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662B1 -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662B1
KR101361662B1 KR1020120080660A KR20120080660A KR101361662B1 KR 101361662 B1 KR101361662 B1 KR 101361662B1 KR 1020120080660 A KR1020120080660 A KR 1020120080660A KR 20120080660 A KR20120080660 A KR 20120080660A KR 101361662 B1 KR101361662 B1 KR 101361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eat belt
transmission
winding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768A (ko
Inventor
박정우
이정민
류관용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2008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belt anchor position, belt orientati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60Electric Machines, e.g.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 벨트를 권취하는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 회전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벨트 파킹 동작 시 정속도의 벨트 권입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에 따른 리트랙터의 기계적 요소들의 마모에도 불구하고 벨트 파킹 시 권입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으며 보다 정확한 벨트 파킹 동작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리트랙션 스프링에 의해 과속으로 권입이 일어나는 상황에는 리트랙터의 클러치를 해제하여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SEAT BELT RETRACTOR AND SMART SEAT BELT DEVICE THEREWITH}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 벨트를 권취하는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 장치의 벨트 파킹(Belt Parking) 동작시 리트랙터의 클러치와 모터를 제어하여 벨트 파킹 성능을 향상시키고 작동 소음을 감소시킨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차량에는 차량 탑승자를 보호해 주는 시트 벨트(Seat Belt)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이러한 시트 벨트 장치 역시, 과거의 단순 기계적으로 작동하던 형태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전자식으로 자동 제어되는 스마트 시트 벨트(Smart Seat Belt)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는 각종 센서들과 연결되어 차량의 충돌 발생 시 그 충돌 직전에 벨트를 강하게 당겨 충돌에 대비하는 기능이나 커브 길을 운행하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벨트 느슨함을 없애 차량 탑승자를 더욱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량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풀고 나면 그 벨트를 되감아 정리해 주는 벨트 파킹(Belt Parking) 기능도 가지고 있어 차량의 운행에 편리함을 더해주고 있다.
이러한 벨트 파킹 기능은 시트 벨트 장치의 리트랙터(Retractor)가 담당하는데, 도 1은 종래의 리트랙터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리트랙터는 일반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10) 및 클러치 기능과 동시에 시트 벨트를 감아주는 기능을 하는 회전 장치(30)와,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며 모터와 회전 장치를 특정의 기어비로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어부(20)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 장치(30)는 그와 동축의 관계에서 연결되는 리트랙션 스프링부(미도시)와, 역시 이와 동축상에서 연결되어 실제적으로 벨트가 감기는 부위인 벨트 리와인딩 릴(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즉 시트 벨트의 벨트 파킹이 필요한 경우 모터(10)를 작동시켜 회전력을 만들고 이러한 회전력을 전달받은 기어부(20)는 필요시 적정한 기어비로 설정된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 작용을 가한 뒤 이 회전력을 회전 장치(30)로 전달하고 회전 장치(30)가 회전하며 시트 벨트를 권취하여 벨트 파킹을 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벨트 파킹 기능의 운용에 있어 종래의 기술들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리트랙터를 구성하는 기어나 회전 장치 등의 기계적 요소들은 내재적인 결함이나 조립 시 발생하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품 간 간섭에 따라 상기 기계적 요소들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모터(10)의 