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720B1 -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720B1
KR101361720B1 KR1020120001996A KR20120001996A KR101361720B1 KR 101361720 B1 KR101361720 B1 KR 101361720B1 KR 1020120001996 A KR1020120001996 A KR 1020120001996A KR 20120001996 A KR20120001996 A KR 20120001996A KR 101361720 B1 KR101361720 B1 KR 10136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group
light absorption
absorption filter
formul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043A (ko
Inventor
신준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강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강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강화학
Priority to KR102012000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7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광변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사용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실외에서 외부광(태양광)에 의한 시인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ABSORP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외부광(태양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의 특정 파장으로 화상을 구현하며, 실내에서는 시인성이 양호하나 실외에서는 외부광의 내부 반사에 의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반사광의 광량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체 생성하는 광량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관측자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가 구현하는 파장대 이외의 광을 함께 관측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1에 광흡수 필터가 없는 상부 발광형(top-emission) 방식의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 구조 및 반사 메커니즘을 나타내었다. 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광에 노출 시켰을 때, 장치 표면에 입사된 광은 반사방지필름(LR필름 또는 AR필름)과 공기와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약 4% 내지 5%의 외부반사가 발생한다. 외부 반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광은 소자 내부로 입사된 후 일부는 내부에서 흡수되고, 입사된 광의 약 35% 내지 45%는 내부반사에 의해 OLED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생성된 광과 혼합되어 디스플레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외부광에 의한 내부 반사광이 디스플레이 자체 생성광에 비해 유사하거나 많은 광량을 가지게 되어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특히 맑은 날에는 시인성 저하 문제가 보다 심각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광에 의한 시인성의 문제점은 OLED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LCD 디스플레이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난다.
이러한 시인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내부에 광흡수 영역을 도입하여 외부 유입광을 일부 흡수하여 반사광의 양을 줄이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제조공정의 복잡화와 광흡수 효율 저하로 실제 적용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상용화된 기술로는 편광필름 및 위상지연필름을 도입하여 시인성을 개선하고 있다. 이는 편광필름의 광필터 기능을 이용한 것으로 외부광이 편광필름을 통과할 경우 약 50%의 광흡수가 일어나고 편광필름을 통과한 나머지 편광된 빛이 반사되어 나오면서 위상지연필름에서 90도의 위상 변화가 생기고 이것이 편광필름에 전량 흡수되어 이론적으로는 내부 반사율이 0%가 된다. 하지만, 상기 기술이 적용된 OLED의 경우 수직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에 대해서는 시인성이 개선되지만, 비스듬히 입사하는 외부광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OLED 내부 생성광의 휘도가 약 50% 손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내부 자체 발광 휘도의 손실이 없으며, 외부광(태양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흡수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흡수 필터는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광변색성 염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필터는 실내에서는 디스플레이 자체로부터 발광된 빛의 휘도 손실을 방지하며, 실외에서는 외부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필터는 응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광흡수 필터가 적용되지 않은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5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층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8은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LC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층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를 간략히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광 노출"이란, 태양광이 강한 실외 조건을 의미하며, "외부광 차단"이란, 태양광이 약하거나 없는 실내 조건을 의미한다.
"광흡수 필터"란, 외부광 노출시 특정 파장대의 광을 흡수하는 광변색 염료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또는 기타 소재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반치폭"이란, 광흡수 필터를 외부광에 노출할 경우, 가시광 영역의 광흡수 스펙트럼 피크가 최고 높이에 도달 했을 때, 최고 높이의 1/2이 되는 지점에서의 광흡수 스펙트럼의 너비를 의미한다.
"착색시간"이란, 광흡수 필터를 외부광에 노출할 경우, 외부광 노출시부터 가시광 영역의 광흡수 스팩트럼의 피크가 최고 높이까지 도달 하는데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
"원복시간"이란, 광흡수 필터가 외부광에 포함된 자외선을 흡수하여 착색된 상태에서 외부광을 차단할 경우, 외부광 차단시부터 광흡수 스팩트럼의 피크가 최고 높이의 1/2이 되는 지점까지 도달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착색시간과 원복시간을 합쳐 응답속도라고 한다.
"블루영역 중심파장대"란, 가시광선 영역 중에서 청색 계열의 색을 가진 광이 주로 분포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450 내지 480 nm 범위를 포함한다.
"그린영역 중심파장대"란, 가시광선 영역 중에서 녹색 계열의 색을 가진 광이 주로 분포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505 내지 545 nm 범위를 포함한다.
"레드영역 중심파장대"란, 가시광선 영역 중에서 적색 계열의 색을 가진 광이 주로 분포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610 내지 650 nm 범위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각 영역별 중심파장대의 범위는 통상적인 상태에서의 범위를 나타낸 것으로, 주변 환경 내지 구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조건 등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기본 골격을 바탕으로 관능기를 하나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기본 골격을 바탕으로 관능기를 2 이상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광흡수 필터,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광변색성 염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흡수 필터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필터는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광변색성 염료를 포함한다. 각 성분간 함량비(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광흡수 필터는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광변색성 염료를 10~40:60~85:0.5~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필터는 외부광 노출시 광흡수피크가 가시광 영역 중 블루영역의 중심파장대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의 사이, 상기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와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 및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를 기준으로 장파장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나타나게 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로부터 생성된 빛의 손실 없이, 실외 또는 외부광이 강한 장소에서 시인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필터는 외부광 노출시 광흡수 스펙트럼의 반치폭이 40 nm 내지 90 nm 범위일 수 있다. 