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339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339B1
KR101353339B1 KR1020070004297A KR20070004297A KR101353339B1 KR 101353339 B1 KR101353339 B1 KR 101353339B1 KR 1020070004297 A KR1020070004297 A KR 1020070004297A KR 20070004297 A KR20070004297 A KR 20070004297A KR 101353339 B1 KR101353339 B1 KR 101353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stant message
messag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117A (ko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3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서비스 실행중, 소정시간 이상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 데이터 서비스가 연결상태임을 알리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고 설정에 따라 연결해제 되도록 함으로서, 무선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있어 과도한 비용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연결해제, IM,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for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상태 알림메시지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통신부 20: 제어부
30: 입력부 40: 메모리
50: 표시부 60: 오디오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킷 데 이터 서비스 사용 중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망을 통한 음성통화 뿐 아니라, 패킷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으로서 인터넷 망과 같은 패킷 기반의 네트워크 접근이 용이하고, 음성뿐아니라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된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nstan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여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신저 클라이언트(Instant Messenger Client) 간에 P2P(Peer To Peer)로 연결되어 등록된 버디 즉 친구 간에 채팅, 쪽지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을 들으면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일정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중에 다른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를 호출하거나, 다른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는 세션이 그대로 유지되나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그로인하여 불필요한 패킷의 낭비 및 이용 요금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이용 중, 데이터 전송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해제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상태에 대한 안내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되는 표시부,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실행 중, 소정 시간 이상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설정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실행 중, 소정시간 이상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 상태에 관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자동연결해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0)와,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다수의 동작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 우 그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20)와,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3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0)와,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부(50)와,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는 오디오부(60)와,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통신부(10)는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신호를 변조/복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하며, 이동통신 망 또는 소정의 무선망을 통한 호접속 요청 및 그에 따른 응답을 처리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0)는 제어부(20)의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망 또는 소정의 무선망을 경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입력부(40)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 조작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이때, 입력부(40)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입력을 위한 문자키, 상하좌우 커서 이동을 위한 이동키, 통화연결 및 종료, 메뉴 호출 및 설정을 위한 기능키를 포함한다.
메모리(40)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제어데이터 및 설정데이터가 저장되며, 소정 동작의 수행을 위한 응용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통신부(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및 메시지와, 소정 서버 접속시 사용되는 인증데이터 및 자체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표시부(50)는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동작상태 정보를 문자/숫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형태로 화면에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50)는 데이터 서비스 실행 창을 화면에 출력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50)는 데이터 서비스 실행 중, 다른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0)의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상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20)는 통신부(1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및 입력부(30) 및 표시부(50)를 통한 입출력데이터를 제어하고, 특히 입력부(3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서비스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부(10)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되도록 한다.
특히 제어부(20)는 데이터 서비스 실행 중,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이 자동 연결해제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데이터서비스의 연결상태에 관한 안내메시지가 표시부(5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입력부(30)의 신호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이 유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이벤트는 입력부(30)를 통한 데이터 입력, 통신부(1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실행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데이터 서비스의 실행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소정시간 이상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다른 기능이 수행되는지,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힘 상태인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판단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타입인 경우, 폴더가 닫혀있는지 판단하고, 슬라이드 타입인 경우 슬라이드가 닫힘 상태인지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판단결과, 다른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또는 이동통신 단 말기가 조작되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가 된 경우, 표시부(50)의 화면에 팝업창을 생성하여 현재 데이터 서비스에 연결된 상태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가 연결해제 되도록 하거나, 연결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힘상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을 감지하여,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또는 슬라이드가 열림상태가 되는 것을 감지하여, 열림상태가 된 경우, 화면에 상기와 같은 연결상태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소정시간 이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힘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알람 또는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경고음, 경고등, 경고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력된다.
여기서, 마지막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연결상태 안내메시지가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은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 데이터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인 것으로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이외에도 세션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로그오프하지 않은 경우 연결이 유지되는 데이터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서비스 실행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메시지 창에 표시된다.
제어부(20)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실행시, 메시지 창을 생성하여 표시부 (50)를 통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통신부(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메시지창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표시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상태, 배터리 잔량 등의 상태 정보(51)를 출력하면서 메시지 창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대화상대방의 이름, 아이디, 또는 닉네임이 상단바(52)에 표시되고,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통신부(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메시지 영역(53)에 출력된다. 또한, 입력부(30)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창(54)이 표시되며, 메뉴 호출 및 전송을 위한 소프트키(55)가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수행 중, 소정 시간 이상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안내메시지가 표시부(50)의 화면에 출력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상태 알림메시지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즉, 제어부(2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중, 소정 시간 이상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가 실행중임을 알리는 연결상태 안내메시지(59)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대, 수행중인 다른 기능에 따른 화면은 비활성화 된다.
이때, 제어부(20)는 자동 연결해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안내메시지 출력 후 자동으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가 연결 해제되도록 한다. 제어부(20)는 연결해제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0)를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 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그 응답결과에 따라 연결을 해제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해제 및 유지 여부에 따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선택항목이 포함된 연결상태 안내메시지(59')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자동 연결해제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입력부(30)의 버튼 조작을 통해 연결상태 안내메시지(59)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에 대응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0)를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제어부(20)는 통신부(1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연결을 시도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한다(S100). 이하, 데이터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통신부(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표시부(50)의 메시지 창을 통해 화면에 출력된다(S110). 이때, 제어부(20)는 입력부(30)의 버튼 조작에 따라 소정 신호가 인가되면, 표시부(50)의 메시지 창을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며, 동시에 통신부(10)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가 표시부(5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실행 중, 소정 시간 이상 이벤트가 발 생되지 않는 경우, 즉 소정시간 이상 입력부(30)의 버튼 조작을 통한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입력 대기 상태인 경우(S120), 또는 통신부(10)를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조작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다른 기능이 수행중인지 판단하고(S130), 다른 기능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가 실행중임을 알리는 연결상태 안내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140). 이때, 연결상태 안내메시지는 표시부(50)의 화면에 생성되는 팝업창에 출력되며, 기 수행중인 다른 기능에 따른 화면은 비활성화 된다.
한편, 제어부(20)는 다른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힘상태인지 판단한다(S15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타입에 따라 폴더 또는 슬라이드가 닫힘 상태인 경우, 진동 및 알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력된다(S160). 경고등의 점등 및 점멸, 경고음 출력 및 진동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
상기와 같은 진동 및 알람 출력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을 감지하여 열림상태가 되면(S170), 표시부(50)의 화면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상태에 관한 안내메시지가 출력된다(S140). 이때, 안내메시지에는 연결해제 및 연결유지에 따른 선택항목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기와 같은 안내메시지 출력 후, 자동 연결해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S180), 즉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한다(S200). 이때, 제어부(20)는 연결해제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0)를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그 응답에 따라 연결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과정에서 진동 및 알람이 출력되고 소정시간 경과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힘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도 자동 연결 해제 설정 여부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가 연결해제 된다(S180, S200)
한편, 자동 연결해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메뉴 및 메시지 출력을 통해 연결유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는 안내메시지에 포함된 선택항목에 대응되는 입력부(30)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유지되도록 한다(S190, S2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실행중, 소정시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그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설정에 따라 연결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패킷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 연결로 인한 요금의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Claims (11)