정속 회전이 시트 벨트의 정속 권취를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성능 저하 요소들은 권입 회전력을 약화시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벨트 파킹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벨트 파킹 동작은 그 작동 중지 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권취가 끝난 것으로 판단하고 작동을 중지하는 방법과 회전 장치에 특정량의 마찰 하중이 감지되면 권취가 끝난 것으로 판단하고 작동을 중지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전술한 성능 저하 요소들에 의해 일정 시간이 지나도 권취가 끝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권취가 중지되는 경우나, 성능 저하 요소들에 의해 유발되는 마찰 하중으로 인하여 권취 중지 시점을 오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벨트 파킹 동작 시에 있어 탑승자가 벨트를 여전히 손에 쥐고 있다가 놓는 경우나 벨트가 차량 내 다른 구조물에 걸렸다가 풀리는 경우에는 리트랙션 스프링에 의해 모터 회전 속도 이상으로 벨트가 권입되면서 회전 장치(30) 내에 존재하는 락바가 라쳇을 가격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벨트 회전 장치(30)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장치(30)에는 기어부(20)와 맞물리는 클러치휠(31) 및, 벨트 리와인딩 릴(미도시)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실제 권입을 수행하는 권취축(3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권취축(32)에는 그 원주 방향으로 갈기 모양의 라쳇(33)이 구비되어 있어 도 2a에서처럼 클러치휠(31)에 구비된 락바(34)와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외에도 벨트 리와인딩 릴(미도시)에는 코일식의 리트랙션 스프링(Retraction Spring)(미도시)이 구성되어 있어 벨트 권입 및 인출에 있어 회전 장치(30)와 벨트 리와인딩 릴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한다. 도 2a에서 클러치휠(3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락바(34)가 이를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권취축(32)의 라쳇(33)을 밀어 권취축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락바(34)는 락바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b처럼 락바가 라쳇과 맞물리지 않도록 위치한 경우에는 클러치휠(3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권취축(32)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도 2a의 경우와 같이 락바(34)가 라쳇(33)과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모터(10)의 회전력이 권취축(32)에 전달되고 있는 상태를 클러치 온(Clutch On) 상태라 하며 도 2b의 경우와 같이 락바(34)가 라쳇(33)과 맞물리지 않도록 위치하여 모터(10)의 회전력이 권취축(32)에 전달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클러치 오프(Clutch Off) 상태라 한다.
시트 벨트의 권입은 도 2a의 클러치 온 상태에서 진행되는데, 이 때 권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탑승자가 벨트를 잡고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잡고 있던 시간 동안 모터에 의해 발생된 장력에 의한 에너지가 리트랙션 스프링에 저장되고, 이 때 모터의 작동을 느낀 탑승자가 벨트를 다시 놓아버리면 결국 리트랙션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한 벨트의 과속 권입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속 권입은 리트랙션 스프링과 동축상에서 연결된 권취축(32)이 클러치휠(31)보다 빨리 회전한다는 의미로서, 결국 이 경우, 권취축의 라쳇(33)이 클러치휠의 락바(34)를 연속적으로 충격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소음은 탑승자에게 불쾌감 내지 불안감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그 해결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들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정속도로 벨트 파킹이 가능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오랜 작동 시간에도 불구하고 벨트 파킹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벨트 파킹 동작 시 소음을 유발하지 않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장치, 회전 장치와 전동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력 전달 수단, 회전 장치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제1 홀센서, 및 제1 홀센서와 연결되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전자 제어 장치는 제1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한다.
