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596B1 -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596B1
KR101357596B1 KR1020120099027A KR20120099027A KR101357596B1 KR 101357596 B1 KR101357596 B1 KR 101357596B1 KR 1020120099027 A KR1020120099027 A KR 1020120099027A KR 20120099027 A KR20120099027 A KR 20120099027A KR 101357596 B1 KR101357596 B1 KR 10135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test
information
test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범
황윤형
이혁기
신민경
기상렬
남찬혁
김세현
강래청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9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44Tests performed "in situ" or after "in situ"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정보에 따라 시험 차량을 구동시키는 섀시 다이나모미터, 시험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하는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섀시 다이나모미터로부터 입력된 시험 차량의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가상 도로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 제어부에서 생성된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의 좌표에 따라 가상 주변물체와 시험 차량을 가상 도로환경 정보에 결합하여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TEST EVALUATION APPARATUS OF COLLISION AVOIDANCE SYSTEM}
본 발명은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환경에서 시험 차량의 주행상황을 반영하여 충돌예방시스템의 시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증가에 따른 도로 교통의 혼잡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차량 충돌(추돌)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차량의 충돌사고의 가장 큰 문제점은 차량의 외부 상황을 운전자가 모두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차량의 외부에는 운전자가 인식하기 힘든 시야의 사각지대(D-dead zone) 발생하고, 이러한 사각지대에 다른 차량이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에 따라 차량 간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사각지대는 교차로, 커브길, 언덕, 주차 등의 주행하는 도로 형태 및 다른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날씨(눈, 비, 안개, 우박 등)에 따른 환경요소로 사각지대가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충돌 현상을 방지하고자, 다양한 충돌예방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한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는 상기한 충돌예방시스템을 시험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써, 시뮬레이션 시험의 경우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에 비전 센서를 설치하여 비전 기반 충돌예방시스템 로직, 차량 모델 등을 HILS(Hardware-in-the-Loop Simulation)로 연계하여 시험을 수행한다.
또는 실차 시험은 실제 주행로에서 시험하거나 실내 환경에서 전방 물체 더미 등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시뮬레이션 시험은 실차 기반이 아니므로 시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실내 시험은 공간의 제약으로 다양한 시각적 환경을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실내 시험은 보행자 보호시스템 및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 등 비전 센서에 기반을 둔 충돌예방시스템 및 운전자지원시스템의 시험 평가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비전 센서와 레이더 센서, 라이다 센서 등 거리감지 센서를 융합한 센서융합 시스템에 대한 시험 평가 환경 구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9-0016183호(2009.02.13)의 '차량의 충돌 예방 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가상환경에서 시험 차량의 주행상황을 반영하여 충돌예방시스템의 시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는 주행정보에 따라 시험 차량을 구동시키는 섀시 다이나모미터; 시험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하는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 상기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섀시 다이나모미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험 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가상 도로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에 따라 상기 가상 주변물체와 상기 시험 차량을 상기 가상 도로환경 정보에 결합하여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움직임 정보는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위치, 속도,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시험 차량의 이동 거리, 속도 및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되는 비전 센서의 화각이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영상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는 주행정보에 따라 시험 차량을 구동시키는 섀시 다이나모미터; 시험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하는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 상기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섀시 다이나모미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험 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가상 도로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에 다라 상기 가상 주변물체와 상기 시험 차량을 상기 가상 도로환경 정보에 결합하여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에 따라 상기 시험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제 주변물체를 모사하는 주변물체 모사장치; 및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주변물체와 상기 실제 주변물체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변물체 모사장치는 상기 실제 주변물체를 형상화한 더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변물체 모사장치는 상기 실제 주변물체를 형상화한 더미; 및 상기 더미를 이송시키는 이송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변물체 모사장치는 상기 실제 주변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에 따라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된 거리감지 센서로 출력되는 레이더 신호의 출력 특성을 조절하여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된 거리감지 센서로 송신하는 레이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움직임 정보는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위치, 속도,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시험 차량의 이동 거리, 속도 및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되는 비전 센서의 화각이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영상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험 차량이 섀시 다이나모미터 상에서 주행하도록 하고, 섀시 다이나모미터와 가상환경을 연계하여 가상환경에 시험차량의 주행상황을 반영하여 비전 기반 충돌예방 시스템 및 운전자지원시스템에 대한 실내 환경에서의 실차연계 시험평가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환경에서 도로이용자, 도로시설물, 주변환경 등 다양한 시각적 환경을 재현하고, 이를 통해 실내 환경에서의 비전 기반 충돌예방 시스템 및 운전자지원 시스템에 대한 풍부한 실차 연계 시험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더 센서, 라이다 센서 등 거리감지 센서에 대응하기 위해 실물 주변물체 모사장치를 연계하여 센서융합 시스템에 대한 실내 환경에서의 실차연계 시험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설치 구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시험 차량 및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설치 구조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시험 차량 및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가상 주변물체와 실제 주변물체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반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설치 구조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시험 차량 및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 다이나모미터(10),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20). 제어부(40),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30), 영상 생성부(50) 및 영상 표시부(60)를 포함한다.
