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772B1 -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772B1
KR100573772B1 KR1020040059725A KR20040059725A KR100573772B1 KR 100573772 B1 KR100573772 B1 KR 100573772B1 KR 1020040059725 A KR1020040059725 A KR 1020040059725A KR 20040059725 A KR20040059725 A KR 20040059725A KR 100573772 B1 KR100573772 B1 KR 10057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number
standard
broadcast signal
d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059A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77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7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은, 자동 채널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채널설정 기능 선택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지를 판단하고, 채널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 경우, 추출된 채널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메이저(major)-마이너(minor) 채널번호 형태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DMB나 DVB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채널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BROADCASTING SYSTEM AND CHANNEL SET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에서 채널설정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12 : 신호처리부
14 : 디스플레이부 16 : 메모리
18 : 입력부 20 : 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MB나 DVB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채널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98년 11월 본 방송을 시작한 북미 디지털 티브이 방송은 미국 디지털 방송 규격 위원회인 ATSC(Advanced Television Service Committee)를 통해 디 지털 방송 서비스 규격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ATSC의 시스템 규격으로는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를 적용하여 현재 프로그램의 메이저(major) 및 마이너(minor) 채널 번호, 비디오/오디오 스트림(stream) 정보 그리고 프로그램 상세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 때, PSIP는 디지털 스트림 중 0x1FFB의 PID(Packet ID)를 가지는 스트림으로 입력되고 이 스트림을 분석하면 네 가지 테이블로 재구성된다.
즉, 시스템 시간정보를 구성하는 STT(System Time Table), 지역별 등급정보를 구성하는 RRT(Rating Region Table), 각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구성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의 PID 정보를 가지고 있는 MGT(Master Guide Table) 그리고 RF 채널 내 실제 디지털 채널에 대한 정보(채널수, 비디오/오디오 PID 등)를 구성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로 구성된다.
따라서, VCT를 분석하면 실제 화면상에 나타나는 채널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PSIP는 기존의 아날로그 채널번호 할당방식과는 확연히 다른 메이저-마이너 채널번호 할당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여기서, 메이저-마이너 채널번호는 RF 채널번호가 아닌 방송국 번호를 메이저로 사용하고 하나의 RF 채널에 대해 다중 채널을 구현하기 위해 마이너 채널번호를 할당한다.
예를 들어, 미국 내 방송국은 ABC, FOX, CBS 등과 같은 전국 네트워크를 구 성하는 방송국이 있으며, 각 지역방송은 이들 전국 네트워크의 방송 프로그램을 중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ABC는 1, FOX는 2, CBS는 3번으로 메이저 채널번호를 할당하면 필라델피아 지역의 ABC 방송국이나 워싱턴 지역의 ABC 방송국은 그 지역의 RF 채널과는 상관없이 1번의 메이저 채널로 표시된다. 또한 마이너 채널번호 역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역에 상관없이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유럽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규격으로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을 제정하였으며, 우리나라도 ATSC 규격에서 DVB나 DMB 규격으로 점차 변화될 전망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DVB나 DMB 규격은 ATSC 규격의 채널번호 할당방식과는 달리 메이저-마이너 형태의 채널번호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ATSC 규격을 사용하여 채널번호를 지정하다 DVB나 DMB 규격을 사용하게 되면, ATSC 규격의 채널번호에 익숙해진 사용자에게 있어 DVB나 DMB 규격에서의 채널번호를 익히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즉, ATSC 규격에서 메이저채널이 6번인 SBS 방송국의 방송을 DVB 나 DMB 규격에서 보려고 하는 경우 예컨대, 12번 DMB 채널을 입력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MB나 DVB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채널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부여방법을 제공하 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에 있어서, 자동 채널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채널설정 기능 선택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지를 판단하고, 채널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 경우, 추출된 채널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메이저(major)-마이너(minor) 채널번호 형태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메이저-마이너 채널번호 형태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의 방송국과 동일한 방송국에 해당하는 ATSC 규격의 메이저 채널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자동 채널설정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와;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자동 채널설정 기능 입력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도록 상기 방송신호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지를 판단하고, 채널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 경우, 추출된 채널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메이저(major)-마이너(minor) 채널번호 형태에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ATSC 규격의 메이저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방송국과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방송국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를 상기 ATSC 규격의 메이저 채널번호와 동일하게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채널설정 기능이 종료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이저(major)-마이너(minor) 채널번호가 선택된 경우 해당 DMB/DVB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방송신호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송시스템은, 튜너(10)와, 튜너(1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와, 신호처리부(12)에서 처리된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와, 채널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16)와, 자동 채널 설정을 위한 입력부(18)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시스템은 패킷단위로 비트 스트림 형태의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셋톱박스, 케이블 텔레비전 및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또는 디지털 TV) 등을 말한다.
