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783B1 -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 Google Patents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783B1
KR101352783B1 KR1020110067421A KR20110067421A KR101352783B1 KR 101352783 B1 KR101352783 B1 KR 101352783B1 KR 1020110067421 A KR1020110067421 A KR 1020110067421A KR 20110067421 A KR20110067421 A KR 20110067421A KR 101352783 B1 KR101352783 B1 KR 10135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
mounting
mounting pillar
bullet
gu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702A (ko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주)우남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남마린 filed Critical (주)우남마린
Priority to KR102011006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7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6Shields
    • F41H5/12Shields for smallarms; for light-rocket laun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08Bearings, e.g. trunnions; Brakes or blocking arrangements
    • F41A27/14Central-pivo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0Empty-cartridge-case or belt-link collectors or cat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3/00Butts; Butt plates; Stocks
    • F41C23/12Auxiliary stocks for stabilising, or for transforming pistols, e.g. revolvers, into shoulder-fired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3/00Butts; Butt plates; Stocks
    • F41C23/20Butts; Butt plat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총용 총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기둥 상에 좌우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설치브래킷의 상부에 총기받침대를 상하방향으로 각운동하게 힌지식으로 설치하며, 이 총기받침대에 형성된 두 군데의 연결구멍에 총기를 설치하고, 그 총기받침대의 일측에는 탄알띠를 공급하는 탄약통안치대를 고정되게 설치함으로써, 총기를 상하방향으로 각운동시키는 경우에도 총기에 형성된 탄알투입구와 탄알띠가 나오는 탄약통안치대의 위치가 불변하여 탄약통안치대에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탄알띠가 탄알투입구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속단정의 선체에 수직 설치되는 거치기둥(3)과, 거치기둥(3)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측에 총기(2)가 설치되는 총기받침장치(10)로 이루어지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총기받침장치(10)는 거치기둥(3)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브래킷(30)과, 설치브래킷(30)의 상부에 상하로 각운동하게 힌지 설치되며 상측에 총기(2)가 설치되는 총기받침대(20)와, 총기받침대(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자형 탄약통안치대(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브래킷(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31)의 저면에는 회전축부(35)와 간격을 두고 스토퍼(39)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거치기둥(3)의 상부 외주에는 다수개의 핀구멍(5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플랜지(52)가 고정 설치되고, 이 상부플랜지(52)의 핀구멍(51) 중에 2개의 핀구멍(51)에는 스토퍼(39)가 걸려서 스토퍼(39)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하는 한계설정핀(53)이 착탈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관총용 총기거치대{Machine gun cradle}
본 발명은 기관총용 총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기둥 상에 좌우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설치브래킷의 상부에 총기받침대를 상하방향으로 각운동하게 힌지식으로 설치하며, 이 총기받침대에 형성된 두 군데의 연결구멍에 총기를 설치하고, 그 총기받침대의 일측에는 탄알띠를 공급하는 탄약통안치대를 고정되게 설치함으로써, 총기를 상하방향으로 각운동시키는 경우에도 총기에 형성된 탄알투입구와 탄알띠가 나오는 탄약통안치대의 위치가 불변하여 탄약통안치대에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탄알띠가 탄알투입구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총기거치대(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속단정(도시생략)의 선체 상에 수직 설치되는 거치기둥(3)과, 거치기둥(3) 상에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설치브래킷(4)과, 설치브래킷(4)의 전방에 설치되는 방탄판(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브래킷(4)의 후방측 상부에는 총기 설치용 힌지구멍(4a)이 형성되어 총기(2)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2a)가 힌지볼트(2c)에 의해 힌지 설치되고, 방탄판(5)의 후면 일측에는 탄약통이 안치되는 탄약통안치대(40)가 연결대(40a)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브래킷(4)의 하부에는 하부에 관형 거치기둥(3)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전축부(6)를 하향 설치한 바닥판(7)이 