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81B1 -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81B1
KR101358381B1 KR1020120044157A KR20120044157A KR101358381B1 KR 101358381 B1 KR101358381 B1 KR 101358381B1 KR 1020120044157 A KR1020120044157 A KR 1020120044157A KR 20120044157 A KR20120044157 A KR 20120044157A KR 101358381 B1 KR101358381 B1 KR 10135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wing
wing portion
rotation
dis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917A (ko
Inventor
김훈
김동철
김의웅
이세은
김상숙
이효재
한재웅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05Processes or apparatus using pressure variation or mechanical force, e.g. shock, acceleration, shear stress, contor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손실이 없는 동시에 다양한 곡물에 적용이 가능한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목표 함수율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순환하여 곡물을 건조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구성하고 있는 곡물배출장치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태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날개부, 이중 구조를 갖는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끼임 방지부, 상기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일정 부분 감싸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부의 종단이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A grain drier}
본 발명은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손실이 없는 동시에 다양한 곡물에 적용이 가능한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은 수확 후 품질의 변화없이 저장, 가공 등을 위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목표 수분까지 건조하여야 한다. 적절한 건조는 곡물의 장기 저장 및 가공성 , 포장 및 수송의 효율성, 상품성 등의 증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곡물건조기는 곡물과 공기류의 상대적인 유동방향, 열원의 종류, 건조온도의 고저, 곡물의 취급 방법 등에 따라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곡물 건조기는 곡물과 열풍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흐르는 횡류형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열원의 종류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높은 온도로 건조하므로 고온건조기의 곡물 취급 방법은 일정량의 곡물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목표수분까지 건조가 완료된 후에 배출하는 형식인 순환식 횡류형 곡물건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벼외에 다양한 곡물 및 종자의 건조가 가능한 다목적 건조기에 사용되고 있는 건조형식은 곡물의 흐름과 열풍의 흐름이 동일한 병류형인 순환식 병류형 곡물건조기가 사용되고 있다.
순환식 횡류형 곡물건조기와 순환식 병류형 곡물건조기는 모두 순환식 건조기로써 건조실의 구조만 상이할 뿐 건조기의 기본구조는 건조실, 템퍼링실, 곡물순환용 버킷엘리베이터, 곡물배출장치, 가열기, 가열송풍기, 배진송풍기, 조작반을 포함한다.
도 1은 곡물 건조기의 외형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의하면 곡물 건조기는 버킷 엘리베이터, 감시창, 투입호퍼, 함수율 측정기, 컨트롤러, 버너, 연료탱크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곡물 건조기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과 같이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역시 도 1과 동일하게 버킷엘리베이터(100), 건조실(202), 탬퍼링(200), 버너(110), 송풍기(206), 곡물배출장치(204)를 도시하고 있다.
버킷 엘리베이터(100)는 곡물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설정된 목표 수분까지 건조하기 위해 곡물 건조기의 구성하고 있는 곡물 투입구로 이송한다. 버너(110)는 연료탱크(112)의 연료를 이용하여 고온의 열풍을 생성한다.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206)를 이용하여 건조실로 이송된다. 건조실로 이송된 열풍은 상방에서 유입되는 곡물을 건조한다.
건조실에서 건조된 곡물은 곡물배출장치에 의해 곡물 건조기의 하방으로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곡물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 곡물은 함수율 측정기(106)를 이용하여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한다. 측정한 곡물의 함수율이 목표 함수율 이상인 경우 버킷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곡물을 순환시키며, 목표 함수율에 도달한 경우에는 건조 과정을 종료한다.
기존 순환식 횡류형 곡물건조기의 건조대상 곡물은 벼로 곡종이 제한되어 있으며, 다목적 곡물건조기는 벼 외에 각종 곡립 및 종자류의 건조가 가능하다.
