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73B1 -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073B1
KR101361073B1 KR1020120015887A KR20120015887A KR101361073B1 KR 101361073 B1 KR101361073 B1 KR 101361073B1 KR 1020120015887 A KR1020120015887 A KR 1020120015887A KR 20120015887 A KR20120015887 A KR 20120015887A KR 101361073 B1 KR101361073 B1 KR 10136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ording paper
boundary area
irradiated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545A (ko
Inventor
송민석
양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우테크
Priority to KR102012001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0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2Scales and indicators, e.g. for determining sid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1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by photoelectric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60Optical characteristics, e.g. colour,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65H2553/414Photoelectric detectors involving receptor receiving light reflected by a reflecting surface and emitted by a separate emitter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기록지 일면의 상기 경계영역에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에 의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제1수신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록지 일면의 상기 비경계영역에 상기 경계영역에 조사한 상기 조사광에 대응하는 세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에 의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제2수신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비경계영역에 조사한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수신광과 상기 제2수신광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수신광과 상기 제2수신광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세기의 상기 조사광을 경계 검출을 위한 검출광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Setting Method of Detective Light for Detecting Boundary of Recording Paper}
본 발명은 기록지의 경계영역 및 비경계영역에 복수 개의 조사광을 조사하여 검출되는 수신광의 세기를 비교하여 세기의 차이가 가장 큰 세기의 조사광을 검출광으로 설정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많은 부분에서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를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감열지나, 라벨용지와 같이 기록지 자체에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연속적으로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비경계영역이 반복되도록 구성된 용지가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기록지의 종류가 다양하고 이에 따라서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의 구분이 쉽지 않았다. 그래서 상기 기록지의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상기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 각각에 일정한 세기를 가지는 빛을 조사하여 반사 또는 투과되는 빛을 측정한 후, 측정된 빛의 세기 차이에 따라서 그 경계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지의 경계를 측정하는 구성의 일례로서 일본특허 JA2007-106556호 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기록지(A)의 경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은 크게 제 1발광부(10), 제 2발광부(40), 제 1수광부(20) 및 제 2수광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발광부(10)는 상기 기록지(A)의 일면 방향에 위치하여 일정한 세기의 빛을 상기 기록지(A)에 조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수광부(20)는 상기 제 1발광부(10)와 동일측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록지(A)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빛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수광부(30)는 상기 기록지(A)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발광부(1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발광부(10)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기록지(A)를 투과하는 빛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발광부(40)는 상기 제 2수광부(30)와 동일측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록지(A)의 배면에 일정한 세기의 빛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계측정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제 1발광부(10)는 횡 방향으로 이송되며 경계영역(A1)과 비경계영역(A2)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구비되는 상기 기록지(A)에 일정한 세기를 가진 빛을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발광부(10)가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 각각에 동일한 세기의 빛을 조사하며 조사된 빛의 일부는 상기 기록지(A)를 투과하여 상기 제 2수광부(30)에서 수신되어 그 세기가 측정되고 일부는 흡수되며, 나머지는 반사되어 상기 제 1수광부(20)에서 수신되며 그 세기가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수광부(20) 및 상기 제 2수광부(30)에서 수신되는 빛은 상기 제 1발광부(10)에서 빛이 조사되는 위치가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에 따라 그 세기가 달라진다. 왜냐하면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은 상기 기록지(A)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서로 두께가 다르거나 반사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투과 또는 반사된 빛의 세기가 조사되는 위치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수광부(20) 및 상기 제 2수광부(30)에서 수신되는 빛의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 1발광부(10)에서 빛을 조사하는 위치가 상기 경계영역(A1)인지 상기 비경계영역(A2)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상기 기록지(A)의 경계영역(A1)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의 두께가 동일하고 일면에 블랙마크가 구비된 상기 기록지(A)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 1수광부(20)에서 수신되는 빛의 세기를 가지고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의 경계를 측정한다.
하지만 상기 기록지(A)에 구비된 상기 블랙마크가 상기 제 1발광부(10)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수광부(20)는 반사되는 빛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 1발광부(10)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 2발광부(40)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지(A)의 경계를 측정한다.