광흡수 스펙트럼의 반치폭이 40nm 미만일 경우에는 광흡수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90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내부 생성광의 파장 영역과 겹쳐 내부 생성광의 휘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흡수 필터는 외부광 노출시 착색시간은 15초 이하, 구체적으로는 9초 내지 12초 범위일 수 있으며, 외부광 차단시 원복시간은 40초 이하, 구체적으로는 16초 내지 34초 범위일 수 있다.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고, Y1은 C8 내지 C18 알킬기; 또는 C8 내지 C25 아릴알킬기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X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고, Y2는 분자량 100 내지 1,000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이다.
상기 화학식 2에서, Y2로 표시된 폴리알킬렌글리콜은 하기 화학식 3 또는 4의 반복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2 내지 22의 정수이고, 화학식 4에서 n은 2 내지 17의 정수이고,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예를 들어, Y3는 메틸기일 수 있다.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방향족 탄화수소; 및 지환족 탄화수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비스페놀A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5 또는 6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5
상기 화학식 5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X3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예를 들어, X3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6
상기 화학식 6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X4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예를 들어, X4는 메틸기이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비스페놀A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7
상기 화학식 7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X5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노보넨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및 수소화 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및 멜라민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변색성 염료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성 염료는, 가시광 영역 중 블루영역의 중심파장대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에서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A;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와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에서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B; 블루영역의 중심파장대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와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에서 각각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C; 및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를 기준으로 장파장영역에서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 D는 640 내지 750 nm, 또는 650 내지 710 nm 범위에서 광흡수피크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 A는 하기 화학식 8 및 9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8
[화학식 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09
상기 화학식 8 및 9에서,
R1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화학식 -R7R8; 또는 -OR9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7 및 R8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9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고,
R2, R3,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R10R11; 또는 -OR12이고,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10 및 R11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12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화합물 A에 해당되는 화합물은 하기 표 1과 같다.
No. 화합물 구조
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0
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1
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2
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3
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4
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5
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6
상기 화합물 B는 하기 화학식 12 및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7
[화학식 1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8
상기 화학식 12에서,
R13 내지 R15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OR22이며, R2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R16 및 R17은 독립적으로 수소; 에스테르기; C1 내지 C30 알킬기; C1 내지 C10 아릴기; 화학식 -R26R27; 또는 -OR28 이거나, R16 및 R1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6 내지 C30 방향족고리구조이고,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수소; 에스테르기;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26 및 R2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28은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R18은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CnH2nOCmH2m +1; 또는 -CpH2pOCqH2qOCrH2r +1이며, n, m,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19 내지 R2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에스테르기; C1 내지 C10 의 알킬기; 화학식 -NR29R30; 또는 -OR31이고, R29 및 R30은 독립적으로 수소; 에스테르기;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29 및 R30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31은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13에서,
R23 내지 R-25는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화합물 B에 해당되는 화합물은 하기 표 2와 같다.
No. 화합물 구조
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19
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0
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1
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2
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3
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4
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5
8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6
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7
10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8
1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29
1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0
1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1
1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2
