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708B1 - 앵커 볼트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앵커 볼트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708B1
KR101355708B1 KR1020120053949A KR20120053949A KR101355708B1 KR 101355708 B1 KR101355708 B1 KR 101355708B1 KR 1020120053949 A KR1020120053949 A KR 1020120053949A KR 20120053949 A KR20120053949 A KR 20120053949A KR 101355708 B1 KR101355708 B1 KR 10135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nchor bolt
upper frame
alignment devic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279A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2005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7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빔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앵커 볼트들을 정렬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앵커 볼트들의 배치 상태를 정렬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앵커 볼트 정렬 장치는, 평판의 장방형상을 가지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앵커 볼트를 파지하는 관통구를 갖는 지지부가 각 꼭지점 별로 형성되며 각 꼭지점과 이격된 위치에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꼭지점과 상기 제1 관통구 사이에 제2 관통구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이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여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는 수직 기둥들;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수직 기둥과 자신 간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철근의 위치를 정렬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보조 철근의 상측에 자신의 단부가 맞닿으면서 높낮이 조절 가능한 높낮이 조절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 볼트 정렬 장치{ANCHOR BOLT ALIGNMENT MODULE}
본 발명은 앵커 볼트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빔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앵커 볼트들을 정렬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앵커 볼트들의 배치 상태를 정렬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에는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이 인가되는 수직 빔 구조체가 구성되며, 수직 빔 구조체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면 등으로 전달 및 분산시켜서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직 빔 구조체는 H빔과 같은 수직 빔이 시공되며 수직 빔의 수직도가 만족되어야 한다. 수직 빔 구조체의 수직도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부의 하중을 지지, 전달 및 분산하는 기능을 충분히 기대할 수 없어서 수직 빔 구조체의 붕괴나 구조물의 연속구간 내 일부 피어(pier)부 들뜸 현상이나 연속구간에서의 구조물 뒤틀림 현상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수직 빔 구조체는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고 수직도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연약 지반을 보강한 철근 콘크리트 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 빔 구조체를 시공할 영역에 터파기를 한 후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수직 빔을 설치할 위치 별로 다수의 앵커 볼트가 세트를 이루면서 철근 콘크리트에 수나사가 형성된 상단이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일부 매립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세트를 이루는 다수의 앵커 볼트와 결합되며 너트가 앵커 볼트의 수나사와 결합됨에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철근 콘크리트 상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H빔 등의 수직 빔이 용접 또는 별도의 결합 수단을 매개로 한 볼트 결합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빔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 있어서 세트를 이루는 앵커 볼트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요구되고 세트를 이루는 각 앵커 볼트들이 설계된 정위치에 정렬되는 것이 요구된다.
앵커 볼트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지 않으면 철근 콘크리트 상에 앵커 볼트 세트와 조립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평도가 보장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빔의 수직도가 보장되지 않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세트를 이루는 앵커 볼트들이 정위치에 정렬되지 않으면 상부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에 앵커 볼트들의 돌출된 나사부가 조립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부정확하게 정렬된 앵커 볼트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계된 방향과 다르게 틀어지거나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위치가 설계 위치와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 볼트들이 정위치에 정렬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정확한 설치가 초래됨으로써 상부의 수직 빔이 설계한 바와 같이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빔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앵커 볼트들을 정위치에 정렬시킨 상태로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의 제시가 소망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수직 빔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앵커 볼트들을 세트 단위로 정위치에 손쉽게 정렬할 수 있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빔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철근 