삭제
삭제
또한, 전자 제어 장치는 제1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 이하인 경우 전동 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회전 장치는, 탑승자를 구속시키는 웨빙이 인입출 가능하게 감겨진 권취축, 및 상기 전동 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권취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전자 제어 장치는 제1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클러치를 해제하여 회전력 전달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클러치의 해제는 상기 전동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장치, 회전 장치와 전동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력 전달 수단, 회전 장치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제1 홀센서, 및 제1 홀센서와 연결되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회전 장치는, 탑승자를 구속시키는 웨빙이 인입출 가능하게 감겨진 권취축,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환형의 클러치휠, 상기 클러치휠의 내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권취축의 일단부에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라쳇,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기 라쳇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락바, 상기 락바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락바의 일단부를 상기 라쳇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락바의 일단부가 상기 라쳇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제한보스, 타측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클러치커버, 및 상기 클러치커버의 타측면에 습동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락바의 일단부를 누름 또는 누름 해제시키는 고정슬라이더가 일체로 성형 제작된 드라이브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클러치커버를 사이에 두고, 타측면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의 일측면과 결합하면서 함께 습동하는 환형의 가이드링,및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지 않은 고리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링 및 클러치커버의 외주홈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가 습동하는 회전방향과 반대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프릭션스프링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전동 장치는, 전동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제2 홀센서를 포함하며 전자 제어 장치는 제2 홀센서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제어 방법은 권취축과, 전동 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권취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여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값에 의하여 상기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동 장치를 정지시켜 클러치를 해제시켜 회전력 전달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인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제어 방법은 권취축과, 전동 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권취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여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값에 의하여 상기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동 장치를 정지시켜 클러치를 해제시켜 회전력 전달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 이하인 경우 전동 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동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에서의 감지 결과와 상기 전동 장치에서의 감지 결과를 비교한 값에 의하여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는 벨트 회전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모터를 제어하므로 벨트 파킹 동작 시 정속도의 벨트 권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리트랙터의 기계적 요소들의 마모에도 불구하고 벨트 파킹 시 권입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으며 보다 정확한 벨트 파킹 동작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리트랙션 스프링에 의해 과속으로 권입이 일어나는 상황에는 리트랙터의 클러치를 자동으로 해제하므로 클러치 부속들 간의 충돌로 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도 2b는 종래의 리트랙터 회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센서와 전자 제어 장치가 구비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센서가 구비된 회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예로서 종래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의 내부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실시 예 중 회전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 예 중 회전 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실시 예를 반대 측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6의 실시 예 중 회전 장치의 라쳇에 락바가 걸림 해제된 상태(클러치 오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6의 실시 예 중 회전 장치의 라쳇에 락바가 걸림된 상태(클러치 온)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홀센서가 구비된 모터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센서와 전자 제어 장치, 모터 간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센서 및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 리트랙터를 나타낸다. 먼저, 구성요소 중 하나인 홀센서에 대해 설명하면, 홀센서는 일반적으로 회전체에 부착되는 자석과 이 회전체와 일정 거리 떨어져 고정되어 있는 곳, 또한 상기 자석의 자력이 미치는 곳에 부착되는 홀 IC로 구성된다. 결국 회전체가 회전하면 자석이 홀 IC에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하게 되는데 홀 IC는 이러한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여 회전체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등을 감지해 내 전기적 신호로 출력해 준다. 상기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회전 장치(30)의 권취축(32)에 그 원주 방향으로 두 개의 자석(제1 자석)(36)을 회전 장치의 중심선 상에 배치하였고 홀 IC(제1 홀 IC)(37)는 기어부(20)의 외부 케이스 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었다. 