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763B1 -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763B1
KR101356763B1 KR1020130089316A KR20130089316A KR101356763B1 KR 101356763 B1 KR101356763 B1 KR 101356763B1 KR 1020130089316 A KR1020130089316 A KR 1020130089316A KR 20130089316 A KR20130089316 A KR 20130089316A KR 101356763 B1 KR101356763 B1 KR 101356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mixture
formwork
weight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근
Original Assignee
신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근 filed Critical 신용근
Priority to KR102013008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내부금형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외부금형의 내측 하부 중앙에 인입 고정되어 내부금형의 양측과 외부금형의 내양측 사이에 각각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거푸집을 조립하는 거푸집 조립단계; 상기 거푸집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에 메쉬를 설치하는 메쉬 설치단계; 상기 메쉬가 설치된 거푸집 양측부의 수용공간 내에 물 3 ~ 15중량%, 시멘트 13 ~ 25중량%, 모래 30 ~ 50중량%, 자갈 30 ~ 50중량%가 혼합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는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거푸집 양측부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 상부측에 물 1 ~ 15중량%, 시멘트 10 ~ 30중량%, 자갈 56 ~ 88중량%가 혼합된 제2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고,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을 이루는 자갈은 2 ~ 30mm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거푸집의 외측면을 진동기로 진동시켜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의 접촉면이 진동에 의해 혼합되어 성형되도록 하는 진동 성형단계; 상기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 상기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이 완전히 양생되면 거푸집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푸집 분리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로 제조되어 농업용수가 내부로 흘러가도록“
Figure 112013092083426-pat00012
”형태로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부; 상기 제1콘크리트부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연장형성되는 인입부; 상기 인입부와 대응되는 제1콘크리트부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연장형성되어 다수의 제1콘크리트부가 연결되도록 설치시 인입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수용부; 상기 제1콘크리트부, 인입부 및 수용부의 상부측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로 제조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콘크리트부와 제1콘크리트부의 높이는 1 : 9 비율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로 제조되어 농업용수가 상부로 흘러가도록“─”형태로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부; 상기 제1콘크리트부의 상부로 흘러가는 농업용수를 안내하도록 제1콘크리트부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로 제조 형성되어 제2콘크리트부; 상기 제1콘크리트부와 제2콘크리트부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연장형성되는 인입부; 상기 인입부와 대응되는 제1콘크리트부와 제2콘크리트부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연장형성되는 수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콘크리트부와 제1콘크리트부의 높이는 9 : 1 비율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Agricultural drainage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지 등에 공급되고 배출되는 농업용수가 흐르도록 안내 및 배수로 외측의 하부 및 양측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여 지하수 고갈을 방지함은 물론, 동물의 이동이 가능하며,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도록 자연친화적으로 형성되어 자연생태계 보존에 일조할 수 있는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경지 등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용수로나, 불필요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 등과 같은 수로는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 등으로 물을 공급 또는 배수하기 위하여 물길을 인위적으로 시공하는데, 종래의 배수로는 양측벽과 바닥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벽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양측벽 및 바닥이 토양에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로는 양측벽 및 바닥이 모두 토양과 차단이 되어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서 농업에 필요한 각종 미생물이나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식물이나 동물 등의 서식이 불가능하여 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로 깊이에 비해 매우 작은 생물이 배수로에 빠지게 되면, 배수로 내의 미끄러운 벽면 때문에 빠져나오지 못하고 배수로 내에서 탈진하여 죽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면서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배수로에 물이 고이게 되면 자연정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물이 쉽게 썩게 되고, 그에 따라 여러 가지의 2차적인 환경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5642호(2000. 