콘크리트 내에 일부 매립되는 앵커 볼트들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앵커 볼트들을 지지할 수 있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빔이 설치되는 각 위치 별로 앵커 볼트들의 세트들이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인접한 것끼리 상호 정렬할 수 있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정렬 장치는, 평판의 장방형상을 가지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앵커 볼트를 파지하는 관통구를 갖는 지지부가 각 꼭지점 별로 형성되며 각 꼭지점과 이격된 위치에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꼭지점과 상기 제1 관통구 사이에 제2 관통구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이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여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수직 기둥들;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수직 기둥과 자신 간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철근의 위치를 정렬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보조 철근의 상측에 자신의 단부가 맞닿으면서 높낮이 조절 가능한 높낮이 조절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의 상부에 걸쳐지는 헤드를 가지면서 상기 헤드에서 연장된 길이를 갖는 몸체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못, 헤드를 갖는 핀, 볼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 부재는 상기 제2 관통구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각 변의 중앙에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두 개의 앵커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변을 갖는 타원형의 형상의 관통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앵커 볼트가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구가 서로 독립된 영역에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빔을 설치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세트 단위로 설치되는 앵커 볼트들이 정위치에 손쉽게 정렬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설치될 수 있어서 앵커 볼트들과 그들의 상부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손쉽게 결합될 수 있어서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앵커 볼트들이 정위치에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와 방향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볼트 정렬 장치의 수평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앵커 볼트 정렬 장치에 지지되는 앵커 볼트들의 수직 상태가 손쉽게 조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볼트 정렬 장치에 형성된 노치를 이용하여 수직 빔이 설치되는 각 위치 별로 앵커 볼트들의 세트들이 상호 정렬될 수 있어서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수직 빔들이 수직을 유지하며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빔 지지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가 시공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앵커 볼트 정렬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앵커 볼트 정렬 장치를 이용한 수평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5은 다수의 앵커 볼트 정렬 장치 간의 배치 상태를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빔 지지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빔 지지 구조물은 수직 빔(10)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상부의 하중을 지면 등으로 전달 및 분산시켜서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과 같이 수직 빔(10)이 설치되는 하부에는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12)가 지반(14) 상에 형성된다.
철근 콘크리트(12)는 수직 빔(10)과 그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침하나 하중에 의한 균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두께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철근 콘크리트(12)는 철근(16)이 수직 및 수평으로 교차하도록 조립되며 철근으로 이루어진 망이 다층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보강 구조물이 콘크리트층(18)에 매립된 구조를 갖는다. 철근 콘크리트(12)는 철근으로 이루어진 보강 구조물에 의하여 인장력이 보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반(14) 상에 구성되는 철근 콘크리트(12)에는 수직 빔(10)이 설치될 위치 별로 앵커 볼트들(20)이 구성되며, 앵커 볼트들(20)은 각 수직 빔(10) 단위로 다수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면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배치된다.
세트를 이루는 각 앵커 볼트(20)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에 의하여 설치된 상태가 정렬되면서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앵커 볼트(20)는 수직으로 설치되어서 자신의 일단을 이루는 나사 단부가 철근 콘크리트(12)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타단을 이루는 꺽어진 단부는 철근 콘크리트(12) 내에 매립된다.
그리고,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철근(16)으로 이루어진 보강 구조물 사이의 앵커 볼트(20)들의 세트가 설치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 볼트(20)들의 수직 설치 상태를 지지하면서 세트를 이루는 앵커 볼트(20)들 간의 위치를 정렬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철근(16)으로 구성되는 보강 구조물과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 및 앵커 볼트들(20)이 설치된 후 철근 콘크리트(12)를 이루기 위하여 콘크리트층(18)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앵커 볼트(20)는 철근 콘크리트(12)의 상면으로부터 나사 단부가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부분 매립된다.
