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71B1 -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71B1
KR101359071B1 KR1020120118282A KR20120118282A KR101359071B1 KR 101359071 B1 KR101359071 B1 KR 101359071B1 KR 1020120118282 A KR1020120118282 A KR 1020120118282A KR 20120118282 A KR20120118282 A KR 20120118282A KR 101359071 B1 KR101359071 B1 KR 10135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gnetic
working plate
magnetic fo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운
이경
이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1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는 작업면에 세워진 형태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판; 및 상기 작업판의 후면에 제공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판의 전면에 제공되는 자성체인 부품을 고정하도록 제공된 자력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품으로부터 해체된 부품의 3차원 형상을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부품의 촬영시 크기를 직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으며, 부품의 크기를 쉽게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부품의 왜곡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촬영 오류 등에 의한 작업시간의 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촬영 작업의 용이성 등으로 인한 작업 능률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3 DIMENSIONAL SHAPE DIGIT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성된 제품으로부터 해체된 부품의 비교와 동향 파악을 위해 데이터화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산업분야는 빠른 제품의 출시 주기와 더불어 소비자의 개발 요구를 반영하여 기술에 반영하기 위해 비교 제품에 대한 비교 및 관련 분야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개발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품의 비교 및 동향을 파악을 위한 기술의 일환으로, 제품을 해체한 후, 관련 부품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품을 해체한 후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테어 다운(tear down) 실험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테어 다운 실험은, 완성된 제품을 해체한 후, 각각의 부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통해 각 부품을 비교 분석하며, 각 부품의 크기 및 형상 등의 자료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제품으로부터 해체된 부품을 바닥 등에 전개한 상태에서 촬영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임의로 각각의 부품을 촬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시마다 촬영 조건이 바뀌게 되어 정확한 비교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요인이 있다. 또한, 각각의 부품의 촬영시 촬영방법이나 각도에 따라 부품의 크기 및 형상을 쉽게 구분하기 어려움이 있고, 촬영된 부품에 원근감 등의 왜곡현상(예, 사다리꼴 왜곡)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원근감에 의한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폭이 넓은 부품의 전체 촬영을 위해서 사다리 등을 이용한 고소촬영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부품의 고소촬영이 진행됨에 따라 추락재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다수의 부품을 바닥에 전개한 상태에서 촬영함에 따라 작업지연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공간상의 제약이 발생하며, 작업자의 작업부하도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품의 테어 다운 시험에서 부품의 3차원 형상의 수치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품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부품의 촬영시 원근감 등의 왜곡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3차원 형상 수치화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부하의 경감이 가능하며, 추락 등의 안전위협 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는 작업면에 세워진 형태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판; 및 상기 작업판의 후면에 제공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판의 전면에 제공되는 자성체인 부품을 고정하도록 제공된 자력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상기 작업판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보유하는 자성판과, 상기 작업판의 후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자성판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된 다수의 브래킷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는 작업면에 세워진 형태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판; 및 상기 작업판의 후면에 제공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판의 전면에 제공되는 자성체인 부품을 고정하도록 제공된 자력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상기 작업판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보유하는 자성판과, 상기 작업판의 후면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자성판을 승강하도록 제공되는 제1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 또는 상기 자성판을 상기 작업판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된 제1폭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판에 대향되어 상기 자력고정유닛에 고정된 부품의 촬영을 위한 촬영유닛이 안착되도록 제공된 촬영유닛 안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유닛 안착유닛은 상기 촬영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은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자력고정유닛에 부착된 부품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부품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안착판을 승강하는 제2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부품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안착판 또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폭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판의 표면에는 길이 측정을 위한 치수표시자, 점선, 선,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문양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으로부터 