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588B1 -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588B1
KR101356588B1 KR1020087020857A KR20087020857A KR101356588B1 KR 101356588 B1 KR101356588 B1 KR 101356588B1 KR 1020087020857 A KR1020087020857 A KR 1020087020857A KR 20087020857 A KR20087020857 A KR 20087020857A KR 101356588 B1 KR101356588 B1 KR 101356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haped member
connection
construction element
assembl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294A (ko
Inventor
빌프리드 그리흐팅
Original Assignee
키디텍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디텍 아게 filed Critical 키디텍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0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Landscapes

  • Toy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축조 요소(1, 2), 예를 들어 (장난감) 조립 블록을 위한 연결 수단(3)은 두꺼운 부분(25)과 분리 가능한 연결 메커니즘의 부품(27)을 가지는 스트립 형상 부재(22)를 포함한다. 스트립 형상 부재는 축조 요소(1, 2)의 측면에 있는 홈(16) 내로 삽입 가능하다. 예를 들어 너트에 대한 분리 가능한 연결의 그 부품에 추가의 축조 요소(2)가 간단하지만 안정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 연결 수단을 사용함이 없이 연결을 위하여 축조 요소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연결 수단(3)은 축조 요소(1, 2) 자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다른 방향으로 안정한 방식으로의 조립 가능성의 확장을 허용한다.
조립 블록, 연결 수단, 스트립 형상 부재

Description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Connection means for construction elements, and associated set of building blocks}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서문에 따른 축조 요소(construction element)를 위한 연결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연결 수단을 가지는 조립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조립 블록 시스템, 예를 들어 어린이용 장난감 조립 블록 시스템(building block system)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것은 블록을 함께 끼우는(plugging) 것에 의하여 또는 간단한 스크류 연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출원인의 WO-A-2004/87277에 개시되어 있다. 놀도록 마음을 끌고 제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비교적 적은 수의 상이한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보다 어린 어린이가 비교적 큰 조립 블록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조립 블록 시스템처럼, 상기 문헌은 또한 요소들이 본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보완적으로 형상화되고 조립 방향(building direction)으로 서로 밀리는 연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클램핑 효과, 그러므로 마찰 연결이 수반되는 다른 시스템과 대조적으로, 상기 문헌의 요소는 서로에 있어서 가볍게 슬라이딩한다. 안정화 및 체결은 메커니즘의 요소를 통한 스크류 연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위로 축조할 뿐만 아니라 제 2 방향으로, 예를 들어 측면으로 계속되어야 하거나, 또는 조립 방향이 심지어 반대인 축조는 문제가 있다. 아래로 매달린 물체가 부착되는 크레인에 대해서는 측면으로 돌출하는 아암이 그 예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클램핑 효과에 근거한 시스템은 기껏 반전(reversal)을 허용하지만, 마모, 그러므로 감소된 클램핑 효과는 곧 안정성 문제를 초래한다. 결합이 클램핑 효과에만 기인한 것이면, 안정성은 이미 원칙적으로 한정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조립 블록 시스템에서 횡단 또는 반전 가능한 연결을 위한 특정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조립 블록 형태의 수를 증가시키고, 조립 블록 시스템이 평이하지 않게(intransparent) 되므로, 사용자가 흥미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주 방향으로의 연결 메커니즘을 구비한 조립 블록을 제 2 방향으로 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는 기구(arrangement)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조립 블록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결 메커니즘의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기구를 구체화하는 연결 수단이 청구항 제 1 항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의 청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결 수단과 같은 조립 블록 시스템을 기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푸쉬-인(push-in) 연결 및 제 2 분리 가능한 연결 메커니즘의 조합을 허용하는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스크류 연결의 형태로 도입부에 기술된 본 출원인의 조립 블록 시스템에 이미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난감 조립 블록 시스템에서, 작동 가능한 연결 메커니즘의 원형(prototype)은 단지 제 1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방으로의 연결로서 설계된다. 푸쉬-인 연결은 단지 장식용 삽입 패널을 위해 제공되며, 이러한 목적 때문에, 장난감 조립 블록은 측벽에 슬롯 또는 홈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측벽에 있는 슬롯은 바람직하게 그 바닥에 확장부를 가지도록 변경된다. 본 발명의 연결 수단은 바람직하게 전방 단부 또는 전방 가장자리에 각각 대응하는 두꺼운 부분이 구비되는 대응하는 스트립 형상 부분을 가진다. 그러므로, 연결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변경된 홈 내로 삽입 가능하지만, 횡으로 당겨질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연결 수단은 장난감 조립 블록 시스템의 연결 수단의 일부, 예를 들어 스크류 연결의 너트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 메커니즘의 부품(스크류 연결의 너트)을 조립 블록의 측벽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본래의 주 조립 방향을 교차하여 축조를 계속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연결 메커니즘은 주 조립 방향으로(또는 대안적으로 조립 방향들로) 조립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연결 메커니즘은 견고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크류, 스냅, 베이너트(bayonet) 또는 트위스트 연결과 같은 또 다른 확실한 부착 모드와 부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푸쉬-인 연결이다.
