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361A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361A
KR20150035361A KR20140045554A KR20140045554A KR20150035361A KR 20150035361 A KR20150035361 A KR 20150035361A KR 20140045554 A KR20140045554 A KR 20140045554A KR 20140045554 A KR20140045554 A KR 20140045554A KR 20150035361 A KR20150035361 A KR 20150035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ata
baseband
information
base layer
signal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718B1 (ko
Inventor
황성희
양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98,235 priority Critical patent/US9571318B2/en
Publication of KR2015003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6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s [DVB-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장치가 개시된다. 송신 장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신호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베이스 밴드 패킷은,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물리 계층에서 Multi-layer 컨텐츠를 구분하고, 원하는 컨텐츠만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FDM 방식을 사용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통신 서비스는 다기능, 광대역 고품질화되고 있다. 특히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화질 디지털 TV, 고사양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방송 기기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송 서비스에 대해 다양한 수신 방식, 다양한 서비스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하나의 예로서,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the Second Generation Terrestrial)와 같은 방송 통신 규격이 개발되었다.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the Second Generation Terrestrial)는 현재 유럽을 포함한 전세계의 35여개 이상의 국가에서 표준으로 채택하여 서비스가 시작중인 DVB-T의 성능을 개선시킨 2세대 유럽 지상파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서, DVB-T2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256QAM 변조 방식 등과 같은 최신 기술들을 적용하여 전송 용량의 증대 및 높은 대역폭 효율을 실현하였으며, 이에 따라 HDTV와 같은 고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한정된 대역에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모바일 네트워크 발달과 스마트 폰 등의 보급 확대로 모바일 브로드캐스팅을 포함한 지상파 방송 물리 규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기존의 댁 내 TV에서만 수신 가능하던 HD(High-Definition) 컨텐츠 서비스가 네트워크의 발달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가능한 추세이다.
또한, 고용량 컨텐츠(예를 들면, Ultra High-Definition, UHD)의 발달로 상대적으로 기존의 저용량 컨텐츠(예를 들면, High-Definition, HD)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저용량 컨텐츠를 위한 물리적 계층과 고용량 컨텐츠를 위한 물리적 계층으로 구성된 Multi-layer 컨텐츠의 전송이 요구된다.
이에 대해, 기존에는 상위 계층에서 Multi-layer 컨텐츠를 구분하고 하나의 스트림으로 만든 후 전송하였기 때문에 물리 계층에서는 Multi-layer 컨텐츠의 존재 자체를 알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저용량 컨텐츠만 재생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물리 계층에서는 실제적으로 저용랑 컨텐츠와 고용량 컨텐츠 모두를 디코딩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보내고, 상위 계층에서 비로소 저용랑 컨텐츠와 고용량 컨텐츠를 구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물리 계층에서는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디코딩 처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물리 계층에서 Multi-layer 컨텐츠를 구분하는 방법 및 전송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 계층에서 Multi-layer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은, 상기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L1 시그널링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OFDM FFT size, GI, Constellation Order 및 FEC cod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포함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을 신호 처리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은, 상기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L1 시그널링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OFDM FFT size, GI, Constellation Order 및 FEC cod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밴드 프레임이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포함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을 신호 처리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리 계층에서 Multi-layer 컨텐츠를 구분하고, 원하는 컨텐츠만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DVB-T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패킷, 베이스 밴드 프레임 및 스크램블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계층에 따른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의 신택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1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스트림이 L1 패킷(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 처리되는 입력 프로세싱 모듈은 데이터 파이프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9는 각 PLP에 대한 로컬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인터리빙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추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는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 신호 처리부(130) 및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밴드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헤더는 페이로드 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헤더를 구성하는 필드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IP(Internet Protocal) 패킷, TS 패킷 및 시그널링 데이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페이로드 데이터가 포함하는 데이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밴드 패킷은 입력되는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들을 물리적 계층으로 매핑하기 위해 필요한 단위 패킷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IP 패킷은 베이스 밴드 패킷을 통해 하나의 PLP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시그널링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패킷은 입력된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는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는 IP 패킷 및 헤더를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패킷을 배열하여 순방향 에러 정정 코드(forward error correcting code)에 대응되는 사이즈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물론, IP 패킷 뿐만 아니라, 상술한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로서, DVB-T2 시스템은 하나의 방송 채널에 각각 서로 다른 변조 방식, 채널 부호화율, 시간 및 셀 인터리빙 길이 등을 가지는 다양한 방송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PLP 개념을 적용한다.