도시되지 않은 안테나는 RF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튜너(10)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어부(20)에서 자동 채널 설정 명령이 인가되는 경우에 RF채널을 선국한다. 여기서, 자동채널 설정의 경우, 전 RF 채널에 대해 순차적으로 채널을 선국하도록 한다.
신호처리부(12)는 통상적으로 튜너(10)를 통해 선국된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스트림을 비디오/오디오/부가/채널 정보로 역다중화하기 위한 역다중화부와, 역다중화부에서 역다중화된 비디오 정보를 영상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튜너(10)를 통해 전송되는 DVB나 DMB 규격의 디지털 스트림의 신호처리는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Network Information Table:이하 “NIT”라 한다)의 디코딩(decoding)을 포함한다.
NIT를 디코딩하면 표 1의 로직채널디스크립터를 얻을 수 있다.
<표 1>
Syntax No. of bits
logical_channel_descriptor{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for(i=0; i<N; i++){ service_id Reserved logical_channel_number } } 8 8 16 6 10
제어부(20)는 입력부(18)를 통한 자동 채널 설정시, 신호처리부(12)를 통해 신호처리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채널로 전송되는 디지털 스트림의 서비스 규격 및 채널번호를 파악한다. 여기서, 파악된 채널번호는 상기의 10bit 로직채널번호이다.
한편, 10bit의 로직채널번호 중 7bit를 메이저채널번호로, 3bit를 마이너채 널번호로 할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자. 그러면, 메이저채널번호로는 0~128, 마이너채널번호로는 0~7까지 할당이 가능하다.
제어부(20)는 로직채널번호를 ATSC 규격의 메이저-마이너 채널에 대응시켜 메모리(16)에 저장한다.
예컨대, ATSC 규격의 6-1 채널에서 SBS 방송프로그램 1이, 12번의 DMB 채널에서 SBS 방송프로그램 3이 방송된다면, 메이저채널번호를 6으로 하고, 마이너채널번호를 3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동일한 방송국의 방송이므로 메이저채널번호는 ATSC 규격의 메이저채널번호인 6번으로 할당하고, 중복되지 않게 마이너채널번호를 ATSC 규격에서 비사용되는 3으로 할당한 것이다. 물론, 동일한 방송국의 동일한 프로그램의 경우 ATSC 규격의 메이저-마이너 채널번호와 동일하게 할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로직채널번호는 10bit이고, 7bit를 메이저채널번호로, 3bit를 마이너채널번호로 할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0000110011 즉, 제어부(20)는 로직채널번호를 0x33에 대응시켜 메모리(16)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자동 채널 설정이 종료되고, 사용자에 의해 6-3 채널이 선택되면, 해당 DMB 채널을 선국하도록 튜너(10)를 제어한다.