해체된 부품의 3차원 형상을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부품의 촬영시 크기를 직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으며, 부품의 크기를 쉽게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부품의 왜곡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촬영 오류 등에 의한 작업시간의 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촬영 작업의 용이성 등으로 인한 작업 능률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에 부품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에 부품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100)는, 3차원 형상을 수치화하고자 하는 부품이 위치되는 작업판(110)과, 이 작업판(110)에 부품을 부착시키기 위한 자력고정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차원 형상을 수치화하고자 하는 부품(10)은 제품으로부터 해제된 것으로, 일례로 자동차로부터 해체된 도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판(110)은 작업면에 세워진 형태로 제공되며, 표면에 길이 측정을 위한 문양(120)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작업판(110)은 부품(10)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하기 위해 후면에 제공된 후면판(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품(10)의 전면 측정과 함께 측면 측정의 용이를 위해 일측면에 제공되는 측면판(114)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작업판(110)은 후면판(112)과 측면판(114)에 양변이 연계되는 바닥판(116)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판(110)을 구성하는 후면판(112)과 측면판(114) 및 바닥판(116)은 스테인리스 또는 비철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자력고정유닛(150)은 작업판(110)의 일면, 예컨대 후면판(112)에 3차원 형상 수치화하고자 하는 부품(10)이 자력에 의해 고정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100)는 작업판(110)에 부품(10)이 고정 유지된 상태에서 촬영유닛에 의해 촬영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촬영된 데이터를 통해 부품(10)의 3차원 형상을 수치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작업판(110)에는 촬영시 부품(10)이 문양(120)과 함께 촬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양(120)을 통해 부품(10)의 크기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문양(120)은 치수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부품(10)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점선, 선,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문양(120)은 선(120)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120)은 작업판(110)의 표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작업판(110)에는 가로선(120a) 또는 세로선이 교차하는 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로선(120a) 또는 세로선은 각각 mm 또는 cm 단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5cm 또는 10cm 와 같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품(10)과 함께 촬영유닛에 찍힌 선을 통해 부품(10)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작업판(110)에 형성되는 가로선(120a) 또는 세로선(120b)은 각각 10cm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작업판(110)에 부착된 상태에 촬영유닛에 찍힌 부품(10)이 가로 방향으로 약 10개의 셀을 차지하고, 세로 방향으로 약 5개의 셀을 차지할 경우, 대략적으로 부품(10)은 가로 방향으로 약 100cm 이고, 세로 방향으로 약 50cm 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자력고정유닛(150)은 작업판(1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자력을 이용하여 작업판(110)의 전면에 부품(10)을 부착하여 고정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력고정유닛(150)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154)를 보유하는 자성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154)는 자성판(152)의 전면에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자성판(152)에 자성체(154)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홈에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거나, 다수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이부재 또는 자성체(154)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을 감싸도록 제공된 단턱부재(155)에 의해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자성판(152)은 스틸재질 또는 비자성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자성체(154)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자성판(152)이 스틸재질로 제공될 경우, 자성판(152) 자체가 전자석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력고정유닛(150)은 작업판(110)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작업판(110)의 후면에는 자력고정유닛(150)을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112a)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112a)에는 체결부재가 자력고정유닛(150)을 개재한 상태에서 체결되며 자력고정유닛(150)을 고정 유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작업판(110)에는 관통홀이 제공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58)는 볼트(158)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158)는 자성판(152)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홀(112a)에 고정되며, 볼트(158)의 머리부에 의해 작업판(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자력고정유닛(150)은 작업판(110)의 후면에 제공되는 다수의 브래킷(15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브래킷(156)에 자성판(152)이 삽입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156)은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브래킷(156)은 전체적인 형상이 'ㄷ'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부가 작업판(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56)은 상부 또는 측부 일측이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자성판(152)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자성판(152)에는 브래킷(156)의 상부 또는 측부를 통해 삽입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잡기 용이한 손잡이(157)가 제공될 수 있다.
