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466B1 -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466B1
KR101356466B1 KR1020070016828A KR20070016828A KR101356466B1 KR 101356466 B1 KR101356466 B1 KR 101356466B1 KR 1020070016828 A KR1020070016828 A KR 1020070016828A KR 20070016828 A KR20070016828 A KR 20070016828A KR 101356466 B1 KR101356466 B1 KR 101356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ndard
signal processing
dvb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637A (ko
Inventor
신보영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466B1/ko
Priority to CNA2008800013184A priority patent/CN101569187A/zh
Priority to EP08722973A priority patent/EP2090099A4/en
Priority to PCT/KR2008/000913 priority patent/WO2008100113A1/en
Publication of KR2008007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format, e.g. an encoded audi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의 신호를 각각 디지털 처리하여 재생하며, 판단부는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고,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판단된 전송 규격에 상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신호를 처리하도록 한다.
DVB-T, 전송 규격, 포맷 디텍터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Digital video broadcasting apparatus and digital video broadcas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에 의한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에 의한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400, 600 :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240, 410, 620 : 판단부 241, 411, 621 : 메모리부
242, 412, 622 : 규격 판단부 243, 413, 623 : 경로 제공부
10, 420, 610 : 수신부
210, 220, 230, 424, 434, 444, 630, 640, 650 : 신호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시스템으로 복수의 전송 규격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중 하나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시스템은 유럽향 지상파 디지털 방송 방식으로서, 멀티 캐리어 변조방식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은 기술이 발전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규격으로 세분화되는 추세에 있다. 현재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DVB-T, DVB-S, DVB-C 등의 방식으로 규격화되었거나 또는 규격화를 진행하는 중에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다양한 규격 중 특정 규격에 대한 기능 만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설계된 특정 규격 외의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이전 규격과의 호환성, 즉, Backward Compatibility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현재 특정 규격에서 지원하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 및 실행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 규격과의 호환성을 무시하고 성능 향상 및 기능 추가에 주안점을 두면, 기존 성능, 즉, 기존 인프라(infra)를 활용할 수 없으므로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소비자 모두에게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n개의 규격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n개의 규격 각각에 따른 수신기를 구비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규격을 지원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기를 복수개 구비하지 않고 단일 시스템으로도 다양한 규격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복수의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는,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의 신호를 각각 디지털 처리하여 재생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상기 판단된 전송 규격에 상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하 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각각의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를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상기 신호를 상기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신호처리부로 제공한다.
또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를 기수신하여 상기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상기 신호를 상기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수신부로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상기 신호를 상기 타겟 신호처리모듈로 제공한다.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규격,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2) 규격, DVB-S((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규격 및 DVB-C(Digital Video Broadcasting - Cable) 규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각각 상기 DVB-T 규격, DVB-T2 규격, DVB-S 규격 및 DVB-C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규격 및 WATM(Wireless Asynchronous Transfer Mode) 규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각각 상기 DAB 규격, WLAN 규격 및 WATM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와 상기 하드웨어의 하이브리드 형태 중 하나로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무선 디지털 송수신 방식을 지원하거나, 상기 신호가 IP(Internet Protocol)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유선 접속 방식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신호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은, 수신되는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서로 다른 규격의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상기 판단된 전송 규격에 상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규격이 판단된 신호를 상기 판단된 규격에 상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안테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와 상기 하드웨어의 하이브리드 형태 중 하나에 의해 구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는 판단부(110) 및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판단부(110)는 포맷 디텍터로서,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고, 복수의 신호처리모듈(120-1, 120-2, …, 120-n) 중 판단된 규격에 상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신호를 처리하도록 타겟 신호처리모듈에게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전송되는 신호가 포맷된 모든 규격들이 될 수 있으며, 신호는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의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재생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모듈(120-1, 120-2, …, 120-n)을 포함한다. 각 신호처리모듈(120-1, 120-2, …, 120-n)은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 규격에 적합한 방식으로 신호처리하여 디스플레이기기로 제공한다. 이로써,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는 하나의 시스템으로도 다수의 전송 규격을 지원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신호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도시 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200)는 복수의 신호처리모듈(도면 부호 미도시) 및 판단부(240)를 포함한다.