설치되고, 회전축부(6) 외측의 바닥판(7) 하부에는 핀형 스토퍼(8)가 하향 돌출되게 하향 설치되며, 회전축부(6)가 끼워진 거치기둥(3)의 상부 양측에는 180°방향으로 스토퍼(8)가 걸리는 한계설정핀(9)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총기거치대(1)에 설치된 총기(2)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총기(2)의 몸체 후방에 설치된 방아쇠손잡이(2d)를 잡고 총기 몸체를 하측으로 내리면, 총기 몸체의 전방하측의 연결부(2a)가 설치브래킷(4)의 상부측 힌지구멍(4a)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서 총기(2)가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기울여지면서 총구(총열:2b)가 상측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방아쇠손잡이(2d)를 잡고 총기 몸체를 좌측이나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설치브래킷(4)의 하방에 하향 설치된 회전축부(6)가 관형 거치기둥(3)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서 총기(2)가 전체적으로 좌측이나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부(6) 외측의 바닥판(7) 하부에 핀형태의 스토퍼(8)가 하향 설치되고 거치기둥(3)의 상부 양측에는 스토퍼(8)가 걸리는 한계설정핀(9)이 180°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어서, 스토퍼(8)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한계설정핀(9) 내측의 각도 범위 안에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총구방향을 고속단정의 외측을 향하게 설치하여 총구가 고속단정의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180°범위 안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총기거치대(1)가 설치되는 고속단정은 선체크기나 종류, 그리고 총기거치대(1)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데도 불구하고 종래의 총기거치대(1)는 총구가 항상 180°범위 안에서만 회전되게 고정되어서 총구가 향하는 각도범위가 제한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이 총구가 향하는 각도범위가 제한된 상태에서 선체크기나 종류, 그리고 총기거치대(1)가 설치되는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총구가 향하는 각도범위가 제한된 상태이므로 전투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총기는 설치브래킷(4)의 후방측 상부에 힌지볼트(2c)에 의해 한 점만 힌지식으로 결합되어서 총기(2)는 도 1의 (나)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각운동하게 된다.
그런데, 총기(2)로 탄알(띠)을 공급하는 탄알띠가 담겨지는 탄약통안치대(40)는 방탄판(5)의 후면에 별도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1의 (가)와 같이 총기(2)가 수평상태인 경우에는 탄알투입구(2f)와 탄약통안치대(40)의 상측 개구부가 수평(LE) 상태가 되나, 도 1의 (나)와 같이 총기(2)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여진 경우에는 탄알투입구(2f)와 탄약통안치대(40)의 상측 개구부가 경사(SL)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탄알투입구(2f)와 탄약통안치대(40)의 상측 개구부가 수평(LE) 상태가 되면 탄약통안치대(40)에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탄알띠(100)가 총기의 탄알투입구(2f)로 정확하게 투입되게 되나, 도 1의 (나)와 같이 탄알투입구(2f)와 탄약통안치대(40)의 상측 개구부가 경사(SL)지게 되면, 총기가 경사진 각도만큼 탄알띠(100)가 부채모양으로 펼쳐지면서 그 펼쳐지는 각도가 크고 펼쳐지는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다수개의 클립으로 연결되는 탄알이 클립에서 이탈되면서 총기에 미장전(未裝塡)되게 되는 중대한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기둥 상에 좌우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설치브래킷의 상부에 총기받침대를 상하방향으로 각운동하게 힌지식으로 설치하며, 이 총기받침대에 형성된 두 군데의 연결구멍에 총기를 설치하고, 그 총기받침대의 일측에는 탄알띠를 공급하는 탄약통안치대를 고정되게 설치함으로써, 총기를 상하방향으로 각운동시키는 경우에도 총기에 형성된 탄알투입구와 탄알띠가 나오는 탄약통안치대의 위치가 불변하여 탄약통안치대에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탄알띠가 탄알투입구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총기가 설치되는 총기받침장치의 하부에 스토퍼를 하향 설치하고, 거치기둥의 상부측 외주에는 상기 스토퍼의 회전각도를 설정 조절할 수 있는 회전각조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고속단정의 선체 크기와 종류, 그리고 총기거치대의 설치위치와 작전상황에 맞게 총기받침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전투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속단정의 선체에 수직 설치되는 거치기둥과, 거치기둥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측에 총기가 설치되는 총기받침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총기받침장치는 거치기둥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브래킷과, 설치브래킷의 상부에 상하로 각운동하게 힌지 설치되며 상측에 총기가 설치되는 총기받침대와, 총기받침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자형 탄약통안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브래킷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의 저면에는 회전축부와 간격을 두고 스토퍼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거치기둥의 상부 외주에는 다수개의 핀구멍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플랜지가 고정 설치되고, 이 상부플랜지의 핀구멍 중에 2개의 핀구멍에는 스토퍼가 걸려서 스토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하는 