1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3
1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4
1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5
18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6
1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7
20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8
2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39
2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0
2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1
2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2
상기 화합물 C는 하기 화학식 14 내지 1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3
[화학식 1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4
[화학식 1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5
상기 화학식 14에서,
R32 R33은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OR49 이거나, R32 및 R33이 서로 연결되어 고리구조를 형성하고, R49는 수소; C1 내지 C30 알킬기; -CnH2nOCmH2m+1; 또는 -CpH2pOCqH2qOCrH2r +1이며, n, m,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32 및 R33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고리구조는 플루오렌; 하나 이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 또는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를 포함하고,
R34 및 R35는 독립적으로 수소; -NR50R51; 또는 -OR52이고, R50 및 R51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R50 및 R51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C1 내지 C10의 알킬기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헤테로고리기이고, R52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고,
R36 및 R37은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에스테르기; -OR53; 또는 고리 구조 내에 질소 및 산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 내지 C10 헤테로고리기이거나, R36 및 R3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1 내지 C10 헤테로고리구조이고, R53은 C1 내지 C30 알킬기이고,
R38은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에스테르기; 또는 -OR54이고, R54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15 및 16에서,
R39, R40, R44 및 R45는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30 알킬기; C2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또는 -NR55R56이고, R55 및 R56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R55 및 R56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1 내지 C10 헤테로고리구조이고,
R41 내지 R43 및 R46 내지 R4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에스테르기; 또는 -NR57R58 이고, R57 및 R58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R57 및 R58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1 내지 C10 헤테로고리구조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화합물 C에 해당되는 화합물은 하기 표 3과 같다.
No. 화합물 구조
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6
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7
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8
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49
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0
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1
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2
8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3
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4
10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5
1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6
1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7
1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8
1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59
1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0
1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1
1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2
18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3
1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4
20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5
2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6
2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7
2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8
2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69
2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0
2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1
2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2
또한, 상기 화합물 D는 하기 화학식 19 및 20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3
[화학식 20]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4
상기 화학식 19에서,
R59는 수소; C1 내지 C40 알킬기; 또는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이고,
R60은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니트로기이고,
상기 화학식 20에서,
X는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고,
R61은 수소; C1 내지 C40 알킬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CnH2nOCmH2m +1; 또는 -CpH2pOCqH2qOCrH2r +1이고, n, m,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화합물 D에 해당되는 화합물은 하기 표 4와 같다.
No. 화합물 구조
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5
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6
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7
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8
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79
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0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성 염료는, 앞서 언급한 화합물 외에도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여 착색되는 성분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광변색성 염료로는 상품명 벨벳 블루(Velvet Blue, James Robinson사), 스톰 퍼플(Storm Purple, James Robinson사), 루비(Ruby, James Robinson사) 또는 베리 레드(Berry Red, James Robinson사) 등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범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O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OLE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OLED 패널은 음극(전자주입 전극), 양극(정공주입 전극) 및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유기층은 발광층(EML, emitting layer) 이외에,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5과 같이, 상기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패널(120) 상부에 광흡수 필터(130)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패널(120)과 보호기판(140) 사이에 (1) 광흡수 필터(130) 단층 구조(도 2 