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764B1 - 압연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 고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764B1
KR101353764B1 KR1020110130503A KR20110130503A KR101353764B1 KR 101353764 B1 KR101353764 B1 KR 101353764B1 KR 1020110130503 A KR1020110130503 A KR 1020110130503A KR 20110130503 A KR20110130503 A KR 20110130503A KR 101353764 B1 KR101353764 B1 KR 10135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clamping
fixing device
operating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888A (ko
Inventor
김원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3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7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 B21B31/078Se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8Mounting or dismounting bearing and chock as a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압연기 베이스에의 압연기의 고정시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압연기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는 압연기 베이스에 일측이 설치되며 오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구성된 장치몸체; 및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장치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압연기 베이스 상에 위치된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클램핑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클램핑부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장치몸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작동부재; 및 일측은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작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나 작동부재와는 독립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작동부재와 연계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압연기 베이스에의 압연기의 고정시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중의 전달에 의해서 발생되는 압연기 고정장치의 구성품이나 압연기 고정장치 자체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고, 전술한 파손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연기의 진동에 따른 압연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에 따른 압연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고, 압연기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파손으로 인해서 압연기 고정장치 내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새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기 고정장치{APPRATUS FOR CLAMPING 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압연기를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압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압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기는 소재를 압연롤에 의해서 압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압연기는 압연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며 압연기 고정장치에 의해서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압연기에서 소재를 압연하게 된다.
종래, 압연기 고정장치는 압연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장치몸체와 유압에 의해서 장치몸체에서 이동가능한 클램핑부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압연기에 구비되며 상부가 압연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는 'ㄷ'자 형의 고정부재에 클램핑부가 이동하도록 하여 고정부재에 밀착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종래의 압연기 고정장치의 클램핑부의 경우에는 유압을 받는 부분과 고정부재에 밀착접촉되는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된 경우에 압연기의 작동시 또는 비작동시 압연기의 하중이 클램핑부를 통해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압연기의 하중이 클램핑부로 전달되면, 압연기 고정장치 내에 구비된 밀봉부재의 파손 등 압연기 고정장치의 구성품이나 압연기 고정장치의 내벽면의 파손 등 압연기 고정장치 자체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파손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연기의 진동에 따른 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압연기의 사고에 따라 압연공정이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전술한 밀봉부재의 파손으로 인해서 압연기 고정장치 내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새서 환경오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하중의 전달에 의해서 발생되는 압연기 고정장치의 구성품이나 압연기 고정장치 자체의 파손 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전술한 파손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연기의 진동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압연기의 사고에 따른 압연공정의 중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압연기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는 압연기 베이스에 일측이 설치되며 오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구성된 장치몸체; 및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장치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압연기 베이스 상에 위치된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클램핑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클램핑부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장치몸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작동부재; 및 일측은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작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나 작동부재와는 독립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작동부재와 연계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일측에는 클램핑부재의 타측이 걸리도록 삽입되며 타측에는 작동부재의 일측이 삽입되어 클램핑부재의 타측과 작동부재의 일측이 밀착접촉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장치몸체에 형성된 가압실에 구비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받도록 구성된 작동부; 작동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클램핑부재의 타측과 밀착접촉되는 가압부; 및 작동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가압실에 연결되도록 장치몸체에 형성된 제2이동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재의 일측에는 압연기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형성된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동부재의 일측에 밀착접촉되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몸체는 오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와 통로에 연결된 가압실 및 가압실에 연결된 제1이동공간이 형성된 제1몸체; 및 가압실의 개방된 측을 밀폐하도록 제1몸체에 연결되며 가압실에 연결되는 제2이동공간이 형성된 제2몸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공간에는 클램핑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에는 클램핑부재가 이동가능하도록 제1이동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으며 가이드부재를 고정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의 전달에 의해서 발생되는 압연기 고정장치의 구성품이나 압연기 고정장치 자체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파손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연기의 진동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연기의 사고에 따른 압연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연기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파손으로 인해서 압연기 고정장치 내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새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의 클램핑부의 클램핑부재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의 일실시예가 압연기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의해서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압연기 고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몸체(200)와 클램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몸체(200)는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 베이스(B)에 일측이 설치될 수 있다. 