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638B1 -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638B1
KR100757638B1 KR1020060006738A KR20060006738A KR100757638B1 KR 100757638 B1 KR100757638 B1 KR 100757638B1 KR 1020060006738 A KR1020060006738 A KR 1020060006738A KR 20060006738 A KR20060006738 A KR 20060006738A KR 100757638 B1 KR100757638 B1 KR 10075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user
party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286A (ko
Inventor
홍의돈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0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6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1), 온 되면(YES)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상대방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2 단계(S12);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3), 발신메뉴를 선택하면(YES)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 전송센터(300 or 400)를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제 14 단계(S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CNIP 및 상대방 전화번호 자동인식 기능을 이용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호가 셋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간단히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단문메시지 작성에 따른 불편함과 시간지연을 없애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SMS 서비스, 단문문자 메시지, CNIP, 전화번호 자동인식,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METHOD OF TRANSMITTING SHORT MESSAGE DUR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망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입장에서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서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 입장에서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200 :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
300 : SMS 센터 400 : MMS 센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호가 셋업(Setup)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간단히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률은 가히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 가운데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고객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용자들은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 없이 통화는 물론, 무선 인터넷,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단문문자 전송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일정길이의 문자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부가서비스로서, 현재 사용자들에게 가장 큰 호응을 얻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음성통화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숫자나 문자 등과 같은 일정길이의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되는 방식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통화중에 말로 해서는 왜곡될 위험이 있는 통화내용을 숫자나 문자로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해 통화중에도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식은 대부분이 SMS 또는 MMS 센터(Center)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메시지를 이용해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이었고, 비록 SMS 또는 MMS 센터를 통해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일 경우에도 사용자가 반드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해야되므로 단문메시지 작성에 따른 번거로움과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CNIP(발신자표시서비스) 및 상대방 전화번호 자동인식 기능을 이용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호가 셋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간단히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단문메시지 작성에 따른 불편함과 시간지연을 없애주어 사용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은,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 SMS 센터 또는 MMS 센터와 같은 단문메시지 전송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 되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전화번호 자동인식기능을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제 13 단계에서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다시 상기 제 1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발신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 전송센터를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은,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 SMS 센터 또는 MMS 센터와 같은 단문메시지 전송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1 단계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 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CNIP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22 단계;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제 23 단계에서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다시 상기 제 2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발신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 전송센터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망 구성도로서, 이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와, SMS 센터(300) 또는 MMS 센터(4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 와의 통화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면, 전화번호 자동인식기능을 활성화시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상대방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SMS 또는 MMS 메시지가 작성완료된 후 발신메뉴가 온되면 그 작성된 SMS 또는 MMS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300) 또는 MMS 센터(400)를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통화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면, CNIP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상대방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SMS 또는 MMS 메시지가 작성완료된 후 발신메뉴가 온되면 그 작성된 SMS 또는 MMS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300) 또는 MMS 센터(400)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SMS 센터(300) 또는 MMS 센터(400)는 이동통신망 내에서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SMS 또는 MMS 메시지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 입장에서의 전송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 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와의 통화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
이때, 상기 제 11 단계(S11)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면(YES),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화번호 자동인식기능을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도 4의 (b)와 같은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다(S12).
그런 후,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가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도 4의 (b)에 도시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에서 발신메뉴(1)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
이때, 상기 제 13 단계(S13)에서 사용자가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1)를 선택하지 않으면(NO)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다시 상기 제 13 단계(S13)로 진행하는 한편, 발신메뉴(1)를 선택하면(YES)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상기 SMS 센터(300) 또는 MMS 센터(400)를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4). 여기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때, 캐릭터(Character) 또는 이모티콘(Emoticom)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1 단계(S11)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지 않으면(NO),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와의 통화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다시 상기 제 11 단계(S11)로 진행한다(S15).
한편,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서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 입장에서의 전송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통화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
이때, 상기 제 21 단계(S21)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면(YES),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CNIP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도 4의 (b)와 같은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다(S22).
그런 후,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가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도 4의 (b)에 도시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에서 발신메뉴(1)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
이때, 상기 제 23 단계(S23)에서 사용자가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1)를 선택하지 않으면(NO)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다시 상기 제 23 단계(S23)로 진행하는 한편, 발신메뉴(1)를 선택하면(YES) 사용자 에 의해 작성된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상기 SMS 센터(300) 또는 MMS 센터(400)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4). 여기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로 SMS 또는 MMS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때, 캐릭터 또는 이모티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1 단계(S21)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ON) 되지 않으면(NO),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통화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다시 상기 제 21 단계(S21)로 진행한다(S25).
이상에서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의하면,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CNIP 및 상대방 전화번호 자동인식 기능을 이용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호가 셋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간단히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단문메시지 작성에 따른 불편함과 시간지연을 없애주어 사용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 SMS 센터 또는 MMS 센터와 같은 단문메시지 전송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1 단계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 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CNIP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자동인식한 후 그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자동입력된 단문메시지 작성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22 단계;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3 단계;
    상기 제 23 단계에서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작성완료한 후 발신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다시 상기 제 2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발신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 전송센터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4 단계; 및
    상기 제 21 단계에서 단문메시지 전송 단축키가 온 되지 않으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다시 상기 제 21 단계로 진행하는 제 2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60006738A 2006-01-23 2006-01-23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75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38A KR100757638B1 (ko) 2006-01-23 2006-01-23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38A KR100757638B1 (ko) 2006-01-23 2006-01-23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286A KR20070077286A (ko) 2007-07-26
KR100757638B1 true KR100757638B1 (ko) 2007-09-10

Family

ID=3850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738A KR100757638B1 (ko) 2006-01-23 2006-01-23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207B1 (ko) 2014-05-31 2020-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20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20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286A (ko)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9708A (ko) 개인화 수단을 지니는 통신 단말기
NO322823B1 (no) Fremgangsmate for overforing av informasjon i en telefonsvarertjeneste
US200502546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short messages to PSTN telephone during regular voice communication
KR19990011145A (ko) 휴대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서비스방법
KR10075763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83082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401701B1 (ko)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KR100793029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1006724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방법
KR100793027B1 (ko) 단문메시지 전송방식을 이용한 통화중 타인 전화번호제공방법
KR1006411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652569B1 (ko) 블루투스 헤드셋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전환 방법
KR2004007636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KR20010077232A (ko) 휴대폰의 문자메세지전송서비스기능을 이용한문자채팅(송,수신)방법
KR100899603B1 (ko) 발신자의 메세지를 호 연결된 수신자폰에 표시하여 주는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55687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전화 수신 전환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8010093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알림 필터링서비스방법
KR100727225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상대방번호자동입력방법
KR100827073B1 (ko) 휴대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
KR20040088622A (ko) 통화중 또는 통화종료후 착신자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