08. 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배수로 선·후단부에 인입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어 연속적인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에 따른 연결조립이 용이하고, 불규칙적인 형태로 형성된 자갈 다수가 서로 연결결합됨으로 인해 식생돌기 및 식생구멍이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부가 형성되어 농업용수가 흐르도록 안내 및 배수로 외측의 하부 및 양측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여 지하수 고갈을 방지함은 물론, 동물의 이동이 가능하며,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생태계 보존에 일조할 수 있는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내부금형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외부금형의 내측 하부 중앙에 인입 고정되어 내부금형의 양측과 외부금형의 내양측 사이에 각각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거푸집을 조립하는 거푸집 조립단계; 상기 거푸집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의 중앙부에 메쉬를 설치하는 메쉬 설치단계; 상기 메쉬가 설치된 거푸집 양측부의 수용공간 내에 물 3 ~ 15중량%, 시멘트 13 ~ 25중량%, 모래 30 ~ 50중량%, 자갈 30 ~ 50중량%가 혼합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는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거푸집 양측부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 상부측에 물 1 ~ 15중량%, 시멘트 10 ~ 30중량%, 2 ~ 30mm 크기의 자갈 56 ~ 88중량%가 혼합된 제2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는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거푸집의 외측면을 진동기로 진동시켜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의 접촉면이 진동에 의해 혼합되어 성형되도록 하는 진동 성형단계; 상기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 상기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이 완전히 양생되면 거푸집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푸집 분리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로 제조되어 농업용수가 내부로 흘러가도록“
Figure 112014000034095-pat00014
”형태로 제1콘크리트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콘크리트부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인입부를 연장형성함과 동시에 제1콘크리트부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수용부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부, 인입부, 수용부의 상부측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로 제2콘크리트부를 제조 형성하며, 상기 제2콘크리트부와 제1콘크리트부의 높이는 1 : 9 비율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내부금형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외부금형의 내측 하부 중앙에 인입 고정되어 내부금형의 양측과 외부금형의 내양측 사이에 각각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거푸집을 조립하는 거푸집 조립단계; 상기 거푸집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의 중앙부에 메쉬를 설치하는 메쉬 설치단계; 상기 메쉬가 설치된 거푸집 양측부의 수용공간 내에 물 3 ~ 15중량%, 시멘트 13 ~ 25중량%, 모래 30 ~ 50중량%, 자갈 30 ~ 50중량%가 혼합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는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거푸집 양측부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 상부측에 물 1 ~ 15중량%, 시멘트 10 ~ 30중량%, 2 ~ 30mm 크기의 자갈 56 ~ 88중량%가 혼합된 제2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는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거푸집의 외측면을 진동기로 진동시켜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의 접촉면이 진동에 의해 혼합되어 성형되도록 하는 진동 성형단계; 상기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 상기 거푸집의 수용공간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이 완전히 양생되면 거푸집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푸집 분리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로 제조되어 농업용수가 상부로 흘러가도록“─”형태로 제1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부의 상부로 흘러가는 농업용수를 안내하도록 제1콘크리트부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로 제2콘크리트부를 제조 형성하며, 상기 제1콘크리트부와 제2콘크리트부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인입부를 연장형성함과 동시에 제1콘크리트부와 제2콘크리트부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수용부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2콘크리트부와 제1콘크리트부의 높이는 9 : 1 비율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은 제1콘크리트부에 형성되는 식생돌기 및 식생구멍으로 인해 농업용수가 흐르도록 안내 및 배수로 외측의 하부 및 양측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여 지하수 고갈을 방지함은 물론, 동물의 이동이 가능하며,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여 자연생태계 