상기 제 2발광부(40)에서 상기 기록지(A)에 빛을 조사하면 반사되는 빛은 상기 제 2수광부(30)에서 수신되며 수신된 빛의 세기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상기 제 1발광부(10) 및 상기 제 2발광부(40)에서 조사되는 빛의 세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기록지(A)의 경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기록지(A)는 다양한 종류의 용지가 사용되지만, 상기 기록지(A) 각각의 두께나 투과율 및 반사율이 균일하지 않고 제 각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기록지(A)의 종류에 따라서 경계가 명확하게 측정될 수 있지만, 명확하게 측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록지(A)에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무조건적으로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하는 경우, 상기 기록지(A)의 종류에 따라 수신되는 빛의 세기로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을 구분할 수 없을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발광부(10)에서 100이라는 세기로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에 빛을 조사하였을 때, 상기 제 1수광부(2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는 50과 45이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발광부(10)에서 50이라는 세기로 상기 경계영역(A1)과 상기 비경계영역(A2)에 빛을 조사하였을 때, 상기 제 1수광부(2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는 각각 30과 10 이라고 한다면 상기 제 1발광부(10)는 50의 세기를 가진 빛을 상기 경계영역(A1)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가장 효과적인 세기의 빛을 검출하지 않고 고정된 세기의 빛을 상기 기록지(A)에 조사하여 경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기록지(A)의 경계측정에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록지의 경계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기록지의 종류에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검출광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록지의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에 세기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반사 또는 투과되어 측정되는 수신광을 비교하여 세기의 차이가 가장 큰 세기의 조사광을 검출하여 검출광으로 사용하는 기록지의 경계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기록지 일면의 상기 경계영역에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에 의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제1수신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록지 일면의 상기 비경계영역에 상기 경계영역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과 동일한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에 의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제2수신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비경계영역에 조사한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수신광과 상기 제2수신광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수신광과 상기 제2수신광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세기의 상기 조사광을 경계 검출을 위한 검출광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에 조사되는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의 세기는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지를 기준으로 일면뿐만 아니라 배면에서도 상기 조사광을 조사하여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에 상기 조사광을 조사하여 상기 검출광을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정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록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블랙마크가 구비되며 상기 블랙마크는 상기 경계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광은 상기 기록지에서 반사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 각각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의 일면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의 세기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기록지의 배면에 상기 조사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록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며 두께가 얇은 영역이 상기 경계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광은 상기 기록지에서 투과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 각각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이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구비된 기록지의 경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복수 개의 조사광을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비경계영역에 조사하여 투과 또는 반사되는 제 1수신광 및 제 2수신광의 세기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가장 큰 세기의 조사광을 검출하여 검출광으로 설정함으로써, 경계 측정대상인 상기 기록지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검출광을 설정하여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개발된 기록지의 경계측정방법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검출광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구현을 위한 주요 구성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기록지의 이송에 따라 제 2수광부에서 측정되는 수신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기록지의 이송에 따라 제 1수광부에서 측정되는 수신광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도 2의 주요 구성이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탄성부재를 가지는 서멀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지에 따라 조절되는 검출광의 설정방법은,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에 복수 개의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상기 경계영역의 유무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되어 대응하는 세기의 제 1수신광 및 제 2수신광 각각을 비교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검출광의 세기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출광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구현을 위한 주요 구성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광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주유 구성은 크게 제 1발광부(100), 제 1수광부(200) 및 제 2수광부(300)로 구성된다.
경계영역(P1)과 비경계영역(P2)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기록지(P)에 있어서, 상기 제 1발광부(100)는 횡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기록지(P)의 일면 방향에 구비되어 복수의 서로 다른 세기의 조사광(L1)을 순차적으로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지(P)는 일반적인 라벨용지 및 블랙마크가 구비된 열 전사용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경계영역(P1)과 비경계영역(P2)의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다르게 설정된 용지라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 1수광부(200)는 상기 기록지(P)를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 및 상기 비경계영역(P2)을 를 투과한 복수 개의 수신광(L2, L3)을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수신광(L2, L3) 각각의 세기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제 2수광부(300)는 횡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기록지(P)의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제 1발광부(100)와 동일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 및 상기 비경계영역(P2)에서 반사된 복수 개의 수신광(L2, L3)을 검출하여 상기 수신광(L2, L3) 각각의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에서 투과 또는 반사되는 수신광(L2, L3)을 제 1수신광(L2)으로 하고 상기 기록지(P)의 상기 비경계영역(P2)에서 투과 또는 반사되는 수신광(L2, L3)을 제 2수신광(L3)으로 구분한다. 이하 상기 수신광(L2, L3)은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상기 제 2수신광(L3)으로 구분하여 명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기록지(P)에 따라 적합한 검출광(미도시)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도 2의 (a)와 같이 이송되는 상기 기록지(P)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제 1발광부(100)에서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복수의 상기 조사광(L1)을 순차적으로 조사한다. 이때, 상기 기록지(P)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 각각은 그 세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지(P)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은 반사 또는 투과되어 상기 제 1수광부(20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측정된다. 상기 기록지(P)의 종류에 따라서 반사되는 수신광(L2, L3) 또는 투과되는 수신광(L2, L3)을 상기 제 1수광부(200) 및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측정한다.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에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상기 조사광(L1)이 조사되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을 상기 제 1수광부(20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제 1발광부(100)는 세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조사광(L1)을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하였기 때문에, 상기 경계영역(P1)에서 반사 또는 투과되는 복수 개의 제 1수신광(L2)이 상기 제 1수광부(20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된다.