결과적으로, 조립 블록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추가 부품, 즉 연결 수단에 의해서만 보완되어서, 전체적인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게 유지하고, 특히 보다 어린 어린이의 흥미를 유지하거나, 또는 심지어 확장된 축조 가능성으로 인하여 어린이의 흥미를 증가시킨다. 또 다른 이점은 연결 수단의 간단한 부가에 의하여, 이러한 부가적인 축조 가능성이 이미 존재하는 조립 블록으로 얻어져서, 획득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측면으로 결합된 제 2 조립 블록을 구비한 조립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I-I에 따라 측면으로 부가된 조립 블록의 도 1의 배열의 부분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 수단을 위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연결 수단을 아래로부터 본 도면.
도 5는 도 3의 연결 수단의 측면도.
도 1에서, 제 1 조립 블록(1)은 도시되어 있으며(보다 정확하게, 적층되는 2개의 조립 블록은 접합된 조립 블록의 지름까지 그 높이를 적응시키도록 중간에 있는 분리선을 보인다), 제 2 조립 블록(2)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단(3)에 의해 제 1 조립 블록(1)에 대해 측면으로 체결된다. 조립 블록은 본 출원인의 WO-A-2004/87277에 따라 본 발명에서 본질적으로 실현된다. 제 1 조립 블록은 주사위꼴 몸체(5)를 가진다. 주 조립 방향으로, 추가의 조립 블록의 부착을 위한 특징적 스터드(8, stud)가 면(7)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면(7)은 "상부면"으로서 지칭된다. 조립 블록 몸체(5)의 반대편 바닥면(도시되지 않음)에는 오목부가 제공되며, 오목부의 형상은 스터드(8)의 형상에 대해 보완적이다. 인용된 WO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립 블록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수의 스터드, 오목부 또는 단지 오목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이미 하나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조립 블록(2)은 본질적으로 원통형 몸체(10)를 가진다.
전방면(12)과 좌측면(14)이 보이는 몸체(5)의 측면은 홈(16)을 구비한다. 그 개구로부터 시작하는 각각의 홈(16)은 본질적으로 원통형 확장부(19, 또한 도 2 참조)에 의해 홈의 바닥을 향해 이어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통로(18)를 포함한다.
연결 수단(3)은 스트립 형상 부재(22)를 가지며, 스트립 형상 부재의 형상은 홈(16)의 형상에 대해 본질적으로 보완적이며, 상부로부터 또는 바닥으로부터 홈(16)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대응하여, 스트립 형상 부재(22)는 스트립 형상 목부(24)를 포함하며, 스트립 형상 목부의 전방에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의 두꺼운 부분(25)이 배열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웹 형상의 목부(24)의 후방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조립 블록 시스템의 너트(27)가 배열되며, 너트의 형상은 스터드(8)의 형상에 시각적으로 대응하는데 반하여, 너트는 암나사(28)를 구비한다(도 4 참조).
