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541B1 -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41B1
KR101361541B1 KR1020130063919A KR20130063919A KR101361541B1 KR 101361541 B1 KR101361541 B1 KR 101361541B1 KR 1020130063919 A KR1020130063919 A KR 1020130063919A KR 20130063919 A KR20130063919 A KR 20130063919A KR 101361541 B1 KR101361541 B1 KR 10136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now
main body
unit
remo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운
김학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102013006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01H5/09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 E01H5/09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about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es perpendicular or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cl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 작업시 삽날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효과적인 제설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설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설장치로서, 전방측의 눈을 일측으로 밀어내거나 중심측에 포집하는 삽날본체, 상기 삽날본체의 양측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서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에서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인출부와 회동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동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전후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가 진행경로상의 양측에서 장애물에 접촉되면 후방으로 회동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장애물과의 충격시 삽날이나 시설물의 파손이 가능하여 안전한 제설의 수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SNOW REMOVING APPARATUS OF SNOW PLOW HAVING VARIABLE SHOVEL EDGE}
본 발명은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설 작업시 삽날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효과적인 제설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설차는 도로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설방식은 차량의 적재함에 염화칼슘 살포기나 염화물용액 살포기 등을 적재한 후에 도로를 주행하면서 살포하는 방식과, 차량 전면에 블레이드와 같은 제설기를 장착하여 주행 과정에서 적설이나 압설을 도로변으로 모으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 밖에 적설을 강제로 흡입한 후에 도로의 측면으로 투설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인 도로나 고속도로와 같은 장소에서는 사용이 제한되고, 농촌지역이나 산악지역과 같이 제한 조건이 없는 장소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염화칼슘 살포기를 구비하는 방식의 경우 소금의 1.3배에 이르는 염도를 가지고 있고, 강한 부식성으로 인하여 가로수의 고사, 노면의 손상, 교각의 철제부분 부식, 차량의 부식 및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환경과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제설기 삽날을 이용한 제설차의 경우 차량 본체가 주행하게 되면 전방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통해 눈을 제거하거나 소정 부위에 적재하는 장비이다. 상기 블레이드는 차량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도로면에 인접하거나 밀착된 상태로 도로에 쌓인 눈을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흡입하여 도로변 등으로 토출하게 되는데,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설차의 사시도이다.
작업자의 탑승과 삽날(2)의 이동을 위한 차량본체(1)의 전방에는 소정의 지지부가 배치되어 삽날(2)을 전방측에 지지한다. 상기 삽날(2)은 일반적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도로의 1차선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삽날(2)과 차량본체(1)의 지지부 사이에는 틸팅이나 인출길이 등의 조절을 위한 실린더가 개재되어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차량본체(1)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삽날(2)이 도로면에 밀착하여 눈을 도로의 일측으로 모아서 이동시키거나 흡입하여 투입부(3)를 통하여 소정의 적재장소에 모으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제설차는 삽날이 지면에 대략 밀착한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평탄하지 않은 도로의 면이나 주변 시설물들로 인하여 삽날이 파손되거나 도로 등의 시설들이 파손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차량 운행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도로의 1차선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만 삽날의 길이가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도로의 제설을 위하여 수회 왕복하여 제설을 하여야하므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도로의 폭에 대응하여 블레이드의 폭 조절이 가능하여 차량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제설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날의 작동시 도로나 주변시설물과의 간섭에 의한 손상의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제설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설장치로서, 전방측의 눈을 일측으로 밀어내거나 중심측에 포집하는 삽날본체, 상기 삽날본체의 양측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서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에서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인출부와 회동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동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전후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가 진행경로상의 양측에서 장애물에 접촉되면 후방으로 회동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장애물과의 충격시 삽날이나 시설물의 파손이 가능하여 안전한 제설의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상기 삽날본체와 인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인출부를 인입출 구동시키는 인출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좌우방향 길이의 가변적인 동작이 가능하여 노면의 폭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상기 삽날본체 및 인출부는 측단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완충부는 상기 삽날본체의 후면측에서 호 형상을 따라 배열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동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제설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설장치로서, 전방측의 눈을 일측으로 밀어내거나 중심측에 포집하는 삽날본체, 상기 삽날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측삽날부 및 상기 하측삽날부와 삽날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하측삽날부의 상측으로 이동시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상하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완충부가 진행경로상의 노면에서 돌출된 장애물에 접촉되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삽날의 파손이나 노면의 손상이 방지되고, 노면추종성이 우수하여 제설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상기 삽날본체 및 하측삽날부는 측단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삽날부는 삽날본체의 후면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완충부의 상단부는 상기 하측삽날부의 상단부측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삽날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상기 삽날본체의 후면측에 결합되는 흡입부 및 상기 삽날본체의 전방측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눈을 상기 흡입부로 안내하는 스크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노면의 눈의 포집능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제설작업의 경로에서 나타나는 장애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삽날부의 파손이나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물에 