 2016-08-23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89Y1 (ko) 2020-06-08 2020-10-23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Hvdc용 콘센트
KR200493367Y1 (ko) 2020-06-03 2021-03-18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Hvdc용 플러그, 콘센트 및 멀티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29B1 (ko) * 2018-11-19 2019-03-25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매립형 IoT 스마트 콘센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921Y1 (ko) * 2001-02-08 2001-07-19 김성헌 무선 리모콘 이용 전원어댑터 시스템
KR101043310B1 (ko) * 2010-09-08 2011-06-21 주식회사 서비전자 파워 서플라이
KR101564567B1 (ko) * 2014-09-30 2015-11-02 전병섭 스마트 단말 앱을 이용한 전기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에 따라 연결된 전기기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921Y1 (ko) * 2001-02-08 2001-07-19 김성헌 무선 리모콘 이용 전원어댑터 시스템
KR101043310B1 (ko) * 2010-09-08 2011-06-21 주식회사 서비전자 파워 서플라이
KR101564567B1 (ko) * 2014-09-30 2015-11-02 전병섭 스마트 단말 앱을 이용한 전기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에 따라 연결된 전기기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67Y1 (ko) 2020-06-03 2021-03-18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Hvdc용 플러그, 콘센트 및 멀티탭
KR200492489Y1 (ko) 2020-06-08 2020-10-23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Hvdc용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55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204B2 (en) Inverter device
KR101850487B1 (ko) 전력공급제어장치
KR101855278B1 (ko)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6460479B2 (ja) 制御電源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RU251720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ыходными сигналами источника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JP2013223323A (ja) 多機能電源装置
KR101903850B1 (ko)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JP2002238160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この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201787B1 (ko)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JP2019103198A (ja) 蓄電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ー
US117700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on and control of power for consumer power circuits
KR101760100B1 (ko)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0210B1 (ko) Dc 출력을 제공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KR20190031992A (ko) Ac/dc 겸용 가능한 전원 입력 장치
CN204118758U (zh) 一种分布式太阳能并网控制箱
JPWO2016185759A1 (ja)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160028893A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US20230216309A1 (en) Microinverter for use with storage system
US11941228B2 (en) Guidance set-up for companion module graphical display
KR20180023375A (ko) 스마트 전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343434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JP6128605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装置
KR101433046B1 (ko) 다채널 부하전류 감지 및 타이머 차단 기능을 가지는 대기전력 절전제어장치 내장형 스마트 배전반
JP3172078U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