여기서, PLP는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신호 경로를 뜻한다. 즉, 각각의 서비스(예를 들면, 비디오, 확장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 등)는 다수의 RF 채널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는데, PLP는 이러한 서비스가 전송되는 경로 또는 그 경로를 통해서 전송되는 스트림이다. 또한, PLP는 다수의 RF 채널들 상에서 시간적인 간격을 가지고 분포하는 슬롯들에 위치할 수도 있고, 하나의 RF 채널 상에 시간적인 간격을 가지고 분포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PLP는 하나의 RF 채널 또는 다수의 RF 채널들 상에 시간적인 간격을 가지고 분포되어 전송될 수 있다.
PLP 구조는 하나의 PLP를 제공하는 Input mode A와 다수의 PLP를 제공하는 Input mode B로 구성되며, 특히 Input mode B를 지원할 경우 강인한 특정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스트림을 분산 전송시킴으로써 시간 인터리빙 길이를 증가시켜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스트림만을 수신할 경우 나머지 시간 동안에는 수신기 전원을 off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및 이동방송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다.
여기서, 시간 다이버시티는 이동 통신 전송로에서 전송 품질의 열화를 줄이기 위해 송신 측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신호를 여러 번 송신하면 수신 측에서 이들 수신 신호를 다시 합성하여 양호한 전송 품질을 얻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복수의 PLP에 공통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정보를 하나의 PLP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 PLP0가 이러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PLP를 커먼 PLP(common PLP)라 하고, PLP0를 제외한 나머지 PLP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PLP를 데이터 PLP라고 한다.
이와 같은 PLP를 사용하게 되면, 가정의 HDTV 프로그램 수신뿐만 아니라 휴대 및 이동 중에도 SDTV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이나 방송 컨텐츠 제공자를 통해 시청자에게 다양한 방송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시청이 어려운 난시청 지역에서도 방송 수신이 가능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는 입력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에 각각 매핑시키는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신호 처리부(130)는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30)는 각 경로 별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는 입력 신호 동기화(Input Stream Synchronization), 딜레이 보상(Delay Compensation), 널 패킷 제거(Null packet deletion), CRC 인코딩(CRC Encoding), 헤더 삽입(Header Insertion), 부호화(Coding), 인터리빙(Interleaving), 변조(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경로 별로 신호 처리된 프레임들은 시그널링 정보와 함께 하나의 전송 프레임으로 생성되고, 생성된 전송 프레임은 수신 장치(미도시)로 전송된다.
그리고, 송신부(140)는 신호 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DVB-T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DVB-T2 송신 시스템(1000)은 입력 프로세서(1100), BICM 인코더(1200), 프레임 빌더(1300) 및 모듈레이터(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VB-T2 송신 시스템(1000)은 유럽 디지털 방송 표준의 하나인 DVB-T2에서 정의된 내용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각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for a second generation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DVB-T2)"를 참조하길 바란다.
입력 프로세서(1100)는 서비스될 데이터에 대한 입력 스트림으로부터 BBFRAME(Baseband Frame)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입력 스트림은 MPEG-2 TS(Transport Stream), GS(Generic Stream) 등이 될 수 있다.