한계설정핀이 착탈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총기가 고정 설치되는 총기받침대의 일측에 탄약통안치대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총기에 형성된 탄알투입구와 탄알띠가 나오는 탄약통안치대의 위치가 불변하여 탄약통안치대에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탄알띠가 탄알투입구로 정확하게 투입되어 장전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총기받침대의 하방에는 탄피받이를 설치함에 따라 탄피를 분실하지 않고 전량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총기가 설치되는 총기받침장치의 하부에 스토퍼를 하향 설치하고, 총기받침장치의 하부에 수직 설치되는 거치기둥의 상부측 외주에는 상기 스토퍼의 회전각도를 설정 조절할 수 있는 회전각조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고속단정의 선체 크기와 종류, 그리고 총기거치대의 설치위치와 작전상황에 맞게 총기받침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전투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플랜지 상측의 거치기둥이 상하부수직부의 사이에 경사연결부가 연결 형성됨에 따라 거치기둥의 하부를 선체의 고무튜브에 근접하게 설치하였을 때 거치기둥의 상부는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하부플랜지와 선체바닥에 설치되는 고정관의 고정플랜지부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서 거치기둥의 상측이 선체의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선체의 크기와 설치위치가 다른 경우에도 불구하고 총구가 향하는 방향을 작전에 가장 바람직한 방향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거치기둥의 하단부가 선체의 하측으로 삽입 설치된 고정관에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거치기둥의 하부플랜지와 고정관의 고정플랜지가 이중으로 고정 결합됨에 따라 총기거치대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의 (가)(나)는 종래 발명의 구조와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좌측면 및 우측면도.
도 2는 종래발명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총기받침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시시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을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11의 (가)(나)는 거치기둥의 하부플랜지와 선체에 설치된 고정관의 고정플랜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관총용 총기거치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속단정의 선체에 수직 설치되는 거치기둥(3)과 거치기둥(3)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총기받침장치(10)로 이루어지며, 총기받침장치(10)는 거치기둥(3)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브래킷(30)과, 이 설치브래킷(30)의 상부에 상하로 각운동하게 힌지 설치되며 상측에 총기(2)가 설치되는 총기받침대(20)와, 총기받침대(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자형 탄약통안치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브래킷(30)은 저면에 회전축부(35)와 스토퍼(39)가 간격을 두고 하향 설치되는 바닥판(31)의 양측 전후방으로 방탄판 설치용 방탄판설치부(32)와 총기받침대 설치용 힌지브래킷(33)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탄판설치부(32)와 힌지브래킷(33)은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추후에 설치되는 총기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방탄판설치부(32)에 전방에 방탄판(37)이 설치되고, 힌지브래킷(33)은 추후에 설치되는 총기받침대(20)의 설치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향 경사지면서 수개의 높이조절구멍(34)이 형성되며, 회전축부(35)의 외주에는 거치기둥(3)의 외측으로부터 내향 체결되는 고정볼트(56)의 선단부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걸림홈(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총기받침대(20)는 전후방과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1)의 양측 전후방에 총기의 연결부(2a)와 볼트(2e)로 설치될 연결구멍(22)이 형성되고, 이 본체(21)의 양측 중앙 하부에는 힌지브래킷(33)의 높이조절구멍(34)과 힌지볼트(38)로서 힌지 설치될 힌지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의 내측 바닥에는 하측이 개방되며 그 개방된 하부가 하향 경사진 탄피배출구(24)가 형성되고, 이 본체(21)의 양측 하부에는 탄피받이(26)를 착탈식으로 설치하기 위한 탄피받이설치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피받이(26)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箱子)형으로 형성되는 탄피받이부(28)의 상측 테두리에 탄피받이설치부(25)에 끼움 설치되는 설치핀부(27)가 형성되어 탄피받이(26)가 탄피배출구(24)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약통안치대(40)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탄약통수납부(43)의 일측이 본체(21)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 설치되되, 본체(21)와 연결 설치되는 쪽의 부재 상부가 본체(21)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그 상단부가 본체(21)측으로 탄알띠를 안내하도록 탄알안내부(42)가 둥글게 만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알안내부(42)의 전면에는 탄알안내부(42)의 전면과 본체(21)의 외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결합부(41)를 설치하여 본체(21)에 용접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알안내부(42)가 본체(21)의 상부보다 