이후, 도 2의 (b)와 같이 상기 기록지(P)의 이송에 의해서 상기 비경계영역(P2)이 이송되어 일면이 상기 제 1발광부(100)의 조사 경로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발광부(100)는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과 동일한 횟수 및 세기로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상기 비경계영역(P2)에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상기 조사광(L1)이 조사되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제 2수신광(L3)을 상기 제 1수광부(20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수광부(20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된 상기 제 2수신광(L3)과 앞서 검출된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을 서로 비교하여 그 세기의 차이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된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은 상기 제 1발광부(100)로부터 조사된 상기 조사광(L1)의 세기에 대응하는 순서 및 세기에 대응하도록 서로 비교한다. 그래서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제 2수신광(L3) 각각을 대응하도록 비교하여 그 세기의 차이가 가장 큰 것을 상기 검출광으로 적용한다.
이는 사용되는 상기 경계영역(P1) 검출에 사용되는 상기 기록지(P)가 조사되는 빛의 세기에 따라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기록지(P)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세기의 상기 검출광을 측정하여 상기 기록지(P)의 경계를 측정할 때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기록지(P)에 조사하여 상기 경계영역(P1) 및 상기 비경계영역(P2)에서 투과 또는 반사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상기 제 2수신광(L3)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록지(P)에 가장 적합한 상기 검출광을 검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발광부(100)로부터 상기 기록지(P)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이 세기가 서로 다른 다섯 개일때, 상기 경계영역(P1)에서 반사 또는 투과된 상기 제 1수신광(L2)도 각각 다섯 개로 상기 제 1수광부(200) 및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P)가 이송하여 상기 제 1발광부(100)에서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은 상기 기록지(P)의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된다. 여기서,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은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과 동일한 세기 및 순서로 조사된다. 이와 같이 조사된 상기 조사광(L1)은 상기 비경계영역(P2)에서 투과 또는 반사되며 투과 또는 반사된 상기 제 2수신광(L3)은 상기 제 1수광부(20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수신광(L3)은 앞서 검출된 상기 제 1수신광(L2)과 동일하게 다섯 개가 검출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수광부(200) 및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된 상기 제 1수신광(L2)과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을 서로 비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수광부(200) 또는 상기 제 2수광부(300)는 첫 번째로 검출된 상기 제 1수신광(L2)과 첫 번째로 검출된 상기 제 2수신광(L3)을 서로 비교하여 그 세기의 차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검출된 상기 제 1수신광(L2)과 두 번째로 검출된 상기 제 2수신광(L3)을 비교하여 그 세기의 차이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각각의 순서에 대응 하도록 상기 제 1수신광(L2)과 상기 제 2수신광(L3)을 비교하여 상기 경계영역(P1)의 유무에 따라 그 세기의 차이가 가장 큰 순서에서의 세기를 가진 상기 조사광(L1)을 찾아낸다.