장치몸체(200)의 일측은, 예컨대 압연기 베이스(B)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몸체(200)의 일측이 압연기 베이스(B)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몸체(200)의 일측이 압연기 베이스(B)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장치몸체(2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장치몸체(200)는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2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오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213,2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통로(213,214)에 연결된 가압실(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로(213,214)는 오일공급원(도시되지 않음) 또는 공기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13,214)를 통해 오일공급원의 오일 또는 공기공급원의 공기가 가압실(211)로 유입되거나 가압실(211)에 유입되어 존재하는 오일 또는 공기가 통로(213,214)를 통해 오일공급원 또는 공기공급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몸체(210)에는 가압실(211)에 연결된 제1이동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이동공간(212)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클램핑부(300)의 클램핑부재(3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몸체(22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가압실(211)의 개방된 측을 밀폐하도록 제1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13,214)를 통해 가압실(211)에 유입된 오일 또는 공기가 외부로 새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몸체(220)에는 가압실(211)에 연결되는 제2이동공간(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이동공간(221)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클램핑부(300)의 작동부재(3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이동공간(212)에는 가이드부재(2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15)에 의해서 클램핑부재(32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320)의 이동시 클램핑부재(320)가 요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몸체(2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커버부재(21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몸체(21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클램핑부재(320)가 이동가능하도록 제1이동공간(212)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부재(216)에 의해서 전술한 가이드부재(215)가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부(3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장치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 베이스(B) 상에 위치된 압연기(M)가 압연기 베이스(B)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300)는 압연기(M)가 압연기 베이스(B)에 고정되는 경우 압연기(M)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의 전달에 의해서 발생되는 압연기 고정장치(100) 내에 구비된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의 파손 등 압연기 고정장치(100)의 구성품이나 압연기 고정장치(100)의 내벽면의 파손 등 압연기 고정장치(100) 자체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손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연기(M)의 진동에 따른 압연기(M)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고에 따른 압연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밀봉부재의 파손으로 인해서 압연기 고정장치(100) 내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새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클램핑부(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작동부재(310)와, 클램핑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재(31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장치몸체(200)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작동부재(3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작동부(311)와 가압부(312) 및 로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311)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몸체(200)의 가압실(21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부(311)는 유압 또는 공압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작동부(31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스톤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작동부(311)의 형상은 피스톤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 또는 공압을 받도록 구성된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14)를 통해 오일공급원 오일 또는 공기공급원의 공기가 작동부(311)를 기준으로 작동부(311) 우측의 가압실(211)로 유입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11)가 도면에서 보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작동부(311)를 기준으로 작동부(311)의 좌측에 존재하는 오일 또는 공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213)를 통해 오일공급원 또는 공기공급원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320)도 도면에서 보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320)에 의해서 압연기 베이스(M) 상에 위치한 압연기(M)가 압연기 베이스(B)에 고정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5에 도시된 상태에서 통로(213)를 통해 오일공급원의 오일 또는 공기공급원의 공기가 작동부(311)를 기준으로 작동부(311) 좌측의 가압실(211)로 유입되면, 도5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동부(311)가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작동부(311)를 기준으로 작동부(311) 우측에 존재하는 오일 또는 공기가 통로(214)를 통해 오일공급원 또는 공기공급원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서, 클램핑부재(320)도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 베이스(M) 상에 위치한 압연기(M)가 압연기 베이스(B)로부터 해제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압부(312)는 작동부(31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312)는 작동부(3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서 작동부(31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부(312)가 작동부(311)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부(312)가 작동부(311)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가압부(31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클램핑부재(320)의 타측과 밀착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11)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도면에서 보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때, 가압부(312)가 클램핑부재(320)의 타측과 밀착접촉되어 도5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320)도 도면에서 보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로드부(313)는 작동부(31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로드부(313)는 작동부(3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서 작동부(31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로드부(313)가 작동부(311)의 타측에 연결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로드부(313)가 작동부(311)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로드부(313)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몸체(200),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몸체(220)의 제2이동공간(22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부(3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부(311)가 유압 또는 공압을 받아서 이동할 때, 작동부(311)와 함께 제2몸체(220)의 제2이동공간(221)에서 이동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320)의 일측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M)가 압연기 베이스(B)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클램핑부재(320)의 일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경사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클램핑부재(320)의 경사부(321)는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M)에 구비되는 고정부재(F)에 형성된 경사부(S)에 대응될 수 있다.