높고 둥글게 만곡되어 있으며, 탄알안내부(42)의 전면과 본체(21)의 외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은, 다수의 탄알이 클립으로 연결된 탄알띠가 둥글게 만곡되면서 본체에 걸리지 않고 총기로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각조절장치(50)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다수개의 핀구멍(5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플랜지(52)가 거치기둥(3)의 상부 외주에 고정 설치되고, 이 상부플랜지(52)의 핀구멍(51) 중에 2개의 핀구멍(51)에는 스토퍼(39)가 걸려서 스토퍼(39)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하는 한계설정핀(53)이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한계설정핀(53)은 부싱을 끼운 볼트가 핀구멍(51)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된 것임을 밝힌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기둥(3)의 하부측에는 거치기둥(3)을 고속단정의 선체(60)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플랜지(54)를 설치하되, 이 하부플랜지(54)는 거치기둥(3)의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이 하부플랜지(54)에 다수개의 볼트구멍(55)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랜지(54) 상측의 거치기둥(3)은 상하부수직부(3a,3b)의 사이에 경사연결부(3c)가 연결 형성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기둥(3)의 하부가 결합 설치될 선체(40)의 바닥에는 상측에 고정플랜지부(63)가 설치된 고정관(61)이 삽입 설치되며, 선체(60)의 바닥으로 삽입된 고정관(61)의 외주는 선체를 제조하는 FRP로 감싼 고정관감쌈부(64)로 감싸 고정하며, 이 고정플랜지부(63)에는 하부플랜지(54)의 볼트구멍(55)과 대응하여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볼트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일예로서 하부플랜지(54)에 6개의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고정플랜지부(63)에는 그 보다 많은 12개의 볼트구멍(62)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플랜지(54) 상측의 거치기둥(3)은 상하부수직부(3a,3b)의 사이에 경사연결부(3c)가 연결 형성되어 거치기둥(3)의 하단부를 선체의 고무튜브(65)에 근접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총기거치대(1)를 고속단정의 크기와 종류, 그리고 설치위치에 따라 총구의 방향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볼트구멍(55)에 볼트를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위에서의 볼트구멍(55,61)의 숫자는 일예보다 적은 수량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일예보다 많은 수량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랜지(54) 하측의 거치기둥(3)은 고정관(6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플랜지(54)와 고정플랜지부(63)가 볼트로 결합됨에 따라 고속단정의 선체(60)에 거치기둥(3)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총기거치대(1)는 고속단정의 선체에 설치되는데, 이 총기거치대(1)의 거치기둥(3) 하부에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기둥(3)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에 다수개의 볼트구멍(55)을 구비한 하부플랜지(54)가 설치되어서 하부플랜지(54) 하측의 거치기둥(3)을 선체(40)에 고정 설치된 고정관(61)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뒤에 하부플랜지(54)와 고정플랜지부(63)의 볼트구멍(55,62)을 볼트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하부플랜지(54) 상측의 거치기둥(3)은 상하부수직부(3a,3b)의 사이에 경사연결부(3c)가 연결 형성되어서 고무튜브(65)에 근접한 위치의 선체(60) 바닥에 거치기둥의 하부를 설치하였을 때, 거치기둥의 상부는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기둥(3)의 상부가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플랜지(54)와 고정플랜지부(63)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구멍(55,62)을 서로 맞추면서 총기거치대를 설치할 이동수단(고속단정, 차량, 헬리콥터, 함정 등)의 크기와 종류, 그리고 총기거치대(1)를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총구가 향하는 바람직한 방향에 맞게 이송수단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는 총구가 향하는 방향이 가장 바람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거치기둥(3)의 방향을 틀면서 볼트구멍(55,62)에 볼트를 관통하여 설치함으로써, 거치기둥(3)을 선체 바닥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하부플랜지(54)의 하측으로 하향 형성된 소정의 길이가 고정관(6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거치기둥(3)을 선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 뒤에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기받침장치(10)를 거치기둥(3)의 상부에 설치하는데, 이때는 설치브래킷(30)의 하부에 하향 설치된 회전축부(35)를 관형으로 형성된 거치기둥(3)의 상부에 끼우고, 회전축부(35)의 걸림홈(36)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고정볼트(56)를 삽입 체결하여 거치기둥(3)의 내측으로 삽입된 고정볼트(56)의 선단부가 거치기둥(3)의 내측으로 삽입된 회전축부(35)의 걸림홈(36)에 걸리게 하여 회전축부(35)가 거치기둥(3)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체결되는 고정볼트(56)를 강하게 조이면 고정볼트(56)의 선단부가 거치기둥(3)의 내부에서 회전축부(35)를 강하게 밀착되면서 조여짐에 따라 회전축부(35)가 거치기둥(3)의 내측에서 