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281B1 -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281B1
KR100834281B1 KR1020060041613A KR20060041613A KR100834281B1 KR 100834281 B1 KR100834281 B1 KR 100834281B1 KR 1020060041613 A KR1020060041613 A KR 1020060041613A KR 20060041613 A KR20060041613 A KR 20060041613A KR 100834281 B1 KR100834281 B1 KR 100834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short messag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100A (ko
Inventor
정기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28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2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발신 통화 요청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 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 대한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을 개방하고, 임의로 설정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 단말에 기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수신한 후, 상기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의 통화 발신 시 발신자로부터 설정된 문자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로 기 등록된 해당 발신자에 대한 문자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제공하여, 착발신자 간에 상호 레터링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60041613
발신 단말, 착신 단말, 양방향, 레터링, 통화 채널, 단문 메시지 채널

Description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 서비스 방법{MOBILE FOR TWO WAY LETTERING SERVICE IN REAL TIME AND METHOD FOR LETTER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말 화면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어모듈 103 : 메모리
105 : 디스플레이 패널 107 :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
109 : 문자메시지 관리모듈 111 :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
113 : 통화 채널 운용모듈 115 :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
117 : 통신모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신 자로부터 설정된 문자 정보가 통화 발신 시 수신 단말로 전송되고, 동시에 수신 단말에서 설정된 문자 정보가 발신 단말로 제공되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전화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특정 상대방과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통신기기로 부상되면서, 사회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통신기기로 자리잡고 있으며, 생활상에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 이동전화기 특성상, 익명을 이용한 전화폭력, 음란전화, 스토킹 등의 통신 사생활의 침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화폭력 등에 의한 불안을 해소하고 건전한 전화 사용을 위하여 발신자의 정보를 수신자의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는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CID; Caller IDentification)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수신자의 요청을 받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하여 발신자 이동전화기에서 자신을 알리는 레터링 메시지를 입력하여 호 접속시 착신자 이동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레터링 서비스가 이미 제공되고 있다.
전술된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는 착신 측에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고 있는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이하, 'CID 서비스')는 CID서비스에 등록한 가입자가 수용된 교환기에 CID정보제공을 위한 CID서버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CID서비스에 등록한 가입자에게로 호가 착신되면 CID 교환기가 CID 서버 측으로 발신자번호에 대한 발신자정보(즉, 발신자이름)를 요청하여 상기 CID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자정보를 CID단말기로 출력함으로써 착신자가 발신자의 이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교환기에서 호 처리를 행할 때에는 자국가입자가 발신을 요청하면 자국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번역된 착신번호를 담당하는 CID 교환기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바, 이때 발신 측 교환기는 호 연결을 위해 착신 측 교환기로 발신자번호정보와 착신자 번호정보 등을 전송하며,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자 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자국 내에 수용된 착신자를 호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CID 서비스는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되는 발신자번호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이름정보를 착신자의 CID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인데, 전술된 CID서버에 발신자번호에 대한 발신자이름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착신 측 교환기가 상기 CID서버로 발신자번호에 대한 발신자 이름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CID서버가 상기 착신 측 교환기로 발신자이름에 해당하는 문자메시지를 제공하여 상기 착신 측 교환기에 의해 CID 단말기로 발신자 이름이 출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CID 서비스는 CID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문자메시지가 단지 발신자이름으로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서비스 활용 폭이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신자가 능동적으로 입력한 레터링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신을 알리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즉, 레터링 서비스는 기존의 CID가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서비스 를 원하는 사용자가 레터링 서비스 신청을 한 후, 레터링 서비스 서버에 미리 레터링 메시지를 저장한 다음, 추후 착신자 이동전화기에 호 접속시 미리 레터링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레터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레터링 서비스는 모든 착신자에게 동일한 레터링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서비스의 단순성으로 인한 서비스 이용이 쉽게 지루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물론, 착신자별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레터링 메시지를 착신자 별로 레터링 서비스 서버에 지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발신자는 특별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레터링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 단말의 통화 발신 시 발신자로부터 설정된 문자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로 기 등록된 해당 발신자에 대한 문자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제공하여, 착발신자 간에 상호 레터링 서비스를 실현시킬 수 있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발신자 간 상호 레터링 서비스가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수행되도록 하여 발신자의 통화 요청과 더불어, 실시간 레터링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발신자 간 상호 레터링 서비스 제공시 발신 단말에 의해 착신자의 컬러링 서비스가 운용되도록 하여, 발신자의 개성 표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 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 대한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을 개방하고, 임의로 설정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 단말에 기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수신한 후, 상기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 제어하거나, 문자 콜 서비스 실행에 기초하여 단말로 기 저장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 