그러므로, 조립 블록의 홈(16) 내로 결합 부분 또는 연결 수단(3)의 삽입 후에, 너트(27)는 그 면 상에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조립 블록(2)은 이 너트(27) 상에 끼워 맞추어지고, 스크류(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명백하게, 단지 결합 부분(3)의 도입에 의해,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몇개의 방향으로 동시에 측면으로 축조하는 것을 계속할 가능성과 함께 표준 조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면으로 접합된 조립 블록(2)은 이미 종래에 공지된 스크류(20)에 의해 고정되어서, 고 응력성(stressable) 연결을 산출한다. 이러한 측면 연결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조립 방향으로 역전시키거나, 심지어 가장 큰 의미에서 환형 축조물을 달성하도록 조립 방향을 더욱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하여, 적어도 본 발명의 조립 블록 시스템에서, 블록은 45°회전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어서, 추가의 변화가 따를 수 있다.
또한, 결합 부분(3)은 단지 홈의 존재를 요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10)를 구비한 조립 블록(2)은 또한 그 원주 상에 홈(16)을 구비한다. 대체로, 그러나, 보다 상세하게 또한 원통형 조립 블록 몸체상에, 그러므로 상이한 배열 및 수의, 예를 들어 45°간격으로 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꺼운 부분(25)의 전방 가장자리는 쐐기 형상 절개부를 가진다. 쐐기 형상 절개부의 기능은 긴밀한 끼워 맞춤의 경우에 홈(16) 내로 두꺼운 부분(2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스트립 형상 부재(22)와 홈(16) 사이의 클램핑 효과의 증가를 조정하는 한편 스크류(30)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가요성을 두꺼운 부분(25)에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보다 어린 어린이의 요구의 관점에서, 스트립 형상 부재(22)와 홈(16)은 서로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놀랍고 유익하게, 클램핑 효과가 또한 스크류(30)가 밀착됨에 따라서 스트립 형상 부재(22)와 홈(16) 사이에서 초래되는 것을 알았다. 쐐기 형상 목부(24)의 길이가 통로(18)의 길이와 가장 정확하게 동일하면, 이러한 효과는 더욱 촉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크류(30)가 밀착되는 동안, 결합 부분(3)의 너트 형상 부분(27)이 조립 블록(2) 내로 당겨져서, 너트 형상 부분의 하측(34)을 제 1 조립 블록(1)의 면(14)을 향하여 가압하는 동시에 스트립 형상 부재(22)에 대한 정지 마찰(traction)을 적용하는 것이 달성된다.
몇 개의 조립 블록(2)이 조립 블록(1, 4개까지의 예에서)의 측면에 접합되면, 유익한 상호 클램핑 효과는 다음의 결과를 초래한다: 측면에 부착된 조립 블록(2)의 단지 하나의 스크류를 밀착시키는 동안, 작은 클램핑 효과는 결합 부분(3)에 의해 각각의 나머지 측면에 접합되는 조립 블록에 이미 적용되지만, 밀착은 이제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조립 블록은 여전히 변위 가능하여서, 블록이 더 이상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음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조립 블록이 2개 이상의 면에 부착되면, 클램핑 효과는 홈(16)에서의 밀착력에 따라 증가한다.
조립 블록 시스템의 부품은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다. 보다 어린 어린이를 위하여, 대응하여 큰 치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6㎝의 기본 치수가 선택될 수 있다(제 1 조립 블록의 면 폭; 조립 블록(2)의 지름).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장난감 조립 블록 시스템으로서 의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앞서의 기술로부터, 무수한 변경 및 적용이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수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의 것들이 가능하다:
- 특히 어린이 또는 놀이 목적을 위한, 모델링; 내부 장식물의 축조; 운동장 아이템, 차량에 대한 조립 블록의 세트에서의 적용.
- 스트립 형상 부재의 형상은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확대형 쐐기 형상이다. 스트립 형상 부재가 홈의 길이 방향을 축선을 가로질러 당겨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대응하는 보완적 형상의 홈과 확실한 끼워 맞춤을 형성하는 확장부를 스트립 형상 부분이 가지는 연결이 중요하다.
- 스트립 형상 부재의 두꺼운 부분은 예를 들어 일련의 두꺼운 영역 또는 스트립 형상 부재에 통합된 볼에 유사한 개별적인 것들로 분할되는 것.
- 두꺼운 부분은 원형과 다른, 예를 들어 다각형 및/또는 변형된 원형(타원, 계란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
- 분리 가능한 연결 메커니즘이 스냅 연결, 예를 들어 볼 및 소켓 연결의 형태로 하는 것.