보존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속적인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에 따른 연결조립시 배수로 선·후단부에 형성된 인입부 및 수용부로 인해 용이하게 연결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배수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배수로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은, 거푸집 조립단계(S1), 메쉬 설치단계(S2),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3),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4), 진동 성형단계(S5), 양생단계(S6), 거푸집 분리단계(S7)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조립단계(S1)는 사각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내부금형(11)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외부금형(12)의 내측 하부 중앙에 인입 고정되게 볼트결합됨으로 인해 내부금형(11)의 양측과 외부금형(12)의 내양측 사이에 각각 수용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메쉬 설치단계(S2)는 거푸집(1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3) 내에 금속소재의 메쉬(2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3)는 메쉬(20)가 설치된 거푸집(10) 양측부의 수용공간(13) 내에 물, 시멘트, 모래, 자갈이 혼합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을 주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콘크리트 혼합물(30)은 물 3 ~ 15중량%, 시멘트 13 ~ 25중량%, 모래 30 ~ 50중량%, 자갈 30 ~ 50중량%가 혼합 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강도가 강한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4)는 거푸집(10) 양측부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 상부측에 물, 시멘트, 자갈이 혼합된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을 주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은 물 1 ~ 15중량%, 시멘트 10 ~ 30중량%, 자갈 56 ~ 88중량%가 혼합 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에 혼합되는 자갈은 2 ~ 30mm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에 혼합되는 자갈은 2 ~ 30mm 크기를 갖는 이유는 자갈이 2mm 이하일 경우 다수의 자갈이 연결결합되는 상태로 콘크리트 제조시 자갈의 결합면에 형성되는 틈이 미세하여 그 틈으로 용수의 배출이 어려움은 물론, 농업용수를 정화시키는 식물이나 동물 등이 생장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에 혼합되는 자갈이 30mm 이상일 경우 다수의 자갈이 연결결합되는 상태로 콘크리트 제조시 자갈의 결합면에 형성되는 틈이 크고 많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진동 성형단계(S5)는 거푸집(10)의 외측면을 진동기(50)로 진동시켜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의 접촉면이 진동에 의해 혼합 성형되어 부착된다.
상기 양생단계(S6)는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을 온도, 하중 ,충격, 오손 및 파손 등의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충분히 양생시키게 된다.
상기 거푸집 분리단계(S7)는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이 완전히 양생되면 거푸집(10)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인해 제조되는 농업용 배수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로 제조되어 농업용수가 내부로 흘러가도록“
Figure 112013068290935-pat00002
”형태로 제1콘크리트부(1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에 혼합되는 불규칙적인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자갈이 서로 물과 시멘트의 접찹력에 의해 연결결합됨으로 인해 제1콘크리트부(100)의 전체면에 다수의 식생돌기(101) 및 다수의 식생구멍(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콘크리트부(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식생구멍(102)으로 인해 제1콘크리트부(100) 하부 및 양측부 외측의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여 지하수 고갈을 방지함은 물론, 토양과 연결된 식생구멍(102)으로 농업에 필요한 각종 미생물이나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식물이나 동물 등이 생장이 가능하여 제1콘크리트부(100)를 따라 흐르는 농업용수가 정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1콘크리트부(100) 내에 빠지는 매우 작은 생물이 제1콘크리트부(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식생돌기(101)를 타고 제1콘크리트부(100) 외부로 이동이 가능하여 제1콘크리트부(100) 내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탈진하여 죽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콘크리트부(100)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인입부(200)가 연장형성되고, 인입부(200)와 대응되는 제1콘크리트부(100)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수용부(300) 연장형성되어 연속적인 시공에 따른 연결조립시 용이하게 연결조립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콘크리트부(100)가 농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매설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콘크리트부(100)의 양측 상단부가 외부의 충격으로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제1콘크리트부(100), 인입부(200) 및 수용부(300)의 상부측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로 제조되어 강도가 강한 제2콘크리트부(40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콘크리트부(400)와 