브래킷(156)은 작업판(110)의 후면판(112) 후면에 체결부재(158), 즉 볼트(158)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브래킷(156)에는 작업판(110)의 후면판(112)에 제공된 체결홀(112a)에 대응하는 관통홀(156a)이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자성판(152)은 브래킷(15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자성판(152) 또는 브래킷(156)의 결합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작업판(110)의 후면판(112) 후면에 다수의 브래킷(156)이 미리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자력고정유닛(150)은 브래킷(156) 또는 자성판(152)을 작업판(110)의 후면판(112) 후면에 설치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자력고정유닛(150)의 설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자력고정유닛(250)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도 2에 도시된 154)를 보유하는 자성판(152)을 포함하고, 이 작업판(110)의 후면 일측에 제공되어 자성판(252)을 승강하도록 제공된 제1액츄에이터(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츄에이터(254)는 제1실린더 및 이 제1실린더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제1작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1작동로드가 신축되며 자성판(25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3차원 형상 수치화하고자 하는 부품(10)을 작업판(110), 즉 후면판(112)의 전면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판(110) 후면의 자성판(252)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제1액츄에이터(254)가 자성판(252)을 상승시킴에 따라 자성판(252)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 부품(10)이 자성판(252)에 연계되어 촬영에 적합한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부품(10)의 촬영시 작업자가 부품(10)을 들지 않아도 높낮이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경감할 수 있으며, 부품(10)을 들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자력고정유닛(250)은 제1액츄에이터(254)를 작업판(1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된 제1폭이동 유닛(2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폭이동 유닛(256)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 및 이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이동바퀴(25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액츄에이터(254)를 작업판(110)의 폭방향에 대해 이동하여 부품(10)이 작업판(110)의 중앙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폭이동 유닛(256)은 제1액츄에이터(254)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폭이동 유닛(256)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1폭이동 유닛(256)은 제1액츄에이터(254)의 작동로드 단부에 폭방향으로 제공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자성판(252)이 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 및 이동바퀴(257)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작업판(110)에 대향되어 자력고정유닛(250)에 고정된 부품(10)의 촬영을 위한 촬영유닛(30)이 안착되도록 제공된 촬영유닛 안착유닛(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유닛 안착유닛(270)은 작업판(110)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작업판(110)의 바닥판(116)에 연계되어 접철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접철부(28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촬영유닛 안착유닛(270)은 카메라(30) 등을 포함하는 촬영유닛(30)이 안착되는 안착판(2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촬영유닛(30)이 자력고정유닛(250)에 부착된 부품(1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안착판(272)에 설치된 촬영유닛(30)이 부품(1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안착판(272)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승강수단으로 제2액츄에이터(2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액츄에이터(274)는 실린더 및 작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판(272)에 설치된 촬영유닛(30)은 제2액츄에이터(274)의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로드가 신축되며 촬영유닛(30)이 부품(1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높낮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촬영하고자 하는 부품(10)이 작업판(110)의 중앙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어느 한 곳으로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자력고정유닛(250)을 이동시켜 부품(10)을 작업판(110)의 중앙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자력고정유닛(250)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안착판(272)의 위치를 이동하여 촬영유닛(30)이 부품(1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제2액츄에이터(274) 및 접철부(280)를 작업판(1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된 제2폭이동 유닛(2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폭이동 유닛(276)은 구동부 및 이에 연계된 이동바퀴(27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액츄에이터(274)를 작업판(110)의 폭방향에 대해 이동하여 촬영유닛(30)이 부품(10)의 중앙을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폭이동 유닛(276)은 제2액츄에이터(274)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폭이동 유닛(276)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2폭이동 유닛(276)은 제2액츄에이터(274)의 작동로드 단부에 폭방향으로 제공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안착판(272)이 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 및 이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이동바퀴(257)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100)는 부품(10)의 테어 다운 시험시 각각의 부품(10)들의 수치화 촬영을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가로선(120a) 또는 세로선(120b)이 교차하여 형성된 셀을 통해 부품(10)들의 크기 등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부품(10)의 촬영시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작업자가 고소작업 없이 부품(10)과 떨어진 거리를 조정하면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부품(도어) 100: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110: 작업판 112: 후면판