Claims (20)

  1. 제 1 표면에 있는 제 1 축조 요소(1)를, 상기 제 1 표면을 가로지르는 제 1 방향으로 제 2 축조 요소(2)에 조립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3)에 있어서, 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두꺼운 부분과 함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유효길이에 제공되는 스트립 형상 부재(22)를 가지며, 연결 부재(27)가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22)의 상기 후방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연결 메커니즘의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가 상기 제 1 표면 내에서 규정되는 상기 제 1 축조 요소(1)의 홈(16) 내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 2 축조 요소(2)가 상기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27)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연결 메커니즘은, 본질적으로 서로 보완적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서로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서로 보완적인 상기 요소들은 푸쉬-인(push-in) 연결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 메커니즘의 상기 연결 부재(27)는 상기 제 2 축조 요소(2)로의 스크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축조 요소(2)는 상기 제 2 축조 요소(2)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수용 가능한 스크류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27)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22)에 의해 상기 제 1 축조 요소(1)에 간접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22)는 상기 연결 부재(27)와 상기 두꺼운 부분(25)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해 한 측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27)에 연결되며 대향하는 측부에서 상기 두꺼운 부분(25)에 연결되는 쐐기 형상 영역(24)을 구비하고, 상기 쐐기 형상 영역(24)은 축조 요소의 홈 내로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의 삽입 동안 측면 안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가장자리의 측부 상의 상기 두꺼운 부분(25)을 따르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너트 내에 수용 가능한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27)는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암나사를 가지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부분(25)은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의 후방 가장자리 반대편에 있는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22)의 전방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부분(25)은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22)의 길이의 적어도 절반으로 연장하는 커넥터.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형상 영역(24)의 폭은 상기 두꺼운 부분(25)의 평균 지름의 적어도 1/3배인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3)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세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립 블록(1, 2)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립 블록(1, 2)은,
    - 커넥터의 스트립 형상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홈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22)에 본질적으로 보완적으로 형상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16), 및
    - 상기 조립 블록(1, 2)과 상기 커넥터가 상기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메커니즘(27, 30)의 적어도 하나의 보완적인 부품(27)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조립 블록 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홈 개구로부터 시작하는 장난감 조립 블록(1, 2)에 있는 홈(16)은 상기 커넥터(3)의 스트립 형상 부재(22)의 쐐기 형상 영역(24)에 본질적으로 보완적으로 구성되는 부분(18)을 가지며, 상기 부분은 상기 쐐기 형상 영역의 폭과 동일한 깊이를 가져서,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와 상기 조립 블록 사이의 힘 연결은 상기 연결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한 정지 마찰에 의해 만들어지는 조립 블록 세트.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그 부품이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는 커넥터.
  12. 제 9 항에 따른 조립 블록 세트에 있어서,
    그 부품이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는 조립 블록 세트.
  13.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3)를 포함하는 장난감 조립 블록 세트.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블록 세트는 장난감 조립 블록 세트인 조립 블록 세트.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호 끼움 가능한 요소(8, 27)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가능한 연결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블록(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27)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요소인 조립 블록 세트.
  16. 제 11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3)를 포함하는 장난감 조립 블록 세트.
  17. 제 1 축조 요소, 제 2 축조 요소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축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두꺼운 부분과 함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유효길이에 제공되는 스트립 형상 부재를 가지며, 연결 부재가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의 상기 후방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연결 메커니즘의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가 상기 제 1 축조 요소의 제 1 표면 내에서 규정되는 상기 제 1 축조 요소의 홈 내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 2 축조 요소가 상기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연결 메커니즘은, 본질적으로 서로 보완적이고 상기 제 1 표면을 가로지르는 제 1 방향으로 서로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서로 보완적인 상기 요소들은 푸쉬-인 연결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 메커니즘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 축조 요소로의 스크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축조 요소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축조 요소에 간접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두꺼운 부분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해 한 측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며 대향하는 측부에서 상기 두꺼운 부분에 연결되는 쐐기 형상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쐐기 형상 영역은 축조 요소의 홈 내로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의 삽입 동안 측면 안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가장자리의 측부 상의 상기 두꺼운 부분을 따르고, 서로 보완적인 상기 요소들은 상기 제 2 축조 요소에 있는 요소 및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에 있는 다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축조 요소에 있는 상기 요소는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보완적인 상기 요소들의 상기 다른 요소를 수용하고 둘러싸는 축조 세트.