곡물배출장치는 다목적 곡물건조기 내부에서 자유낙하 하는 곡물의 낙하속도를 조절하여 건조실 내에 이동하는 곡물이 열풍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건조속도가 결정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다목적 곡물건조기 내부의 곡물의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곡물배출장치의 동작 및 형상은 일반적으로 벼를 건조하는데 필요한 동작과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벼 외에 곡립 및 종자류는 벼와 달리 외형이 다르고 대부분 벼보다 약한 충격량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곡립 및 종자류의 올바르지 못한 곡물배출장치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갈라지는 동할이나 부서지는 파쇄 같은 외부손상과 싹이 트지 않거나, 생육장애 등과 같은 내부 손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기하학적 특성 및 물성이 서로 상이한 곡물 및 종자류를 건조할 경우, 곡물배출장치 내부의 유격이나 회전 속도로 인하여 곡물의 끼임 현상이나, 강한 작동 하중이 곡물에 가해지는 경우 곡물 및 종자류의 파손으로 인한 곡물의 품질 저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곡물의 종류에 상관이 없이 건조가 가능한 다목적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곡물의 파손으로 인한 품질 저하를 최소로 할 수 있는 다목적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곡립 및 종자류의 건조속도를 조절하는 곡물배출장치는 앞 낡개가 꺽인 방향으로 회전하며 시계 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태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날개부, 이중 구조를 갖는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끼임 방지부, 상기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일정 부분 감싸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부의 종단이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곡립 및 종자류의 건조속도를 조절하는 곡물배출장치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태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날개부, 이중 구조를 갖는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끼임 방지부, 상기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일정 부분 감싸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부의 종단이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되며, 중앙부와 종단 사이에 일정한 각도로 꺽인 형상을 갖는 제1 날개부, 기 제1 날개부의 후단에 형성되며, 직선 형태를 갖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곡물배출장치의 날개부에 유연한 재질로 연장하여 곡물배출장치의 날개부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와 뒷판 사이의 틈을 완전히 제거한다. 이로 인해 다목적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건조 과정에서 곡물의 끼임 및 배출 중 하중으로 인한 곡물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건조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곡물 건조기에 외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곡물배출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는 회전축, 날개부, 뒷판, 끼임 방지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곡물배출장치는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06)을 형성하고 있으며, 회전축(306)은 날개부(302)를 형성하고 있다. 날개부(302)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알아보도록 한다. 날개부(302)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302) 사이에 끼임 방지부(304)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끼임 방지부(304)는 우레탄을 포함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곡물배출장치는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는 곡물의 낙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뒷판(300)을 형성하고 있다. 뒷판(300)으로 낙하된 곡물은 배출장치로 이송된다. 배출장치로 이송된 곡물은 목표 함수율에 도달한 경우에는 외부로 배출되며, 목표 함수율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 건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버켓 엘리베이터로 이송된다. 도 3에 의하면, 날개부(302)와 끼임 방지부(304)는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날개부(302)와 끼임 방지부(304)를 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는 회전축, 날개부, 뒷판, 끼임 방지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곡물배출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다목적 곡물 건조기는 복수의 곡물배출장치를 포함하며, 도 2에 의하면, 다목적 곡물 건조기는 6개의 곡물배출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크기나 형상에 따른 곡물배출장치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회전축(306)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물론 회전축(306)을 기준으로 뒷판(300)이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축(306)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회전축(306)과 뒷판(300)의 위치에 따라 회전축(306)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306)의 단면은 8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 역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회전축(306)의 단면은 원형 또는 6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곡물배출장치는 회전축(306)을 구성하고 있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날개부(302)를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302)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날개부의 길이는 회전축의 모서리와 뒷판(300)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1 날개부의 중앙과 종단의 사이에 일정 각도로 꺽인 형상을 하고 있다. 꺽인 각도는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관련된다. 즉, 꺽인 각도는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꺽인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회전 방향으로 제1 날개부를 꺽는 이유는 위로부터 하중을 받아 뭉쳐진 곡물을 긁어서 내리기 위해서이다.
제2 날개부는 제1 날개부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1 날개부와 달리 꺽인 형상을 가지지 않고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끼임 방지부(304)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우레탄 재질을 이용하여 끼임 방지부(304)를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다.
끼임 방지부(304)의 길이는 회전축(306)의 모서리와 뒷판(300)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축(306)의 모서리와 뒷판(300) 사이의 간격보다 끼임 방지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날개부(302)로 낙하된 곡물은 날개부(302)와 뒷판(300) 사이에 끼이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끼임 방지부(304)는 날개부(302)와 뒷판(300) 사이의 틈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날개부(302)와 뒷판(300) 사이에 곡물이 끼여 곡물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곡물배출장치는 뒷판(300)을 형성하고 있다. 뒷판(300)은 일정한 직선 형태로 구성된 직선부와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부로 형성된다. 물론 뒷판(300)은 직선부를 형성하는 대신 상이한 곡률을 갖는 곡선부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끼임 방지부(304)는 종단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뒷판(300)을 미끄러지듯이 접촉하게 된다.
도 4는 하나의 날개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날개부의 개수는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3은 4개의 날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회전축의 형상이나 다목적 곡물 건조기의 형상에 따라 날개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300: 뒷판 302: 날개부
304: 끼임 방지부 306: 회전축

Claims (8)

  1. 곡립 및 종자류의 건조속도를 조절하는 곡물배출장치에 있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태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날개부;
    이중 구조를 갖는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끼임 방지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부의 종단이 상기 날개부의 종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뒷판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되며, 중앙부와 종단 사이에 특정 각도로 꺽인 형상을 갖는 제1 날개부;
    상기 제1 날개부의 후단에 형성되며, 직선 형태를 갖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부는 우레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배출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날개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배출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 제2 날개부 및 끼임 방지부는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배출장치.