참조), (2) 접착층(161), 편광필름(150) 및 광흡수 필터(130)가 순차 적층된 구조(도 3 참조), (3) 제1접착층(161), PET필름(170), 광흡수 필터(130) 및 제2접착층(162)이 순차 적층된 구조(도 4 참조), 또는 (4) 제1접착층(161), 편광필름(150), 제2접착층(162), PET필름(170), 광흡수 필터(130) 및 제3접착층(163)이 순차 적층된 구조(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1, 162, 163)은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 일 수 있으며, 광흡수 필터에는 접착 또는 점착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T필름은 투명기재의 하나의 예로서, 이 외에도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등과 같은 투명 고분자필름, 유리, 석영등을 투명기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장치는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이때 LCD 패널은 백라이트, 편광 필름, 액정패널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6 내지 8과 같이, 상기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패널(220) 상부에 광흡수 필터(230)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패널(220)과 보호기판(240) 사이에 (1) 광흡수 필터(230) 단층 구조(도 6 참조), (2) 접착층(261), PET필름(270) 및 광흡수 필터(230)이 순차 적층된 구조(도 7 참조), 또는 (3) 제1접착층(261), PET필름(270), 광흡수 필터(230) 및 제2접착층(262)이 순차 적층된 구조(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 일 수 있으며, 광흡수 필터에는 접착 또는 점착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T필름은 투명기재의 하나의 예로서, 이 외에도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등과 같은 투명 고분자필름, 유리, 석영등을 투명기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단일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C8), 로릴아크릴레이트(LA, C12), 폴리에틸렌옥사이드아크릴레이트(PEOA03,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 3개 보유)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아크릴레이트(PEOA09,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 9개 보유)를; 이관능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비스페놀A에톡실레이트디아크릴레이트(EBDA10,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 10개 보유)를; 삼관능 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를 사용하였다. 상기 모노머를 광개시제 및 광변색 염료와 함께 하기 표 5에 기재된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혼합된 조성물을 PET필름 위에 5㎛의 두께로 코팅한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메탈할라이드 UV 경화기를 이용하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경화시켜 광흡수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의 구체적인 중량비는 하기 표 5와 같이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C8 이상)
EHA 30
LA 30
PEOA03 30 30 30 30
PEOA09 30 20 10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EBDA10 50 50 50 50 60 70 50 50 50
TMPTA 20 20 20 20 20 20 20 20 20
중합 개시제 184(BASF) 1 1 1 1 1 1 1 1 1
광변색성 염료 Velvet Blue
(James Robinson)
1 1 1 1 1 1
Storm Purple
(James Robinson)
1
Ruby
(James Robinson)
1
Berry Red
(James Robinson)
1
비교예 1 내지 6
단일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C1) 또는 부틸메타크릴레이트(BMA, C4)를; 이관능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비스페놀A에톡실레이트디아크릴레이트(EBDA10,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 10개 보유)를; 삼관능 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를 사용하였다. 상기 모노머를 광개시제 및 광변색 염료와 함께 하기 표 6에 기재된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혼합된 조성물을 PET필름 위에 5㎛의 두께로 코팅한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메탈할라이드 UV 경화기를 이용하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경화시켜 광흡수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6의 구체적인 중량비는 하기 표 6과 같이 나타내었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단일관능성아크릴레이트(C4 이하) MMA 30
BMA 30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EBDA10 80 50 50 80 80 80
TMPTA 20 20 20 20 20 20
중합 개시제 184(BASF) 1 1 1 1 1 1
광변색성 염료 Velvet Blue
(James Robinson)
1 1 1
Storm Purple
(James Robinson)
1
Ruby
(James Robinson)
1
Berry Red
(James Robinson)
1
실험예 1: 반치폭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광흡수 필터에 대하여, 흡수파장(λmax, nm)을 확인하고 각각에 대한 반치폭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구분 흡수파장(λmax, nm) 반치폭(nm)
실시예 1 579 84
실시예 2 579 83
실시예 3 581 79
실시예 4 583 72
실시예 5 580 77
실시예 6 579 85
실시예 7 576 77
실시예 8 493 75
실시예 9 495 77
비교예 1 576 123
비교예 2 575 118
비교예 3 577 114
비교예 4 572 124
비교예 5 489 115
비교예 6 490 119
실시예 1 내지 9의 경우에는 반치폭이 72 내지 85nm 범위로 나타난 반면, 비교예 1 내지 6의 경우에 반치폭이 114 내지 124nm 범위로 나타나, 반치폭이 최대 42%까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로부터,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에 에스테르 구조로 결합되는 알킬 또는 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반치폭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6의 결과로부터, 사슬길이가 긴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성분간 중량비가 증가할수록, 반치폭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필터는 반치폭이 작아서 야외에서도 우수한 시인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야외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적용에 있어 유용하다.
실험예 2: 응답속도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광흡수 필터에 대하여 착색시간 및 원복시간을 측정하였다. 착색시간 및 원복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응답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구분 착색시간(초) 원복시간(t1 /2, 초)
실시예 1 11 22
실시예 2 11 20
실시예 3 10 18
실시예 4 9 16
실시예 5 11 23
실시예 6 12 31
실시예 7 10 22
실시예 8 12 30
실시예 9 12 34
비교예 1 17 53
비교예 2 16 52
비교예 3 18 48
비교예 4 17 55
비교예 5 18 62
비교예 6 18 64
실시예 1 내지 9의 경우에는 착색시간 및 원복시간이 각각 9 내지 12초 및 16초 내지 34초의 범위로 나타난 반면, 비교예 1 내지 6에서는 착색시간 및 원복시간이 각각 16초 내지 18초 및 48초 내지 64초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9는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해 착색시간은 최대 50%까지, 원복시간은 최대 75%까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로부터,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에 에스테르 구조로 결합되는 알킬 또는 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응답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6의 결과로부터, 사슬길이가 긴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성분간 중량비가 증가할수록 응답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 필터는 매우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고 있어, 실내에서 실외로 또는 실외에서 실내로의 이동시 빠른 화면 인식을 필요로 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유용하다.
110: OLED 패널 120, 220: 터치패널
130, 230: 광흡수 필터 140, 240: 보호기판
150: 편광필름 161, 162, 163, 261, 262: 접착층
170, 270: PET필름 210: LCD 패널