최대한 인접되어 자동적으로 제설의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달리 다양한 환경에서 더욱 완전한 제설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노면추종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또는 좌우로 가변적인 삽날부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노면의 다양한 모양과 크기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제설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제설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이하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는 기본적으로 전방측에 삽날부를 제설차로서, 삽날부의 일부가 전후 또는 좌우로 인출되되 완충을 위한 탄성체가 구비되어 인입출 또는 회동에 대한 변형을 지지하여 노면 시설물이나 삽날의 손상을 방지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제설차는 노면의 적설을 제거하는 장비로서 소정의 운전석부와 동력제공부 및 운행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다양한 용도와 방식의 제설을 수행하는 제설차에 있어서 전방측에 결합되어 제설하는 제설부를 설명하는데, 상기 제설부가 결합되는 차량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설장치는 기본적으로, 차량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브라켓부(110)와, 상기 브라켓부(110)에 연결되어 전방측의 노면을 제설하는 삽날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날부(200)는 삽날본체(220)와, 상기 삽날본체(220)에서 양측으로 인입출이 가능한 인출삽날과, 상기 인출삽날을 구동하는 인출실린더(2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날부(200)는 전체적으로 측단면상 평판형, 호형 또는 다각형 등의 선택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삽날부(200)가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다양한 형태의 삽날부의 형상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인출삽날은, 양측으로 각각 구분되어 삽날본체(220)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성으로서, 함께 작동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됨으로써 노면의 넓이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제설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인출삽날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삽날본체(220)의 후면측에서 일측에 배치되어 인출실린더(210)에 의하여 일측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인출부(231)와 타측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인출부(2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출부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위한 구성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출부가 단일의 부재로서 이루어지는 경우 측면의 시설물 등에의 간섭에 의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따라서, 각각의 인출삽날은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서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를 구비하게 된다. 즉,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인출부(231)에는 제1회동부(232)가 결합되고, 타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인출부(241)에는 제2회동부(242)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의 회동시의 탄성복원력의 제공을 위하여 완충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완충부는 인출부와 회동부의 연결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완충 회동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설차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설하는 특성상, 제1인출부(231)와 제1회동부(232)는 후방측에 제1힌지부(233)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제2인출부(241)와 제2회동부(242)는 후방측에 제2힌지부(243)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전후완충부(250)는 상기 제1인출부(231)와 제1회동부(232)의 연결부위와 제2인출부(241)와 제2회동부(242)의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후완충부(250)의 완충부는 인출부와 회동부의 후면에서 양단측이 각각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배치되는 개수와 위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출부를 인입출하는 인출실린더(210)는 차량의 엔진동력을 제공받아 유압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인출부(231)와 제2인출부(241)가 개별적으로 조작되어 노면의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된 삽날부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날본체(220)에서 인출부가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양측의 인출부에서는 회동부가 양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방식으로 힌지결합되는데 전후완충부(250)가 인출부와 회동부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상기 삽날부(200)가 측단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심측으로 적설을 포집하는 예가 제시되고, 힘의 배분을 위하여 상기 전후완충부(250)는 호 형상의 후면을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의 제설장치를 전방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삽날부(200)가 측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중심측에서 흡입이 가능한 구성이 더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설차는 노면의 눈을 흡입하여 적재부 또는 노면의 가장자리측으로 눈을 토출하는 방식으로 제설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삽날본체(220)는 중심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되도록 흡입부(130)가 결합된다.
상기 흡입부(130)측에는 소정의 임펠러인 블로워부(140)가 배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삽날부(200)에서 포집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삽날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주측에 대략 원통 형상의 스크롤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부(300)는 제설작업시에 회동되어 전방측의 눈을 흡입부(130) 측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롤부(300)의 회전방향은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경우 인출부가 완전히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대략 도로의 1차선의 폭에 대응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설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삽날부(200)는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수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각도의 조절을 위하여 방향조절부(120)가 개재되고, 상기 삽날부(200)는 브라켓부(110)에 대해 상하 및/또는 좌우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에서 인출부가 완전히 인출되어 제설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대략 노면의 2개의 차선을 제설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돌이나 시설물과 같은 장애물이 나타나는 경우 종래의 제설차에 있어서는 삽날부(200) 전체가 충격을 받게 되고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면의 예에서는 제1인출부(231) 측에 장애물이 나타나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제1회동부(232)의 전방측에서 장애물에 충격을 개시하게 되면, 제1인출부(231)에 대해 제1회동부(232)가 제1힌지부(233)를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전후완충부(250)는 상기 제1회동부(232)가 장애물의 돌출 정도를 고려하여 최대한 제설의 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좌우의 폭의 대응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우방향에서 가변삽날을 구비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완충을 수행하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노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대응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 삽날본체(220)에는 저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삽날부(400)가 배치되고, 상기 하측삽날부(400)는 노면의 굴곡면 또는 돌출부위의 충격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어 노면의 형상에 맞추어 추종하게 된다.