단말의 통화 개시에 응답하여 통화 채널을 개방 제어하기 위한 통화채널 운용모듈;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위해 단말 내의 메모리로 기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 사용자로부터 설정 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로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관리모듈; 및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의 실행 상태를 인지한 후, 단말의 발신 동작 시 상기 통화 채널 운용모듈 및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을 기동하고, 상기 문자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문자메시지 관리모듈을 인에이블시키며, 통화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상태를 인지한 후, 기 저장된 발신자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 및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을 기동하고,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단말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 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에 대한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착신 단말로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 정보를 추출/입력하는 단계; c) 사용자의 통화 발신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을 동시에 기동하는 단계; d)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 기 설정된 발신자 정보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e)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 이후, b-1)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벨소리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제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기 설정된 착신 벨소리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b-3)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발신자의 통화 요구시 소정의 문자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고, 착신 단말로 기 설정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발신자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애칭 또는 인사말 정보 등이 가능한 레터링 정보이다. 또한, 전술된 발신자 정보는 착신자가 기 설정한 발신자 명 정보 또는 발신자에 대한 애칭 정보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착신 또는 발신 단말 간의 문자 정보를 상호 교류하기 위한 서비스는 이하의 설명에서 문자 콜 서비스로 명명될 것이다. 문자 콜 서비스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명명일 뿐,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권리를 한정하거나, 확대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발신자의 통화 요청시 발신자 설정에 기초한 문자 메시지와 더불어, 착신 단말의 벨소리, 컬러링, 진동 모드 등을 제어토록 하 여,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로 텍스트화된 정보를 입력하거나, 통화시의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말 입출력 수단(119)과, 상기 단말의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117)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모듈(117)의 입력단으로 접속되어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 제어하거나, 문자 콜 서비스 실행에 기초하여 단말로 기 저장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과, 상기 통신 모듈(117)의 입력단으로 접속되어 단말의 통화 개시에 응답하여 통화 채널을 개방 제어하기 위한 통화채널 운용모듈(113)과,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위해 단말 내의 메모리(103)로 기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과, 상기 단말 입출력 수단(119)에 의해 제공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103)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로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관리모듈(109)과, 단말 입출력 수단(119)에 의거 상기 문자 콜 서비스의 실행 상태를 인지한 후, 단말의 발신 동작 시 상기 통화 채널 운용모듈(113) 및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을 기동하고, 상기 문자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문자메시지 관리모듈(109)을 인에이블시키며, 상기 통신 모듈(117)로부터 수신된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콜 서비스 상태를 인지한 후, 기 저 장된 발신자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 및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을 기동하고,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단말의 디스플레이 패널(105)로 제공하는 제어모듈(10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정보는 발신자의 인사말 정보, 애칭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이며,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호칭, 애칭 등의 메시지로서, 텍스트 정보 또는 문자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컬러 아바타, URL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자 정보는 텍스트 정보로서,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다.
한편, 상기 단말은 착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임의의 교환기(MSC)로 UUI(User to User Information) 정보를 전송 제어하기 위한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107)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착신 단말의 벨소리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10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메모리(103)로 기 저장된 음원 정보를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107)로 제공함으로써, 착신 단말의 벨소리를 선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107)은 착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교환기(MSC)로 설정 가능한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원 정보를 벨소리로 한정하고 있으나, 컬러링 서비스를 위한 음 원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벨소리는 묵음(默音)을 포함하며, 묵음은 착신 단말의 진동 모드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S2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착신 단말로 통화 발신을 하고자 할 경우, S203 단계에서와 같이, 문자 콜 서비스를 실행한다. 상기 문자 콜 서비스는 단말 입출력 수단(119)의 키 패널을 통해 특정 키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문자 콜 서비스가 단말의 기본 기능으로 설정되고, 문자 콜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을 경우 특정 키를 입력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S205 단계로 진입하여, 사용자는 단말 입출력 수단(119)을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입력한다. 문자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기 저장된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텍스트 정보이나, 필요에 따라 문자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컬러 아바타, URL 정보 등으로 대치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단말의 디스플레이 패널(105)로 도 3a와 같이 문자 콜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입력 창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문자 메시지 관리모듈(109)을 통해 메모리(103)로 저장한다. S207 단계에서, 사용자는 착신 단말의 번호 정보를 입력한다. 이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가 착신 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기 저장된 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착신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제어모듈(101)은 문자 콜 서비스 실행 전에 부가 서비스를 신청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질의한다.