Claims (29)

  1.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광변색성 염료를 포함하며,
    외부광 노출시 광흡수피크가 가시광 영역 중 블루영역의 중심파장대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의 사이, 상기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와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 및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를 기준으로 장파장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광흡수 필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광 노출시 광흡수 스펙트럼의 반치폭이 40nm 내지 90nm인 광흡수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광 노출시 착색시간이 15초 이하인 광흡수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광 차단시 원복시간이 40초 이하인 광흡수 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1]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1

    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고, Y1은 C8 내지 C18 알킬기; 또는 C8 내지 C25 아릴알킬기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2

    상기 화학식 2에서, X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고, Y2는 분자량 100 내지 1,000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화학식 2에서, Y2로 표시된 폴리알킬렌글리콜은 하기 화학식 3 또는 4의 반복구조를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3

    [화학식 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4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2 내지 22의 정수이고, 화학식 4에서 n은 2 내지 17의 정수이고,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9.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방향족 탄화수소; 및 지환족 탄화수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비스페놀A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인 광흡수 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5

    상기 화학식 5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X3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12. 제 10 항에 있어서,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6

    상기 화학식 6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X4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13. 제 10 항에 있어서,
    비스페놀A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7]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7

    상기 화학식 7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X5는 수소; 또는 C1 내지 C5 알킬기이다.
  14.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노보넨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및 수소화 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광흡수 필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및 멜라민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광흡수 필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광변색성 염료는, 가시광 영역 중 블루영역의 중심파장대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에서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A;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와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에서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B; 블루영역의 중심파장대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와 그린영역의 중심파장대와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 사이에서 각각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C; 및 레드영역의 중심파장대를 기준으로 장파장영역에서 광흡수피크를 갖는 화합물 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화합물 A는 하기 화학식 8 및 9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8]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8

    [화학식 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89

    상기 화학식 8 및 9에서,
    R1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화학식 -NR7R8; 또는 -OR9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7 및 R8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9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고,
    R2, R3,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NR10R11; 또는 -OR12이고,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10 및 R11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12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다.
  18. 제16 항에 있어서,
    화합물 B는 하기 화학식 12 및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12]
    Figure 112012001699710-pat00090

    [화학식 13]
    Figure 112012001699710-pat00091

    상기 화학식 12에서,
    R13 내지 R15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OR22이며, R2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R16 및 R17은 독립적으로 수소; 에스테르기; C1 내지 C30 알킬기; C1 내지 C10 아릴기; 화학식 -NR26R27; 또는 -OR28이거나, R16 및 R1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6 내지 C30 방향족고리구조이고,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수소; 에스테르기;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26 및 R2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28은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R18은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CnH2nOCmH2m +1; 또는 -CpH2pOCqH2qOCrH2r +1이며, n, m,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19 내지 R2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에스테르기; C1 내지 C10 의 알킬기; 화학식 -NR29R30; 또는 -OR31이고, R29 및 R30은 독립적으로 수소; 에스테르기; 또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거나, R29 및 R30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기이며, R31은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13에서,
    R23 내지 R-25는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19. 제 16 항에 있어서,
    화합물 C는 하기 화학식 14 내지 1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14]
    Figure 112012001699710-pat00092