제1콘크리트부(100)의 비율은 1 : 9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콘크리트부(100)의 양측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로부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농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매설시 양측 상부의 토양이 제1콘크리트부(100) 내부로 밀려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제1콘크리트부(100)가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것 이외에 도 5에서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되어 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로 제조되어 상부로 흘러가도록“─”형태로 제1콘크리트부(5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에 혼합되는 불규칙적인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자갈이 서로 물과 시멘트의 접찹력에 의해 연결결합됨으로 인해 제1콘크리트부(500)에 다수의 식생구멍(5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콘크리트부(5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식생구멍(502)으로 인해 제1콘크리트부(500) 하부 및 양측부 외측의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여 지하수 고갈을 방지함은 물론, 토양과 연결된 식생구멍(502)으로 농업에 필요한 각종 미생물이나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식물이나 동물 등이 생장이 가능하여 제1콘크리트부(500)의 상부로 흐르는 농업용수가 정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콘크리트부(500)의 상부로 흘러가는 농업용수를 안내하도록 제1콘크리트부(500)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로 제조되어 강도가 강한 제2콘크리트부(6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콘크리트부(500)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부(600)로 인해 농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매설시 양측 상부의 토양이 제1콘크리트부(500) 내부로 밀려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제1콘크리트부(500)가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콘크리트부(600)와 제1콘크리트부(500)의 비율은 9 : 1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콘크리트부(500)와 제2콘크리트부(600)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인입부(700)가 연장형성되고, 인입부(700)와 대응되는 제1콘크리트부(500)와 제2콘크리트부(600)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수용부(800) 연장형성되어 연속적인 시공에 따른 연결조립시 용이하게 연결조립을 할 수 있게 된다.
S1 : 거푸집 조립단계 S2 : 메쉬 설치단계
S3 :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S4 :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
S5 : 진동 성형단계 S6 : 양생단계
S7 : 거푸집 분리단계 100, 500 : 제1콘크리트부
200, 700 : 인입부 400, 600 : 제2콘크리트부
300, 800 : 수용부

Claims (6)

  1.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내부금형(11)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외부금형(12)의 내측 하부 중앙에 인입 고정되어 내부금형(11)의 양측과 외부금형(12)의 내양측 사이에 각각 수용공간(13)이 형성되는 거푸집(10)을 조립하는 거푸집 조립단계(S1);
    상기 거푸집(1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3) 내의 중앙부에 메쉬(20)를 설치하는 메쉬 설치단계(S2);
    상기 메쉬(20)가 설치된 거푸집(10) 양측부의 수용공간(13) 내에 물 3 ~ 15중량%, 시멘트 13 ~ 25중량%, 모래 30 ~ 50중량%, 자갈 30 ~ 50중량%가 혼합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을 주입하는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3);
    상기 거푸집(10) 양측부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 상부측에 물 1 ~ 15중량%, 시멘트 10 ~ 30중량%, 2 ~ 30mm 크기의 자갈 56 ~ 88중량%가 혼합된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을 주입하는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4);
    상기 거푸집(10)의 외측면을 진동기(50)로 진동시켜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의 접촉면이 진동에 의해 혼합되어 성형되도록 하는 진동 성형단계(S5);
    상기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을 양생하는 양생단계(S6);
    상기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이 완전히 양생되면 거푸집(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푸집 분리단계(S7);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로 제조되어 농업용수가 내부로 흘러가도록“
    Figure 112014000034095-pat00015
    ”형태로 제1콘크리트부(100)를 형성하며, 상기 제1콘크리트부(100)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인입부(200)를 연장형성함과 동시에 제1콘크리트부(100)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수용부(300)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부(100), 인입부(200), 수용부(300)의 상부측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로 제2콘크리트부(400)를 제조 형성하며, 상기 제2콘크리트부(400)와 제1콘크리트부(100)의 높이는 1 : 9 비율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내부금형(11)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외부금형(12)의 내측 하부 중앙에 인입 고정되어 내부금형(11)의 양측과 외부금형(12)의 내양측 사이에 각각 수용공간(13)이 형성되는 거푸집(10)을 조립하는 거푸집 조립단계(S1);