따라서 상기 권취축(3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자석(36)이 차례로 제1 홀 IC(37)와 인접하게 되고 제1 홀 IC는 이러한 자계 변화를 감지하여 권취축(32)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 회전 방향을 인지하여 이러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자석(36)은 회전 장치의 다른 부위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할 것이나 벨트가 권입되는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다는 본 발명의 일 목적을 고려한다면 이와 같이 벨트 리와인딩 릴(미도시)과 동축상에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권취축(32)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홀 IC(37)는 상기 위치 외에도 자석(36)의 자계가 미치며 클러치휠(31) 및 권취축(32)의 회전과 관계없이 고정될 수 있는 부위라면 리트랙터의 다른 부위, 예를 들어 클러치 케이스나(미도시)나 리트랙터 케이스(미도시) 등의 부위에도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11)는 상기 홀 IC(37)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1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홀 IC(37)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권취축(32)에는 이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시트 벨트가 권취되는 벨트 리와인딩 릴 및 이와 역시 동축으로 연결되며 권취축과 벨트 리와인딩 릴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리트랙션 스프링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나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구성에 의할 것이며 본 발명의 특징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본 도면 및 이하 도면에서는 모두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센서 자석(36)을 구비한 회전 장치(30)를 나타낸다. 역시 권취축(32)에 그 원주 방향으로 구성되었으며 도 3의 실시 예와는 달리 도 4a에서는 총 네 개의 제1 자석(36)이 등간격으로 구성되었고, 도 4b에서는 제1 자석으로서 링 자석(36)이 상기 권취축(32) 외주면에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벨트 회전 장치(30)에 회전량 및 회전 속도 등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모터의 토크 제어 방식보다 정교하게 벨트 권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벨트 파킹에 있어 기존 기술인 토크 제어 방식에 의존할 경우, 모터와 벨트 회전 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각종 기계적 요소들의 내재적 결함이나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마모에 의한 토크의 불완전 전달을 감지할 수 없어 벨트 권입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모터에서는 여전히 기존과 동일한 토크만을 전달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정속도 권입이 불가능해지며 권입 능력 자체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트랙터의 경우 벨트가 감기는 벨트 리와인딩 릴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 장치(30)의 권취축(32)에 홀 센서를 달아 그 회전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그 앞단에 놓여진 기어부(20)의 기계적 결함에 관계없이 정확한 벨트 권입량 및 권입 속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모터의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정속 권입 및 적정 속도 권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 특히 전자 제어 장치(11)를 통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경우, 더욱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벨트의 정속 권입은 물론 벨트 파킹이 작동 중 일정 시간 동안 홀센서에 의해 권취축(32)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탑승자가 미쳐 벨트 분리를 끝내지 않아 벨트에 끼인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모터(10)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벨트 파킹 작업을 중단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의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는 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회전 장치(30) 내의 클러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자 제어 장치(11)가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지 연산을 하여 회전 장치(30) 내의 락바(34)를 전술한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조절하여 벨트의 과속 권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벨트 파킹 시작 조건, 예를 들어 버클 해제가 감지된 후 3초 경과 등의 조건이 만족되면 시트 벨트 장치의 리트랙터에 의해 벨트 파킹이 시작된다. 여기에서 버클 해제 감지 등의 기술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것이며 본 발명의 특징과는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벨트 파킹 시작 직후 제1 홀센서(제1 자석 및 제1 홀 IC)에 의해 감지되는 벨트의 권입 속도가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락바(34)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위치하게 하여 권취축(32)의 과속 회전에 따른 라쳇(33)과 락바(34)의 충돌을 방지하며 따라서 그 충돌에서 유발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의 특정 속도는 예를 들어,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클러치휠(31)의 회전 속도를 모터에 가해지는 토크를 바탕으로 역산하여 추정한 값이 될 수 있으며 실험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권취축의 회전 속도를 특정 속도로 정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모터(10)에 제2 홀센서(제2 자석, 제2 홀 IC)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2 홀센서에서 측정되는 모터의 실제 회전 속도를 바탕으로 중간의 기어비를 고려하여 클러치휠(31)의 회전 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특정 속도로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한 클러치 기능의 제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장치(400)는 상기 권취축(100)의 일단부에 설치된 하우징(300)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200)와 권취축(1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터(200)의 회전력을 상기 권취축(1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하우징(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장치(4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취부 및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 장치(4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휠(410), 베이스플레이트(420), 라쳇(430), 락바(440), 토션스프링(450), 회전제한보스(460), 클러치커버(470) 및 드라이브플레이트(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이드링(490), 프릭션스프링(500) 및 슬립스프링(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장치(410)은 도 8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축(100)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보다 상세하게 클러치휠(410)은 모터(200)의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부(210)가 상기 클러치휠(410)의 외치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200)의 회전력은 상기 기어부(210)를 거쳐 클러치휠(410)에 전달된다.
베이스플레이트(420)는 도 8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휠(410)의 내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420)는 모터(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클러치휠(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클러치휠(410)의 내측에 결합된다. 베이스플레이트(420)에는 후술할 락바(440)가 결합되어 모터(200)의 회전력은 결국 클러치휠(410) 및 베이스플레이트(420)를 거쳐 락바(440)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된다.