112a: 체결홀 114: 측면판
116: 바닥판 120: 문양(선)
150: 자력고정유닛 152: 자성판
154: 자성체 155: 단턱부재
156: 브래킷 156a: 관통홀
157: 손잡이 158: 체결부재(볼트)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작업면에 세워진 형태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판; 및 상기 작업판의 후면에 제공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판의 전면에 제공되는 자성체인 부품을 고정하도록 제공된 자력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상기 작업판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보유하는 자성판과, 상기 작업판의 후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자성판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된 다수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5. 작업면에 세워진 형태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판; 및 상기 작업판의 후면에 제공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판의 전면에 제공되는 자성체인 부품을 고정하도록 제공된 자력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상기 작업판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보유하는 자성판과, 상기 작업판의 후면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자성판을 승강하도록 제공되는 제1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 또는 상기 자성판을 상기 작업판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된 제1폭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고정유닛은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 대향되어 상기 자력고정유닛에 고정된 부품의 촬영을 위한 촬영유닛이 안착되도록 제공된 촬영유닛 안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 안착유닛은 상기 촬영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은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자력고정유닛에 부착된 부품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부품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안착판을 승강하는 제2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부품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안착판 또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폭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1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의 표면에는 길이 측정을 위한 치수표시자, 점선, 선,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문양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KR1020120118282A 2012-10-24 2012-10-24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KR10135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82A KR101359071B1 (ko) 2012-10-24 2012-10-24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82A KR101359071B1 (ko) 2012-10-24 2012-10-24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071B1 true KR101359071B1 (ko) 2014-02-06

Family

ID=5027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282A KR101359071B1 (ko) 2012-10-24 2012-10-24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368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재 실험체용 자석 보드
KR100613896B1 (ko) * 2004-01-08 2006-08-22 주식회사 금창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KR101185327B1 (ko) 2010-08-30 2012-09-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원호형 카메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품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형량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96B1 (ko) * 2004-01-08 2006-08-22 주식회사 금창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KR20060072368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재 실험체용 자석 보드
KR101185327B1 (ko) 2010-08-30 2012-09-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원호형 카메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품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형량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40058A (en) Limit detec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
US9545654B2 (en) Press brake and bending method using press brake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CN102914232B (zh) 一种通用座椅检具
JP6088668B2 (ja) 金型位置決め装置
KR101686749B1 (ko)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EP2077972B1 (en) Lifting frame for vehicle
CN104175087A (zh) 用于多影像系统对准调节及分离的装置
KR101359071B1 (ko) 3차원 형상 수치화 장치
CN202869390U (zh) 一种通用座椅检具
CN110091291B (zh) 一种电镐架
RU2716630C2 (ru) Проходческая маши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сегментов обделки тоннеля относительно друг друга, применяемое в проходческой машине,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101871327B1 (ko) 건설기계용 프레임 구조물 벤딩 장치
CN105043784A (zh) 汽车摇窗玻璃升降器双轨自动检测装置
TWI668177B (zh) 鎖固裝置固持工具以及擺輪裝置之位置調整方法
KR101490620B1 (ko) 조형물 설치작업용 보조 장치
KR20060133621A (ko) 차량 내외장검사구용 리어 임팩트 범퍼 더미 로딩장치와래디에이터 그릴 더미 로딩장치
CN211293245U (zh) 一种雷达检测辅助装置
JP6223728B2 (ja) 支持治具
JP5528602B2 (ja) C形フックのコイル落下防止装置
CN203893800U (zh) 轿车车门防撞杆直线度检测装置
ITPC20110013U1 (it) Struttura di protezione superiore veicoli.
KR20110072078A (ko) 증기발생기의 1차측 맨웨이 커버 개폐장치
JP5931136B2 (ja) パネル支持装置および大型パネル設置装置
CN203392748U (zh) 吊钩倾角传感器安装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