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159B1 -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159B1
KR101360159B1 KR1020120091279A KR20120091279A KR101360159B1 KR 101360159 B1 KR101360159 B1 KR 101360159B1 KR 1020120091279 A KR1020120091279 A KR 1020120091279A KR 20120091279 A KR20120091279 A KR 20120091279A KR 101360159 B1 KR101360159 B1 KR 10136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gas
pipe
drying air
gas inj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석
Original Assignee
허경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경삼 filed Critical 허경삼
Priority to KR102012009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4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 G01R31/2877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related to coo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핸들러 장치용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이 개시된다. 본 분사관은, 건조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는 건조공기관; 건조공기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건조공기관 내부에 배치된 냉매가스관; 및 건조공기관 및 냉매가스관을 관통하여 형성된 냉매가스 분사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가스 분사구는, 냉매가스관으로 주입된 냉매가스가 건조공기관 내부로는 분사되지 않고 건조공기관 외부로만 분사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REFRIGERANT GAS INJECTION TUBE HAVING DOUBLE-TUBE STRUCTURE, AND HANDL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검사에 사용되는 핸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저온 환경을 제공하는 핸들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냉매가스 분사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서 생산이 완료된 반도체 소자들은 출하 전에 양품인지 혹은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테스트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반도체 소자의 검사공정은 웨이퍼 상태 혹은 패키지 상태의 반도체 소자에 대하여 그 전기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공정으로서, 주로 테스트 서버, 테스터 및 핸들러 등의 장치들이 검사 공정에 이용된다.
여기서, 테스트 서버는 복수의 테스터에 연결되어 각각의 테스터에 검사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고 또한 각각의 테스터로부터 검사결과를 수집하는 컴퓨터 장비를 말한다. 그리고, 테스터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 CPU)에 의해 제어되는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DC 혹은 AC 특성 등을 점검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핸들러(Handler)는 트레이에 담겨진 반도체 소자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테스트사이트의 테스트소켓에 접속시키고 원하는 테스트를 실시한 후 그 테스크 결과에 따라 양품 혹은 불량품으로 분류하여 다시 트레이로부터 언로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반도체 소자가 이용되는 환경이 다양화됨에 따라 상온에서 뿐만 아니라 고온(약 80℃) 또는 저온(약 -45℃)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되는바, 이러한 요구에 따라 핸들러 장비는 자체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사용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특정 온도 환경에서의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반소체 소자들이 배치되는 쳄버 내부에 히터, 송풍팬 및 냉각장치(예컨대, 액화질소 분사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반도체 소자들에 대하여 고온 및 저온의 온도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핸들러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핸들러 장치용 냉각장치로 주로 이용되는 액화질소 분사시스템은, 반도체 소자들이 장착되는 쳄버 내에 설치된 질소가스 분사관과, 이 질소가스 분사관에 기화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소정의 액화질소 공급장치로 구성된다. 특히, 핸들러 장치에서 쳄버 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질소가스 분사관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질소가스 분사관(10)의 일측에는, 레귤레이터가 구비된 액화질소 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되는 주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질소가스 분사관(10)의 타측은 폐쇄되어 있으나, 분사관(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액화질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질소가스는 질소가스 분사관(10)에 형성된 분사구(12)를 통해 쳄버 내로 분사되며, 분사된 질소가스에 의해 쳄버 내부의 온도가 냉각되어 검사대상인 반도체 소자에 대하여 저온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질소가스 분사관(10)을 이용하여 쳄버에 저온 환경을 조성한 경우, 질소가스의 분사에 따라 온도차에 의해 분사관(10) 외벽에 성에가 형성된다. 이렇게 성에가 발생된 경우, 저온 테스트에서 고온(또는 상온) 테스트로 전환함에 따라 쳄버 내에 수분으로 공급되며, 그에 따라 쳄버 내부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현저히 저하됨과 동시에 쳄버 내부의 기계장치들의 작동에 불량을 야기한다. 