BICM 인코더(1200)는 서비스될 데이터가 전송될 영역(Fixed PHY Frame 또는 Mobile PHY Frame)에 따라 FEC 코딩 레이트와 성상도 차수(constellation order)를 결정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서비스될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는 구현에 따라 별도의 BICM 인코더(미도시)를 통하여 부호화 되거나 상기 BICM 인코더(1200)를 서비스될 데이터와 공유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프레임 빌더(1300) 및 모듈레이터(1400)은 시그널링 영역을 위한 OFDM 파라미터와 서비스될 데이터가 전송될 영역에 대한 OFDM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싱크 영역을 추가하여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프레임을 RF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를 수행하고, RF 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모듈레이터(1400)는 MISO 프로세싱부(미도시), 파일럿 삽입부(미도시), IFFT부(미도시), PAPR 리덕션부(미도시), 가드 인터벌 삽입부(미도시), P1 심볼 삽입부(미도시) 및 D/A 컨버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 및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는 DVB-T2 송신 시스템(1000)의 입력 프로세서(1100)에 대응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패킷 및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는 베이스 밴드 헤더 생성부(120-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베이스 밴드 헤더 생성부(120-1)과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를 구별하기 위하여,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1)로 따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20)는 생성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베이스 밴드 프레임 스크램블러(125)로 전송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는 입력되는 IP 패킷, TS 패킷 및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들로부터 인풋 모드와 관련하여 각각의 PLP로 전송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밴드 패킷은 ISO 7 계층 모델에서의 L2 패킷에 해당한다. 즉,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는 입력되는 Layer 2 이상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입력되는 패킷(IP 패킷, TS 패킷등)을 인캡슐레이팅(encapsulating)하여 베이스 밴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다양한 계층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다양한 계층의 데이터에 대하여 인캡슐레이팅하여 베이스 밴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밴드 패킷은 다양한 계층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밴드 패킷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베이스 밴드 패킷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밴드 패킷은 이러한 시그널링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시그널링 정보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밴드 헤더 생성부(120-1)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에 삽입되는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밴드 프레임에 삽입되는 헤더를 베이스 밴드 헤더라고 하며, 베이스 밴드 헤더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2)는 베이스 밴드 헤더 생성부(120-1)로부터 생성된 베이스 밴드 헤더를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로부터 출력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인캡슐레이팅(encapsulating)하여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프레임 스크램블러(125)는 각각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에 순방향 에러 정정 코드가 부가되기 전에 베이스 밴드 프레임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랜덤한 순서로 섞어서, 스크램블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스크램블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은 PLP를 통해 전송되어 신호 처리가 수행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밴드 패킷, 베이스 밴드 프레임 및 스크램블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110)는 IP 패킷, TS 패킷 등의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BBP Payload에 저장하고 헤더를 삽입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패킷(111, 112)을 생성하면,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120)는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패킷(111, 112)들을 그룹핑하고 베이스 밴드 헤더를 삽입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121, 122)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121, 122)은 복수의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 밴드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베이스 밴드 프레임(121)에 베이스 밴드 패킷의 일부가 삽입된 경우 베이스 밴드 패킷의 나머지 일부는 두 번째 베이스 밴드 프레임(122)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프레임 스크램블러(125)는 생성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121, 122) 각각을 랜덤하게 스크램블하여 복수의 스크램블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125-1, 125-2)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스크램블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125-1. 125-2)은 상술한 바와 같이 PLP로 전송되며, 순방향 에러 코딩 코드가 부가되기 위한 신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밴드 패킷(111, 112)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는 서로 다른 PLP를 구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Base Layer 데이터는 PLP_B를 구성하고, Enhance Layer 데이터는 PLP_E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가 PLP_B를 구성하고, Enhance Layer 데이터가 PLP_E를 구성하여 전송되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하나의 Multi-layer 컨텐츠를 구성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가 구성하는 PLP_B가 전송되는 피지컬 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구성하는 PLP_E가 전송되는 피지컬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그널링 정보는, PLP_B 또는 PLP_E가 전송되는 피지컬 프레임이 모바일 프레임(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아니면 Fixed 프레임(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계층에 따른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위 계층인 Layer 3에서의 Multi-layered Media Packet Stream(510)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와 헤더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Layer 2에서는 Base Layer 데이터와 Enhance Layer 데이터로 분리되어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인풋 스트림 #1(520)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인풋 스트림 #2(5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그널링 정보를 위한 시그널링 데이터(540)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Layer 1에서는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B(550)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E(560)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Layer 1에서의 PLP_B(550)와 PLP_E(560)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에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Layer 2의 시그널링 데이터(540)는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B(550) 또는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E(560)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고, 또는 시그널링 데이터(540)가 별도의 인풋 스트림 #3(미도시)으로 구성되고, 별도의 PLP_S(미도시)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의 신택스이다.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Multi_Layered Media ID는 Multi_Layered 컨텐츠 여부를 나타낼 수 있고, Number of Layered Media는 Layer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Base Layer와 하나의 Enhance Layer가 있는 경우 그 값은 2가 될 수 있다.