상기 부가 서비스는 발신자에 의해 착신 단말의 벨소리를 선택하거나, 착신 단말의 착신 모드 예컨대,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 등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5)로 제공되는 문자 콜 서비스 화면을 토대로 부가 서비스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을 경우, 이후 단계로 진입하며,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고자 할 경우, 문자 콜 서비스 화면에서 발신자 지정 정보를 선택 또는 클릭한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발신자 지정정보 선택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패널(105)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S211 단계와 같이, 착신 단말의 벨소리를 선택하거나 착신 단말의 컬러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벨소리 또는 컬러링을 위한 음원 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음원 정보는 단말 내의 메모리(103)로 기 저장된 정보일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상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S213 단계에서, 사용자는 문자 콜 서비스를 위한 기본 정보 선택을 종료하여 착신 단말과의 통화를 위한 통화 발신을 실행한다. 통화 발신은 단말의 'SEND' 키 또는 '통화' 버튼을 통해 실행된다. 제어모듈(101)은 단말의 통화 발신 상태를 인지한다. 즉 S215 단계와 같이, 기 설정된 발신자 지정정보를 전송한다. 발신자 지정 정보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NULL' 상태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발신자 지정 정보 발신을 위해 즉, 부가 서비스 기능 을 위해 상기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107)을 기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01)은 상기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 및 메모리(103)를 인에이블 시킨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발신자 지정정보 예컨대, 벨소리 서비스 선택정보, 해당 벨소리를 위한 음원 정보 등을 상기 메모리(103)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은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선택정보 및 음원 정보를 상기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107)로 전송한다.
상기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107)은 상기 통신 모듈(117)을 통해 발신자 측 교환기(MSC)와 연동하며, 교환기의 IAM (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 (User-to-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이용하여 발신자 지정 정보를 착신자 측 교환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다양한 정보를 착신 단말에 표시한다. 즉, SS7 신호 방식의 호 연결 요청 명령인 IAM의 UUI 파라미터 필드를 이용하며, 이를 위하여 발신자 측 교환기로 발신자 지정정보를 전송하고 발신자 측 교환기로 하여금 UUI 파라미터 필드에 이를 싣어 착신자 측 교환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107)은 부가 서비스를 위한 발신자 지정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117)을 통해 발신자 측 교환기로 제공한다. 전술된 각 교환기는 본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101)은 S217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통화 채널 운용모듈(113) 및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을 기동한다. 이는 개별적으로 운용되는 통화 채널과 단문 메시지 채널을 동시에 운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문자메시지 관리모듈(109) 및 메모리(103)를 인에이블시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메시지를 메모리(103)로부터 추출한다. 추출된 메시지는 상기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로 제공된다. S219 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1)은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을 제어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모듈(101)은 상기 통화 채널 운용모듈(113)의 동작을 운용하여 착신자와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전술된 S20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의 현재 상태가 착신 통화 상태일 경우, 상기 제어모듈(101)은 S221 단계에서 현재 수신된 통화 요청 메시지가 문자 콜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현재 수신된 메시지가 문자 콜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가 아닐 경우, 본 과정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S22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수신된 메시지가 문자 콜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일 경우, 상기 제어모듈(101)은 S223 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5)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텍스트 정보로 지칭되나,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문자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컬러 아바타, URL 정보 등 어느 하나의 메시지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자 메시지는 발신자의 애칭 또는 별명 등으로 기재되거나, 소정의 인사말로 표현될 수 있다.
S225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제어모듈(101)은 상기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과,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 및 메모리(103)를 기동한다. 상기 메모리(103)는 단말로 기 저장된 발신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101)은 상기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을 이용하여 현재 수신된 발신 단말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메모리(103)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111)은 상기 발신자 정보를 상기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로 전송한다.