회전되지 않게 됨에 따라 고정볼트(56)를 느슨하게 조여서 회전축부(35)가 관형 거치기둥(3)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기(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각에 맞게 2개의 한계설정핀(53)을 간격을 두고 핀구멍(51)에 설치하는데, 2개의 한계설정핀(53)을 상부플랜지(52)의 핀구멍(51)에 설치하면 그 2개의 한계설정핀(53)의 사이에서만 설치브래킷(30)의 하부에 하향 설치된 스토퍼(39)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거치기둥(3)에 설치되는 설치브래킷(30)의 방탄판설치부(32) 전면에는 도 4와 같이 방탄판(37)이 설치되고, 힌지브래킷(33)에는 총기받침대(20)가 설치되는데, 이때는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브래킷(33)에 형성된 높이조절구멍(34)과 총기받침대(20)에 형성된 힌지구멍(23)을 일치시킨 뒤에 그 일치된 구멍(34,23)으로 힌지볼트(38)를 관통 체결한다.
상기 힌지브래킷(33)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힌지브래킷(33)에는 수개의 높이조절구멍(3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총기받침대(20)를 설치하는 높이조절구멍(34)의 위치에 따라 총기받침대(20)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설치된다.
위와 같이 설치된 총기받침대(20)의 하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피받이(26)를 설치하는데, 이 탄피받이(26)는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나 자루형태의 탄피받이부(28) 상부 둘레에 철사와 같이 단단한 테두리를 설치하였으며, 그 테두리에 설치핀부(2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서 그 설치핀부(27)를 총기받침대(2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탄피받이설치부(25)에 끼움에 따라 탄피받이(26)를 총기받침대(20)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총기받침대(20)의 내측 바닥에는 하향 경사진 탄피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 상부가 개방된 탄피받이(26)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사격 후 하측으로 배출되는 탄피가 탄피배출구(24)를 통하여 탄피받이(26)에 받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탄피받이(26) 까지 설치하고 난 뒤에는 도 4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기받침대(20)에 총기(2)를 설치하는데, 이때는 총기(2)의 하측 두 군데에 형성된 연결부(2a)의 구멍과 총기받침대(20)에 형성된 전후방측 연결구멍(22)을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2e)를 관통 체결하여 총기(2)를 총기받침대(20)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며, 총기(2)를 비롯한 총기거치대(1)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위와 같이 설치 완료된 총기거치대(1)의 탄약통안치대(40)에는 탄약통이 안치되게 되고, 이 탄약통의 뚜껑을 열고 그 내측에 담겨진 탄알띠를 총기(2)에 장착한 뒤에 필요로 하는 시기에 사격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탄알띠는 다수개의 탄알이 클립으로 연결된 것을 칭한 것이다.
위와 같이 탄알띠까지 총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격을 하게 되면, 탄두는 목표지점으로 날아가게 되고 탄알에서 분리된 탄피는 총기(2)의 하측으로 배출되게 되고, 그 탄피는 총기받침대(20)의 하측에 하향 경사진 탄피배출구(24)를 통하여 그 하측의 탄피받이(26)에 받혀지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사격을 할 때 목표물에 따라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총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힌지브래킷(33)의 높이조절구멍(34)에 총기받침대(20)의 중앙 하부 한 군데가 힌지볼트(38)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총기(2)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총기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브래킷(30)의 하부에 하향 설치된 회전축부(35)가 관형 거치기둥(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총기받침대(20)에 설치된 총기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데, 거치기둥(3)의 상부측에는 회전각조절장치(50)가 설치되어서 총기는 설정된 각도 내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2개의 한계설정핀(53)이 간격을 두고 상부플랜지(52)의 핀구멍(51)에 설치되어 있고, 1개의 스토퍼(39)는 2개의 한계설정핀(53) 사이에서 각운동 할 수 있으면서 그 양측 한계설정핀(53)에 걸리는 위치에 설치되어서 스토퍼(39)는 도 9에 표시된 화살표의 각도범위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39)는 상측에 총기(2)가 설치된 총기받침장치(10)의 하측에 하향 설치된 것임에 따라 총기도 스토퍼(39)가 회전하는 각도만큼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 회전각도는 한계설정핀(53)의 설치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에 따라 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격을 할 때 탄두가 연속적으로 발사되면서 탄알띠가 총기로 공급되게 되는데, 탄약통안치대(40)의 일측에는 상측이 둥글게 만곡된 탄알안내부(42)가 형성되어서 탄알띠가 원활하게 총기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연속적으로 사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총기를 상하방향으로 각운동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사격을 하는 경우에도 탄알이 담겨진 탄약통안치대(40)가 총기받침대(20)의 일측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기(2)에 형성된 탄알투입구(2f)와 탄약통안치대(40)의 상측 개부구위 위치가 변하지 않고 제자리에 있게 된다.