압연기(M)의 고정부재(F)는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F)의 상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 베이스(M)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F)의 하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S)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320)가 작동부재(310)의 작동부(311)에 작용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이동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320)의 경사부(321)가 압연기(M)의 고정부재(F)에 형성된 경사부(S)에 밀착접촉되면, 압연기(M)가 압연기 베이스(B)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320)의 타측은 전술하고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310)와 함께 이동하나 작동부재(310)와는 독립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작동부재(310)와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클램핑부재(320)의 타측에는 작동부재(310)의 일측, 즉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동부재(310)의 가압부(312)에 밀착접촉되는 곡면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30)의 일측에는 클램핑부재(320)의 타측,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클램핑부재(320)의 곡면부(322)가 걸리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클램핑부재(320)의 곡면부(322)의 양측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330)의 타측에도 클램핑부재(320)의 곡면부(322)의 양측에 형성된 단차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330)의 타측에는 작동부재(310)의 일측,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동부재(310)의 가압부(31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30)는 클램핑부재(320)의 타측, 즉 클램핑부재(320)의 곡면부(322)와 작동부재(310)의 일측, 즉 작동부재(310)의 가압부(312)가 밀착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의 클램핑부재(320)의 일측 단부에 외력이 작용하면, 작동부재(310)의 가압부(312)에 밀착접촉하는 클램핑부재(320)의 곡면부(322)에 의해서, 클램핑부재(32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재(320)의 경사부(321)가 압연기(M)에 구비된 고정부재(F)의 경사부(S)에 밀착접촉되어 압연기(M)가 압연기 베이스(B)에 고정되는 경우에, 압연기(M)의 작동시 또는 비작동시에 압연기(M)의 하중이 클램핑부재(320)의 일측에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클램핑부재(3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연기(M)로부터의 하중이 작동부재(31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5와 도6에 도시된 도면부호 'R'은 압연기(M)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연롤이며, 'Gi'는 한 쌍의 압연롤(R) 사이로 소재(도시되지 않음)가 치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이고, 'Go'는 압연롤(R)에 의해서 압연된 소재가 한 쌍의 압연롤(R) 사이로 배출되도록 하는 출구가이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 고정장치(100)를 사용하면,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압연기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중의 전달에 의해서 발생되는 압연기 고정장치의 구성품이나 압연기 고정장치 자체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고, 전술한 파손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연기의 진동에 따른 압연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에 따른 압연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고, 압연기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파손으로 인해서 압연기 고정장치 내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새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압연기 고정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압연기 고정장치 200 : 장치몸체
210 : 제1몸체 211 : 가압실
212 : 제1이동공간 213,214 : 통로
215 : 가이드부재 216 : 커버부재
220 : 제2몸체 221 : 제2이동공간
300 : 클램핑부 310 : 작동부재
311 : 작동부 312 : 가압부
313 : 로드부 320 : 클램핑부재
321 : 경사부 322 : 곡면부
330 : 연결부재 M : 압연기
B : 압연기 베이스 F : 고정부재
S : 경사부 R : 압연롤
Gi : 입구가이드 Go : 출구가이드

Claims (8)

  1. 삭제
  2. 압연기 베이스에 일측이 설치되며 오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구성된 장치몸체; 및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상기 장치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압연기 베이스 상에 위치된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클램핑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클램핑부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상기 장치몸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작동부재; 및
    일측은 압연기가 압연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나 상기 작동부재와는 독립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부재와 연계되는 클램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일측에는 상기 클램핑부재의 타측이 걸리도록 삽입되며 타측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클램핑부재의 타측과 작동부재의 일측이 밀착접촉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장치몸체에 형성된 가압실에 구비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받도록 구성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의 타측과 밀착접촉되는 가압부; 및
    상기 작동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실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치몸체에 형성된 제2이동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의 일측에는 압연기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형성된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에 밀착접촉되는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고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는
    오일 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에 연결된 가압실 및 상기 가압실에 연결된 제1이동공간이 형성된 제1몸체; 및
    상기 가압실의 개방된 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실에 연결되는 제2이동공간이 형성된 제2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공간에는 상기 클램핑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클램핑부재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이동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으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고정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고정장치.
KR1020110130503A 2011-12-07 2011-12-07 압연기 고정장치 KR10135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03A KR101353764B1 (ko) 2011-12-07 2011-12-07 압연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03A KR101353764B1 (ko) 2011-12-07 2011-12-07 압연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888A KR20130063888A (ko) 2013-06-17
KR101353764B1 true KR101353764B1 (ko) 2014-01-21

Family

ID=4886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503A KR101353764B1 (ko) 2011-12-07 2011-12-07 압연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7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55B1 (ko) * 2005-10-04 2006-08-29 주식회사 포스코 사상압연기의 롤네크 윤활 및 실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55B1 (ko) * 2005-10-04 2006-08-29 주식회사 포스코 사상압연기의 롤네크 윤활 및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888A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441B1 (ko) 밸브 테스트장치
KR101370591B1 (ko) 밸브시험 장치
JP5852115B2 (ja) 管クランプ装置及び水圧試験機
JP5799907B2 (ja) 漏れ検査装置
US11084082B2 (en) Radial press
JP2007315598A (ja) 開閉装置
KR101158401B1 (ko) 파이프용 수압 테스트기
KR100823957B1 (ko) 이동용 에어 실린더 테스트기
CN103487215A (zh) 在一个方向具有多层封堵面的测漏夹具
KR20110065195A (ko) 수압 테스트장치
KR101353764B1 (ko) 압연기 고정장치
IT202000019792A1 (it) Kit di installazione per un espulsore pneumatico lineare del tipo collegabile ad un braccio di uno svolgitore a bracci mobili
EP2716954B1 (en) Plugging machine for interventions of installation, repair, maintenance on pressure fluids supplying piping
KR101024592B1 (ko) 실린더 검사장치
CN107107425B (zh) 具有支柱的注射成型机的闭合单元
ATE465913T1 (de) Seilstraffer mit einer seilabdichtung
CN214583829U (zh) 一种用于阀门气密性检测系统的检测平台
KR101402336B1 (ko) 차량용 오일펌프 커버의 리크 검사장치
JP6682822B2 (ja) 疲労試験機
KR101373716B1 (ko) 조리개 링 형태의 쿠션 부재가 구비된 유압 실린더 장치
ITMI20060834A1 (it) Apparecchiatura di posizionamento e bloccaggio,con copertura regolabile del braccio di lavoro.
IT202000019768A1 (it) Espulsore pneumatico lineare del tipo collegabile ad un braccio di uno svolgitore a bracci mobili
KR102025799B1 (ko) 밸브 시험 장치
US3833971A (en) Cable clamps
KR101307918B1 (ko) 고압 다이아프램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