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97A -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97A
KR20130003397A KR1020110064731A KR20110064731A KR20130003397A KR 20130003397 A KR20130003397 A KR 20130003397A KR 1020110064731 A KR1020110064731 A KR 1020110064731A KR 20110064731 A KR20110064731 A KR 20110064731A KR 20130003397 A KR20130003397 A KR 20130003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ast furnace
furnace slag
weight
pl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권
Original Assignee
한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권 filed Critical 한동권
Priority to KR102011006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397A/ko
Publication of KR2013000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7Sla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aleont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일반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투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획된 2개 이상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타설 공간 중 어느 하나의 타설 공간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 다른 하나의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타설 공간에 타설된 일반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가 접하되도록 구획된 타설 공간을 연통시켜 일반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함께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FOR DRAIN BLOCK}
본 발명은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일반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투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은 설치장소, 사용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배수관은 농업용수관, 취수관 등으로도 사용되며,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수관은 지하에 매립되거나 또는 지상에 설치되고, 집수되는 물을 강이나 바다로 배수시키게 된다. 또한, 배수관은 우수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방수를 위한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더하여, 배수관은 지중에 설치될 경우 큰 하중을 받게 된다. 따라서 배수관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의 수밀성과 함께 토압이나 지반침하에 따라 암거에 발생되는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관은 방수성 콘크리트에 의해 제작되어 우수가 지면으로 투수되지 못하므로, 강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우수에 의한 피해를 증가 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일반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블록을 제작함으로써, 블록의 투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은 구획된 2개 이상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타설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 다른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타설 공간에 타설된 상기 일반 콘크리트와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가 접하되도록 구획된 상기 타설 공간을 연통시켜 상기 일반 콘크리트와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함께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보습 또는 투수성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방수성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타설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는 상기 투수용 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타설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는 양생 후 상기 투수용 블록의 바닥면 및 측벽 하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용 블록은 보도블록, 암거블록, 피씨암거, 흄관, 맨홀, 수로관 또는 호안블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모래 30~40 중량%, 석분 40~50 중량%, 시멘트 14~19중량%, 물 4~6 중량%가 혼합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모래 12~17 중량%, 자갈 60~70 중량%, 고로슬래그 12~17중량%, 물 3~5 중량%로 혼합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갈은 13mm ~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일반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블록을 제작하므로, 투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양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암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해 형성되는 수로관, 암거블록, 맨홀, 보도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은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 및 콘크리트 양생단계(S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서로 다른 배합비를 가진다.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거푸집(10)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10)은 구획된 2개의 타설 공간(20) 예를 들어 제1 타설 공간(21) 및 제2 타설 공간(2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타설 공간(21)과 제2 타설 공간(23)은 구획판(30)에 의해 구획되며, 제1 타설 공간(21)에는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에서 일반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제2 타설 공간(23)에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또한,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에서는 사용되는 일반 콘크리트는 물의 침투가 완전하게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모래 30~40 중량%, 석분 40~50 중량%, 시멘트 14~19중량%, 물 4~6 중량%가 혼합된다.
이와 같이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에서 제1 타설 공간(2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양생단계(S30)를 통해 투수용 블록의 상면 및 측면부를 형성하게 된다.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는 제2 타설 공간(23)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투수용 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는 보습 및 투수성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구체적으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는 모래 12~17 중량%, 자갈 60~70 중량%, 고로슬래그 10~18중량%, 물 3~5 중량%로 혼합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여기서, 자갈이 6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보습성은 향상되나 투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는 자갈의 크기가 13mm 내지 15mm인 것이 사용하게 된다.
또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시멘트는 고로슬래그, 석고, 수산화나트륨, 생석회, 소석회, 석회석 및 조경제(早硬劑)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분말도가 4000~6000 cm2/g를 가지도록 분쇄된다.
이와 같이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 제2 타설 공간(23)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양생단계(S30)를 통해 투수용 블록의 하면 또는 하면과 측면하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를 통해 투수용 블록의 하면과 측면하부를 형성할 때에는 측면하부의 높이가 측면 전체높이의 30%이하가 되도록 거푸집(10)이 제작된다.
콘크리트 양생단계(S30)에서는 제1 타설 공간(21)과 제2 타설 공간(23)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접합되어 함께 양생되도록 구획판(30)을 제거하고, 증기양생을 통해 콘크리트를 양생시키게 된다. 이때, 구획판(30)의 제거를 통해 제1 타설 공간(21)과 제2 타설 공간(23)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서로 혼합되므로, 양생 후 연결부위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제품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40), 암거블록(50), 맨홀(60) 등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PC암거(Precast concrete box culvert), 흄관 등을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으로는 보도블록, 보강토블록(옹벽블록), 호안블록 등을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은 황토를 더 혼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에서는 황토 18~26 중량%, 자갈 55~65 중량%, 고로슬래그 10~14중량%, 물 3~5 중량%로 혼합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에 황토를 혼합하게 되면 우수가 투수성 블록을 통과하여 지면으로 배수되는 동안 우수에 함유된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흡수되므로, 수질이 개선되어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황토의 혼합양이 18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상기 고로슬래그에 의해 황토의 성분이 대부분 희석되어 투수성 블록의 유해물질 흡수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되고, 황토가 26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투수성 블록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장강도 등이 저하되어 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만을 이용하여 수로관, 암거블록, 맨홀, 보도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C암거(Precast concrete box culvert), 흄관, 옹벽블록, 호안블록 등도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획판(30)에 의해 구획된 제1 타설 공간(21) 및 제2 타설 공간(23)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제품이 부위별로 다른 콘크리트 특성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40)의 측벽을 형성하게 위하여 제1 타설 공간(2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방수성을 가지고, 하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타설 공간(23)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투수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로관(40)으로 흐르는 우수가 투수성을 가지는 하면을 통해 지면으로 투수되어 과도한 우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우수가 지면으로 흡수될 수 있으므로, 수자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타설 공간(21) 및 제2 타설 공간(23)의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구획판(30)을 제거한 후, 양생하게 되므로, 제1 타설 공간(21) 및 제2 타설 공간(23)의 콘크리트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특성의 콘크리트로 제품을 제작하여도 접합되는 부위의 내구성 저하가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거푸집 20 : 타설 공간
21 : 제1 타설 공간 23 : 제2 타설 공간
30 : 구획판 40 : 수로관
50 : 암거블록 60 : 맨홀