이와 같이, 상기 경계영역(P1)과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어 가장 큰 세기의 차이를 가지는 세기의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검출광으로 함으로써, 상기 기록지(P)의 경계를 측정하는대 사용하여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지(P)의 종류에 따라서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제 2수신광(L3)의 측정과정에 대한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1실시예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경계영역(P1)과 상기 비경계영역(P2)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어 반복되도록 구성된 상기 기록지(P)의 검출광 측정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기록지(P)의 이송에 따라 제 2수광부(300)에서 측정되는 수신광(L2, L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살펴보면, 상기 제 1발광부(100)가 횡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경계영역(P1) 및 상기 비경계영역(P2)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된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에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L1)을 순차적으로 조사한다.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되어 투과된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은 상기 제 1발광부(10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은 상기 기록지(P)를 투과하면서 세기가 감소된다. 이때,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은 상기 기록지(P)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감소되는 세기의 정도가 다르다. 이와 같이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을 통과하면서 세기가 감소된 상기 제 1수신광(L2)을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P)는 횡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비경계영역(P2)이 이동되고 상기 제 1발광부(100)의 조사영역에 배치되어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조사광(L1)이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된다. 상기 비경계영역(P2)은 상기 경계영역(P1)과 두께가 다르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 에서는 상기 비경계영역(P2)의 두께가 상기 경계영역(P1)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은 도 3의 (a)와 같이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과 동일한 세기 및 회수를 가지게 된다.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어 투과되는 상기 제 2수신광(L3)은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되며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은 상기 비경계영역(P2)을 투과함으로써, 상기 제 1발광부(100)에서 조사되어 투과된 상기 제 1수신광(L2)보다 세기가 감소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제 1수광부(200)는 서로 세기가 다른 복수 개의 상기 제 1수신광(L2)과 상기 제 2수신광(L3)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을 비교하여 세기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상기 조사광(L1)의 세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L1) 중에서 검출된 세기의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검출광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상기 검출광을 사용하여 횡 방향으로 이송되며 연속적으로 상기 경계영역(P1)과 상기 비경계영역(P2)이 반복되는 상기 기록지(P)의 경계영역(P1)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기록지(P)의 경계영역(P1)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설정된 상기 검출광을 횡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기록지(P)에 조사한다. 그래서 상기 기록지(P)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제 1발광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이 조사되는 영역이 상기 경계영역(P1)에서 상기 비경예영역으로 변화되고, 상기 조사광(L1)이 조사되는 영역이 변화되면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되던 상기 제 1수신광(L2)의 세기가 변화되어 상기 제 2수신광(L3)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검출되는 상기 수신광(L2, L3)들의 세기가 변화되는 것을 측정하여 상기 제 1발광부(100)에서 조사되는 영역이 상기 경계영역(P1)에서 상기 비경계영역(P2)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검출광을 검출하여 검출된 세기의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기록지(P)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기록지(P)를 투과한 상기 제 1수신광(L2)과 상기 제 2수신광(L3)의 변화에 따라 상기 기록지(P)의 경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록지(P)에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하여 상기 검출광을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도가 높은 상기 검출광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 기록지(P)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상기 검출광을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2실시예
도 4을 참조하여 블랙마크를 가지는 상기 기록지(P)의 검출광 측정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기록지(P)의 이송에 따라 제 1수광부(200)에서 측정되는 수신광(L2, L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살펴보면 상기 제 1발광부(100)가 횡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경계영역(P1) 및 상기 비경계영역(P2)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된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에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L1)을 순차적으로 조사한다.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되어 반사된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은 상기 제 1발광부(100)와 동일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은 상기 기록지(P)에서 반사되면서 세기가 감소된다. 이때,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은 상기 기록지(P)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감소되는 세기의 정도가 다르다. 이와 같이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에서 반사되면서 세기가 감소된 상기 제 1수신광(L2)을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영역(P1)은 상기 블랙마크이며 상기 블랙마크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은 일정부분 흡수가 되므로 소수의 상기 제 1수신광(L2)만이 상기 제 2수광부(300)에 수신된다. 이때, 상기 블랙마크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의 세기에 따라서 흡수되는 빛의 세기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블랙마크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들도 각각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서로 다른 세기로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P)는 횡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경계영역(P1)이 이동되고 상기 비경계영역(P2)이 상기 제 1발광부(100)의 조사영역에 배치되어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조사광(L1)이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된다. 