  7. 곡립 및 종자류의 건조속도를 조절하는 곡물배출장치에 있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각형의 기둥 형태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이중 구조로 형성된 날개부;
    이중 구조를 갖는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끼임 방지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부의 종단이 상기 날개부의 종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뒷판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되며, 중앙부와 종단 사이에 일정한 각도로 꺽인 형상을 갖는 제1 날개부;
    상기 제1 날개부의 후단에 형성되며, 직선 형태를 갖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날개부의 꺽인 방향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배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부는 우레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배출장치.
KR1020120044157A 2012-04-26 2012-04-26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 KR10135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157A KR101358381B1 (ko) 2012-04-26 2012-04-26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157A KR101358381B1 (ko) 2012-04-26 2012-04-26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917A KR20130120917A (ko) 2013-11-05
KR101358381B1 true KR101358381B1 (ko) 2014-02-05

Family

ID=4985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157A KR101358381B1 (ko) 2012-04-26 2012-04-26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450B1 (ko) 2016-11-03 2018-04-30 진성인덱스트리 주식회사 회전형 건조장치
KR101899758B1 (ko) 2018-04-12 2018-09-17 박진성 분말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3787A (zh) * 2014-12-12 2016-04-20 李宏江 五谷自然干燥仓储装置
CN104807310B (zh) * 2015-05-06 2017-01-18 佐竹机械(苏州)有限公司 智能等热量温控装置及循环式谷物干燥机
KR102472975B1 (ko) * 2021-11-23 2022-11-30 김공배 곡물 연속 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096Y2 (ja) * 1990-05-30 1996-09-18 金子農機株式会社 穀物乾燥機における残穀排出装置
JP2510969Y2 (ja) * 1990-02-27 1996-09-18 金子農機株式会社 大豆乾燥機における残穀排出装置
JP2009292622A (ja) 2008-06-06 2009-12-17 Nec Infrontia Corp プリンタにおける連続用紙の搬送、ガイド及び保持機構
JP2010235893A (ja) 2009-03-31 2010-10-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の脱圧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969Y2 (ja) * 1990-02-27 1996-09-18 金子農機株式会社 大豆乾燥機における残穀排出装置
JP2511096Y2 (ja) * 1990-05-30 1996-09-18 金子農機株式会社 穀物乾燥機における残穀排出装置
JP2009292622A (ja) 2008-06-06 2009-12-17 Nec Infrontia Corp プリンタにおける連続用紙の搬送、ガイド及び保持機構
JP2010235893A (ja) 2009-03-31 2010-10-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の脱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450B1 (ko) 2016-11-03 2018-04-30 진성인덱스트리 주식회사 회전형 건조장치
KR101899758B1 (ko) 2018-04-12 2018-09-17 박진성 분말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917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381B1 (ko) 곡물 건조기의 배출 장치
KR100968966B1 (ko)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TWI781957B (zh) 穀物乾燥機及該穀物乾燥機之使用方法
CN106595248A (zh) 木材风热式干燥箱
US10995990B2 (en) Rotary dryer with multi-drying chambers
RU2663595C1 (ru) Зерносушилка камерная
RU187214U1 (ru) Зерносушилка шахтная жалюзийная
CN106643025B (zh) 带导流装置的木材干燥室
JP6417918B2 (ja) 穀物乾燥機
RU2388886C2 (ru) Способ выгрузки и загруз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сортировки, сушки, хранения, а также дальнейшей переработки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хранилище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способ сушки сыпуч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8230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RU2571315C2 (ru) Вертикальное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21744A (ko)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JP2008175415A (ja) 穀物乾燥機
US3426442A (en) Drying apparatus for cereals
KR20150089180A (ko)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CN204070344U (zh) 一种食品烘干设备
RU2597275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и измель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ых продуктов и их сочетаний и сушил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7299869U (zh) 一种提高批式循环谷物干燥机干燥均匀性的装置
CN208653143U (zh) 一种肥料干燥筛选装置
RU2281446C1 (ru) Шахтная сушилка конструкции буркова л.н.
RU2489657C1 (ru) Сушилка для сыпучих термочувств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2472691C2 (ru)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транспортер для зерна
RU170900U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равнивания и разгрузки зерна для площадки активного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EP2503272A2 (en) Device for drying loos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