또한,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는 각각의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i가 0이면, Base Layer 데이터를 의미하고, i가 1이면, 첫 번째 Enhance Layer 데이터를 의미하며, i가 2이면, 두 번째 Enhance Layer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한편, PLP_ID는 해당 Layer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PLP_ID를 나타내며, Frame ID는 해당 Layer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피지컬 프레임 ID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해당 Layer에 대한 데이터가 모바일 프레임으로 전송되는지 픽스드 프레임으로 전송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RF Frequency는 해당 Layer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RF 주파수를 나타내며, 이는 Base Layer 데이터와 Enhance Layer 데이터가 서로 다른 RF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L1 시그널링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1 시그널링 정보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파라미터 정보는, OFDM FFT size, GI, Constellation Order 및 FEC cod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술한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B와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E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 및 피지컬 프레임 내의 삽입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술한 시그널링 정보(L2 시그널링 정보)와 구별된다. 도 7 내지 도 11을 사용하여 L1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1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프로세서(1100) 및 BICM 인코더(1200)가 도시되어 있다. 입력 프로세서(1100)는 스케쥴러(1110)를 포함할 수 있다. BICM 인코더(1200)는 L1 시그널링 제너레이터(1210), FEC 인코더(1220-1, 1220-2), 비트 인터리버(1230-2), 디먹스(1240-2), 성상도 매퍼(1250-1, 1250-2)를 포함할 수 있다. BICM 인코더(1200)는 타임 인터리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1 시그널링 제너레이터(1210)는 입력 프로세서(1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n개의 서비스 데이터들은 각각 PLP0 내지 PLPn에 매핑된다. 스케쥴러(1110)는 여러 개의 PLP를 T2의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해 각 PLP 별로 위치, 변조 및 코드 레이트들을 결정한다. 즉, 스케쥴러(1110)는 L1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경우에 따라, 스케쥴러(1110)는 현재 프레임의 L1 포스트 시그널링 중 다이내믹 정보를 프레임 빌더(13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러(1110)는 L1 시그널링을 BICM 인코더(1200)로 전송할 수 있다. L1 시그널링은 L1 프리 시그널링(L1-pre signalling)과 L1 포스트 시그널링(L1-post signalling)을 포함한다.