    [화학식 15]
    Figure 112012001699710-pat00093

    [화학식 16]
    Figure 112012001699710-pat00094

    상기 화학식 14에서,
    R32 R33은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OR49 이거나, R32 및 R33이 서로 연결되어 고리구조를 형성하고, R49는 수소; C1 내지 C30 알킬기; -CnH2nOCmH2m+1; 또는 -CpH2pOCqH2qOCrH2r +1이며, n, m,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32 및 R33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고리구조는 플루오렌; 하나 이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 또는 C2 내지 C30 헤테로고리를 포함하고,
    R34 및 R35는 독립적으로 수소; -NR50R51; 또는 -OR52이고, R50 및 R5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R50 및 R51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C1 내지 C10의 알킬기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헤테로고리기이고, R52는 C1 내지 C30 알킬기이고,
    R36 및 R37은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에스테르기; -OR53; 또는 고리 구조 내에 질소 및 산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 내지 C10 헤테로고리기이거나, R36 및 R3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1 내지 C10 헤테로고리구조이고, R53은 C1 내지 C30 알킬기이고,
    R38은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에스테르기; 또는 -OR54이고, R54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15 및 16에서,
    R39, R40, R44 및 R45는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30 알킬기; C2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또는 -NR55R56이고, R55 및 R56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R55 및 R56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1 내지 C10 헤테로고리구조이고,
    R41 내지 R43 및 R46 내지 R4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에스테르기; 또는 -NR57R58 이고, R57 및 R58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R57 및 R58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C1 내지 C10 헤테로고리구조이다.
  20. 제 16 항에 있어서,
    화합물 D는 하기 화학식 19 및 20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흡수 필터:
    [화학식 19]
    Figure 112012001699710-pat00095

    [화학식 20]
    Figure 112012001699710-pat00096

    상기 화학식 19에서,
    R59는 수소; C1 내지 C40 알킬기; 또는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이고,
    R60은 수소;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니트로기이고,
    상기 화학식 20에서,
    X는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고,
    R61은 수소; C1 내지 C40 알킬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CnH2nOCmH2m +1; 또는 -OpH2pOCqH2qOCrH2r +1이고, n, m, p, q 및 r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다.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광변색성 염료는 10~40:60~85:0.5~5의 중량비를 갖는 광흡수 필터.
  22. 제 1 항에 따른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OLE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보호기판 사이에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OLE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보호기판 사이에 접착층, 편광필름 및 광흡수 필터가 순차 적층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OLE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보호기판 사이에 제1접착층, PET필름, 광흡수 필터 및 제2접착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OLE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보호기판 사이에 제1접착층, 편광필름, 제2접착층, PET필름, 광흡수 필터 및 제3접착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LC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보호기판 사이에 광흡수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LC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보호기판 사이에 제1접착층, PET필름 및 광흡수 필터가 순차 적층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LCD 패널; 터치패널; 및 보호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보호기판 사이에 제1접착층, PET필름, 광흡수 필터 및 제2접착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01996A 2012-01-06 2012-01-06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6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96A KR101361720B1 (ko) 2012-01-06 2012-01-06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96A KR101361720B1 (ko) 2012-01-06 2012-01-06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43A KR20130081043A (ko) 2013-07-16
KR101361720B1 true KR101361720B1 (ko) 2014-02-13

Family

ID=4899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996A KR101361720B1 (ko) 2012-01-06 2012-01-06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7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425A (ko) * 2005-06-25 2006-12-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그 제조방법, 그의 리페어 장치 및 그의리페어 방법
KR20090021105A (ko) * 2007-08-24 2009-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변색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4318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학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장치
KR20110115386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절연처리된 전자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425A (ko) * 2005-06-25 2006-12-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그 제조방법, 그의 리페어 장치 및 그의리페어 방법
KR20090021105A (ko) * 2007-08-24 2009-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변색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4318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학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장치
KR20110115386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절연처리된 전자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43A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4562B (zh) A compensation color filte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107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20381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用カラーフィルタに含有される光吸収層、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
JP6419960B2 (ja) 組成物とポリマー成形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波長変換体、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
US20180267365A1 (en) Matrix for quantum dot articles
KR20170029533A (ko) 저감된 에지 침입 및 개선된 색상 안정성을 갖는 양자점 물품
KR20200003266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102643464B1 (ko) 컬러 편광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
CN107209299A (zh) 波长转换部件及具备该波长转换部件的背光单元、液晶显示装置、波长转换部件的制造方法
JP7144886B2 (ja) 量子ドットカラーフィルタインク組成物、および量子ドットカラーフィルタインク組成物を利用したデバイス
EP3715431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N106023822B (zh) Oled显示装置以及其制造方法
US20200332157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TW201125927A (en) Polarizer laminate, 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KR102259915B1 (ko) 유기 el 표시 장치
KR101361721B1 (ko)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61720B1 (ko) 광흡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2846B1 (ko) 광학 복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80246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편광 필름
KR10247299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4015277A (zh) 一种用于oled封装的油墨组合物及其应用
KR20200018917A (ko)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27995A (ko) 색보정층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용 필름
KR102294148B1 (ko) 가교성 조성물
KR20170054946A (ko) 고체 촬상 소자용 근적외선 차단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