섀시 다이나모미터(10)는 차량을 구동시켜 차량 성능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하고 시험 차량(90)의 주행 정보를 제어부(30)로 입력한다. 이러한 섀시 다이나모미터(10)는 차량을 회전롤러(미도시) 위에 안착시키고, 이 회전롤러를 모터(미도시)로 구동시켜 차량이 실제 도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재현하여 각종 차량 성능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주행정보는 시험 차량(90)의 이동 거리, 속도 및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20)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를 위한 각종 시험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시험 시나리오 정보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를 위해 주행 상황 등을 반영한 시험 시나리오와 관련된 정보로써, 움직임 정보가 포함되며, 이 움직임 정보에는 가상 주변물체들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이 포함된다.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30)는 가상 도로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가상 도로환경 정보에는 가상 도로환경 예를 들어, 직선로, 곡선로, 경사로 등 실제 도로환경이 반영된 다양한 가상 도로환경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섀시 다이나모미터(10)로부터 입력된 시험 차량(90)의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90)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영상 생성부(50)에 입력한다.
제어부(40)가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90)의 좌표를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섀시 다이나모미터(10)로부터 시험 차량(90)의 주행정보에 정의된 이동거리를 획득하고(S11),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20)에서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 정의된 가상 주변물체들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한다(S13).
제어부(40)는 시험 차량(90)의 이동거리와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면, 시험 차량(90)의 이동거리와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시점에서의 시험 차량(90) 및 가상 주변 물체들에 대한 좌표{(xi(t), yi(t))| i=1,2,..,n}를 계산한다(S15).
이후, 제어부(40)는 상기한 과정을 거쳐 계산된 좌표를 가상영상 내의 절대 좌표계로 변환(S17)하여 영상 생성부(50)에 전달한다.
영상 생성부(50)는 제어부(40)에서 생성된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90)의 좌표에 가상 주변물체와 시험 차량(90)을 가상 도로환경 정보에 위치시킴으로써,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가상 주행환경 영상으로 가상 도로환경과 시험 차량(90) 및 가상 주변물체가 표시된다.
영상 표시부(60)는 영상 생성부(50)에서 생성된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 표시부(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프로젝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6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차량(90)에 설치된 비전 센서(91)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 경우 영상 표시부(60)는 영상 표시부(6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주행환경 영상내에 비전 센서(91)의 화각이 포함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비전 센서(91)에서는 실제 환경의 물체를 감지하지 않고, 가상 주행환경 영상 내의 가상 주행물체만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비전 센서(91)는 시험 차량(90)의 전방 유리창에 설치된다. 비전 센서(91)는 상기한 전방 유리창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험 차량(9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부(6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시험 차량(90)에 설치된 비전 센서(91)가 감지함으로써, 비전 센서(91)에서 감지된 가상 주변물체와의 시험 차량(90)간의 충돌 등과 같은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영상 표시부(60)를 통해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비전 센서(91)를 통해 가상 주변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실물 주변물체를 주행환경에 따라 모사하는 주변물체 모사장치(70)를 추가하고, 가상 주행환경 영상에 표시되는 가상 주변물체에 대응하여 실제 주변물체를 주변물체 모사장치(70)를 통해 모사하고, 이 실물 주변물체를 시험 차량(90)에 설치된 거리감지 센서(92)로 감지함으로써, 실물 주행환경으로 구현이 어려운 센서융합 시스템 대상의 풍부한 시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설치 구조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시험 차량 및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가상 주변물체와 실제 주변물체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 다이나모미터(10),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20). 제어부(40),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30), 영상 생성부(50), 영상 표시부(60) 및 주변물체 모사장치(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40)는 상기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서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와 및 섀시 다이나모미터(10)로부터 입력된 시험 차량(90)의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90)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영상 생성부(50)와 주변물체 모사장치(70)로 입력한다.