따라서, 고온(혹은 상온) 환경에서의 테스트로 전환하기 전에 쳄버 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통상 건조 시간이 약 3일 정도로 길기 때문에 검사 공정에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도체 소자의 검사장비인 핸들러 장치에서 질소가스의 분사로 인하여 발생된 성에가 장치의 오동작을 야기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핸들러 장치용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다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은, 건조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는 건조공기관; 상기 건조공기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건조공기관 내부에 배치된 냉매가스관; 및 상기 건조공기관 및 상기 냉매가스관을 관통하여 형성된 냉매가스 분사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가스 분사구는, 상기 냉매가스관으로 주입된 냉매가스가 상기 건조공기관 내부로는 분사되지 않고 상기 건조공기관 외부로만 분사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냉매가스관은 상기 건조공기관 내주면의 일부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매가스 분사구는 상기 냉매가스관 및 상기 건조공기관이 서로 밀착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가스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상기 건조공기관 및 상기 냉매가스관의 경계면이 용접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은 반도체 소자의 검사에 이용되는 핸들러 장치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에서는, 질소가스로 인해 냉매가스관의 외벽에 형성된 성에가 냉매가스관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건조공기관 내부에만 존재하게 되어 쳄버 내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건조공기관에 주입 및 배출되는 건조공기와 함께 핸들러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성에의 발생으로 인해 핸들러 장치의 쳄버 내에 수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치의 오동작 및 건조로 인한 공정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들러 장치에 구비된 질소가스 분사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의 절개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들러 장치용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은, 건조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는 건조공기관(20)과, 건조공기관(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건조공기관(20) 내부에 배치된 냉매가스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가스 분사구(22)는 건조공기관(20) 및 냉매가스관(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공기관(20)은 그 양단이 폐쇄된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단에는 건조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24)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건조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6)가 형성된다.
또한, 건조공기관(20)의 내부에는 냉매가스관(10)이 배치되는데, 냉매가스관(10)은 그 외경이 건조공기관(20)의 내경보다 작은 중공의 튜브 형상을 갖는다. 냉매가스관(10)은 일단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타측단에 형성된 주입구(14)를 통해 핸들러 장치에 마련된 냉매가스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냉매가스가 주입된다.
냉매가스관(10)에 주입된 냉매가스는 냉매가스 분사구(22)를 통해 핸들러 장치의 쳄버 내로 분사된다. 여기서, 냉매가스 분사구(22)는 주입된 냉매가스가 건조공기관(20) 내부로는 분사되지 않고 건조공기관(20)의 외부로만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내측에 배치된 냉매가스관(10)과 외측에 배치된 건조공기관(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분사통로를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사통로는 냉매가스 분사구(22)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특히, 냉매가스 분사구(22)가 건조공기관(20)의 내부로 분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만약 건조공기관(20) 내부로 냉매가스가 분사되면 건조공기관(20) 내부가 냉각되어 그 외면에 성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은 다음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보듯이, 분사구가 형성되지 않은 작은 외경의 냉매가스관(20)을 준비한 후 큰 내경을 가진 건조공기관 내부에 배치한다. 이때, 냉매가스관(20)의 외면이 건조공기관(20)의 내주면 일부에 밀착되도록 배치한다. 그 후, 건조공기관(20)의 소정의 위치에서 분사구(22)를 형성한다. 분사구(22)는 건조공기관(20) 및 냉매가스관(10)을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분사구(22)를 형성하면 건조공기관(20) 및 냉매가스관(10) 사이의 경계면에서 틈새가 존재한다. 이 틈새를 통해 냉매가스가 건조공기관(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분사구(22)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건조공기관(20) 및 냉매가스관(10)의 경계면을 용접(Welding) 처리한다. 즉, 용접 처리된 경계면(도 3의 "W" 부분)은 분사구(22)의 주변에 형성된다. 이러한 용접 처리를 통해 건조공기관(20) 및 냉매가스관(10)을 견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분사구(22)가 형성된 영역에서 그 경계면에 형성된 틈새로 냉매가스가 건조공기관(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은, 예컨대 액체질소 공급장치를 구비한 핸들러 장치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핸들러 장치에서, 질소가스의 분사로 야기되는 성에는 질소가스 분사관의 외벽에 형성된다. 이렇게 질소가스 분사관의 외벽에 형성된 성에는, 고온 또는 상온 테스트로 전환할 때 쳄버 내에 수분을 야기하게 되며, 그로 인해 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에서는, 질소가스로 인해 냉매가스관(10)의 외벽에 형성된 성에가 냉매가스관(10)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건조공기관(20) 내부에만 존재하게 되어 쳄버 내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건조공기관(20)에 주입 및 배출되는 건조공기(21)와 함께 핸들러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성에의 발생으로 인해 핸들러 장치의 쳄버 내에 수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치의 오동작 및 건조로 인한 공정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반도체 소자의 검사에 사용되는 핸들러 장치용 냉매가스 분사관에 있어서,
