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053B1 -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7053B1 KR101357053B1 KR1020110107406A KR20110107406A KR101357053B1 KR 101357053 B1 KR101357053 B1 KR 101357053B1 KR 1020110107406 A KR1020110107406 A KR 1020110107406A KR 20110107406 A KR20110107406 A KR 20110107406A KR 101357053 B1 KR101357053 B1 KR 1013570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tanium dioxide
- solution
- dye
- solar cell
- sensitized solar
- Prior art date
Links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3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980 solge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JMXKSZRRTHPKDL-UHFFFAOYSA-N titanium ethoxide Chemical group [Ti+4].CC[O-].CC[O-].CC[O-].CC[O-] JMXKSZRRTHPK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027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58 nano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596 polymer bind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491 polymer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182 Surly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XPLCAKVOYHAJA-UHFFFAOYSA-N 2-(4-carboxypyridin-2-yl)pyridi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NC(C=2N=CC=C(C=2)C(O)=O)=C1 FXPLCAKVOYHAJ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BNWAMSGVWEHFP-UHFFFAOYSA-N trans-p-Menthane-1,8-diol Chemical compound CC(C)(O)C1CCC(C)(O)CC1 RBNWAMSGVWEH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C01G23/053—Producing by wet processes, e.g. hydrolysing titanium sal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 전극에 사용되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은 이산화티탄 전구체가 포함된 제1 용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 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을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 간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로부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응집시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형성하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및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수열 반응시켜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하는 메조 기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광산란과 광흡수의 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광 전극에 적용함으로써 광전변환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은 이산화티탄 전구체가 포함된 제1 용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 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을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 간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로부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응집시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형성하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및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수열 반응시켜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하는 메조 기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광산란과 광흡수의 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광 전극에 적용함으로써 광전변환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에 대한 기술로소,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가 제어된 계층구조의 TiO2 나노입자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산란층으로 활용하여 효율을 높이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와 그 제조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이다. 1991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Mich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고안된 이후,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PN형 반도체 태양전지에 비해 저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광전에너지 변환효율이 높아 차세대 태양전지의 하나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정공 쌍을 형성하는 염료 분자, 염료 분자의 흡착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자 전달 경로로서의 기능을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의 광전극, 그리고 산화된 염료가 환원될 수 있도록 전자 교환을 할 수 있는 하는 전해질 (I-/I3- 계열의 액체)로 구성되는 광전기화학전지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광전극의 주요 소재는 아나타제(anatase) 상의 TiO2 나노 입자이다. 10-30 nm 크기를 가지는 TiO2 나노 입자 광전극은 큰 비표면적(>50 m2/g)으로 인하여 충분한 양의 염료 분자를 흡착할 수 있고, 흡착된 염료에 비례하여 광흡수가 일어나 광전류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염료 흡착의 증가를 위하여 광흡수층인 TiO2 나노 입자 광전극의 두께를 늘리면 저항이 증가하여 한계 두께 이상에서는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또는 수백 nm 크기의 금속 산화물 입자로 구성된 광산란층을 추가로 광흡수층 위에 도입하여 광흡수층을 투과한 빛을 반사시켜 효율을 증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광산란층으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 산화물 입자는 매우 낮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염료를 흡착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산란과 광흡수의 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전변환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응집시켜 이산화티탄 집합체들을 형성하고, 이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입자 표면의 염료 흡착에 따른 광전류 생산과 기공에 의한 반사 특성에 따른 광산란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은 이산화티탄 전구체가 포함된 제1 용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 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을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 간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로부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응집시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형성하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및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수열 반응시켜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하는 메조 기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는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titanium tetraethoxide)이고,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를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이고, 상기 제2 용액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물 분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비정질의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낮춰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높여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작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조 기공 형성단계에서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에 미리 설정된 온도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투명전도성 기판 상에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상에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이용하여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과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이 형성된 투명전도성 기판을 열처리하여 소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과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에 광감응성 염료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은 이산화티탄 전구체가 포함된 제1 용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 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을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 간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로부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응집시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형성하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및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수열 반응시켜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하는 메조 기공 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는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titanium tetraethoxide)이고,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를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이고, 상기 제2 용액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물 분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비정질의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낮춰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높여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작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조 기공 형성단계에서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에 미리 설정된 온도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의 두께는 10μm 이상 2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의 두께는 5μm 이상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광 흡수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은 광 흡수 및 광 산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산란과 광흡수의 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전변환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응집시켜 이산화티탄 집합체들을 형성하고, 이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입자 표면의 염료 흡착에 따른 광전류 생산과 기공에 의한 반사 특성에 따른 광산란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류-광전압 특성곡선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류-광전압 특성곡선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은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S10) 및 메조 기공 형성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S10)>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S10)에서는, 이산화티탄 전구체로부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생성되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이 응집된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산화티탄 전구체는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titanium tetraethoxide)이고, 제1 용액은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를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이고, 상기 제2 용액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인 경우를 예로 들어,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2에서는,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titanium tetraethoxide)를 0.15M의 농도로 에탄올에 희석시킨 제1 용액과 이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 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 즉, 염화나트륨 (sodium chlroride) 수용액을 0.4-0.7M 농도로 에탄올에 희석시킨 제2 용액을 혼합한다. 후술하겠지만, 제2 용액의 농도에 따라 생성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가 조절된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는, 제1 용액과 제2 용액 간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이산화티탄 전구체인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로부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서는,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졸겔법(sol-gel method)을 이용하여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응집시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단계 S12에서 제2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가수분해 반응에 공급되는 물 분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비정질의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2 용액의 농도를 낮추는 경우 공급되는 물 분자의 양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가수분해 반응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응집되는 이산화티탄 나노분말의 수가 증가하여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가 크게 조절된다.