따라서, 탄약통안치대(4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나오는 탄알띠는 도 7의 (가)와 같이 총기가 수평한 경우나, 도 7의 (나)와 같이 총기가 상측으로 경사진 경우에도 탄알투입구(2f)와 탄약통안치대(40)의 상측 개부구위 위치가 변하지 않고 제자리에 있게 되어 총기로 공급되는 탄알은 항상 안정적이며 원활하게 공급되어 끊임이 없이 사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총기거치대가 고속함정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로 설명하였으나, 고속단정은 물론이고 차량, 헬리콥터, 함정 등의 이동수단에도 설치가 가능한 것임을 밝힌다.
1 : 총기거치대 2 : 총기 3 : 거치기둥
4 : 설치브래킷 5 : 방탄판 6 : 회전축부
7 : 스토퍼설치판 8 : 스토퍼 9 : 한계설정핀
10 : 총기받침장치 20 : 총기받침대 21 : 본체
22 : 연결구멍 23 : 힌지구멍 24 : 탄피배출구
25 : 탄피받이설치부 26 : 탄피받이 27 : 설치핀부
28 : 탄피받이부 30 : 설치브래킷 31 : 바닥판
32 : 방탄판설치부 33 : 힌지브래킷 34 : 높이조절구멍
35 : 회전축부 36 : 걸림홈 37 : 방탄판
38 : 힌지볼트 39 : 스토퍼 40 : 탄약통안치대
41 : 고정결합부 42 : 탄알안내부 43 : 탄약통수납부
50 : 회전각조절장치 51 : 핀구멍 52 : 상부플랜지
53 : 한계설정핀 54 : 하부플랜지 55 : 볼트구멍
56 : 고정볼트 60 : 선체 61: 고정관
62 : 볼트구멍 63 : 고정플랜지부 64 : 고정관감쌈부
65 : 고무튜브 100 : 탄알띠

Claims (6)

  1. 삭제
  2. 고속단정의 선체에 수직 설치되는 거치기둥(3)과, 거치기둥(3)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측에 총기(2)가 설치되는 총기받침장치(10)로 이루어지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총기받침장치(10)는 거치기둥(3)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브래킷(30)과,
    설치브래킷(30)의 상부에 상하로 각운동하게 힌지 설치되며 상측에 총기(2)가 설치되는 총기받침대(20)와,
    총기받침대(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자형 탄약통안치대(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브래킷(30)은 전방에 방탄판(37)이 설치되는 방탄판설치부(32)가 바닥판(31)의 전방에 설치되고, 바닥판(31)의 후방에는 수개의 높이조절구멍(34)이 형성된 힌지브래킷(33)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회전축부(35)의 외주에는 거치기둥(3)의 외측으로부터 내향 체결되는 고정볼트(56)의 선단부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걸림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총기받침대(20)는 전후방과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본체(21)의 양측 전후방에 총기의 연결부(2a)와 볼트(2e)로 설치될 연결구멍(22)이 형성되고, 이 본체(21)의 양측 중앙 하부에는 힌지브래킷(33)의 높이조절구멍(34)과 힌지볼트(38)로서 힌지 설치될 힌지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탄약통안치대(40)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탄약통수납부(43)의 일측이 본체(21)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 설치되고, 본체(21)와 연결 설치되는 쪽의 부재 상부가 본체(21) 측으로 둥글게 만곡되는 탄알안내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1)의 저면에는 회전축부(35)와 간격을 두고 스토퍼(39)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거치기둥(3)의 상부 외주에는 다수개의 핀구멍(5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플랜지(52)가 고정 설치되고, 이 상부플랜지(52)의 핀구멍(51) 중에 2개의 핀구멍(51)에는 스토퍼(39)가 걸려서 스토퍼(39)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하는 한계설정핀(53)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의 내측 바닥에는 하측이 개방된 탄피배출구(24)가 형성되고, 이 본체(21)의 양측 하부에는 탄피받이설치부(25)가 설치되며,
    상기 총기받침대(20)의 탄피배출구(24) 하방에는 탄피받이(26)를 설치하되, 이 탄피받이(26)는 상부가 개방된 탄피받이부(28)의 상측 테두리에 탄피받이설치부(25)에 착탈식으로 끼움 설치되는 설치핀부(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기둥(3)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에는 다수개의 볼트구멍(55)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부플랜지(54)이 설치되고, 선체(6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볼트구멍(62)을 형성한 고정플랜지부(63)가 설치된 고정관(61)이 삽입 설치되어 하부플랜지(54) 하측의 거치기둥(3) 하부가 고정관(6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플랜지(54)와 고정플랜지부(63)가 볼트로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54) 상측의 거치기둥(3)은 상하부수직부(3a,3b)의 사이에 경사연결부(3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KR1020110067421A 2011-07-07 2011-07-07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KR10135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21A KR101352783B1 (ko) 2011-07-07 2011-07-07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21A KR101352783B1 (ko) 2011-07-07 2011-07-07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02A KR20130007702A (ko) 2013-01-21