상기 발신자 정보는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발신자에 대한 정보로서, 발신자 번호 정보, 발신자 애칭 정보, 발신자 호칭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1)은 S227 단계에서, 상기 통화 채널 운용모듈(113)과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을 동시에 기동시킨다. 그리고, S229 단계에서 제어모듈(101)은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115)을 통해 상기 발신자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해 채널 운용모듈(113)을 통해 발신 단말과의 음성 통화를 실행토록 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의 통화 발신 시 발신자로부터 설정된 문자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로 기 등록된 해당 발신자에 대한 문자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제공하여, 착발신자 간에 상호 레터링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1)

  1.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 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 대한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을 개방하고, 임의로 설정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 단말에 기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수신한 후, 상기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양방향 레터링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 제어하거나, 문자 콜 서비스 실행에 기초하여 단말로 기 저장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
    단말의 통화 개시에 응답하여 통화 채널을 개방 제어하기 위한 통화채널 운용모듈;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위해 단말 내의 메모리로 기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로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관리모듈; 및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의 실행 상태를 인지한 후, 단말의 발신 동작 시 상기 통화 채널 운용모듈 및 단문 메시지 채널 운용모듈을 기동하고, 상기 문자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문자메시지 관리모듈을 인에이블시키며, 통화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상태를 인지한 후, 기 저장된 발신자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전송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정보 추출모듈 및 단문메시지 채널 운용모듈을 기동하고,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단말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터링 기능을 갖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는 인사말 정보, 애칭, 호칭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이며,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 명 정보, 발신자 애칭, 호칭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이고, 상기 단문 메시지는 텍스트, 문자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컬러 아바타, URL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터링 기능을 갖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착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임의의 교환기(MSC)로 UUI(User to User Information) 정보를 전송 제어하기 위한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메모리로 기 저장된 음원 정보를 상기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로 제공함으로써, 착신 단말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터링 기능을 갖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지정정보 운용모듈은,
    착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교환기(MSC)로 설정 가능한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터링 기능을 갖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는,
    벨소리 서비스 또는 컬러링 서비스 구현을 위한 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터링 기능을 갖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착신 단말의 착신 상태를 통지하기 위해, 착신 단말을 진동 모드로 설정하거나, 램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터링 기능을 갖는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 시 발신 단말에 대한 레터링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착신 단말로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 정보를 추출/입력하는 단계;
    c) 사용자의 통화 발신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을 동시에 기동하는 단계; 및
    d)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b-1)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벨소리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제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기 설정된 착신 벨소리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b-3)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b-1)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진동 모드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제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2)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에 응답하여,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인사말 정보, 애칭, 호칭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텍스트, 문자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컬러 아바타, URL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3.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 시 착신 단말에 대한 레터링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착신된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착신 단말로 기 저장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을 동시에 기동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자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발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모드로서, 진동 모드 또는 램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인사말 정보, 애칭, 호칭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텍스트, 문자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컬러 아바타, URL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7.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 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에 대한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착신 단말로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 정보를 추출/입력하는 단계;
    c) 사용자의 통화 발신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채널 및 단문 메시지 채널을 동시에 기동하는 단계;
    d)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 기 설정된 발신자 정보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e)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b-1)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벨소리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제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기 설정된 착신 벨소리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b-3)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b-1)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진동 모드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제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2)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에 응답하여,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파라미터 필드를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실행 정보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인사말 정보, 애칭, 호칭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텍스트, 문자 이모티콘, 그래픽 이모티콘, 컬러 아바타, URL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1020060041613A 2006-05-09 2006-05-09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KR10083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13A KR100834281B1 (ko) 2006-05-09 2006-05-09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13A KR100834281B1 (ko) 2006-05-09 2006-05-09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100A KR20070109100A (ko) 2007-11-15
KR100834281B1 true KR100834281B1 (ko) 2008-05-30

Family

ID=3906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613A KR100834281B1 (ko) 2006-05-09 2006-05-09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43B1 (ko) * 2011-01-25 2013-01-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수신자 정보 또는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990B1 (ko) 1999-10-29 2001-11-02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KR100319271B1 (ko) 1999-08-02 2002-01-05 윤종용 휴대폰의 통화지역 위치 표시 제어방법
KR20030080977A (ko) * 2002-04-12 2003-10-17 전상권 가입자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23298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유시드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271B1 (ko) 1999-08-02 2002-01-05 윤종용 휴대폰의 통화지역 위치 표시 제어방법
KR100303990B1 (ko) 1999-10-29 2001-11-02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KR20030080977A (ko) * 2002-04-12 2003-10-17 전상권 가입자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23298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유시드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100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US2008019571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nding An Imag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US200601219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talker during PTT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99059A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시스템
JP2007281881A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070029488A (ko) 휴대폰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100698330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방법
KR100834281B1 (ko)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레터링서비스 방법
JP2004320544A (ja)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EP2224712B1 (en) Method of providing message information, including call subject information, to a recipient of a telephone call
KR20130049601A (ko)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11724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50101099A (ko) 통합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70074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75763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749748B1 (ko) 통신 채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7184987A (ja) 移動通信端末
KR10072554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지 수신 음악 제공시스템 및그 방법
KR20070005774A (ko) 발신자 식별 정보 표시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7033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8398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선택 방법
KR100849694B1 (ko) 근거리 무선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