복수의 신호처리모듈(도면 부호 미도시)은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을 가지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모듈로서,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전송되는 신호가 포맷된 모든 규격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신호처리모듈(도면 부호 미도시)은 DVB-T 규격, 제2신호처리모듈(도면 부호 미도시)은 DVB-T2 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질 수 있으며, 이는 일 예일 뿐 상기와 같은 규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DVB-T2 규격은 DVB-T 규격과 유사하나 DVB-T 규격을 응용한 것이 아니라 다른 포맷의 규격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그 명칭은 변경가능하며, 그 개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처리모듈(도면 부호 미도시)은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의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기 위하여 각각 수신부(10, 20, …, n, 여기서, n은 양수) 및 신호처리부(210, 220, 230, …)를 포함하며, 각 신호처리부(210, 220, 230, …)의 동작은 전송 규격에 따라 상이하다. 제1신호처리모듈은 제1수신부(10) 및 제1신호처리부(210)를 가지며, 제2신호처리모듈은 제2수신부(20) 및 제2신호처리부(210-2)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DVB-T2 규격을 지원하는 제1신호처리모듈(2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수신부(10)는 안테나와 같은 기기로서,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전송 규격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되는 신호는 오 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데이터는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또는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200)가 업로딩한 내용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디오/비디오신호를 제외한 모든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신부(10)는 수신된 신호를 후술할 판단부(240)에게 제공한다.
판단부(240)에 의해 신호의 전송 규격이 판단된 후, 수신된 신호가 제1신호처리모듈에 적합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신호처리부(210)는 제1신호처리모듈에 설정된 규격대로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재생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제1신호처리부(210)는 제1RF/ADC(Analog Digital Converter)부(211), 제1복조부(212), 제1디먹스(DeMultiplexer)(213), 제1심볼 처리부(214), 제1채널 디코더(215) 및 제1소스 디코더(216)를 포함한다.
제1RF/ADC부(211)는 제1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 튜닝된 신호를 다운 컨버젼(Down-conversion)하여 RF 처리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1복조부(212)는 디지털 신호를 OFDM 복조화한다. OFDM은 멀티 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송신측은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 열을 병렬 변환하여,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가지는 다수의 서브 캐리어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디먹스(213)는 제1복조부(2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한다. 역다중화된 신호는 심볼 스트림 형태를 갖는다.
제1심볼 처리부(214)는 역다중화된 신호를 심볼 디매핑에 의해 비트 스트림 으로 변환한다. 심볼 디매핑은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미도시)에서 QAM, QPSK 등의 변조방식에 의해 심볼 매핑된 신호를 디매핑하는 것이다.
제1채널 디코더(215)는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오류 정정을 수행한다.
제1소스 디코더(216)는 오류 정정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시청가능한 영상 또는 음향으로 복원한다. 복원된 영상 또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기기로 입력되어 시청가능하게 표시된다.
제2신호처리모듈은 예를 들어 DVB-T 규격을 지원하는 모듈로서, 제2수신부(20) 및 제2신호처리부(220)를 갖는다. 제2신호처리부(220)는 제2RF/ADC부(221), 제2복조부(222), 제2디먹스(223), 제2심볼 처리부(224), 제2채널 디코더(225) 및 제2소스 디코더(226)를 포함한다. 제2신호처리모듈(220)의 각 구성요소는 제1신호처리모듈(210)과 다른 전송 규격을 지원하므로 그 처리방식 또한 상이하나 신호처리를 하는 측면에서 동일하므로 각 블록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n신호처리부(230)의 제n안테나(미도시)는 소정의 전송 규격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 제nRF/ADC부(231)는 신호를 RF처리한 후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제n복조부(232)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고, 제n디먹스(233)는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며, 제n채널 디코더(234)는 역다중화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오류 …정정을 수행하고, 제n소스 디코더(235)는 수신된 신호를 재생가능하거나 응용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
한편, 판단부(240)는 제1 내지 제n수신부(10, 20, …)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판단부(240)는 메모리부(241), 규격 판단부(242) 및 경로 제공부(243)를 갖는다.