  1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부분(25)은 중단되는 커넥터.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부분(25)은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22)의 전체 길이로 연장하는 커넥터.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형상 영역(24)의 폭은 상기 두꺼운 부분(25)의 평균 지름의 절반인 커넥터.
KR1020087020857A 2006-01-31 2007-01-18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KR101356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405046.1 2006-01-31
EP06405046A EP1813332A1 (de) 2006-01-31 2006-01-31 Verbindungsmittel für Konstruktionselemente und Bausteinsatz damit
PCT/CH2007/000021 WO2007087734A1 (de) 2006-01-31 2007-01-18 Verbindungsmittel für konstruktionselemente und bausteinsatz dam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459A Division KR20130101580A (ko) 2006-01-31 2007-01-18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94A KR20090005294A (ko) 2009-01-13
KR101356588B1 true KR101356588B1 (ko) 2014-02-03

Family

ID=366365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459A KR20130101580A (ko) 2006-01-31 2007-01-18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KR1020087020857A KR101356588B1 (ko) 2006-01-31 2007-01-18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459A KR20130101580A (ko) 2006-01-31 2007-01-18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98450B2 (ko)
EP (2) EP1813332A1 (ko)
JP (1) JP5131989B2 (ko)
KR (2) KR20130101580A (ko)
CN (1) CN101378817B (ko)
CA (1) CA2635957C (ko)
DK (1) DK1979061T3 (ko)
ES (1) ES2452319T3 (ko)
HK (1) HK1127573A1 (ko)
RU (1) RU2457886C2 (ko)
WO (1) WO20070877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1525B1 (en) 2010-12-16 2018-08-22 Mark Randall Stolten A toy construction system
CN103764237B (zh) * 2011-07-05 2015-11-25 乐高公司 用于设计和制造用户定义玩具搭建元件的方法和系统
JP5940158B2 (ja) * 2011-09-23 2016-06-29 株式会社シンシア・ジャパン 鋸歯構造物及びその構造物を含む玩具ブロック
KR101377026B1 (ko) * 2012-10-23 2014-03-20 (주)빅펌킨 조립식 완구
TWI645888B (zh) * 2013-08-28 2019-01-01 奇迪科技股份公司 積木之連接部件套組
KR20150100165A (ko) * 2014-02-24 2015-09-02 주식회사 로보빌더 모듈러 액츄에이터 결합장치
USD748204S1 (en) * 2014-02-25 2016-01-26 Chiswick Innovations Ltd Toy building block
US20150360137A1 (en) * 2014-06-13 2015-12-17 Steven Kay Mosaic Structure Assembly Kit
KR200477459Y1 (ko) * 2015-01-13 2015-06-09 최소영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KR101581877B1 (ko) * 2015-08-04 2015-12-31 이상길 조립식 블록세트
USD812151S1 (en) * 2016-01-26 2018-03-06 Costas Sisamos Snap-lock construction toy
USD825678S1 (en) * 2016-01-26 2018-08-14 Costas Sisamos Snap-lock construction toy
WO2018022121A1 (en) * 2016-07-29 2018-02-01 Sewell Blaise Toy with moveable component
CN107019923B (zh) * 2017-06-01 2023-07-21 骆运章 拼接式旋转积木组件及其拼接方法
USD949979S1 (en) * 2019-11-15 2022-04-26 South Dakota Board Of Regents Connector device for promoting building skil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744A (en) * 1991-05-03 1999-09-28 Starlok International, Inc. Construction toys comprising building blocks and single and composite elongated star connectors
US20030203702A1 (en) * 2002-04-25 2003-10-30 Hans-Juergen Germerodt Large-size toy brick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6868A (en) * 1921-12-05 1923-02-27 Wedworth V Baker Toy building element
NL6512288A (ko) 1964-10-10 1966-04-12
DE7628472U1 (de) * 1976-09-11 1978-03-02 Fischer, Artur, Dr.H.C., 7244 Waldachtal Napffoermiger, durch eine kappe verschliessbarer hohlbaustein