다른 예로, 제2 용액의 농도를 높이는 경우 공급되는 물 분자의 양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가수분해 반응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응집되는 이산화티탄 나노분말의 수가 감소하여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가 작게 조절된다.
<메조 기공 형성단계(S20)>
메조 기공 형성단계(S20)에서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구성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수열 반응시켜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들(mesopores)을 형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졸겔법을 통하여 만들어진 크기가 제어된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은 물과 에탄올이 1:2로 혼합된 용액의 환경 하에서 수열 반응을 거치게 된다. 이때 수열반응의 온도는 160 ℃, 반응 시간은 16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열 반응을 거치게 되면,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미세한 메조 기공들이 형성되며, 수열 반응의 종료 후에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은 내부에 메조 기공의 네트워크를 갖는 계층 구조를 갖게 된다.
제조된 계층 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에 대하여 무수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정 공정을 수행하여 잔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하나의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T1은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가 1554nm인 경우이고, T2는 757nm인 경우이고, T3는 587nm인 경우이다.
도 2와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나노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는 약 587-1554nm의 크기를 가지게 되며, 그 내부는 약 10nm 크기의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이 응집되어 모여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점은 특히, 587nm의 크기를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촬영한 사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 2의 d)에 잘 나타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내부에 메조 기공들이 형성된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구성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은 후술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그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소성 단계(S300), 광감응성 염료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S400) 및 접합/전해질 충진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 상에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을 형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과 후술하는 상부 투명전도성 기판(30)은 투명 산화물 전도막이 코팅된 유리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로 구성된 이산화티탄 분말을 용매와 혼합하여 콜로이드를 제조한 후, 고분자 바인더를 혼합하고, 이베퍼레이터(rotary evaporator)로 45 ℃에서 1시간 내외의 시간을 거쳐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점성이 제어된 스크린 프린트용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 페이스트를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에 스크린 프린팅한다.
이러한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은 후술하는 광감응성 염료분자가 흡착되게 되면 광 흡수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 두께는 10μm 이상 20μ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 상에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이용하여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을 형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을 이루는 재료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도 스크린 프린팅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용매와 혼합하여 콜로이드를 제조한 후, 고분자 바인더를 혼합하고, 이베퍼레이터(rotary evaporator)로 45 ℃에서 1시간 내외의 시간을 거쳐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점성이 제어된 스크린 프린트용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 페이스트를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에 스크린 프린팅한다. 이때, 계층 구조 TiO2 입자: 에틸 셀룰로오스: 터피놀(terpinol)의 무게비를 25%:10%:65%로 설정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은 후술하는 광감응성 염료분자가 흡착되게 되면 광 흡수 및 산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그 두께는 5μm 이상 10μ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과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으로 구성된 2층 구조의 광 전극(20)을 갖게 된다. 광 전극(20)을 이러한 구조를 갖게 하여 광 흡수와 광 산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광전변환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과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이 형성된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을 열처리하여 소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을 12.5μm의 두께로 형성하고,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을 7μm의 두께로 형성한 후, 325 ℃에서 5분, 375 ℃에서 5분, 450 ℃에서 15분, 500 ℃에서 15분 간 단계간 열처리를 실시하여 고분자 바인더와 용매를 제거하고 입자간의 연결성을 높인다. 이에 따라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에는 총 19.5μm 두께로 제작된 2층 구조의 광 전극(2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8을 참조하면,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과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에 광감응성 염료 분자를 흡착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즉, 광전자 생성을 위하여 가시광 영역에서의 흡광을 하는 광감응성 염료를 광 전극(20)에 흡착시킨다. 이때 염료는 Ru계 복합체나 유기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N 719 염료 (Ru(4,4'-다이카르복시-2,2'-바이피리딘)2(NCS)2)을 이용하였다. 상기 염료는 고순도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켰고, 이 염료 용액에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과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으로 구성된 광 전극(20)을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함침하여 염료 분자가 자연 흡착할 수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접합 및 전해질 충진 과정이 수행된다.
