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126B1 -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126B1
KR101361126B1 KR1020120148891A KR20120148891A KR101361126B1 KR 101361126 B1 KR101361126 B1 KR 101361126B1 KR 1020120148891 A KR1020120148891 A KR 1020120148891A KR 20120148891 A KR20120148891 A KR 20120148891A KR 101361126 B1 KR101361126 B1 KR 10136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 button
signal
motor
vehicl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찬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시동이 걸렸음을 알리기 위해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은 모터를 구동하여 시동을 온(on)하기 위한 시동 버튼, 상기 시동 버튼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진동 모듈, 및 상기 시동 버튼을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진동 모듈을 구동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Vehicles control device for vibrating start butt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동버튼을 이용하여 시동되는 차량에 있어서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브 키(FOB Key)는 차량 내 무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도어의 열림/닫힘, 차량 시동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이다. 운전자는 포브 키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석에 앉아, 시동버튼을 누름으로써 시동을 걸 수 있다.
또한,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차는 시동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때, 전기모터가 구동되므로 기존의 엔진과 달리, 소음이 적다. 그러나, 엔진 소음에 익숙한 운전자는 이미 시동버튼이 눌러져 시동이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전기모터의 저소음 때문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착각하고 시동버튼을 반복하여 누르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시동방법은 운전자가 원하지 않게 차량 시동을 꺼버리는 실수를 저지르기 쉽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시동버튼을 이용하여 시동하는 차량에서, 시동이 걸린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시동 버튼에 구비되는 터치 센서 및 시동 버튼을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시동을 온(on)하기 위한 시동 버튼, 상기 시동 버튼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진동 모듈, 및 상기 시동 버튼을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진동 모듈을 구동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동 버튼을 통해 시동 신호가 입력되는 제1 단계, 상기 시동 신호에 따라, 제어 모듈이 모터를 구동하여 시동을 온(on)하는 제2단계, 터치 센서가 상기 시동 버튼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진동 모듈을 구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를 이용하여 시동 차량에서, 시동이 걸린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촉각적으로 알릴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는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시동이 걸린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진동 모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진동을 줄임으로써, 차량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포브 키를 이용하는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은 포브 키를 이용하는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포브 키(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차량 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시스템(20)은 대표적으로, 스마트키 장치(21), 단거리 통신 장치(22), 장거리 통신 장치(23), 도어 장치(24), 시작정지 장치(25), 핸들 록킹 제어 장치(Eletrical Steering Column Lock, 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키 장치(21)는 포브 키(10)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단거리 통신 장치(22) 및 장거리 통신 장치(23)를 제어하고, 포브 키(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포브 키(1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장치(22)는 단거리 내에 존재하는 포브 키(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내부에서 포브 키(10)의 위치 또는 배터리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 장치(22)는 차량 내에 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장거리 통신 장치(23)는 포브 키(10)와의 장거리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100m 이내의 거리에서 포브 키(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장거리 통신 장치(23)를 통해 포브 키(10)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도 있고, 포브 키(10)로부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장거리 통신 장치(23)를 통해 포브 키(10)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키 조작 없이 차량(20)과 포브 키(10) 사이의 인증도 가능하다.
상기 단거리 통신 장치(22) 및 장거리 통신 장치(23)를 통해 포브 키(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 장치(24), 시작정지 장치(25), 핸들 록킹 제어 장치(26)가 제어될 수 있다.
도어 장치(24)는 포브 키(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의 열림/닫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포브 키(10)가 차량 외부의 소정 거리 내인 것으로 확인된는 경우, 차량 도어를 열 수 있고, 포브 키(10)가 차량 내에 존재하다가 차량 외부로 나가는 경우, 차량 도어를 잠글 수 있다. 포브 키(10)가 차량 내에 존재하는 경우 또는 포브 키(10)로부터 소정의 인증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시작정지 장치(25)를 통해 시동 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정지 장치(25)는 차량의 시동을 온(on) 시킬 수 있다. 시작정지 장치(25)는 시동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시동버튼을 구비한다. 핸들 록킹 제어 장치(26)는 포브 키(10)의 위치에 따라 또는 포브 키(1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스티어링 휠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량 시스템에 포함된 각 장치는 선택적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장치로 관리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가 둘 이상의 유닛으로 분할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된 시작정지 장치(25)에 대응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버튼(110), 제어 모듈(120), 모터(130), 터치 센서(140) 및 진동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동버튼을 이용하여 모터에 시동을 거는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이용될 수 있다.
시동 버튼(110)은 포브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해 누르는 장치이다. 상기 시동 버튼(110)이 눌림으로써, 시동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 모듈(120)은 모터(130)를 구동하여 시동을 온(on)한다.
터치 센서(140)는 시동 버튼(110)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터치 신호는 시동 버튼(11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와는 상이하다. 시동 버튼(11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시동 버튼(110)이 눌림으로써 발생하는 신호이고, 터치 신호는 시동 버튼(110)의 표면 또는 시동 버튼(110) 주변에 구현된 터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이다.
터치 센서(1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동 버튼(110)의 표면에 닿는 경우, 시동 버튼(110)의 표면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시동 버튼(110)으로 근접하는 근접 신호를 터치 신호로서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동 버튼(110)과 2cm 떨어진 지점에서 시동 버튼(110) 방향으로 근접하는 경우, 터치 센서(140)는 근접 신호를 터치 신호로서 감지한다. 여기서, 근접 신호가 감지될 수 있는 범위, 예를 들어, 1cm, 2cm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진동 모듈(150)은 시동 버튼(110)에 진동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모터(130)가 구동하여 시동이 걸리고 터치 센서(140)를 통해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 모듈(120)은 진동 모듈(150)을 구동하여 시동 버튼(110)에 진동 효과를 제공한다. 즉,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터치 센서(140)를 통해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모듈(150)이 구동되어 시동 버튼(110)에 진동 효과를 제공한다.