상기 비경계영역(P2)은 상기 경계영역(P1)과 다르게 상기 블랙마크가 없기 때문에,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이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될 때보다 많이 반사된다. 이때,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은 도 4의 (a)와 같이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과 동일한 세기 및 회수를 가지게 된다.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상기 제 2수신광(L3)은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수신되며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은 상기 비경계영역(P2)에서 반사됨으로써, 상기 제 1발광부(100)에서 조사되어 반사된 상기 제 1수신광(L2) 보다 더욱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제 2수광부(300)는 서로 세기가 다른 복수 개의 상기 제 1수신광(L2)과 상기 제 2수신광(L3)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을 비교하여 세기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상기 조사광(L1)의 세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L1) 중에서 검출된 세기의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검출광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상기 검출광을 사용하여 횡 방향으로 이송되며 연속적으로 상기 경계영역(P1)과 상기 비경계영역(P2)이 반복되는 상기 기록지(P)의 경계영역(P1)을 검출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검출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지(P)의 경계를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제 1발광부(100)는 상기 경계영역(P1)에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한다. 그리고 상기 경계영역(P1)에서 반사된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을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P)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제 1발광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이 조사되는 영역이 상기 경계영역(P1)에서 상기 비경예영역으로 변화되고, 상기 조사광(L1)이 조사되는 영역이 변화되면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수신되던 상기 제 1수신광(L2)의 세기가 변화되어 상기 제 2수신광(L3)이 검출된다.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검출되는 상기 수신광(L2, L3)들이 세기가 변화되는 것을 측정하여 상기 제 1발광부(100)에서 조사되는 영역이 상기 경계영역(P1)에서 상기 비경계영역(P2)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검출광을 검출하여 검출된 세기의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기록지(P)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기록지(P)에서 반사된 상기 제 1수신광(L2)과 상기 제 2수신광(L3)의 변화에 따라 상기 기록지(P)의 경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록지(P)에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하여 상기 검출광을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도가 높은 상기 검출광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기 기록지(P)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검출광을 설정하는 과정 및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설정된 상기 검출광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지(P)의 경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주요 구성이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이 상기 제 1발광부(100), 상기 제 1수광부(200) 및 상기 제 2수광부(300) 뿐만 아니라 제 2발광부(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발광부(400)는 상기 기록지(P)의 이송경로에서 하류상에 구비되며 상기 기록지(P)를 중심으로 상기 제 2수광부(30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지(P)에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한다.
상기 기록지(P)의 일면 뿐만 아니라 배면 방향에도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하는 상기 제 2발광부(4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기록지(P)의 경계영역(P1)이 배면에 구비되더라도 정확하게 그 경계를 측정할 수 있다.
먼저, 도 5의 (a)를 살펴보면 상기 기록지(P)는 상기 제 1발광부(100)방향이 아닌 배면에 상기 블랙마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발광부(100)와 반대측에 상기 블랙마크가 구비된 상황에서 상기 제 1발광부(100)가 상기 기록지(P)에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한다. 그러나 상기 블랙마크가 배면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상기 제 2수신광(L3)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제 1발광부(100)에서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기록지(P)에 일정시간 동안 조사한 후 상기 제 2수광부(3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상기 제 2수신광(L3)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제 1발광부(100)는 상기 조사광(L1)의 조사를 중지하고 상기 제 2발광부(400)에서 상기 조사광(L1)을 상기 기록지(P)의 배면에 조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발광부(400)에서 상기 기록지(P)의 상기 경계영역(P1)에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진 상기 조사광(L1)을 조사한 후 상기 경계영역(P1)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을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 각각은 상기 기록지(P)에서 반사되면서 세기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계영역(P1)에서 반사되어 세기가 감소된 복수 개의 상기 제 1수신광(L2)을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영역(P1)은 상기 블랙마크이며 상기 블랙마크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은 일정부분 흡수가 되므로 소수의 상기 제 1수신광(L2)만이 상기 제 1수광부(200)에 수신된다. 이때, 상기 블랙마크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의 세기에 따라서 흡수되는 빛의 세기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블랙마크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 1수신광(L2)들도 각각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서로 다른 세기로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P)는 횡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경계영역(P1)이 이동되고 상기 비경계영역(P2)이 상기 제 2발광부(400)의 조사영역에 배치되어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조사광(L1)이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된다.
상기 비경계영역(P2)은 상기 경계영역(P1)과 다르게 상기 블랙마크가 없기 때문에,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이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될 때보다 많이 반사된다. 이때,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는 상기 조사광(L1)은 도 5의 (b)와 같이 상기 경계영역(P1)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과 동일한 세기 및 회수를 가지게 된다.