L1 시그널링 제너레이터(1210)는 L1 프리 시그널링과 L1 포스트 시그널링을 구별하여 출력한다. FEC 인코더(1220-1, 1220-2)들은 L1 프리 시그널링과 L1 포스트 시그널링에 대해 각각 쇼트닝과 펑쳐링을 포함하는 FEC 인코딩을 수행한다. 비트 인터리버(1230-2)는 인코딩된 L1 포스트 시그널링에 대해 비트 단위로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디먹스(1240-2)는 셀을 구성하는 비트들의 순서를 조절하여 비트의 강인성(robustness)을 제어하고, 비트들을 포함하는 셀을 출력한다. 두 개의 성상도 매퍼(1250-1, 1250-2)들은 각각 L1 프리 시그널링과 L1 포스트 시그널링의 셀들을 성상도에 매핑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처리된 L1 프리 시그널링과 L1 포스트 시그널링은 프레임 빌더(1230)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L1 프리 시그널링과 L1 포스트 시그널링은 프레임 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의 단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스트림이 L1 패킷(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 처리되는 입력 프로세싱 모듈은 데이터 파이프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입력 스트림이 L1 패킷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입력 스트림(411 내지 413)은 Input pre-processing 과정을 통해 복수의 L2 패킷(베이스 밴드 패킷)에 대한 데이터 파이프(421 내지 423)로 처리되고, 복수의 L2 패킷에 대한 데이터 파이프(421 내지 423)는 Input processing 과정을 통해 복수의 L1 패킷에 대한 데이터 파이프(431 내지 433)로 인캡슐레이션되고 전송 프레임으로 스케쥴링된다(도 3, 1110). 여기서, L2 패킷은 TS(Transport Stream) 스트림과 같은 고정 스트림 및 GSE(General Stream Encapsulation) 스트림과 같은 가변 스트림의 두 가지 타입이 있을 수 있다.
도 9는 각 PLP에 대한 로컬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1 패킷(430)은 헤더, 데이터 필드 및 패딩 필드를 포함한다.
L1 패킷(430)은 FEC 인코딩 과정을 통해 패리티(432)가 추가되어 L1 FEC 패킷(440)으로 처리된다.
L1 FEC 패킷(440)은 비트 인터리빙 및 성상 매핑 과정을 통해 FEC 블럭(450)으로 처리되고, 복수의 FEC 블럭은 셀 인터리빙 과정을 통해 타임 인터리빙 블럭(460)으로 처리되고, 복수의 타임 인터리빙 블럭은 인터리빙 프레임(470)을 구성하게 된다.
도 10은 인터리빙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터리빙 프레임(470)은 서로 다른 전송 프레임(461, 462)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전송 프레임은 하나의 슈퍼 프레임(48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전송 프레임(461)은 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알려주는 P1 심볼(10)과 L1 신호를 전송하는 P2 심볼(20)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심볼(30)들로 구성될 수 있다.
P1 심볼(10)은 전송 프레임(461)의 첫 부분에 위치하며, T2 프레임의 시작점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1 심볼(10)은 7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P2 심볼(20)은 T2 프레임의 P1 심볼(10) 다음에 위치한다. 하나의 전송 프레임(461)에는 FFT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P2 심볼(20)이 포함될 수 있다. FFT 크기에 따라 포함되는 P2 심볼(20)의 갯수는 다음과 같다.