이처럼, DVB나 DMB 규격을 지원하는 방송시스템에서도 통상적으로 ATSC 규격에서 널리 알려진 메이저채널(예컨대, SBS : 메이저채널 6번)을 선택하면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을 도 2를 참 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8)를 통해 자동 채널 설정 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인식한 제어부(20)가 튜너(10)를 제어하여 RF 채널이 순차적으로 선국되도록 한다(S10). 그리고, 제어부(20)는 자동 채널설정을 위한 초기화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선국된 RF 채널로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도록 하고(S12), 처리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입력되는 방송신호가 DMB나 DVB 규격인지를 판단한다(S14). DMB나 DVB 규격이 아니면,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하고, DMB나 DVB 규격이면, 채널번호를 추출한다(S16). 그리고, 추출된 채널번호가 이전에 추출된 채널번호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S18). 동일하면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추출된 채널번호를 ATSC 규격의 메이저-마이너 채널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한다(S20).
물론,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방송신호가 DMB나 DVB 규격인지를 판단하고, 그 후에 채널번호를 추출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이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DMB나 DVB 규격의 방송시스템에서 채널설정의 예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SC 규격에서 SBS의 메이저채널은 6이며, 프로그램에 따라 마이너채널이 할당되어 있다. 즉, SBS 프로그램1은 6-1채널, SBS 프로그램2는 6-2채널이다. 한편, DMB 규격의 12번 채널에서 SBS 프로그램3이 방송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본 발명에서 제어부(20)는 자동 채널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DBM 12번 채널을 6-3채널로 변경하여 메모리(16)에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방송국에 따라 메이저채널을 동일하게 변경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방송주제(예컨대, 스포츠, 뮤직 등)에 따라 메이저채널을 동일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MB나 DVB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채널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에 있어서,
    자동 채널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채널설정 기능 선택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지를 판단하고, 채널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 경우, 추출된 채널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메이저(major)-마이너(minor) 채널번호 형태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메이저-마이너 채널번호 형태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의 방송국과 동일한 방송국에 해당하는 ATSC 규격의 메이저 채널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의 채널설정방법.
  3.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자동 채널설정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와;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자동 채널설정 기능 입력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도록 상기 방송신호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지를 판단하고, 채널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방송신호의 규격이 DMB/DVB 규격인 경우, 추출된 채널번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메이저(major)-마이너(minor) 채널번호 형태에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ATSC 규격의 메이저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방송국과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방송국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추출된 채널번호를 상기 ATSC 규격의 메이저 채널번호와 동일하게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채널설정 기능이 종료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이저(major)-마이너(minor) 채널번호가 선택된 경우 해당 DMB/DVB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방송신호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KR1020040059725A 2004-07-29 2004-07-29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KR100573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25A KR100573772B1 (ko) 2004-07-29 2004-07-29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25A KR100573772B1 (ko) 2004-07-29 2004-07-29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59A KR20060011059A (ko) 2006-02-03
KR100573772B1 true KR100573772B1 (ko) 2006-04-25

Family

ID=3712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725A KR100573772B1 (ko) 2004-07-29 2004-07-29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66B1 (ko) * 2007-02-16 201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53B1 (ko) 2001-12-24 200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자동 변환 장치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53B1 (ko) 2001-12-24 200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자동 변환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59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1359B2 (en) Virtual channel table for a broadcast protocol and method of broadcas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ing the same
KR100499039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설정방법
KR19990002935A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갱신방법 및 장치
KR101486354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40985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50075549A (ko) 채널 전환을 위한 다중 채널맵을 생성하는 채널맵생성장치및 그 방법
KR100573772B1 (ko) 방송시스템 및 그 채널설정방법
KR20010028526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번호 할당장치 및 방법
KR101229169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채널번호 지정 및 채널전환 방법
KR100812616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주음성 언어 설정 방법
JP200910549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246761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채널 표시방법
KR20220164919A (ko) Dtv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KR10148117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320732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채널정보표시방법
KR20110006867A (ko) 방송 수신기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090057626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마이너 채널 전환 방법
KR20090075146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마이너 채널 선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