제어부(40)가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90)의 좌표를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섀시 다이나모미터(10)로부터 시험 차량(90)의 주행정보에 정의된 이동거리를 획득하고(S21),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20)에서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 정의된 가상 주변물체들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한다(S23).
제어부(40)는 시험 차량(90)의 이동거리와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면, 시험 차량(90)의 이동거리와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시점에서의 시험 차량(90) 및 가상 주변 물체들에 대한 좌표{(xi(t), yi(t))| i=1,2,..,n}를 계산한다(S25).
이후, 제어부(40)는 상기한 과정을 거쳐 계산된 시험 차량(90)에 대한 좌표를 시험 차량 기준 상대 좌표계로 변환하여 주변물체 모사장치(70)에 입력하고, 가상 주변물체들의 좌표를 가상영상 내의 절대 좌표계로 변환하여(S29) 영상 생성부(50)에 입력한다.
주변물체 모사장치(7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로부터 입력된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시험 차량(90)의 좌표에 따라 시험 차량(90)을 기준으로 실제 주변물체를 모사한다. 이에 따라, 주변물체 모사장치(70)에 의해 모사되는 실제 주변장치는 영상 표시부(60)에서 표시되는 가상 주행환경의 가상 주변물체와 동기화되게 된다.
이 경우, 차량에 설치되는 거리감지 센서(92)는 실제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에 입력함으로써,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에 활용되게 된다.
이러한 주변물체 모사장치(70)는 실제 주변물체를 형상화한 더미와, 이 더미를 이송시키는 이송 기기가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를 통해 실제 주행환경의 물체를 반영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이러한 더미를 이송 기기가 이송시킴으로써, 실제 주행환경에 더욱 정확하게 반영된 시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는 주변물체 모사장치(70)는 레이더 시뮬레이터가 채용될 수 있는데, 레이더 시뮬레이터는 실제 주변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에 따라 거리감지 센서(92)로 출력되는 레이더 신호의 출력 특성을 조절하여 시험 차량(90)에 설치된 거리감지 센서(92)로 송신함으로써, 상기한 더미 등이 필요없이 실제 주변물체를 매우 근접하게 모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의 반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반사경(82)과 지지대(81)를 포함하는 반사부(80)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제1,2실시예에서, 영상 표시부(60)는 비전 센서(91)의 초점거리 및 화각에 따라 비전 센서(91)의 전방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영상 표시부(60)의 설치 위치가 제한적이다. 이 경우, 시험자 등이 영상 표시부(6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주행환경을 인식하기가 어렵다.