  1.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nstant Message Service, IMS)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IMS와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IMS의 연결상태에 대한 안내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되는 표시부;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실행 중,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자동연결해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시간 이상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힘 상태인 경우, 알람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nstant Message Service, IMS)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실행 중,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않는 경우,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 상태에 관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자동연결해제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소정시간 이상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및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미 발생 시, 다른 기능이 실행중인 경우 화면에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미 발생시,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힘 상태인 경우 알람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화면에 상기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자동 연결해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안내메시지 출력 후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이 즉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자동 연결해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70004297A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53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97A KR101353339B1 (ko)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97A KR101353339B1 (ko)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117A KR20080067117A (ko) 2008-07-18
KR101353339B1 true KR101353339B1 (ko) 2014-01-17

Family

ID=3982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297A KR101353339B1 (ko)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3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09A (ko) * 2001-02-01 2002-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모드 전환방법
KR20050108322A (ko) * 2005-09-29 2005-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방법
KR20060127337A (ko) * 2005-06-07 200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망 자동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09A (ko) * 2001-02-01 2002-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모드 전환방법
KR20060127337A (ko) * 2005-06-07 200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망 자동 연결방법
KR20050108322A (ko) * 2005-09-29 2005-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117A (ko)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602B2 (en) Voice communications with real-time status notifications
CN107690796B (zh) 多个用户设备之间的呼叫管理
TW201519600A (zh) 具有即時狀態通知之語音通訊
JP2012050137A (ja) 通信装置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3037319A (zh) 通信转移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WO2008122219A1 (fr) Procédé, dispositif et système de communication permettant d&#39;effectuer la programmation d&#39;un service de communication
KR20140056491A (ko)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KR100698330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방법
US20140295801A1 (en) Image respons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13533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10948A (ko) 푸시투토크 단말기의 그룹 일원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670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일정을 고려한 호 처리 방법
EP18089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tt (push-to-talk) service according to user state
CN104168556A (zh) 通讯消息提示的方法和移动终端
JP573349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への離脱/接続方法、通信システムへの離脱/接続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960656B1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용 외부제어장치
KR1006281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인스턴트 메시지의 폴링시간 제어 방법
KR20070051107A (ko) 지그비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5295414A (ja) 情報通信端末及び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
CN103119892B (zh) 在通用型即插即用使能的电话装置和广域网装置之间进行会议消息传递的系统和方法
JP2007281606A (ja) 送信端末、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通信方法
KR100834281B1 (ko)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JP2007228140A (ja) 電話機受話器外れ検出システム
WO2018147171A1 (ja) 音声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端末装置、セッション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24134B2 (ja) Ip通話システム、ip端末、通話切断時の会話補完方法及び会話補完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