메모리부(241)는 각 신호처리모듈이 지원하는 전송 규격을 저장하고 있으며, 새로운 전송 규격의 신호처리모듈이 추가될 때마다 메모리부(241)에는 추가된 신규 신호처리모듈이 지원하는 전송 규격이 저장된다.
규격 판단부(242)는 신호의 헤드에 삽입된 전송 규격 정보를 확인하여 신호의 규격을 판단한다. 그리고, 규격 판단부(242)는 판단된 전송 규격을 지원하는 신호처리모듈을 메모리부(241)를 통해 확인하고, 확인된 신호처리모듈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하도록 경로 제공부(243)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수신부(10, 20, …) 중 제1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규격이 DVB-T2 규격인 것으로 판단되면, 규격 판단부(242)는 메모리부(241)를 통해 DVB-T2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이 제1신호처리모듈인 것으로 확인하고, 경로 제공부(243)가 제1신호처리모듈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하도록 경로 제공부(243)를 제어한다. 이로써, 제1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판단부(240)를 거쳐 제1신호처리모듈로 제공되어 상술한 과정에 의해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된다.
여기서, 판단부(240)는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형태인 하이브리드 형태 중 하나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판단부(240)의 위치는 각 신호처리부(210, 220, …)에 위치하는 블록 간의 사이 중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40)는 제1~제n디먹 스(213, 223, …)와 제1~제n심볼 처리부(214, 224, …) 사이에 위치가능하며, 그에 따른 신호 프로세싱은 변경될 수 있으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에 의한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신호처리모듈(도면 부호 미도시)에 마련된 복수의 수신부(10, 20, …) 중 하나의 수신부(예를 들어, 제1수신부(10))가 신호를 수신하면, 제1수신부(10))는 수신된 신호를 규격 판단부(412)로 제공한다(S310).
규격 판단부(242)는 신호의 헤더를 확인하여 전송 규격을 판단하고, 판단된 전송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예를 들어, 제1신호처리모듈을 확인한다(S320).
S320단계가 수행되면, 경로 제공부(243)는 판단부(240)와 S320단계에서 확인된 신호처리모듈과의 경로를 생성한 후, 수신된 신호를 경로가 생성된 신호처리모듈의 신호처리부(예를 들어, 제1신호처리부(210))로 제공한다(S330).
이에 의해, 제1신호처리부(210)는 수신된 신호를 정해진 전송 규격을 이용하여 재생 또는 응용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S340). 처리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시청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400)는 판단부(410) 및 복수의 신호처리모듈(420, 430, 440, …)을 포함한다.
판단부(410)는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수신하여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복수의 신호처리모듈(420, 430, 440, …) 중 판단된 전송 규격에 대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수신부로 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판단부(410)는 메모리부(411), 규격 판단부(412) 및 경로 제공부(41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메모리부(411), 규격 판단부(412) 및 경로 제공부(413)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부(241), 규격 판단부(242) 및 경로 제공부(243)와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2의 경우 판단부(240)는 복수의 수신부(10, 20, …) 중 하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반면, 도 4의 판단부(410)는 먼저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복수의 수신부(422, 432, 442, …) 중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수신부로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복수의 신호처리모듈(420, 430, 440, …)은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을 가지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모듈로서, 각각 수신부(422, 432, 442, …) 및 신호처리부(424, 434, 444, …)를 포함하며, 각 신호처리부(424, 434, 444, …)의 동작은 전송 규격에 따라 상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수신부(422, 432, 442, …) 및 복수의 신호처리부(424, 434, 444, …)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수신부(10, 20, …) 및 복수의 신호처리부(210, 220, …)와 거의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4의 복수의 수신부(422, 432, 442, …) 중 하나는 판단부(4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한다. 이 때, 복수의 수신부(422, 432, 442, …)는 안테나, 또는 판단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받는 케이블, 단자, 버스 등 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신호는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데이터는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또는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400)가 업로딩한 내용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디오/비디오신호를 제외한 모든 신호가 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에 의한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규격 판단부(412)는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고, 판단된 전송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예를 들어, 제1신호처리모듈(420))을 확인한다(S510).
