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190B1 -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90B1
KR101357190B1 KR1020120027946A KR20120027946A KR101357190B1 KR 101357190 B1 KR101357190 B1 KR 101357190B1 KR 1020120027946 A KR1020120027946 A KR 1020120027946A KR 20120027946 A KR20120027946 A KR 20120027946A KR 101357190 B1 KR101357190 B1 KR 10135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luid control
fluid
hous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215A (ko
Inventor
이명상
Original Assignee
이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상 filed Critical 이명상
Priority to KR102012002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9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1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3/1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by movement of th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유량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102)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연 일측으로 조절부(104)가 형성되며, 직선유로상의 유입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제1플랜지(106)가 형성된 유입본체하우징(100)과; 유출구(202)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202)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직선유로상의 유출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1플랜지(106)와 플랜지결합되어 상기 유출구(202)와 상기 유입구(102)가 동일 직선유로상에 위치되도록 제2플랜지(204)가 형성된 유출본체하우징(200)과; 상기 유입본체하우징(100)의 직선유로 내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104)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개방된 중공부(302)가 형성되어 내주연에 기밀홈(304)이 형성된 트림하우징(300)과; 상기 트림하우징(300) 내측의 중공부(302)에 기밀결합되고,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를 밀폐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플러그(414)가 형성된 유체제어수단(400)과; 일측 외주연으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이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개방된 중공부(3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3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일측 외주연의 반대편측인 타측 외주연으로 수나사(502)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 내주연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디스크 부재(5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유량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Prefabricated valve Fluid Control}
본 발명은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유체제어밸브 하우징을 유입구측과 배출구측으로 나누어 플랜지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량제어수단의 설치가 간편하고, 파손 및 오작동 등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한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는 유체 등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 상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제어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에는 공압에 의한 방법과 기계적구성에 의한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여기서, 전자의 공압에 의한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좌우로 분할형성되어 유입구과 유출구이 좌우측으로 형성되고, 외연 일측면에 개방공압공과 폐쇄공압공이 마련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유입구과 유출구 내측으로 구비되고, 유출구측 일측에 개폐면이 형성되어 일정거리를 상기 개폐공압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압에 의해 왕복이동토록 형성된 개폐작동변(유체제어수단)과, 상기 유출구측 개폐작동변의 일측으로 개폐면이 가압접촉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개폐제어되도록 고정설치되어 형성된 디스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자의 기계적 작동에 의한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구성을 살펴보면 공압에 의한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구성과 동일하되, 공압에 의해 왕복이동토록 형성된 개폐작동변이 링크결합에 따른 회전 또는 레크와 피니언에 의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기계적 구성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는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내부에 개폐작동변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설치가 되더라도 이후 파손이나 오작동 등에 따른 유지보수가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 및 추가 구매비용의 지출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공압방식이나 기계적 방식 모두 유체제어의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자의 공압방식은 공압의 세기에 따라 유체제어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체 이송시 공압의 세기가 떨어지거나 순간적으로 공압이 하강하면 오작동과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정량의 제어가 용이하지 못하고, 기계적 방식 또한 장시간 사용시 내부 부품의 마모 및 내구성 저하로 인해 정밀성이 떨어진다. 더욱이, 기계적 방식에서 링크에 의한 회전식의 경우 링크의 회전반경에 따라 개폐작동변의 전후 이동거리가 결정되는 만큼 그 정확성을 유지하여 제어하기란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크와 피니언 방식의 전후이격방식 또한 외부에서 작동구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부속품이 필요하여 그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는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개폐작동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개폐작동변의 기밀성을 유지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으로 인해 우수한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므로 결국 유체 등의 흐름을 확실히 제어할수 없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유체제어밸브 하우징을 유입구측과 배출구측으로 나누어 플랜지 결합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체제어를 위해 개폐작동하도록 구비되는 유량제어수단의 내부설치가 간편하고, 파손 및 오작동 