Claims (9)

  1. 고로슬래그가 혼합되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보도블록, 암거블록, 흄관, 맨홀, 수로관, 호안블록 또는 옹벽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구획된 2개 이상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타설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
    다른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타설 공간에 타설된 상기 일반 콘크리트와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가 접하되도록 구획된 상기 타설 공간을 연통시켜 상기 일반 콘크리트와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함께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보습 또는 투수성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타설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는 상기 투수용 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상기 타설 공간에 타설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는 양생 후 상기 투수용 블록의 바닥면 및 측벽 하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모래 30~40 중량%, 석분 40~50 중량%, 시멘트 14~19중량%, 물 4~6 중량%가 혼합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모래 12~17 중량%, 자갈 60~70 중량%, 고로슬래그 10~18중량%, 물 3~5 중량%로 혼합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은 13mm ~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타설 단계에서는 황토 18~26 중량%, 자갈 55~65 중량%, 고로슬래그 10~14중량%, 물 3~5 중량%로 혼합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KR1020110064731A 2011-06-30 2011-06-30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KR20130003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31A KR20130003397A (ko) 2011-06-30 2011-06-30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31A KR20130003397A (ko) 2011-06-30 2011-06-30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97A true KR20130003397A (ko) 2013-01-09

Family

ID=4783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731A KR20130003397A (ko) 2011-06-30 2011-06-30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3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63B1 (ko) * 2013-07-29 2014-01-29 신용근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2536886B1 (ko) * 2022-04-19 2023-06-29 주식회사 주성종합건설 콘크리트 양생 전 전처리 공정 및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63B1 (ko) * 2013-07-29 2014-01-29 신용근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2536886B1 (ko) * 2022-04-19 2023-06-29 주식회사 주성종합건설 콘크리트 양생 전 전처리 공정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47484U (zh) 一种基坑排水及循环水利用系统
CN201695408U (zh) 一种防水和排水相结合的地下室底板
CN103046565B (zh) 超深岩基深基坑降排水方法
CN102226335A (zh) 一种控制软土工后沉降变形的地基处理方法
CN104711999B (zh) 地下室底板渗水的疏导处理方法
KR101198687B1 (ko) 투수블럭 제조방법
CN105672451A (zh) 一种在海绵城市建设中铺设渗滤型雨水管道的方法
CN105089069B (zh) 一种管道基础及其施工方法
CN208472893U (zh) 边坡平台双层排水沟结构
CN103242009B (zh) 一种桥台渗水料无砂混凝土块及其制作工艺
CN104652495A (zh) 基坑内支撑立柱与底板节点防水施工工艺
CN104846849A (zh) 一种预防地下室底板后浇带渗漏的方法
KR20130003397A (ko)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 제조방법
CN212335976U (zh) 一种建筑垃圾再生排水cfg桩地基
CN110158650A (zh) 一种设置防水和排水体系的地下结构
KR100456610B1 (ko) 도로 저면에 지하수의 유입이 많은 연약지반의 배수로시공 공법 및 그 배수관
CN211080303U (zh) 一种带地下雨水收集功能的地下管廊结构
CN210288471U (zh) 一种钢渣混凝土挡土墙防护结构
CN208441115U (zh) 一种地下连续墙管涌封堵结构
CN110644533A (zh) 一种带地下雨水收集功能的地下管廊结构
CN205329566U (zh) 一种钢筋混凝土盖板涵沉降缝渗水修复结构
CN110439014A (zh) 一种地下层状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13114164U (zh) 一种海绵城市半透水道路结构
CN107700760A (zh) 一种反梁种植屋面排水方法及其系统
CN220746471U (zh) 一种软泥层地质区路基处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13

Effective date: 201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