SU1175515A1 (ru) * 1984-01-13 1985-08-30 Украинский Филиал Централь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Бюро Игрушек Игрушеч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FR2563746B1 (fr) * 1984-05-02 1987-10-30 Albert Jean Paul Element de liaison pour jeux de construction
DK172267B1 (da) * 1991-11-06 1998-02-16 Lego As Legetøjsbyggesæt og byggeelementer dertil
CN2177514Y (zh) * 1994-01-03 1994-09-21 佛山市叶泰玩具厂有限公司 插接组合玩具
US5788555A (en) * 1994-08-03 1998-08-04 Glynn; Kenneth P. Small angle interconnecting toy blocks
JPH09296816A (ja) * 1996-05-02 1997-11-18 Smc Corp 構造部材又は機械部品の相互結合装置又はその部品
AU8525998A (en) * 1998-07-27 2000-02-21 Kitsilano Industries Inc. Building block
EP1464369A1 (en) 2003-04-04 2004-10-06 Theodorus Suibertus Anthonius ROLF Toy building block, suited screw and tool for scre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744A (en) * 1991-05-03 1999-09-28 Starlok International, Inc. Construction toys comprising building blocks and single and composite elongated star connectors
US20030203702A1 (en) * 2002-04-25 2003-10-30 Hans-Juergen Germerodt Large-size toy bri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WO2016186339A1 (ko) * 2015-05-19 2016-11-24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US10272353B2 (en) 2015-05-19 2019-04-30 Seung Young OH Unit block having integrally provided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and coupling or using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9061B1 (de) 2014-01-15
RU2457886C2 (ru) 2012-08-10
DK1979061T3 (da) 2014-04-14
CA2635957A1 (en) 2007-08-09
CN101378817A (zh) 2009-03-04
JP5131989B2 (ja) 2013-01-30
EP1813332A1 (de) 2007-08-01
RU2008130660A (ru) 2010-03-10
JP2009525083A (ja) 2009-07-09
CA2635957C (en) 2015-03-24
HK1127573A1 (en) 2009-10-02
KR20090005294A (ko) 2009-01-13
WO2007087734A1 (de) 2007-08-09
US20090017715A1 (en) 2009-01-15
ES2452319T3 (es) 2014-03-31
US8398450B2 (en) 2013-03-19
KR20130101580A (ko) 2013-09-13
EP1979061A1 (de) 2008-10-15
CN101378817B (zh)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588B1 (ko) 축조 요소를 위한 연결 수단, 및 관련 조립 블록 세트
EP0621063B1 (en) Block assembly
US5964635A (en) Toy construction system
ATE218271T1 (de) Verbindung aus einem verbindungselement und vier parallelen paneelen in coplaneren paaren
US20040118056A1 (en) Wedge-lock building blocks
RU2747784C1 (ru) Составно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WO2008035003A3 (fr) Association a l'aide d'un connecteur, de deux extremites creuses de profiles en matiere synthetique
KR20210018213A (ko) 정, 배면의 자유로운 조립이 가능한 다차원 블록완구조립 부품 및 조립 세트
US20190374865A1 (en) Assembly-toy chassis building element
US20040102132A1 (en) Construction toy formed of connectable components
WO2008078942A1 (en) Angle-adjustable assembling toy
US20150043968A1 (en) Bracket for securing a structural member
US20030203702A1 (en) Large-size toy brick
JP3706818B2 (ja) 組立ブロック
US20130294823A1 (en) Interlocking Swim Noodles
CN209317024U (zh) 积木弹射件
CN208591542U (zh) 连接件与包括多个这种连接件的玩具系统
JP3137243B2 (ja) 土木工事用杭
WO2005076739A3 (en) Universal fasteners for do-it-yourself modular furniture and shelves
EP0721295B1 (en) Lawn and flower bed edging kit
ATE354701T1 (de) Fahrspurtrenneinrichtung
JPH0564243B2 (ko)
US20180345162A1 (en) Kit of construction elements
US20240050869A1 (en) Stabilizing Connector and Building Toy Kit
ES2627756T3 (es) Sistema de conexión de piez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