라쳇(430)은 도 8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0)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권취축(1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권취축(100)의 일단부에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라쳇(430)의 내주면과 권취축(100)의 외주면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후술할 락바(440)가 상기 라쳇(43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모터(200)의 회전력이 락바(440)를 거쳐 라쳇(430)에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모터(200)가 권취축(10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락바(440)는 클러치휠(410)의 회전력을 상기 라쳇(42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기 라쳇(43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된다. 락바(440)는 도 10, 11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라쳇(420)에 걸림 해제된 상태에 놓이며, 이때는 모터(200)로부터 클러치휠(410) 및 베이스플레이트(420)를 거쳐 락바(440)를 통하여 회전력이 라쳇(430)에 전달되지 않고, 물론 모터(200)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그러나, 도 12, 13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0)의 회전과 함께 클러치휠(410) 및 베이스플레이트(420)의 회전으로 락바(440)가 회전하고, 후술할 드라이브플레이트(480)의 고정슬라이더(481)에 의해 락바(440)의 일단부가 눌러지면 상기 라쳇(430)에 락바(440)의 일단부가 걸림된다. 이때는 모터(200)로부터 클러치휠(410) 및 베이스플레이트(420)를 거쳐 락바(440)를 통하여 회전력이 라쳇(430)에 전달된다.
상기 락바(440)의 일단부가 라쳇(430)에 걸림된 상태로부터 도 10, 11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걸림 해제될 때에 걸림 해제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450)이 설치된다. 라쳇(430)에 대한 락바(440)의 걸림 해제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웨빙(10)의 인출방향으로 작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라쳇(430)에 대한 락바(44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모터(200)의 회전력이 여전히 웨빙(10)의 인입방향(I)으로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하게되어 다른 장치의 작동과의 간섭에 의한 파손이나 오작동에 의해 탑승자의 안전에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토션스프링(450)은 상기 락바(440)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락바(440)의 일단부를 상기 라쳇(430)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즉, 라쳇(430)에 대한 락바(440)의 걸림 해제상태는 평상시 토션스프링(450)의 스프링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걸림상태인 모터(200) 구동에 의한 웨빙인입시에는 후술할 드라이브플레이트(480)의 고정슬라이더(481)가 락바(440)의 일단부를 눌러 라쳇(430)과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토션스프링(450)에 의해 락바(440)의 일단부가 라쳇(430)의 걸림 해제상태로 스프링력을 제공받게 될 때, 즉 락바(440)의 일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420)의 반경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받게 되면, 후술할 드라이브 플레이트(480)의 고정슬라이더(481)와의 조립시 락바(440)의 일단부를 눌러 토션스프링(450)을 압축 상태로 놓은 채 조립해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락바(440)와 고정슬라이더(481)의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정밀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락바(440)의 회전제한각도를 한정할 수 있는 회전제한보스(460)를 설치한다. 회전제한보스(460)는 도 8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바(440)의 일단부가 상기 라쳇(430)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제한보스(460)의 베이스플레이트(420)에 대한 돌출 형성위치는 락바(440)가 라쳇(430)에 걸림되는 상태로부터 락바(440)가 라쳇(430)에 걸림 해제되는 상태까지의 최소 거리로서, 걸림 해제 후 락바(440)가 베이스플레이트(420)의 반경방향으로 더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걸림 및 걸림 해제거리를 짧게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락바(440)의 걸림 해제거리가 짧아짐으로써 후술할 드라이브플레이트(480)의 고정슬라이더(481)가 락바(440)의 일단부를 누름 해제상태에서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므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클러치커버(470)는 타측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420)와 클러치커버(470) 사이의 각종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작동되도록 커버링하는 것이다. 클러치커버(470)와 베이스플레이트(420)의 결합은 커버볼트(471)에 의해 고정된다.