FFT 크기 P2 심볼 갯수
1K 16
2K 8
4K 4
8K 2
16K 1
32K 1
P2 심볼(20)은 L1 프리 시그널링(21)과 L1 포스트 시그널링(23)을 포함한다. L1 프리 시그널링(21)는 L1 포스트 시그널링의 수신 및 디코딩하기 위해 요구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기본 전송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L1 포스트 시그널링(23)은 컨피규러블 포스트 시그널링(configurable post signalling)(23-1) 및 다이내믹 포스트 시그널링(dynamic post signalling)(23-2)를 포함한다. 또한, L1 포스트 시그널링(23)은 선택적으로 확장 필드(extension field)(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L1 포스트 시그널링(23)은 CRC 필드 및, 필요에 따라 L1 패딩 필드(padding fiel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L1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한다. 특히, 송신부(140)는 Multi-layer 컨텐츠가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고정 단말 장치를 모두 지원하기 위한 것인 경우, Base Layer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하여 결정된 파라미터로 구성된 모바일 프레임으로 전송하고, Enhance Layer 데이터는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하여 결정된 파라미터로 구성된 Fixed 프레임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모바일 프레임은 Fixed 프레임보다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강인한 로버스트한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프레임은 OFDM의 FFT size 8K, Guard Interval 1/8, Contellation Order 16QAM, LDPC Code Rate 1/2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Fixed 프레임은 OFDM size 32K, Guard Interval 1/32, Constellation Order 256QAM, LDPC Code Rate 2/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전송 프레임은 신호 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DVB-T2의 T2 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송 프레임은 동일한 파라미터를 가지는 하나의 피지컬 프레임에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B와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E가 서로 구분되어 포함된 채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Frame Sync/L1 Signaling 영역은 해당 피지컬 프레임 내에서의 PLP_B의 위치와 PLP_E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OFDM FFT size, GI(Guard Interval), Constellation Order, FEC의 길이 및 FEC code rat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PLP_B와 PLP_E가 하나로 묶여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Group ID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과는 다르게,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B는 모바일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되고,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E는 Fixed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장치(미도시)가 Base Layer 데이터만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 장치(미도시)는 모바일 피지컬 프레임에만 접속하여 Base Layer 데이터만을 디코딩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미도시)가 Enhance Layer 데이터만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 장치(미도시)는 Fixed 피지컬 프레임에만 접속하여 Enhance Layer 데이터만을 디코딩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ase Layer 데이터는 HD 컨텐츠를 지원하고, Base Layer 데이터에 Enhance Layer 데이터를 추가하면 UHD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상정한다.
여기서, 송신 장치(100)는 HD 컨텐츠를 지원하는 Base Layer 데이터는 모바일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고정 단말 장치는 모바일 피지컬 프레임에 접속하여 HD 컨텐츠를 재생 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100)는 HD 컨텐츠를 지원하는 Base Layer 데이터를 모바일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추가적으로 UHD 컨텐츠를 지원하기 위한 Enhance Layer 데이터를 Fixed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고정 단말 장치는 이미 수신한 Base Layer 데이터와 추가적으로 수신한 Enhance Layer 데이터를 결합하여 UHD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L2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또는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알려주고, L1 시그널링 정보는 해당 프레임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Fixed 프레임인지를 알려줌으로써, 수신 장치(미도시)는 L2 시그널링 정보 및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원하는 프레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Base Layer 데이터와 Enhance Layer 데이터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Base Layer 데이터는 주파수 #1(1310)이 표시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Enhance Layer 데이터는 주파수 #2(1320)이 표시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상술한 도 12와 같이, HD 컨텐츠를 지원하는 Base Layer 데이터를 모바일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추가적으로 UHD 컨텐츠를 지원하기 위한 Enhance Layer 데이터를 Fixed 피지컬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하되, 모바일 피지컬 프레임과 Fixed 피지컬 프레임을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L2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1 시그널링 정보는 주파수 #1(1310)과 주파수 #2(1320)가 나타내는 대역이 서로 번들링(bundling)되어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1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B와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E가 동일한 Group_ID로 묶여 그룹핑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1(1310)에서 Base Layer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레임의 L1 시그널링 정보는 번들링된 주파수 #2(1320)에 대한 대역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Bas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B와 관련된 Enhance Layer 데이터를 위한 PLP_ID가 PLP_E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1400)는 수신부(1410), 정보 추출부(1420) 및 신호 처리부(1430)를 포함한다.
수신부(1410)는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수신한다.
정보 추출부(1420)는 수신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부터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하는 것의 의미는 베이스 밴드 패킷이 포함하는 L2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L2 시그널링 정보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2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430)는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이며, 신호 처리부(1430)는 L2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처리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430)는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430)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포함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을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L1 시그널링 정보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430)는 L1 시그널링 정보 및 L2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만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처리는 복조(Demodulation), 프레임 디빌더(Frame De-builder), BICM 디코딩, 입력 디-프로세싱(Input De-processing)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5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430)는 디모듈레이터(1431), 신호 디코더(1432) 및 스트림 제너레이터(1433)를 포함한다.