진동 모듈(150)은 시동 버튼(110)에 부착되거나, 시동 버튼(110)의 주변에 부착된다. 여기서, 시동 버튼(110)의 주변이란, 진동 모듈(150)에 의해 시동 버튼(110)에 진동 효과가 발생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제어 모듈(120)은 차량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각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동 버튼(110)로부터 모터(13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받고, 모터(130)를 구동할 수 있으며, 터치 신호(140)를 통해 터치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모터(130)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모터의 구동 여부, 모터의 고장 진단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진동 모듈(15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모터(130)가 구동되는 동안, 시동 버튼(110)을 통해 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이를 시동을 끄기 위한 입력 신호로 보고, 모터(130)의 구동을 중단하여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한다. 모터(130)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진동 모듈(150)도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버튼(110)이 눌러진다(S200). 다음, 시동 버튼(11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 모듈(120)이 모터(130)를 구동하여 시동을 켠다(S210).
모터(130)가 구동되는 동안, 제어 모듈(120)은 터치 센서(140)를 통해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20).
S220 판단 결과, 모터(130)가 구동되는 동안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진동 모듈(150)을 구동시켜 시동 버튼(110)에 진동 효과를 제공한다(S230).
여기서, 터치 신호는 시동 버튼의 표면에서 감지되는 신호 뿐 아니라 시동 버튼으로 근접하는 근접 신호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동이 켜진 상태임을 인지하지 못한 운전자의 손가락이 시동 버튼(110)을 누르기 위해 시동 버튼(110)의 표면에 닿거나 시동 버튼(110)으로 근접하는 경우에만, 시동 버튼(110)에 진동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시동이 켜진 상태임을 촉각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진동 모듈(15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차량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며,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해결 원리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모터를 구동하여 시동을 온(on)하기 위한 시동 버튼;
    상기 시동 버튼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진동 모듈; 및
    상기 시동 버튼을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진동 모듈을 구동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시동 버튼의 표면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시동 버튼으로 근접하는 근접 신호를 터치 신호로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시동 버튼을 통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시동 버튼에 부착되거나, 상기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시동 버튼을 통해 시동 신호가 입력되는 제1 단계;
    상기 시동 신호에 따라, 제어 모듈이 모터를 구동하여 시동을 온(on)하는 제2단계;
    터치 센서가 상기 시동 버튼에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진동 모듈을 구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는 상기 시동 버튼의 표면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는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시동 버튼으로 근접하는 근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시동 버튼에 부착되거나, 상기 시동 버튼에 진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20148891A 2012-12-18 2012-12-18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61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91A KR101361126B1 (ko) 2012-12-18 2012-12-18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91A KR101361126B1 (ko) 2012-12-18 2012-12-18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126B1 true KR101361126B1 (ko) 2014-02-13

Family

ID=5027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891A KR101361126B1 (ko) 2012-12-18 2012-12-18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722A (ko) * 2013-10-30 2015-05-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햅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760A (ko) * 1997-08-29 1999-03-15 조희재 양방향 원격시동 제어방법
JP2008115630A (ja) 2006-11-06 2008-05-22 Toyota Motor Corp 車両用報知装置
KR100904232B1 (ko) 2008-11-26 2009-06-25 볼트라인 주식회사 터치식 자동차 시동제어장치
KR20100131737A (ko) * 2009-06-08 2010-12-16 엄태준 차량 도난 및 공회전 방지를 위한 시동차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760A (ko) * 1997-08-29 1999-03-15 조희재 양방향 원격시동 제어방법
JP2008115630A (ja) 2006-11-06 2008-05-22 Toyota Motor Corp 車両用報知装置
KR100904232B1 (ko) 2008-11-26 2009-06-25 볼트라인 주식회사 터치식 자동차 시동제어장치
KR20100131737A (ko) * 2009-06-08 2010-12-16 엄태준 차량 도난 및 공회전 방지를 위한 시동차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722A (ko) * 2013-10-30 2015-05-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햅틱장치
KR102054140B1 (ko) 2013-10-30 2019-1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햅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44022A1 (en) Vehicle control action sequence for operator authentication
JP6139491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9377764B2 (en) Plug lock device
US20150025746A1 (en) Vehicle controller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9746840B2 (en) Smart entry system
JP2012162908A (ja) 車両の扉体制御装置
US11267439B2 (en) Activation of valet mode for vehicles
CN109562736B (zh) 机动车的进入和启动系统和运行方法以及机动车
JP2007118899A (ja)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JP6790917B2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CN112026521A (zh) 车辆系统和车辆控制系统
KR102045033B1 (ko) 통합 nfc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8204311A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US20090018734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0817659B1 (ko) 차량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572494A (zh) 一种车辆控制方法及装置
JP2018071213A (ja) 携帯機器、および携帯機器の制御方法
KR101361126B1 (ko)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1000902A (ja) 車両用パスワード入力装置
JP6139371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1092673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52358B2 (ja) 車両用ユーザー照合システム
JP2014151846A (ja) 車両用消費電力低減装置
JP5010020B2 (ja)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
KR101418658B1 (ko) 시동버튼을 진동시키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