    상기 거푸집(1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3) 내의 중앙부에 메쉬(20)를 설치하는 메쉬 설치단계(S2);
    상기 메쉬(20)가 설치된 거푸집(10) 양측부의 수용공간(13) 내에 물 3 ~ 15중량%, 시멘트 13 ~ 25중량%, 모래 30 ~ 50중량%, 자갈 30 ~ 50중량%가 혼합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을 주입하는 제1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3);
    상기 거푸집(10) 양측부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 상부측에 물 1 ~ 15중량%, 시멘트 10 ~ 30중량%, 2 ~ 30mm 크기의 자갈 56 ~ 88중량%가 혼합된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을 주입하는 제2콘크리트 혼합물 주입단계(S4);
    상기 거푸집(10)의 외측면을 진동기(50)로 진동시켜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의 접촉면이 진동에 의해 혼합되어 성형되도록 하는 진동 성형단계(S5);
    상기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을 양생하는 양생단계(S6);
    상기 거푸집(10)의 수용공간(13) 내에 주입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과 제2콘크리트 혼합물(40)이 완전히 양생되면 거푸집(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푸집 분리단계(S7);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콘크리트 혼합물(40)로 제조되어 농업용수가 상부로 흘러가도록“─”형태로 제1콘크리트부(500)를 형성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부(500)의 상부로 흘러가는 농업용수를 안내하도록 제1콘크리트부(500)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수직 상부방향으로 제1콘크리트 혼합물(30)로 제2콘크리트부(600)를 제조 형성하며, 상기 제1콘크리트부(500)와 제2콘크리트부(600)의 선단부로부터 확장 단턱지게 인입부(700)를 연장형성함과 동시에 제1콘크리트부(500)와 제2콘크리트부(600)의 후단부로부터 축소 단턱지게 수용부(800)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2콘크리트부(600)와 제1콘크리트부(500)의 높이는 9 : 1 비율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20130089316A 2013-07-29 2013-07-29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1356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316A KR101356763B1 (ko) 2013-07-29 2013-07-29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316A KR101356763B1 (ko) 2013-07-29 2013-07-29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763B1 true KR101356763B1 (ko) 2014-01-29

Family

ID=5014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316A KR101356763B1 (ko) 2013-07-29 2013-07-29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777A (ko) * 2016-08-03 2018-02-14 이상환 측구 및 사각 투수성 수로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041B1 (ko) * 1995-10-12 1999-02-18 심석래 배수로 시공방법 및 그 배수로
KR20130003397A (ko) * 2011-06-30 2013-01-09 한동권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041B1 (ko) * 1995-10-12 1999-02-18 심석래 배수로 시공방법 및 그 배수로
KR20130003397A (ko) * 2011-06-30 2013-01-09 한동권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777A (ko) * 2016-08-03 2018-02-14 이상환 측구 및 사각 투수성 수로관
KR101902890B1 (ko) * 2016-08-03 2018-10-02 이상환 사각 투수성 수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240B1 (ko) 친환경 저류형 농수로
KR101356763B1 (ko)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0642017B1 (ko)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JP2015183493A (ja) 雨水貯留浸透設備
CN102839633A (zh) 一种坡式生态堤岸
KR101093392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KR101902688B1 (ko)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0914046B1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101136661B1 (ko)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79051B1 (ko) 식생홈이 구비된 황토 수로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229757B1 (ko) 생태 수로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CN210104479U (zh) 一种园林景观透水道路结构
KR20060081452A (ko) 생태복원 수로관
KR200234617Y1 (ko) 드레인 필터 수로관
KR100723256B1 (ko) 하천하상 생태복원 식생대 설치구조
KR100893789B1 (ko) 식생옹벽
KR100668128B1 (ko)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및 어류서식블럭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102474176B1 (ko) 양서류를 위한 노출형 생태통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85153B1 (ko) 생태통로가 구비된 역방향 하천 기초
KR100480508B1 (ko) 친환경 개거수로
KR2010001530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물고기 서식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생태하천 수로를 이용하여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CN218204193U (zh) 一种组合式城内河道自净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