즉, 단계 S500에서는,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과 상부 투명전도성 기판(30)을 접합하고, 이들 사이에 액체 전해질을 충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10) 상에는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2)과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으로 구성된 광 전극(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투명전도성 기판(30) 상에는 상대 환원 전극(40)이 형성되어 있고, 전해질은 상대 환원 전극(40)과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24)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에 충진되어 전해질층(50)을 형성한다.
이러한 접합 및 전해질 충진 방식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대 환원 전극(40)과 이 상대 환원 전극(40)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투명전도성 기판(30)에 다이아몬드 팁이 장착된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0.75 mm 내외의 미세구멍을 형성한다. 상대 환원 전극(40)은 상부 투명전도성 기판(30)에 Pt를 코팅하여 형성된다.
광 전극(20)과 상대 환원 전극(40)은 전도성이 있는 면을 마주 보게 하여 배치하고, 열경화성 스페이서인 surlyn(Meltonix 1170-60, Solaronix)을 사용하여 두 전극을 접합한다. 120 ℃ 내외의 온도로 설정된 가열판 위에서 약 1 기압으로 두 전극을 압착한다.
상대 환원 전극(40)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통하여 두 전극 사이의 공간에 전해액을 채운다. 이때 전해액이 채워진 후에는 열경화성 물질인 surlyn을 녹여 미세 구멍을 막아준다. 이 과정을 통해 전해액이 휘발되어 소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특성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 실험한 결과를 설명한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 특성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류-광전압 특성곡선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Sample | Thickness(μm) | JSC(mA/m2) | VOC(mV) | FF (%) | η (%) | Adsorbed dye (10-7mol-1cm-2) |
NC | 12.4 | 11.2 | 856 | 70.9 | 6.80 | 1.036 |
NC-R | 20.0 | 14.1 | 856 | 68.0 | 8.20 | 1.146 |
NC-T1 | 19.7 | 14.7 | 844 | 72.0 | 8.93 | 1.822 |
NC-T2 | 19.9 | 15.5 | 832 | 70.1 | 9.04 | 2.096 |
NC-T3 | 19.9 | 15.9 | 826 | 71.3 | 9.37 | 2.225 |
표 1과 도 11에서, NC는 종래의 TiO2 나노 입자만으로 광전극을 구성한 태양전지이고, NC-R은 TiO2 나노 입자와 종래의 상용 산란 입자인 Solaronix R/SP로 광전극을 구성한 태양전지이고, NC-T1, NC-T2, NC-T3는 본 실시 예에 따라 광전극에 TiO2 집합체의 크기가 제어된 계층구조 TiO2 입자를 포함시킨 태양전지들을 나타낸다.
본 비교 실험예는 1 Sun(100mW/cm2) AM1.5의 솔라 시뮬레이터(Oriel 300 W Xe 램프 및 Keithley 24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전극 구조의 전지(NC)가 6.80%의 효율을, 상용 산란 입자가 포함된 전지(NC-R)이 8.20%의 효율을 보이는 반면, 계층 구조 TiO2 입자를 포함하는 전지들에서는 8.93-9.37%의 고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계층 구조 TiO2 입자는 상용 산란 입자 수준의 높은 반사율에 의한 광산란 특성과, 나노 입자 수준의 높은 비표면적에 의한 광전류 생산의 효과가 동시에 구현된 광전극 소재이다. 따라서, 계층구조 TiO2 입자를 광산란층으로 활용하여 제작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광전변환효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산란과 광흡수의 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전변환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응집시켜 이산화티탄 집합체들을 형성하고, 이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입자 표면의 염료 흡착에 따른 광전류 생산과 기공에 의한 반사 특성에 따른 광산란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하부 투명전도성 기판
20: 광 전극
22: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24: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30: 상부 투명전도성 기판
40: 상대 환원 전극
50: 전해질층
S10: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S20: 메조 기공 형성단계
20: 광 전극
22: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24: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30: 상부 투명전도성 기판
40: 상대 환원 전극
50: 전해질층
S10: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S20: 메조 기공 형성단계
Claims (17)
-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티탄 전구체가 포함된 제1 용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 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을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 간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로부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응집시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형성하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및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수열 반응시켜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하는 메조 기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는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titanium tetraethoxide)이고,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를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이고,
상기 제2 용액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으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물 분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비정질의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낮춰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높여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작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조 기공 형성단계에서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에 미리 설정된 온도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 삭제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투명전도성 기판 상에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상에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을 이용하여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과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이 형성된 투명전도성 기판을 열처리하여 소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과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에 광감응성 염료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은
이산화티탄 전구체가 포함된 제1 용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 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을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 간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로부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구 형상을 갖는 이산화티탄 집합체들로 응집시켜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형성하는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 형성단계 및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수열 반응시켜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를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 기공을 형성하는 메조 기공 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전구체는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titanium tetraethoxide)이고,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를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이고,