디모듈레이터(1431)는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OFDM 파라미터에 따라 복조를 수행하여, 싱크 디텍션을 수행하고 싱크가 디텍션되면 싱크 영역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Mobile 프레임이 수신되고 있는지 Fixed 프레임이 수신되고 있는지를 인식한다.
이 경우, 시그널링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대한 OFDM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싱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시그널링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대한 OFDM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싱크 영역 바로 다음에 오는 시그널링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대한 OFDM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 디코더(1432)는 입력받은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 경우, 신호 디코더(1432)는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FEC 방식, 변조 방식 등의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디코더(1432)는 컨피규러블 포스트 시그널링 및 다이내믹 포스트 시그널링에 포함된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시작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해당 PLP가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서 전송되는지 산출할 수 있다.
스트림 제너레이터(1433)는 신호 디코더(1432)로부터 입력받은 BB 프레임(BB FRAME)을 처리하여 서비스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스트림 제너레이터(1433)는 정보 추출부(1420)에서 제공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 정정된 L1 패킷으로부터 L2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림 제너레이터(1433)는 디-지터 버퍼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디-지터 버퍼들은 정보 추출부(1420)에서 제공된 프레임의 위치 정보에 관한 값등에 기초하여 출력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한 정확한 타이밍을 재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PLP 들 간의 싱크를 위한 딜레이가 보상될 수 있다.
한편, 시그널링 정보는 프리 시그널링(pre signalling) 및 포스트 시그널링(post signalling)을 포함하며, 포스트 시그널링(post signalling)은, 컨피규러블 포스트 시그널링(configurable post signalling) 및 다이내믹 포스트 시그널링(dynamic post signalling)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1 시그널링 정보 및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술한 시그널링 정보에 대응될 수 있으며, 베이스 밴드 패킷 및 베이스 밴드 프레임은 L2 패킷과 L1 패킷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따르면, 도 15에 설명한 신호 디코더(1432)는 프레임 디 매퍼부(1432-1)과 BICM Decoder(1432-2)로 구체화될 수 있다.
수신 장치(1400)의 디모듈레이터(1431)는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Frame Sync/L1 시그널링 영역이 포함하는 OFDM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하여 Sync Detection을 수행하고, Sync Detection이 성공하면 Frame Sync/L1 시그널링 영역에 저장된 L1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모바일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지 Fixed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디 매퍼부(1432-1)는 L1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상세한 정보(예를 들면, FEC, Modulation 방식 등의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BICM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디 매퍼부(1423-1)은 L2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L2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Multi-Layered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ase Layer 데이터를 어떤 피지컬 프레임에서 재생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Enhance Layer 데이터를 어떤 피지컬 프레임에서 재생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포함된 프레임이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장치(1400)는 어떤 주파수 대역에서 어떤 프레임의 어떤 PLP를 재생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L1 시그널링 정보 및 L2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추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7에 따르면, 정보 추출부(1420)는 디모듈레이터(1421), 먹스(1422), 디인터리버(1423) 및 디코더(1424)를 포함한다.
디모듈레이터(1421)는 송신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디모듈레이터(1421)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LDPC 부호어에 대응되는 값을 생성하고 이를 먹스(1422)로 출력한다.
이 경우, LDPC 부호어에 대응되는 값은 수신된 신호에 대한 채널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채널 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일 예로,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결정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LLR 값은 송신 장치(100)에서 전송한 비트가 0일 확률과 1일 확률의 비율에 Log를 취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LLR 값은 경판정(hard decision)에 따라 결정된 비트 값 자체가 될 수 있으며, 또한, LLR 값은 송신 장치(100)에서 전송한 비트가 0 또는 1일 확률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결정된 대표 값이 될 수도 있다.