등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한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를 조립식으로 형성함에 따라 유량제어수단의 내부설치시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여 유체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압, 기계, 전기적 방식의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를 형성하기 위한 공압, 기계, 전기적 방식의 유체제어수단의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크게 향상된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량제어용 개폐밸브는 유입구(102)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연 일측으로 조절부(104)가 형성되며, 직선유로상의 유입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제1플랜지(106)가 형성된 유입본체하우징(100)과; 유출구(202)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202)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직선유로상의 유출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1플랜지(106)와 플랜지결합되어 상기 유출구(202)와 상기 유입구(102)가 동일 직선유로상에 위치되도록 제2플랜지(204)가 형성된 유출본체하우징(200)과; 상기 유입본체하우징(100)의 직선유로 내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104)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개방된 중공부(302)가 형성되어 내주연에 기밀홈(304)이 형성된 트림하우징(300)과; 상기 트림하우징(300) 내측의 중공부(302)에 기밀결합되고,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를 밀폐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플러그(414)가 형성된 유체제어수단(400)과; 일측 외주연으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이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개방된 중공부(3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3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일측 외주연의 반대편측인 타측 외주연으로 수나사(502)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 내주연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디스크 부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104)에는 상기 트림하우징(30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04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 내측 중앙으로 나사공(412)이 형성되고, 타단 둘레로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의 유체 흐름 제어시, 기밀성을 유지토록 플러그(414)가 형성된 유체제어유닛(410)과;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중공부(302)에 안치결합되는 구동모터(420)와; 일측이 상기 나사공(41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420)에 축결합되어 구동모터(4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공(412)에 결합된 일측이 정역회전하여 상기 유체제어유닛(410)이 전후조정되도록 형성된 구동유닛(4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크부재(500)는 타측으로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암나사에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반대편측으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에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외연둘레로 시트홈(512)이 형성되어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개방된 중공부(302)측으로 기밀대응되는 기밀돌출부(510)와; 상기 수나사와 기밀돌출부(510) 사이에 형성되고, 유체가 이동되는 유통로(5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유체제어밸브 하우징을 유입구측과 배출구측으로 나누어 플랜지 결합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체제어를 위해 개폐작동하도록 구비되는 유량제어수단의 내부설치가 간편하고, 파손 및 오작동 등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를 조립식으로 형성함에 따라 유량제어수단의 내부설치시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여 유체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공압, 기계, 전기적 방식의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를 형성하기 위한 공압, 기계, 전기적 방식의 유체제어수단의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크게 향상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요용 개폐밸브는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유체제어밸브 하우징을 유입구측과 배출구측으로 나누어 플랜지 결합되도록 조립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체제어를 위해 개폐작동하도록 구비되는 유량제어수단의 내부설치가 간편하고, 파손 및 오작동 등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우수한 기밀성을 통해 유체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범용성이 크게 향상되어 공압, 기계, 전기적 방식의 유체제어수단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본체하우징(100), 유출본체하우징(200), 트림하우징(300), 유체제어수단(400), 디스크부재(500)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본체하우징(100)은 유체가 최초 유입되는 것으로, 유입구(102)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연 일측으로 조절부(1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직선유로상의 유입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제1플랜지(10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104)는 후술되는 유체제어수단이 공압방식이 적용될 경우에는 공기의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기계방식의 경우에는 샤프트 등의 부품이 외부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관통되며, 본원 발명과 같이 전기 방식의 모터가 안착되는 경우에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선 등의 부속품이 연계되도록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104)에는 후술되는 유체제어수단이 설치되는 트림하우징(30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0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106)는 후술되는 제2플랜지와 플랜지결합하되 상기 유입본체하우징(100)과 후술된는 유출본체하우징의 결합부의 기밀유지가 용이하도록 플랜지 외주연 둘레로 다수의 체결공(부호생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은 유출본체하우징(200)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유출구(202)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202)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직선유로상의 유출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1플랜지(106)와 플랜지결합되어 상기 유출구(202)와 상기 유입구(102)가 동일 직선유로상에 위치되도록 제2플랜지(204)가 형성된다.