상기 제2 용액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에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물 분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비정질의 이산화티탄 분말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낮춰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크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의 농도를 높여 가수분해 반응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이산화티탄 집합체의 크기를 작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조 기공 형성단계에서
상기 비정질 이산화티탄 분말을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에 미리 설정된 온도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의 두께는 10μm 이상 2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의 두께는 5μm 이상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 이산화티탄 전극층 광 흡수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다공질 이산화티탄 전극층은 광 흡수 및 광 산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제8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7406A KR101357053B1 (ko) | 2011-10-20 | 2011-10-20 |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7406A KR101357053B1 (ko) | 2011-10-20 | 2011-10-20 |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3356A KR20130043356A (ko) | 2013-04-30 |
KR101357053B1 true KR101357053B1 (ko) | 2014-02-14 |
Family
ID=4844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7406A KR101357053B1 (ko) | 2011-10-20 | 2011-10-20 |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70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563A (ko) | 2021-01-27 | 2022-08-03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명 자가동력 광검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3043A (ko) * | 1999-12-21 | 2001-07-09 | 신현준 |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0633382B1 (ko) * | 2004-10-15 | 2006-10-16 | 한국화학연구원 | 나노 크기의 광촉매용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분말 및그의 제조방법 |
KR100727579B1 (ko) * | 2005-12-20 | 2007-06-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산화티탄 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조성물 |
-
2011
- 2011-10-20 KR KR1020110107406A patent/KR1013570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3043A (ko) * | 1999-12-21 | 2001-07-09 | 신현준 |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0633382B1 (ko) * | 2004-10-15 | 2006-10-16 | 한국화학연구원 | 나노 크기의 광촉매용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분말 및그의 제조방법 |
KR100727579B1 (ko) * | 2005-12-20 | 2007-06-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산화티탄 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Yoon-Cheol Park et al., ‘Tertiary hierarchically structured TiO2 for CdS quantum-dot-sensitized solar cells’, Electrochimica Acta 56 (2011) 7371-7376(Available online 25 June 2011) |
Yoon-Cheol Park et al., 'Tertiary hierarchically structured TiO2 for CdS quantum-dot-sensitized solar cells', Electrochimica Acta 56 (2011) 7371-7376(Available online 25 June 2011)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563A (ko) | 2021-01-27 | 2022-08-03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명 자가동력 광검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3356A (ko) | 2013-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7212B1 (ko) | 속빈 구 형태의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용 광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422645B2 (ja) |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KR100947371B1 (ko) | 다파장 흡수 나노 구조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Guo et al. | Hierarchical TiO2 submicrorods improv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 |
US20090114278A1 (en) |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JP2008218394A (ja) | 色素増感太陽電池及び色素増感太陽電池の製造方法 | |
KR20060085465A (ko) | 연속상 반도체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태양전지 | |
KR20080038651A (ko) | 차단층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및 이의제조방법 | |
Peng et al. | Preparation of hierarchical TiO2 films with uniformly or gradually changed pore size for use as photoelectrode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R100830786B1 (ko) | 산화타이타늄 입자, 이 산화타이타늄 입자를 이용한 광전 변환 소자 및 그 산화타이타늄 입자의 제조방법 | |
KR100913308B1 (ko) | 구형 구조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
Mojaddami et al. | Effici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TiO2 nanoparticles and skein-like nanotubes: effect of arrangement modes of the layers and TiCl4 treatment | |
Zhu et al. | Enhance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using graphdiyne-doped TiO 2 photoanode | |
KR101347702B1 (ko) |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
KR101312335B1 (ko) | 계층형 다공성 전이금속 산화물 구조체, 상기의 제조 방법, 상기를 포함하는 광전극, 및 상기 광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
Macaira et al. | Highly efficient SiO2/TiO2 composite photo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R101274948B1 (ko) | 다공성 전이금속 산화물 구조체, 상기의 제조 방법, 상기를 포함하는 광전극, 및 상기 광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
Hejazi et al. | The effect of functionally graded porous nano structure TiO2 photoanode on efficiency of dye sensitized solar cells | |
KR101357053B1 (ko) | 계층구조 이산화티탄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 |
KR101131055B1 (ko) | 투명기판 상에 메조포러스 탄소전극이 형성된 상대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90096067A (ko) | 비드밀 분산기를 이용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분산방법및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 |
KR101451114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Zhu et al. | Correlation between the Morphology and Performance Enhancement of ZnO Hierarchical Flower Photoanodes in Quasi‐Solid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R101357049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
KR101170818B1 (ko) |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