경로 제공부(413)는 S510단계에서 확인된 타겟 신호처리모듈(예를 들어, 제1신호처리모듈(420))과의 경로를 생성한 후, 규격 판단부(4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타겟 신호처리모듈(예를 들어, 제1신호처리모듈(420))의 수신부(예를 들어, 제1수신부(422))로 제공한다(S520).
S520단계가 수행되면, 제1신호처리부(424)의 제1RF/ADC부(424a), 제1복조부(424b), 제1디먹스(424c), 제1심볼 처리부(424d), 제1채널 디코더(424e) 및 제1소스 디코더(424f)는 제1수신부(42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정해진 전송 규격을 이용하여 재생 또는 응용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S530). 처리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시청가능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600)는 수신부(610), 판단부(620) 및 복수의 신호처리모듈(630, 640, 650, …)을 포함한다.
수신부(610)는 안테나와 같은 신호수신기기로서,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전송 규격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610)는 수신된 신호를 판단부(620)에게 제공한다.
판단부(620)는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수신하여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복수의 신호처리모듈(630, 640, 650, …) 중 판단된 전송 규격에 대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로 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판단부(620)는 메모리부(621), 규격 판단부(622) 및 경로 제공부(623)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메모리부(621), 규격 판단부(622) 및 경로 제공부(623)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부(241), 규격 판단부(242) 및 경로 제공부(243)와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규격 판단부(622)에 의해 신호의 전송 규격이 판단되고, 판단된 전송 규격을 처리할 수 있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확인되면, 경로 제공부(623)는 타겟 신호처리모듈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경로 제공부(623)는 규격 판단부(6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타겟 신호처리모듈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제1신호처리모듈(630)이면, 신호는 경로 제 공부(623)로부터 제1신호처리모듈(630)의 제1RF/ADC부(631)로 입력되며, 제1복조부(632), 제1디먹스(633), 제1심볼처리부(634), 제1채널 디코더(635) 및 제1소스 디코더소스 디코더소스 디코더호로 처리된다.
한편, 복수의 신호처리모듈(630, 640, 650, …)은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을 가지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모듈로서,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신호처리부(210, 220, 230, …)와 거의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2의 경우 복수의 수신부(10, 20, …) 중 하나가 신호를 입력받아 판단부(240)로 제공하는 반면, 도 6의 경우, 하나의 수신부(610)가 마련되어 신호를 수신한 후 판단부(620)로 제공한다. 즉, 복수의 신호처리모듈(630, 640, 650, …)은 안테나와 같은 별도의 수신부를 각각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수신부(610)를 시분할 공유한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가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는 하나 이상의 인코더(미도시), 채널 인코더(미도시), 변조기(미도시), 멀티플렉서(미도시) 및 RF 송신회로(미도시)를 포함하는 송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이라 함은 논리적 또는 물리적 의미를 갖는다. 즉, FPGA 또는 DSP의 경우, 송신부(미도시)는 하나의 물리적 기반을 통해 다수의 전송 규격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지원할 수 있으며, ASIC의 경우 전송 규격 별로 송신부(미도시)라는 물리적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는, 이러한 형태를 복합적으로 구현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응용예를 설명하 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VB-T 규격과 DVB-T2 규격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통해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로 전송된다. 즉, DVB-T 규격은 f1~f2 사이의 제1대역폭(bandwidth)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며, DVB-T2 규격은 f3~f4 사이의 제2대역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는 기존 규격에 해당하는 DVB-T 규격과 신규 규격에 해당하는 DVB-T2 규격과의 호환성을 제공하지 않고도 두 규격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DVB-T2와 같은 신규 전송 규격이 기존 전송 규격에 비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며, 기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는 이러한 기능들을 올바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가 기존 전송 규격과의 호환성을 제공하지 않고도 기존 전송 규격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 추가되거나 개선된 성능의 예로는 인접 셀에 대한 정보, 경고 상황 발생시 알려주는 알람 기능, 위치 탐색 및 추적 기능 등의 부가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의 전송 규격 판단 기능을 포터블/모바일(Portable/Mobile) 기능에 적용하는 경우, 멀티 캐리어 변조 방식, 업다운의 양방향 서비스, 전력 세이빙을 위한 기술, 고속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IMO(Multiple-In Multiple-Out) 방식 및 계층 코딩(Hierarchical Coding) 등 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바일 전송 규격을 통한 신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 또는 모바일 기기에 전송 안정성과 더불어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을 높이기 위하여 2배의 대역폭을 사용하는 채널 본딩 기능도 추가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판단부는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먼저 신호를 수신한 후 안테나로 전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판단부는 신호처리모듈의 각 블럭 사이 중 한 곳에 위치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판단부의 위치는 설계단계에서 다양한 위치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판단부는 각 신호처리부의 앞단 뿐만 아니라, 신호처리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의 판단부(240, 410, 620)는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형태인 하이브리드 형태 중 하나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로 입력되는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규격 및 WATM(Wireless Asynchronous Transfer Mode) 규격을 포함하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각각 DAB 규격, WLAN 규격 및 WATM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로 입력되는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동종 서비스인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규격 및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2) 규격 중 하나이거나, 이종 서비스인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규격, DVB-S((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규격 및 DVB-C(Digital Video Broadcasting - Cable) 규격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무선 디지털 송수신 방식을 지원한다.