즉, 철근 콘크리트(12)의 상부에는 수직 빔을 설치할 영역 별로 한 세트의 앵커 볼트(20)의 나사 단부들이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돌출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세트 단위로 돌출된 앵커 볼트(20)의 나사 단부들이 돌출된 위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2)가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42)는 각 꼭지점에 앵커 볼트(20)들의 돌출된 나사 단부들이 관통할 직경을 갖는 관통구(44)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베이스 플레이트(42)는 앵커 볼트(20)들의 돌출된 나사 단부들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46)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2)의 상측에는 용접 또는 별도의 결합 수단을 매개로 한 볼트 결합 등의 방법으로 수직 설치되는 H빔과 같은 수직 빔(10)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빔 지지 구조물이 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구성에 대하여 도 2의 시공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와 도 3의 앵커 볼트 정렬 장치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평판의 장방형상을 갖는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이 평행하게 이격되며 이들의 이격된 상태는 꼭지점 별로 구성되는 수직 기둥들(34)에 의하여 유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부 프레임(24)은 평판의 장방형상을 가지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앵커 볼트(20)를 파지하는 관통구를 갖는 지지부(30)가 각 꼭지점 별로 외측으로 연장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각 꼭지점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 관통구(60)가 형성되고 꼭지점과 제1 관통구(60) 사이에 제2 관통구(62)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지지부(30)에 형성된 관통구는 적어도 두 개의 앵커 볼트(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변을 갖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4)에 평행하게 이격된 하부 프레임(26)은 상부 프레임(24)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수직 기둥들(34)은 상단은 상부 프레임(24)의 꼭지점에 결합되고 하단의 상측은 하부 프레임(26)의 꼭지점에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 간의 이격 상태를 지지하는 수직 기둥들(34)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부 프레임(24) 및 하부 프레임(26)과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26)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제1 관통구(60)에는 가이드 부재(4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40)는 삽입됨에 따라서 하부 프레임(26)의 하측에 정렬되는 보조 철근(50)의 위치를 자신에 인접한 수직 기둥(34)과 자신 간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정렬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제2 관통구(62)에는 높낮이 조절 부재(41)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 부재(41)는 하부 프레임(26)의 하측에 가이드 부재(40)에 의하여 위치가 정렬되는 보조 철근(50)에 자신의 단부가 맞닿으면서 높낮이 조절 가능한 기능을 갖는다.
가이드 부재(40)는 상부 프레임(24)의 제1 관통구(60)의 상부에 걸쳐지는 헤드를 가지면서 하부 프레임(26)을 관통하도록 헤드에서 연장된 길이의 몸체를 갖는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못, 헤드를 갖는 핀, 볼트 중 어느 하나가 가이드 부재(40)로 이용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부재(41)는 상부 프레임(24) 또는 하부 프레임(26) 중 어느 하나의 제2 관통구(62)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2 관통구(62)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가 구성될 수 있고,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도 4와 같이 콘크리트(18)를 타설하기 위하여 철근(16)이 조립된 보강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앵커 볼트(20)들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하부 프레임(26)의 하부의 가이드 부재(40)와 다리(34) 사이에 보조 철근(50)이 배치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 부재(41)를 조절하여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은 중앙이 관통되어 개방되고 상하로 이격배치되어서 각 면이 개방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12)를 형성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18)가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에 의하여 형성되는 장방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고 콘크리트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지지부(30)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면서 서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지지부(30)가 서로 중첩됨에 따라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앵커 볼트(20)는 지지부(30)의 관통구 내에 파지되어 정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네 꼭지점에 대응하여 지지부(30)가 형성되므로 네 개의 앵커 볼트(2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룰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지지부(30)에 한 쌍의 앵커 볼트(2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여덟 개의 앵커 볼트(2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24)은 장변과 단변을 가지며, 각 변의 중앙의 외측 또는 내측(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는 내측에 형성된 것을 예시함)에는 노치(36)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36)(Notch)는 변의 정중앙이 커팅된 영역을 의미하며, 실시예로 노치(36)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빔 지지 구조물은 수직 빔(10)을 설치할 위치의 지반(14)을 터파기하여 표면을 고른 후 철근(16)으로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고, 앵커 볼트들(20)이 각 꼭지점의 지지부(3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를 보강구조물을 이루는 철근(16) 사이에 배치한 후 콘크리트층(18)을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12)를 형성한다.
이때, 세트를 이루는 앵커 볼트들(20)의 정렬 상태는 콘크리트층(18)을 타설하기 전에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앵커 블트들(20) 간의 이격 거리나 정렬 위치가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에 앵커 볼트들(20)이 설치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규격화되어 제작됨으로써 상부 프레임(24)에 형성된 각 꼭지점의 관통구(34)가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각 꼭지점의 상하로 중첩하는 지지부(30)에 파지되도록 앵커 볼트들(20)이 설치됨으로써 세트를 이루는 각 앵커 볼트들(20)은 서로 이격된 거리가 일정하도록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수평이 틀어진 경우 앵커 볼트들(2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를 위하여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높낮이 조절 부재(41)를 이용하여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40)에 의하여 가이드된 보조 철근(50)이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4)의 높낮이 조절 부재(41)가 설치된 하부에 위치가 정렬되어서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24) 및 하부 프레임(26)의 각 꼭지점 별로 높낮이 조절 부재(41)로 볼트가 구성된 경우 볼트의 단부가 보조 철근(50)과 맞닿음은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네 꼭지점에서 높낮이가 조절되어서 수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가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되면,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에 의하여 지지되는 앵커 볼트들(20)은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정렬된다.