반사경(82)은 복수 개가 지지대(81)에 의해 설치되어 영상 표시부(6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주행환경을 반사시켜 표시함으로써, 비전 센서(91)를 통해 특정 반사경(82)에 표시되는 가상 주행환경의 가상 주변물체를 감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반사경(82)은 그 크기와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개수와 크기로 설정된다. 이러한 반사경(82)은 영상 표시부(60)의 설치 위치를 시험자 등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영상 표시부(60)를 시험 평가에 적합한 다양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섀시 다이나모미터 20: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
30: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 40: 제어부
50: 영상 생성부 60: 영상 표시부
70: 주변물체 모사장치 80: 반사부
81: 지지대 82: 반사경
90: 시험 차량 91: 비전 센서
92: 거리감지 센서

Claims (14)

  1. 주행정보에 따라 시험 차량을 구동시키는 섀시 다이나모미터;
    시험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하는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
    상기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섀시 다이나모미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험 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가상 도로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에 따라 상기 가상 주변물체와 상기 시험 차량을 상기 가상 도로환경 정보에 결합하여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되는 비전 센서의 화각이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는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위치, 속도,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시험 차량의 이동 거리, 속도 및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6. 주행정보에 따라 시험 차량을 구동시키는 섀시 다이나모미터;
    시험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하는 시험 시나리오 정보 저장부;
    상기 시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주변물체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섀시 다이나모미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험 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가상 도로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 도로환경 정보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에 따라 상기 가상 주변물체와 상기 시험 차량을 상기 가상 도로환경 정보에 결합하여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좌표와 상기 시험 차량의 좌표에 따라 상기 시험 차량을 기준으로 실제 주변물체를 모사하는 주변물체 모사장치; 및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되는 비전 센서의 화각이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주변물체와 상기 실제 주변물체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물체 모사장치는
    상기 실제 주변물체를 형상화한 더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물체 모사장치는
    상기 실제 주변물체를 형상화한 더미; 및
    상기 더미를 이송시키는 이송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물체 모사장치는
    상기 실제 주변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에 따라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된 거리감지 센서로 출력되는 레이더 신호의 출력 특성을 조절하여 상기 시험 차량에 설치된 거리감지 센서로 송신하는 레이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는 상기 가상 주변물체의 위치, 속도,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시험 차량의 이동 거리, 속도 및 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13. 삭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 주행환경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KR1020120099027A 2012-09-06 2012-09-06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KR10135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27A KR101357596B1 (ko) 2012-09-06 2012-09-06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27A KR101357596B1 (ko) 2012-09-06 2012-09-06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596B1 true KR101357596B1 (ko) 2014-02-06

Family

ID=5026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27A KR101357596B1 (ko) 2012-09-06 2012-09-06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596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91B1 (ko) 2014-06-25 2014-10-3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행시험용 더미 및 이를 이용한 주행시험 시스템
KR20160108016A (ko) * 2015-03-06 2016-09-19 주식회사 인폼 자율 제동 테스트 장치 및 방법
US20170363719A1 (en) * 2016-06-20 2017-12-21 Rohde & Schwarz Gmbh & Co. Kg Radar target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10176634B2 (en) 2015-10-16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e boundary detection data generation in virtual environment
KR101941432B1 (ko) * 2018-07-09 2019-01-23 조수희 주행 시뮬레이션 장치
CN112113593A (zh) * 2019-06-20 2020-12-22 宝马股份公司 用于测试车辆的传感器配置的方法和系统
KR102216341B1 (ko) * 2019-12-16 2021-02-17 한국광기술원 헤드램프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JP2021507247A (ja) * 2017-12-21 2021-02-22 アーファオエル・リスト・ゲーエムベーハー 設備の自動化システムを分析するための方法、設備の自動化システムを少なくとも部分的にバーチャル運転するためのエミュレータおよび設備の自動化システムを分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210394753A1 (en) * 2020-06-18 2021-12-23 Hyundai Mobis Co., Ltd. System for avoiding blind spo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14185320A (zh) * 2020-09-15 2022-03-15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无人系统集群的测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443915B1 (ko) * 2022-04-28 2022-09-19 대한민국 긴급제동장치의 사고 분석을 위한 주행 시뮬레이터
KR102443919B1 (ko) * 2022-04-28 2022-09-19 대한민국 긴급제동장치의 사고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WO2024049912A1 (en) * 2022-08-31 2024-03-07 Zoox, Inc. Safety framework with calibration error inj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68U (ko) * 1989-06-06 1991-01-23