드라이브플레이트(480)는 클러치휠(410) 및 베이스플레이트(420)의 회전력을 락바(440)가 라쳇(43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락바(440)의 작동을 고정슬라이더(481)를 통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드라이브플레이트(480)는 도 8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면이 상기 클러치커버(470)의 타측면에 습동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락바(440)의 일단부를 누름 또는 누름 해제시키는 고정슬라이더(481)가 일체로 성형 제작된다. 즉, 드라이브플레이트(480)는 클러치커버(470)와 베이스플레이트(420) 사이에 고정슬라이더(481)가 락바(440)를 누름 또는 누름 해제하는 거리만큼 회전가능하게 습동하면서, 고정슬라이더(481)를 통해 락바(440)의 일단부를 누름 또는 누름해제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모터(200)로부터 클러치휠(410) 및 베이스플레이트(420)에 웨빙(10)의 인입방향(I)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드라이브플레이트(480)도 함께 마찰력에 의한 습동으로 회전하면서 드라이브플레이트(480)에 일체로 성형 제작된 고정슬라이더(481) 역시 회전함과 동시에 락바(440)의 일단부를 눌러 락바(440)가 라쳇(430)에 걸림되도록 한다. 반대로, 모터(200)의 구동이 멈추면 웨빙(10)의 인입방향(I)에 대한 회전력이 사라지므로 토션스프링(450)의 스프링력에 의해 락바(440)의 일단부는 라쳇(430)으로부터 걸림해제되고, 드라이브플레이트(480)도 역회전하면서 고정슬라이더(481)가 락바(440)의 일단부를 누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480)의 역회전을 더욱 수월하게 하여 고정슬라이더(481)가 락바(440)의 일단부를 누름 해제시키기 용이하도록 가이드링(490) 및 프릭션스프링(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링(490)은 환형으로 상기 클러치커버(470)를 사이에 두고, 타측면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480)의 일측면과 결합하면서 함께 습동하고, 프릭션스프링(500)은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지 않은 고리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링(490) 및 클러치커버(470)의 외주홈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480)에 결합되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480)의 습동하는 회전방향과 반대로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모터(200)로부터 클러치휠(410) 및 베이스플레이트(420)에 웨빙(10)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드라이브플레이트(480)도 함께 마찰력에 의한 습동으로 회전하면서 드라이브플레이트(480)에 구비된 고정슬라이더(481) 역시 회전함과 동시에 락바(440)의 일단부를 눌러 락바(440)가 라쳇(430)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링(490)은 클러치커버(470)를 사이에 두고, 드라이브플레이트(480)와 결합되어 함께 습동하면서 회전하며, 회전된 각도만큼 프릭션스프링(500)에 역회전 방향의 스프링력이 저장된다. 반대로, 모터(200)의 구동이 멈추면 웨빙(10)의 인입방향(I)에 대한 회전력이 사라지므로 토션스프링(450)의 스프링력에 의해 락바(440)의 일단부는 라쳇(430)으로부터 걸림해제되고, 더욱이 프릭션스프링(500)에 의한 역회전 방향의 스프링력이 드라이브플레이트(480) 및 가이드링(490)에 제공되어 고정슬라이더(481)가 락바(440)의 일단부를 누름 해제하게 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 상세하게 기재한 회전 장치에 대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 특히 전자 제어 장치(11)가 모터(10)를 가속시켜 회전 장치(30)를 클러치 온 상태로 만들고 반대로 모터를 정지시켜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보여 주기 위해 기술하였다. 물론 상기 기술한 내용과 상이한 형태의 회전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추가적으로 제2 홀센서가 구비된 모터(10)를 나타낸다. 즉 모터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모터 회전축 상에 제2 자석(12)을 구비하고 모터 몸체에 제2 홀 IC(13)를 구비하여 역시 전자 제어 장치(1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홀센서의 구성을 마친다. 이러한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단순히 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바탕으로 모터의 속도를 추정하는 것보다 정확한 모터 회전 속도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좀 더 정확하게 벨트 파킹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모터(10)에 구동전력이 공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홀센서가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지 못한다면 벨트 파킹 기능의 동작에 이상이 있음을 추정하여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벨트의 과속 권입 상황인지, 즉 권취축의 회전 속도가 클러치휠의 회전 속도보다 빠른 상황인지 판단하는데 있어 모터의 회전 속도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홀센서와 전자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제어구조를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제1 홀센서(제1 자석과 제1 홀 IC), 제2 홀센서(제2 자석과 제2 홀 IC)는 각각 전자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장착되는 회전체의 회전량이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등의 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자 제어 장치로 송부한다. 여기서 홀 IC는 상기 자석에서 나오는 자력을 센싱하여 이러한 정보들을 감지한다. 