상기 트림하우징(300)은 유체제어수단이 기밀이 유지된 상태의 밸브체 내부에 정상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상기 유입본체하우징(100)의 직선유로 내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104)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트림하우징(300)은 상기 유입본체하우징(100)의 유입구(102)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유입구측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선형의 반대편측인 타측으로 개방된 중공부(3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 내주연에는 후술되는 유체제어수단이 전후슬라이딩 작동시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패킹(부호생략)이 결합되는 기밀홈(304)이 형성된다.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은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측을 개폐작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림하우징(300) 내측의 중공부(302)에 기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은 유체제어유닛(410), 구동모터(420), 구동유닛(430)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체제어유닛(410)은 전술한 트림하우징(300)의 중공부의 내주연측에 접하고, 후술되는 디스크부재의 기밀돌출부재의 외주연에 기밀결합되어 유출구(202)측으로 전후로 슬라이딩 작동되어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원통형의 일단 내측 중앙으로 후술되는 구동유닛과 결합되는 나사공(412)이 형성되고, 타단 둘레로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의 유체 흐름 제어시, 유출구의 배출체적을 변화하면서 유출구에 최종 접지시 기밀성을 유지토록 플러그(414)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420)는 후술되는 구동유닛(430)을 정역회전하여 전술한 상기 유체제어유닛(410)의 전후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중공부(302)에 안치결합되고, 전술한 조절부(104)의 통공(104a)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동유닛(430)은 전술한 유체제어유닛(410)의 유출구(202)측으로 전후 슬라이딩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모터(420)의 정역회전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일측이 유체제어유닛(410)의 상기 나사공(412)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420)에 축결합되어 구동모터(4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공(412)에 결합된 일측이 정역회전하여 상기 유체제어유닛(410)이 전후조정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430)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볼트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에 의한 유체제어유닛(410)을 제어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에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트림하우징(300)의 중공부(302)에 설치되는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은 공압방식, 링크방식, 레크피니언방식 등에 의한 플러그의 왕복직선운동 제어하는 다양한 유체제어수단의 적용이 가능한 범용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크부재(500)는 전술한 트림하우징(300)의 중공부(302)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이 유출구(202) 측으로 안내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일측 외주연으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이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개방된 중공부(3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 외주연으로 수나사(502)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 부재(500)가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측에 나사결합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부호생략)을 유출구(202)측에 결합한 후, 상기 디스크부재(500)를 나사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디스크부재(500)는 기밀돌출부(510)와 유통로(520)가 형성된다. 상기 기밀돌출부(510)는 타측으로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반대편측으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에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밀돌출부(510)의 외연둘레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의 플러그(414)측 내측으로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오링(부호생략)이 결합되는 시트홈(5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디스크부재(500)는 전술한 트림하우징(300)의 중공부(302) 일단과 유체제어유닛(410) 및 상기 기밀돌출부(510)가 서로 대응되어 중공부(302) 및 기밀돌출부(510)가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유체제어유닛(410)이 유출구(202)측으로 전후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가능하다.
상기 유통로(520)는 상기 디스크부재(500)가 유출구(202)에 결합되더라도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출구(202)측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디스크부재(500)가 유출구측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와 기밀돌출부(510) 사이에 관로와 연통형성되어 유체가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는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구(102)를 통해 유입되면 트림하우징(300)의 유선형상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고, 유출구(202)를 통해 디스크부재(500)의 유통로(5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모터(420)를 정회전시키면 구동유닛(430)이 정회전하고, 구동유닛(430)이 나사결합된 유체제어유닛(410)이 유출구(202)측으로 전진하면서 유출구(202)측의 체적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면서 유체의 배출량이 조정된다. 계속해서 구동모터(420)가 작동되면 유체제어유닛(410)의 플러그(414)가 유출구(202)측의 내주연 벽면에 접지되어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다. 다시 유체의 흐름을 재게하기 위해서는 앞서 상술한 역순으로 작동하면 유체의 흐름이 재게된다.