여기에서, 보조 철근(50)은 격자 구조로 결합되는 철근들 사이에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하부 프레임(26)의 높낮이 조절 부재(41)가 설치된 하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양단이 용접이나 기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보강 구조물을 이루는 철근들 사이에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를 관통하는 보조 철근(50)이 배치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써 보조 철근(50) 이외에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부재들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건축 구조물에는 다수의 수직 빔이 설치되어야 하며 다수의 수직 빔이 설치되는 위치 별로 앵커 볼트들이 설계된 방향에 맞게 배치되어야 한다. 즉, 수직 빔이 설치되는 각 위치 별로 앵커 볼트들의 세트들이 상호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 프레임(24)의 각 변의 중앙에 형성되는 노치(36)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수직 빔을 설치할 각 위치 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최외곽에 위치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노치(36) 사이에 와이어(52)를 연결하면 각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상호 정렬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어(52)는 실이나 끈 등의 선형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즉, 각 위치 별로 배치된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각 노치(36)가 와이어(52)의 위치에 매칭된다면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서로 간의 방향이 틀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노치(36)가 와이어(52)의 위치에 매칭되지 않으면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위치나 방향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위치나 방향 보정을 통하여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가 정위치 및 정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호 정렬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앵커 볼트(20)의 각 세트가 위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수직 빔들이 수직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는 도 6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개시한 실시예와 달리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각 꼭지점에 상하로 중첩되게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지부(30)가 내측에 한 쌍의 지지구(31a, 31b)를 갖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지지부(30)는 앵커 볼트(20)가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구(31a, 31b)가 서로 독립된 영역에 둘 이상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노치(36)가 각 변의 외측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도 6의 실시예는 상기한 구성 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앵커 볼트 정렬 장치(22)의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6)의 각 꼭지점 별로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지지부(30)는 독립된 공간에 각각 지지구(31a, 31b)가 형성됨에 따라서 앵커 볼트(20)를 각각 지지구(31a, 31b) 별로 파지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는 상태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형성된 노치(36)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작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 볼트 정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수직 빔 구조물은 세트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설치되는 앵커 볼트들의 정렬 상태와 수직 상태가 손쉽게 조절될 수 있고, 각 수직 빔을 설치하는 앵커 볼트들의 세트가 상호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볼트들을 설치하는 시공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고, 앵커 볼트들을 정확히 설치함에 따라서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빔이 설치되는 각 위치 별로 앵커 볼트들의 세트들이 상호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수직 빔들이 수직을 유지하며 설치할 수 있다.
10 : 수직 빔 12 : 철근 콘크리트
14 : 지반 16 : 철근
18 : 콘크리트층 20 : 앵커 볼트
22 : 앵커 볼트 정렬 장치 24 : 상부 프레임
26 : 하부 프레임 30 : 지지부
34 : 다리 36 : 노치
40 : 가이드 부재 41 : 높낮이 조절 부재
42 : 베이스 플레이트 44 : 관통구
46 : 너트 50 : 보조 철근
52 : 와이어 60 : 제1 관통구
62 : 제2 관통구

Claims (7)

  1. 평판의 장방형상을 가지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앵커 볼트를 파지하는 관통구를 갖는 지지부가 각 꼭지점 별로 형성되며 각 꼭지점과 이격된 위치에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꼭지점과 상기 제1 관통구 사이에 제2 관통구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이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여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수직 기둥들;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수직 기둥과 자신 간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철근의 위치를 정렬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보조 철근의 상측에 자신의 단부가 맞닿으면서 높낮이 조절 가능한 높낮이 조절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의 상부에 걸쳐지는 헤드를 가지면서 상기 헤드에서 연장된 길이를 갖는 몸체를 갖는 형상을 갖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못, 헤드를 갖는 핀, 볼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부재는 상기 제2 관통구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각 변의 중앙에 노치가 형성된 앵커 볼트 정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두 개의 앵커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변을 갖는 타원형의 형상의 관통구를 갖는 앵커 볼트 정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앵커 볼트가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구가 서로 독립된 영역에 둘 이상 형성된 앵커 볼트 정렬 장치.