전자 제어 장치는 이와 같은 정보들을 수신하여 내부 연산을 거쳐 상황 판단을 하고 해당 상황에 맞는 제어신호를 모터로 송신하여 모터의 회전을 제어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1) 내부의 상황 판단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도 3 내지 도 4의 실시 예에서처럼 제1 자석이 권취축에 구성되어 제1 홀 IC가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벨트 파킹 조건이 만족되면 전자 제어 장치는 모터를 가속하고 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 장치(30)를 클러치 온 상태로 전환한다. 그 직후 제1 홀센서(제1 자석, 제1 홀 IC)에서 감지하는 회전량(X1)과 회전속도(V1)를 수신하여 먼저 과속 권입인지를 판단한다. 즉 클러치휠(31)의 회전 속도(Vover)보다 권취축(32)의 회전 속도(V1)가 더 커서 소음이 발생하는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과속 권입이라고 판단되면 클러치를 해제하여 소음 발생을 차단하는데 전술한 회전 장치의 실시 예를 따른다면 전자 제어 장치(11)는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내보내게 된다. 과속 권입이 아니라면 벨트가 차량 내 특정 구조물에 걸렸거나 아니면 탑승자가 벨트를 계속 잡고 있어 벨트 권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경우, 즉 권입 방해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권취축의 회전 속도(V1)가 극히 느린 경우(V1 ≒ 0)를 권입 방해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권입 방해 상황에서 계속 모터를 가동시킬 경우 모터 과열이나 벨트 파손, 인명 상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자 제어 장치(11)는 이 경우 모터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특이사항이 없이 벨트 권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전자 제어 장치(11)는 벨트의 정속 권입을 위하여 미리 정하여진 벨트 권입 속도(정상 권입 속도 범위)보다 권취축의 속도(V1)가 느린 경우 모터를 가속하고, 권취축의 속도(V1)이 미리 정해진 벨트 권입 속도(정상 권입 속도 범위)보다 빠른 경우에는 모터를 감속하여 시트 벨트가 정속(정상 권입 속도 범위)으로 권입될 수 있게 조절한다. 그리고 전자 제어 장치(11)는 필요에 따라 벨트 권입이 완료되었는지는 판별하여 모터를 정지시켜 벨트 파킹을 마무리하는 기능을 보유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10: 모터 11: 전자 제어 장치
12: 제2 자석 13: 제2 홀 IC
20: 기어부 30: 회전 장치
31: 클러치휠 32: 권취축
33: 라쳇 34: 락바
35: 폴축 36: 제1 자석
37: 제1 홀 IC
100: 권취축 200: 모터
300: 하우징 400: 회전 장치
410: 클러치휠 420: 베이스플레이트
430: 라쳇 440: 락바
450: 토션스프링 460: 회전제한보스
470: 클러치커버 480: 드라이브플레이트
481: 고정슬라이더 490: 가이드링
500: 프릭션스프링 510: 슬립스프링

Claims (15)

  1.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장치;
    회전 장치와 전동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력 전달 수단;
    회전 장치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제1 홀센서; 및
    제1 홀센서와 연결되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전자 제어 장치는 제1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제어 장치는 제1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 이하인 경우 전동 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장치는,
    탑승자를 구속시키는 웨빙이 인입출 가능하게 감겨진 권취축; 및
    상기 전동 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권취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전자 제어 장치는 제1 홀센서에서 감지되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클러치를 해제하여 회전력 전달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6. 제5항에 있어서, 클러치의 해제는 상기 전동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7.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장치;
    회전 장치와 전동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력 전달 수단;
    회전 장치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제1 홀센서; 및
    제1 홀센서와 연결되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회전 장치는,
    탑승자를 구속시키는 웨빙이 인입출 가능하게 감겨진 권취축;
    상기 권취축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환형의 클러치휠;
    상기 클러치휠의 내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권취축의 일단부에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라쳇;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기 라쳇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락바;
    상기 락바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락바의 일단부를 상기 라쳇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락바의 일단부가 상기 라쳇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제한보스;
    타측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클러치커버; 및