다시 언급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체결에 의한 플랜지결합으로 유입본체하우징(100)과 유출본체하우징(200)을 기밀결합함에 따라 트림하우징(300) 내부에 유체제어수단(400)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체제어수단(400) 설치시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 및 오링의 결합도 간편하여 조립생산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는 곧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효과적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더욱이, 유입본체하우징(100)과 유출본체하우징(200)이 분해가 용이하여 트림하우징(300) 내부에 설치되는 유체제어수단(400)의 오작동, 고장, 파손 등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개폐밸브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일부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불필요한 개폐밸브의 재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압, 기계식, 전자식 등 다양한 형태의 유체제어수단(400)의 적용이 유리하여 범용 사용이 가능한 것은 더욱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100 : 유입본체하우징
102 : 유입구 104 : 조절부
104a : 통공 106 : 제1플렌지
200 : 유출본체하우징
202 : 유출구 204 : 제2플렌지
300 : 트림하우징
302 : 중공부 304 : 기밀홈
400 : 유체제어수단
410 : 유체제어유닛 412 : 나사공
414 : 플러그 420 : 구동모터
430 : 구동유닛
500 : 디스크부재
510 : 기밀돌출부 512 : 시트홈
520 : 유통로

Claims (4)

  1. 유입구(102)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연 일측으로 조절부(104)가 형성되며, 직선유로상의 유입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제1플랜지(106)가 형성된 유입본체하우징(100)과;
    유출구(202)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202)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직선유로상의 유출구 반대편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1플랜지(106)와 플랜지결합되어 상기 유출구(202)와 상기 유입구(102)가 동일 직선유로상에 위치되도록 제2플랜지(204)가 형성된 유출본체하우징(200)과;
    상기 유입본체하우징(100)의 직선유로 내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104)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개방된 중공부(302)가 형성되어 내주연에 기밀홈(304)이 형성된 트림하우징(300)과;
    상기 트림하우징(300) 내측의 중공부(302)에 기밀결합되고,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를 밀폐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플러그(414)가 형성된 유체제어수단(400)과;
    일측 외주연으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이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개방된 중공부(3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3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일측 외주연의 반대편측인 타측 외주연으로 수나사(502)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 내주연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디스크 부재(5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04)에는 상기 트림하우징(300)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0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 내측 중앙으로 나사공(412)이 형성되고, 타단 둘레로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유출구(202)의 유체 흐름 제어시, 기밀성을 유지토록 플러그(414)가 형성된 유체제어유닛(410)과;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중공부(302)에 안치결합되는 구동모터(420)와;
    일측이 상기 나사공(41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420)에 축결합되어 구동모터(4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공(412)에 결합된 일측이 정역회전하여 상기 유체제어유닛(410)이 전후조정되도록 형성된 구동유닛(4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재(500)는 타측으로 유출본체하우징(200)의 암나사에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반대편측으로 상기 유체제어수단(400)에 기밀밀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외연둘레로 시트홈(512)이 형성되어 상기 트림하우징(300)의 개방된 중공부(302)측으로 기밀대응되는 기밀돌출부(510)와;
    상기 수나사와 기밀돌출부(510) 사이에 형성되고, 유체가 이동되는 유통로(5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KR1020120027946A 2012-03-19 2012-03-19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KR10135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46A KR101357190B1 (ko) 2012-03-19 2012-03-19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46A KR101357190B1 (ko) 2012-03-19 2012-03-19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15A KR20130106215A (ko) 2013-09-27
KR101357190B1 true KR101357190B1 (ko) 2014-02-03

Family

ID=4945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946A KR101357190B1 (ko) 2012-03-19 2012-03-19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974B1 (ko) 2019-04-30 2020-09-23 이명상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플러그 직진성이 향상된 수동식 유체제어수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475A (ko) * 2008-12-26 2010-07-06 (주) 삼진정밀 긴급 차단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475A (ko) * 2008-12-26 2010-07-06 (주) 삼진정밀 긴급 차단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974B1 (ko) 2019-04-30 2020-09-23 이명상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플러그 직진성이 향상된 수동식 유체제어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15A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3619B2 (ja) ステップモータ作動の平衡型流量制御弁
CN203594824U (zh) 阀组件和阀致动器
US9399916B2 (en) Fluid-actuated rotary drive device
KR20160087354A (ko) 스테퍼 모터 작동형 균형 유량 조절 밸브
KR101401086B1 (ko) 조립식 고압유량제어밸브
US20140209342A1 (en) Pneumatic hand tool
JP2018501443A (ja) 真空チャンバのチャンバ壁内のチャンバ開口を閉鎖するドア
JP2007285301A (ja) ポンプ
KR101357190B1 (ko)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
CN103968090A (zh) 蝶-闸式节流阀
CN105332895A (zh) 压缩机及其活塞组件
WO2005108839A1 (en) Motor operated valve for cooling and heating piping
KR101189678B1 (ko) 다기능 버터플라이 밸브
KR101636353B1 (ko) 조립식 3방 유량제어밸브
KR20180054299A (ko) 자동 밸브 장치
CN100348871C (zh) 组合真空发生器
CN219827116U (zh) 紧凑型泵体结构
CN2713189Y (zh) 组合真空发生器
CN203146900U (zh) 粉体用阀
TWI636191B (zh) Pneumatic gear pump
CN210423800U (zh) 三通阀及管路系统
CN203363268U (zh) 卫生隔膜阀
CN220749118U (zh) 一种阀装置
CN218511825U (zh) 燃气切断装置及燃气表
CN213629023U (zh) 多通道气路集成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