또한, 신호가 IP(Internet Protocol)망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의 전송 규격은 유선 접속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가 PIP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각 판단부(240, 410, 6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각 신호의 전송규격을 판단한 후 신호처리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처리장치(100, 200, 400, 600) 별로 다수의 판단부(미도시)를 구비하지 않고도 단일 판단부(240, 410, 620)가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타겟 신호처리모듈로 신호를 전송하며 PIP와 같은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100, 200, 400, 600)에서 지원하는 서로 다른 규격의 예로서 설명의 편의상 DVB-T 규격, DVB-T2 규격 등을 예로 들었으나, 이러한 규격들, 즉, OFMD 변조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존하는 모든 오디오신호 전송규격, 비디오신호 전송규격 또는 데이터 전송 규격 또는 이를 모두 결합한 신호의 전송 규격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규격을 지원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기를 복수개 구비하지 않고 단일 시스템으로도 다양한 규격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규격과 신규 규격간의 호환성을 지원하지 않고도 기존 규격 및 신규 규격의 신호를 모두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신규 규격에서 추가된 기능 및 개선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2)

  1. 복수의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의 신호를 각각 디지털 처리하여 시청가능한 신호로 복원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및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상기 판단된 전송 규격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를 시청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상기 신호를 상기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신호처리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를 기수신하여 상기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상기 신호를 상기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수신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 규격을 판단한 후, 상기 신호를 상기 타겟 신호처리모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규격,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2) 규격, DVB-S((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규격 및 DVB-C(Digital Video Broadcasting - Cable) 규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각각 상기 DVB-T 규격, DVB-T2 규격, DVB-S 규격 및 DVB-C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규격 및 WATM(Wireless Asynchronous Transfer Mode) 규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각각 상기 DAB 규격, WLAN 규격 및 WATM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와 상기 하드웨어의 하이브리드 형태 중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무선 디지털 송수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IP(Internet Protocol)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유선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12.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의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단계; 및
    복수의 서로 다른 규격의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시청가능한 신호로 복원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상기 판단된 전송 규격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신호처리모듈이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 규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규격이 판단된 신호를 상기 판단된 규격에 상응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의 안테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전송 다른 규격은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규격,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strial 2) 규격, DVB-S((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규격 및 DVB-C(Digital Video Broadcasting - Cable) 규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각각 상기 DVB-T 규격, DVB-T2 규격, DVB-S 규격 및 DVB-C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규격 및 WATM(Wireless Asynchronous Transfer Mode) 규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은 각각 상기 DAB 규격, WLAN 규격 및 WATM 규격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전송 규격을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와 상기 하드웨어의 하이브리드 형태 중 하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무선 디지털 송수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IP(Internet Protocol)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은 유선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을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각각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상기 판단된 전송 규격을 지원하는 상기 타겟 신호처리모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전송 규격을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각각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호처리모듈 중 상기 판단된 전송 규격을 지원하는 타겟 신호처리모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KR1020070016828A 2007-02-16 2007-02-16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KR101356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28A KR101356466B1 (ko) 2007-02-16 2007-02-16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CNA2008800013184A CN101569187A (zh) 2007-02-16 2008-02-15 数字视频广播设备和数字视频广播方法