상기 하측삽날부(400)는 삽날본체(220)의 후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하완충부(410)가 삽날본체(220)와 하측삽날부(40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하방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완충부(410)의 상단측에서 하측삽날부(400)의 상단측에 결합되고, 하단측에서 삽날본체(220)에 결합되어 하측삽날부(400)의 인입에 따라 상하완충부(410)가 신장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날부(200)는 브라켓부(110)와의 사이에서 경사조절부(121)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사조절부(121)는 유압실린더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노면과의 마찰력을 감소하기 위하여 삽날부(200)는 후방측에 구름동작이 가능한 롤러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진행 경로 상에서 노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이나 시설물과 같은 장애물이 나타나는 경우 하측삽날부(400)의 하단측에서 접촉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측삽날부(400)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는 결국 삽날부(200) 전체적으로 신축동작하게 됨을 의미하고 노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인 상하 길이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하완충부(410)는 신장되어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구성에 따라 노면추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추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삽날부(200)는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경사조절부(121)에 결합되어 전체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삽날부(400)만의 이동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는, 제설작업의 경로에서 나타나는 장애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삽날부의 파손이나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애물에 최대한 인접되어 자동적으로 제설의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달리 다양한 환경에서 더욱 완전한 제설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노면추종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또는 좌우로 가변적인 삽날부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노면의 다양한 모양과 크기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제설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제설부 110...브라켓부
120...방향조절부 130...흡입부
140...블로워부 150...지지부
200...삽날부 210...인출실린더
220...삽날본체 231...제1인출부
232...제1회동부 233...제1힌지부
241...제2인출부 242...제2회동부
243...제2힌지부 250...전후완충부
300...스크롤부 400...하측삽날부
410...상하완충부 411...하측삽날고정부
412...본체고정부

Claims (6)

  1. 제설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설장치로서,
    전방측의 눈을 일측으로 밀어내거나 중심측에 포집하는 삽날본체;
    상기 삽날본체의 양측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서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에서 결합되는 회동부;
    상기 인출부와 회동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동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전후완충부; 및
    상기 삽날본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노면의 굴곡 또는 돌출부위의 접촉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하측삽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가 진행경로상의 양측에서 장애물에 접촉되면 후방으로 회동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본체와 인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인출부를 인입출 구동시키는 인출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본체 및 인출부는 측단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완충부는 상기 삽날본체의 후면측에서 호 형상을 따라 배열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삽날부와 삽날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하측삽날부의 상측으로 이동시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상하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하완충부가 진행경로상의 노면에서 돌출된 장애물에 접촉되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본체 및 하측삽날부는 측단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삽날부는 삽날본체의 후면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완충부의 상단부는 상기 하측삽날부의 상단부측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삽날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본체의 후면측에 결합되는 흡입부;
    상기 삽날본체의 전방측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눈을 상기 흡입부로 안내하는 스크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KR1020130063919A 2013-06-04 2013-06-04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KR10136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919A KR101361541B1 (ko) 2013-06-04 2013-06-04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919A KR101361541B1 (ko) 2013-06-04 2013-06-04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345A Division KR20140142640A (ko) 2013-08-20 2013-08-20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541B1 true KR101361541B1 (ko) 2014-02-13

Family

ID=5027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919A KR101361541B1 (ko) 2013-06-04 2013-06-04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5825A (en) 1977-12-16 1979-03-27 Emanual Bertolino Plow wings
KR200278600Y1 (ko) * 2002-03-06 2002-06-21 정길동 이단 굴절이 가능한 확장써레
US7681337B2 (en) 2005-10-21 2010-03-23 Batesville Services, Inc. Plow with blade wing
KR100999290B1 (ko) * 2010-07-22 2010-12-0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제설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5825A (en) 1977-12-16 1979-03-27 Emanual Bertolino Plow wings
KR200278600Y1 (ko) * 2002-03-06 2002-06-21 정길동 이단 굴절이 가능한 확장써레
US7681337B2 (en) 2005-10-21 2010-03-23 Batesville Services, Inc. Plow with blade wing
KR100999290B1 (ko) * 2010-07-22 2010-12-0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제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1601A (en) Snow blower vehicle
US6412200B1 (en) Retractable side wing assembly
CA2766435C (en) Finger snow plow with extension
US9359734B2 (en) Snow plow-blower
CN104499450B (zh) 一种垃圾清扫车
KR100999290B1 (ko) 제설기
KR101046258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제설차의 블레이드
KR100987642B1 (ko) 차량용 제설기
CN204662332U (zh) 全地形清雪装置
KR101456200B1 (ko)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RU2654119C2 (ru) Снегоуб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одвижная снегоубор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1361541B1 (ko)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KR102071251B1 (ko) 도로 낙하물 수거차량
KR20140142640A (ko) 가변 삽날을 구비하는 제설차의 제설장치
JP2007002633A (ja) 路面障害物回収装置
KR101012723B1 (ko) 제설기
CN203440785U (zh) 铁轨除雪去冰车
CN106087837B (zh) 一种用于公路边侧的灰尘清理装置
KR101346141B1 (ko) 제설성능을 향상시킨 활주로 제설차 브러시 스위퍼
CN110820648A (zh) 一种安装有车轮保护装置的洗扫车
RU2650566C1 (ru) Ковш для фронталь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ерекоса
CN204475249U (zh) 机动车行驶除雪装置
CN104563039A (zh) 一种洗扫车吸盘越障机构及洗扫车
RU142450U1 (ru) Снегоочиститель
CN220468743U (zh) 一种新型除雪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