KR101352783B1 true KR101352783B1 (ko) 2014-01-15

Family

ID=4783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21A KR101352783B1 (ko) 2011-07-07 2011-07-07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613B1 (ko) 2020-08-19 2021-11-10 세영테크주식회사 총기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89A (ko) * 1999-05-06 2000-12-05 신휘철 반동저감용 기관총 거치대
KR100717947B1 (ko) * 2006-08-25 2007-05-11 주식회사 로템 원격 무기 장치대
KR20110112651A (ko) * 2010-04-07 2011-10-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화기 거치 장치
KR20130007701A (ko) * 2011-07-07 2013-01-21 (주)우남마린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89A (ko) * 1999-05-06 2000-12-05 신휘철 반동저감용 기관총 거치대
KR100717947B1 (ko) * 2006-08-25 2007-05-11 주식회사 로템 원격 무기 장치대
KR20110112651A (ko) * 2010-04-07 2011-10-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화기 거치 장치
KR20130007701A (ko) * 2011-07-07 2013-01-21 (주)우남마린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02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8666B2 (ja) 位置調整装置、及び射撃装置
US9464856B2 (en) Configurable remote weapon station having under armor reload
FR3073614A1 (fr) Systeme de station d'armes modulaire
US9513079B1 (en) Unconventional compact compound bow
KR101305445B1 (ko)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US5419234A (en) Aircraft support plank mounting of 40 mm machine guns
KR101352783B1 (ko)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KR101345406B1 (ko) 최루탄 발사장치
DK2282161T3 (en) Adjustable firing ramp
EP3523594B1 (fr) Dispositif d'éjection de douilles et/ou de maillons issus d'une chaîne ou bande de munitions associée à une arme principale et/ou secondaire
CA2731674C (en) Machine gun ammunition holder incorporating center of gravity downward ejection-deflector
US9777976B2 (en) Spent cartridges router
US20110209603A1 (en) Machine Gun-Armed Aircraft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10108161B (zh) 导弹发射装置
KR101614377B1 (ko)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JPH0243119B2 (ko)
KR101473519B1 (ko) 화포의 안전장전장치
FR2623609A1 (fr) Vehicule blinde a arme a tube montee sur affut au point le plus eleve
JP3762296B2 (ja) 射撃ゲーム装置
US20200124390A1 (en) Water resistant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mmunition, mounting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210813625U (zh) 一种消防炮弹弹链及消防炮
KR20180034439A (ko) 총신 다발을 구비한 무기
RU147737U1 (ru) Спар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апуска зенитных ракет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пользования
EP2610573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empty cartridge and cannon having the same
EP3742102B1 (fr) Dispositif d'ejection de maillons de mun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