먹스(1422)는 디모듈레이터(1421)의 출력 값을 멀티플렉싱하고, 이를 디인터리버(1423)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디모듈레이터(1421)의 출력 값은 LDPC 부호어에 대응되는 값으로 일 예로, LLR 값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먹스(1422)는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디먹스(도 7, 1240-2)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로, 디먹스(1240-2)에서 수행된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역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먹스(1422)는 디모듈레이터(1421)에서 출력된 LDPC 부호어에 대응되는 값을 패러렐-투-시리얼(parallel-to-serial) 변환하여 LDPC 부호어에 대응되는 값을 멀티플렉싱한다.
디인터리버(1423)는 먹스(1422)의 출력 값을 디인터리빙하여 디코더(1424)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인터리버(1423)는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인터리버(도 7, 1230-2)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로서, 인터리버(도 7, 1230-2)에서 수행된 동작을 역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인터리버(923)는 인터리버(도 7, 1230-2)에서 수행된 인터리빙 동작에 대응되도록 LDPC 부호어에 대응되는 값에 대해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LDPC 부호어에 대응되는 값은 일 예로 LLR 값이 될 수 있다.
디코더(1424)는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FEC 인코더(1220-2)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로, FEC 인코더(1220-2)에서 수행된 동작을 역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코더(1424)는 디인터리빙된 LLR 값에 기초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L1 시그널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L2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L2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신택스는 도 6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할 수 있다(S1810).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이다.
이어서,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S1820).
그리고,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할 수 있다(S1830).
이후, 신호 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1840).
한편, 도 18에 도시된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L1 시그널링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1 시그널링 정보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정보는, OFDM FFT size, GI, Constellation Order 및 FEC cod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수신한다(S1910).
그리고, 수신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부터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한다(S1920).
이후,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할 수 있다(S1930).
여기서, 신호 처리하는 단계는,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포함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을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L1 시그널링 정보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그널링 정보는,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하는 단계,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수신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부터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송신 장치 110: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
120: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 130: 신호 처리부
140: 송신부

Claims (26)

  1.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 패킷 생성부;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 생성부;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은, 상기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L1 시그널링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OFDM FFT size, GI, Constellation Order 및 FEC cod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포함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을 신호 처리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4.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 매핑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패킷(Baseband Packet)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처리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은, 상기 데이터가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L1 시그널링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OFDM FFT size, GI, Constellation Order 및 FEC cod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21. 베이스 밴드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을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이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밴드 프레임이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의 시그널링 영역에 포함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을 신호 처리하며,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내에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밴드 프레임 각각이 이동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고정 단말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D, Layer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Layered Media 및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Multi_Layered Media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Base Layer 데이터 및 Enhance Layer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2 시그널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45554A 2013-09-27 2014-04-16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8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98,235 US9571318B2 (en) 2013-09-27 2014-09-26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83296P 2013-09-27 2013-09-27
US61/883,296 2013-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361A true KR20150035361A (ko) 2015-04-06
KR102178718B1 KR102178718B1 (ko) 2020-11-13

Family

ID=5303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554A KR102178718B1 (ko) 2013-09-27 2014-04-16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3710A1 (en) * 2001-12-06 2005-10-20 Ismail Lakkis High data rate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100058404A (ko) * 2008-11-24 2010-06-03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이동 단말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수신 방법, 다중 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US20120082076A1 (en) * 2009-06-09 2012-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acket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3710A1 (en) * 2001-12-06 2005-10-20 Ismail Lakkis High data rate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100058404A (ko) * 2008-11-24 2010-06-03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이동 단말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수신 방법, 다중 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US20120082076A1 (en) * 2009-06-09 2012-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acket in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718B1 (ko)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404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through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20200351390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57131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3874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565044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150011304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160052313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150016884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31807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50033279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2197968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379843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27852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158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22922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method
KR102178718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721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102206538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3789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374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9955230B2 (en) OFDM based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