    상기 클러치커버의 타측면에 습동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락바의 일단부를 누름 또는 누름 해제시키는 고정슬라이더가 일체로 성형 제작된 드라이브플레이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8. 제7항에 있어서, 회전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클러치커버를 사이에 두고, 타측면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의 일측면과 결합하면서 함께 습동하는 환형의 가이드링; 및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지 않은 고리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링 및 클러치커버의 외주홈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가 습동하는 회전방향과 반대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프릭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9. 제1항에 있어서, 전동 장치는,
    전동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제2 홀센서를 포함하며 전자 제어 장치는 제2 홀센서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장치.
  11. 권취축과, 전동 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권취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여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값에 의하여 상기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동 장치를 정지시켜 클러치를 해제시켜 회전력 전달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정상 권입 속도 범위 이하인 경우 전동 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를 감는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동 장치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내지 회전량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장치에서의 감지 결과와 상기 전동 장치에서의 감지 결과를 비교한 값에 의하여 상기 전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제어 방법.
KR1020120080660A 2012-07-24 2012-07-24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 KR10136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60A KR101361662B1 (ko) 2012-07-24 2012-07-24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60A KR101361662B1 (ko) 2012-07-24 2012-07-24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68A KR20140015768A (ko) 2014-02-07
KR101361662B1 true KR101361662B1 (ko) 2014-02-12

Family

ID=5026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60A KR101361662B1 (ko) 2012-07-24 2012-07-24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6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74B1 (ko) * 2005-11-08 2007-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4757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74B1 (ko) * 2005-11-08 2007-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4757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68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4159B1 (en) Seat belt retractor
JP4885773B2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巻取方法
EP1777127B1 (en)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seat belt apparatus
JP4489122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US8960585B2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70040058A1 (en) Motor retractor and drive control thereof
EP2277748A1 (en) Seatbelt device of vehicle
JP2004262258A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US6737819B2 (en) Motor retractor system
US20070199758A1 (en) Motor-driven seatbelt apparatus
CN111212767B (zh) 具有运动轮廓的集成式电动机卷收器(imr)
KR101766139B1 (ko) 전동식 시트벨트 장치
JP2004042775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361662B1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
US20100156083A1 (en) Seatbelt apparatus for vehicle
US9718438B2 (en) Seat belt device
US90089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t belt retraction speed control
JP4252854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の制御装置
JP4362073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2005231388A (ja) 駆動力伝達機構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136760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の駆動制御方法及びモータリトラクタ
JP2004224182A (ja) 車両用乗員拘束保護装置
JP5538051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WO2016136587A1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164608B1 (ko) 전동식 권취 보조 기구를 구비한 벨트 리트랙터 및 벨트 리트랙터용 전동식 권취 보조 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