KR1020120053949A 2012-05-22 2012-05-22 앵커 볼트 정렬 장치 KR10135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49A KR101355708B1 (ko) 2012-05-22 2012-05-22 앵커 볼트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49A KR101355708B1 (ko) 2012-05-22 2012-05-22 앵커 볼트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79A KR20130130279A (ko) 2013-12-02
KR101355708B1 true KR101355708B1 (ko) 2014-01-27

Family

ID=4997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949A KR101355708B1 (ko) 2012-05-22 2012-05-22 앵커 볼트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7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257A (zh) * 2018-01-24 2019-07-3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柱脚锚栓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036282A (ko) 2020-09-15 2022-03-22 (주)유창이앤씨 앵커 볼트 정렬 지그
KR20220129223A (ko) 2021-03-16 2022-09-23 (주)유창이앤씨 템플레이트 타입 앵커 볼트 정렬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733B (zh) * 2014-06-25 2017-11-10 国家电网公司 输电线路铁塔基础下沉补差构件
CN104234072B (zh) * 2014-10-09 2016-03-16 赵正义 固定式塔机与基础的过渡连接构造
CN108517887B (zh) * 2018-06-05 2024-01-26 中交一公局第一工程有限公司 铁路支柱或砼基础预埋地脚螺栓组的加工装置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303A (ja) 2002-06-18 2004-01-22 Sadao Yoshida アンカーボルト固定装置
KR20070013842A (ko) * 2005-07-27 2007-01-31 염영식 앵커볼트용 고정구
KR100684707B1 (ko) 2005-12-30 2007-02-22 (주)앙카코리아 앵커볼트 고정장치
KR20090129138A (ko) * 2008-06-12 2009-12-16 하창완 지주용 기초콘크리트의 앵커볼트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303A (ja) 2002-06-18 2004-01-22 Sadao Yoshida アンカーボルト固定装置
KR20070013842A (ko) * 2005-07-27 2007-01-31 염영식 앵커볼트용 고정구
KR100684707B1 (ko) 2005-12-30 2007-02-22 (주)앙카코리아 앵커볼트 고정장치
KR20090129138A (ko) * 2008-06-12 2009-12-16 하창완 지주용 기초콘크리트의 앵커볼트 스페이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257A (zh) * 2018-01-24 2019-07-3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柱脚锚栓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067257B (zh) * 2018-01-24 2020-10-23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柱脚锚栓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036282A (ko) 2020-09-15 2022-03-22 (주)유창이앤씨 앵커 볼트 정렬 지그
KR20220129223A (ko) 2021-03-16 2022-09-23 (주)유창이앤씨 템플레이트 타입 앵커 볼트 정렬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79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08B1 (ko) 앵커 볼트 정렬 장치
KR101254457B1 (ko) 앵커 볼트 정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직 빔 지지 구조물
KR200463064Y1 (ko) 앵커 볼트 정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직 빔 지지 구조물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S2522440A2 (es) Empalme de tubo de acero y procedimiento para conectar un pilote de tubo de acero y una columna de tubo de acero usando el mismo
KR101440434B1 (ko) 강재거더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거더를 적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합성형 라멘교
KR101611468B1 (ko) 탑 구조물의 주각재의 지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017179997A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183785B1 (ko) 기둥 주각부 고정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기초판 접합구조
KR101836325B1 (ko)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050718B1 (ko) 아치 구조물
KR20180049816A (ko) 교정바와 교정너트를 이용한 교량 상부 거더의 횡변위를 제어하는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교량상부구조
KR20070004279A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JP2015025288A (ja) 柱脚補強方法及び装置
KR20180116055A (ko) 3차원 시공오차보정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보도교
KR100554342B1 (ko)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TWI545245B (zh) 組立件及其安裝構造
KR101253679B1 (ko) Pc 세그먼트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24755B1 (ko) 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JP6252834B2 (ja) 地下ピット構造
KR101500591B1 (ko)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방법.
US9920489B2 (en) Roadway widening structure
CN212896854U (zh) 一种埋件与主筋的连接结构
KR20190032893A (ko) 캠버 일치 구조를 가지는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