EP08722973A EP2090099A4 (en) 2007-02-16 2008-02-15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AND DIGITAL TELEVISION METHOD
PCT/KR2008/000913 WO2008100113A1 (en) 2007-02-16 2008-02-15 Digital video broadcasting apparatus and digital video broadcas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28A KR101356466B1 (ko) 2007-02-16 2007-02-16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637A KR20080076637A (ko) 2008-08-20
KR101356466B1 true KR101356466B1 (ko) 2014-01-28

Family

ID=3969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828A KR101356466B1 (ko) 2007-02-16 2007-02-16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90099A4 (ko)
KR (1) KR101356466B1 (ko)
CN (1) CN101569187A (ko)
WO (1) WO2008100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6030B (zh) * 2009-04-10 2013-05-0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多格式影像编解码功能的数据处理电路及处理方法
JP5348490B2 (ja) * 2009-08-13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受信システム
US8237869B2 (en) * 2010-03-31 2012-08-07 Silicon Laboratories Inc. Multi-standard digital demodulator for TV signals broadcast over cable, satellite and terrestrial networks
FR2963864B1 (fr) * 2010-08-13 2013-06-14 Enensys Technologies Procede de diffusion dvb-t2 avec insertion de contenu regional et dispositif utilise dans le procede
GB2488163A (en) * 2011-02-18 2012-08-22 Sony Corp Using Signal Parameter Estimation of a first signal type ( DVB-T2) to predict corresponding parameter values for a second signal type ( DVB-NGH)
EP3982628A1 (en) * 2020-10-08 2022-04-13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User friendly tv signal processing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779A1 (en) 2004-07-01 2006-01-05 Pierre Favrat Television receiver for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s
US20060282870A1 (en) 2005-06-14 2006-12-14 Chih-Yi Chen Digital video receiving system and its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1746A1 (en) * 1999-06-14 2000-12-20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Channel decoder for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652028B1 (ko) * 1999-07-13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매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락 디텍트(lock detect)장치
KR100573772B1 (ko) * 2004-07-29 200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EP1631079A1 (en) * 2004-08-31 2006-03-0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A mobile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the transmission standard of broadcast television sign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779A1 (en) 2004-07-01 2006-01-05 Pierre Favrat Television receiver for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s
US20060282870A1 (en) 2005-06-14 2006-12-14 Chih-Yi Chen Digital video receiving system and it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0113A1 (en) 2008-08-21
EP2090099A4 (en) 2011-12-28
EP2090099A1 (en) 2009-08-19
CN101569187A (zh) 2009-10-28
KR20080076637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1927B1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same
US10652628B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887850B2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r/receiver and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CN111541522B (zh) 发送设备、发送方法、接收设备以及接收方法
KR101356466B1 (ko)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US9948416B2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BRPI1002938B1 (pt) aparelho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sinal, e, sistema de recepção
JP5630646B2 (ja) 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
KR20160106099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TW202127843A (zh) 送訊裝置、送訊方法、收訊裝置、及收訊方法
JPH10247897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方式ならびにその送信装置、受信装置
WO2024090194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WO2024070652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5630645B2 (ja) 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
JP2024019827A (ja) 送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6031484B2 (ja) 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
JP6031485B2 (ja) 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
CN112335255A (zh) 接收装置及接收方法
KR20150035361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