    건조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는 건조공기관;
    상기 건조공기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조공기관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질소가스가 주입되는 냉매가스관; 및
    상기 건조공기관 및 상기 냉매가스관을 관통하여 형성된 냉매가스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가스관으로 주입된 상기 질소가스가 상기 건조공기관 내부로는 분사되지 않고 상기 건조공기관 외부로만 분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스관은 상기 건조공기관 내주면의 일부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냉매가스 분사구는 상기 냉매가스관 및 상기 건조공기관이 서로 밀착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가스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상기 건조공기관 및 상기 냉매가스관의 경계면이 용접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이 설치된 반도체 소자 검사용 핸들러 장치.
KR1020120091279A 2012-08-21 2012-08-21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 KR10136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79A KR101360159B1 (ko) 2012-08-21 2012-08-21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79A KR101360159B1 (ko) 2012-08-21 2012-08-21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159B1 true KR101360159B1 (ko) 2014-02-13

Family

ID=5027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279A KR101360159B1 (ko) 2012-08-21 2012-08-21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710A (ko) * 2016-12-28 2018-07-06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365A (ko) * 2004-10-15 2006-04-19 지에스퓨얼셀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개질가스의 복합 열교환방법 및 열교환장치
KR20110049034A (ko) * 2009-11-04 2011-05-12 노명규 생물 성장환경 조성장치
KR20110130086A (ko) * 2010-05-27 2011-12-05 김종석 냉, 난방 동시모드가 매우 안정된 히트펌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365A (ko) * 2004-10-15 2006-04-19 지에스퓨얼셀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개질가스의 복합 열교환방법 및 열교환장치
KR20110049034A (ko) * 2009-11-04 2011-05-12 노명규 생물 성장환경 조성장치
KR20110130086A (ko) * 2010-05-27 2011-12-05 김종석 냉, 난방 동시모드가 매우 안정된 히트펌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710A (ko) * 2016-12-28 2018-07-06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KR102654602B1 (ko) * 2016-12-28 2024-04-03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77542B (zh) 二次电池的测试装置
KR20130032647A (ko) 웨이퍼 테스트 장치
JP6143714B2 (ja) 試験装置及び恒温装置
US20110173994A1 (en) Coo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nd testing processes
KR101360159B1 (ko) 이중관 구조의 냉매가스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핸들러 장치
US8248089B2 (en)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220064944A (ko) 전력구 냉각 시스템
US6577146B2 (en) Method of burning in an integrated circuit chip package
CN104296887A (zh) 一种实现稳定测温的测温装置及其所在的半导体设备
US20040016993A1 (en) Test tray with carrier modules for a semiconductor device handler
US93774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substrates at below dew point temperatures
US20220178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esting an object within a dry gas environment
KR20200001346A (ko)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한 엔진시험장치
CN105702610A (zh) 晶片承载装置
US10034410B1 (en) Support apparatus
KR101614245B1 (ko) 발전설비의 전기부품 성능시험용 로카 테스트 챔버
US201001082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mpering electronic components
KR101187966B1 (ko) 열구배 피로 시험장치
KR102478750B1 (ko) 기판 처리장치
KR20120118241A (ko) 프로브 스테이션
JP2020178075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KR100938363B1 (ko) 메모리 모듈의 신뢰성 검사용 온도조절장치
KR102654602B1 (ko) 노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US6213636B1 (en) Furnace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KR20070066421A (ko) 냉각용 유체 배관이 설치된 냉각 플레이트를 갖는 온도변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