상기 비경계영역(P2)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상기 제 2수신광(L3)은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되며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은 상기 비경계영역(P2)에서 반사됨으로써, 상기 제 2발광부(400)에서 조사되어 반사된 상기 제 1수신광(L2) 보다 더욱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수광부(200)에서 수신된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상기 제 2수신광(L3) 각각을 처음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L1)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그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조사광(L1) 중에서 세기의 차이가 가장 큰 세기를 선택하여 상기 검출광으로 설정한다.
상기 검출광을 설정하여 현재 사용되는 상기 기록지(P)에 상기 경계영역(P1)의 유무에 따라 상기 제 1수신광(L2) 및 상기 제 2수신광(L3)에서 가장 효과적인 세기의 차이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록지(P)의 경계영역(P1)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제 1발광부 200: 제 1수광부
300: 제 2수광부 400: 제 2발광부
P: 기록지 P1: 경계영역
P2: 비경계영역 L1: 조사광
L2: 제 1수신광 L3: 제 2수신광

Claims (9)

  1. 경계영역과 비경계영역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기록지 일면의 상기 경계영역에 서로 다른 세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에 의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제1수신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록지 일면의 상기 비경계영역에 상기 경계영역에 조사된 상기 조사광과 동일한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에 의해 반사 또는 투과되는 제2수신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비경계영역에 조사한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수신광과 상기 제2수신광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수신광과 상기 제2수신광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세기의 상기 조사광을 경계 검출을 위한 검출광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에 조사되는 복수 개의 상기 조사광의 세기는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를 기준으로 일면뿐만 아니라 배면에서도 상기 조사광을 조사하여 반사 또는 투과되는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에 상기 조사광을 조사하여 상기 검출광을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정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블랙마크가 구비되며 상기 블랙마크는 상기 경계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광은,
    상기 기록지에서 반사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 각각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의 일면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의 세기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기록지의 배면에 상기 조사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며 두께가 얇은 영역이 상기 경계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광은,
    상기 기록지에서 투과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수신광 및 상기 제 2수신광 각각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KR1020120015887A 2012-02-16 2012-02-16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KR10136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87A KR101361073B1 (ko) 2012-02-16 2012-02-16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87A KR101361073B1 (ko) 2012-02-16 2012-02-16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45A KR20130094545A (ko) 2013-08-26
KR101361073B1 true KR101361073B1 (ko) 2014-02-11

Family

ID=4921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887A KR101361073B1 (ko) 2012-02-16 2012-02-16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0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2717A (ja) * 1992-05-29 1993-12-14 New Oji Paper Co Ltd センサー装置
JPH0940227A (ja) * 1995-07-28 1997-02-10 Canon Inc 被プリント媒体の判別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2007106556A (ja) 2005-10-14 2007-04-26 Seiko Epson Corp 媒体検出装置および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2717A (ja) * 1992-05-29 1993-12-14 New Oji Paper Co Ltd センサー装置
JPH0940227A (ja) * 1995-07-28 1997-02-10 Canon Inc 被プリント媒体の判別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2007106556A (ja) 2005-10-14 2007-04-26 Seiko Epson Corp 媒体検出装置および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45A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0741B2 (ja) テラヘルツ光を用いた紙葉類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3897939B2 (ja) 紙葉類の識別方法および装置
JP2004184203A (ja) 光学式物体識別装置、それを用いた印刷装置および物体種類分類装置
JP2005083850A (ja) 光学式物体識別装置および印刷装置
US9459580B2 (en) Optical sensor with multiple detect modes
US10689216B2 (en)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JP201710204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媒体厚さ判別方法
JP2014215533A5 (ko)
KR101361073B1 (ko) 기록지의 경계영역 검출을 위한 검출광 설정방법
JP5903970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JP6409530B2 (ja) 光センサ装置、紙種判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34173A (ja) テラヘルツ光を用いた紙葉類の真偽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567278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227200A1 (en) Light guide
JP4630945B1 (ja) 欠陥検査装置
JP2014077660A (ja) 検出装置
JP2017096650A (ja) 検出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9047568A (ja) 印刷品質検査装置
JP6208539B2 (ja) 画像入力装置及び画像入力装置の汚れ検出方法
JP6505512B2 (ja) 光学識別装置
JP2003182885A (ja) シート状印刷材料のエッジ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
JP5216275B2 (ja) 印刷品質検査装置
JP2014186597A (ja) 紙葉類識別装置
JP6409606B2 (ja) キズ欠点検査装置およびキズ欠点検査方法
KR101386692B1 (ko) 기록지의 폭에 따라 플래튼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멀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