KR100904767B1 (ko) * 2007-08-10 2009-06-29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의 충돌 예방 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68U (ko) * 1989-06-06 1991-01-23
KR100904767B1 (ko) * 2007-08-10 2009-06-29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의 충돌 예방 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10년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11) *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91B1 (ko) 2014-06-25 2014-10-3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행시험용 더미 및 이를 이용한 주행시험 시스템
KR20160108016A (ko) * 2015-03-06 2016-09-19 주식회사 인폼 자율 제동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658609B1 (ko) 2015-03-06 2016-09-21 주식회사 인폼 자율 제동 테스트 장치 및 방법
US10176634B2 (en) 2015-10-16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e boundary detection data generation in virtual environment
US10453256B2 (en) 2015-10-16 2019-10-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e boundary detection data generation in virtual environment
JP2017227616A (ja) * 2016-06-20 2017-12-28 ローデ ウント シュヴァルツ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レーダターゲットシミュレーションデバイス及び方法
EP3282279A1 (en) * 2016-06-20 2018-02-14 Rohde & Schwarz GmbH & Co. KG Radar target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CN107526065A (zh) * 2016-06-20 2017-12-29 罗德施瓦兹两合股份有限公司 雷达目标仿真设备和方法
JP7000016B2 (ja) 2016-06-20 2022-01-19 ローデ ウント シュヴァルツ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レーダターゲットシミュレーションデバイス及び方法
US10527715B2 (en) * 2016-06-20 2020-01-07 Rohde & Schwarz Gmbh & Co. Kg Radar target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20170363719A1 (en) * 2016-06-20 2017-12-21 Rohde & Schwarz Gmbh & Co. Kg Radar target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11143745B2 (en) 2016-06-20 2021-10-12 Rohde & Schwarz Gmbh & Co. Kg Radar target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JP2021165750A (ja) * 2016-06-20 2021-10-14 ローデ ウント シュヴァルツ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レーダターゲットシミュレーションデバイス及び方法
JP7346498B2 (ja) 2016-06-20 2023-09-19 ローデ ウント シュヴァルツ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レーダターゲットシミュレーションデバイス及び方法
JP2021507247A (ja) * 2017-12-21 2021-02-22 アーファオエル・リスト・ゲーエムベーハー 設備の自動化システムを分析するための方法、設備の自動化システムを少なくとも部分的にバーチャル運転するためのエミュレータおよび設備の自動化システムを分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941432B1 (ko) * 2018-07-09 2019-01-23 조수희 주행 시뮬레이션 장치
CN112113593A (zh) * 2019-06-20 2020-12-22 宝马股份公司 用于测试车辆的传感器配置的方法和系统
KR102216341B1 (ko) * 2019-12-16 2021-02-17 한국광기술원 헤드램프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94753A1 (en) * 2020-06-18 2021-12-23 Hyundai Mobis Co., Ltd. System for avoiding blind spo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14185320A (zh) * 2020-09-15 2022-03-15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无人系统集群的测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4185320B (zh) * 2020-09-15 2023-10-24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无人系统集群的测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443915B1 (ko) * 2022-04-28 2022-09-19 대한민국 긴급제동장치의 사고 분석을 위한 주행 시뮬레이터
KR102443919B1 (ko) * 2022-04-28 2022-09-19 대한민국 긴급제동장치의 사고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WO2024049912A1 (en) * 2022-08-31 2024-03-07 Zoox, Inc. Safety framework with calibration error inj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596B1 (ko) 충돌예방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US10586117B2 (en) Allowing drivers or driverless vehicles to see what is on the other side of an obstruction that they are driving near, using direct vehicle-to-vehicle sharing of environment data
Krämmer et al. Providentia--A Large-Scale Sensor System for the Assistance of Autonomous Vehicles and Its Evaluation
KR101664582B1 (ko) 자율주행차량의 주행경로 생성장치 및 방법
US11181737B2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isplay items having movement attribute or fixed attribut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100904767B1 (ko) 차량의 충돌 예방 시스템 시험 평가 장치
US20200269759A1 (en) Superimposed-imag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CN112997060A (zh) 用于修改自主车辆的控制单元的方法和系统
Galko et al. Vehicle-Hardware-In-The-Loop system for ADAS prototyping and validation
JP2016506572A (ja) インフォテイメントシステム
WO2014141526A1 (ja) 車両用危険場面再現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WO2008069189A1 (ja) 運転模擬評価方法、運転模擬評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009717A (ja) 自転車運転シミュレータ
WO2019038904A1 (ja) 周囲車両表示方法及び周囲車両表示装置
CN106864369A (zh) 停车辅助环场影像系统
JP2019206256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526708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95333B1 (ko) 증강현실 기반 실차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JP2019117435A (ja) 画像生成装置
JP2009128395A (ja) ドライビ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113625594A (zh) 一种自动驾驶仿真方法及仿真系统
Tonnis et al. Visualization of spatial sensor data in the context of automotive environment perception systems
Formosa et al. Evaluating the Impact of Lane Marking Quality on th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JP7333445B2 (ja) 画像生成装置
WO2022137558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