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377B1 -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 Google Patents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377B1
KR101614377B1 KR1020140075955A KR20140075955A KR101614377B1 KR 101614377 B1 KR101614377 B1 KR 101614377B1 KR 1020140075955 A KR1020140075955 A KR 1020140075955A KR 20140075955 A KR20140075955 A KR 20140075955A KR 101614377 B1 KR101614377 B1 KR 10161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t
ready
base plate
shooting
fix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082A (ko
Inventor
김종도
임윤석
백대운
Original Assignee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3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41F1/06Mort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는, 선회장치를 통해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고각조정장치(20)에 의해 사각조정이 가능하게 탑재되는 포신 조립체(30); 상기 포신 조립체(30)의 측방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사격준비탄(40)을 안착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사격준비탄 정렬대에 사격준비탄을 준비해 둠으로써 탄약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사격준비탄 정렬대의 후방을 운용자를 위한 발판 영역으로 제공함으로써 탄약수가 사격준비탄과 포신 조립체에 항상 가깝에 위치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사격준비탄 정렬대가 곡사화기의 회전부인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화되어 운용되므로, 곡사화기, 사격준비탄 정렬대, 탄약수의 위치가 변화없이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탄약수의 이동이 불필요하고 장전을 위한 신체 동작이 간결해짐으로써, 사격 운용의 편의성 및 신속성이 향상되어 전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High Angle Weapon Improved Arrangement and Load Connvenience of shells}
본 발명은 곡사화기에서 탄약의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격준비탄들을 정렬하여 안정적으로 배치해 둘 수 있는 수단을 탄약수와 포신 조립체에 인접하여 새롭게 마련함으로써, 포신 조립체와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하여 탄약의 공급과 장전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하며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케 한 것이다.
박격포와 같이 고각사격(高角射擊)을 하는 포구장전식(砲口裝塡式) 곡사화기는, 특허문헌 1 내지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동장전장치를 갖춘 포신 조립체, 선회장치, 고각조정장치 및 수동조정장치를 구비한다.
선회장치를 통해 포신을 타겟을 지향하도록 조정한 후, 고각조정장치에 의해 포신의 사각을 조절하여 사거리를 확보하며, 자동장전장치에 의해 탄약을 포신 안으로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동조정장치는, 비상시 수동 사격으로 전환하는 경우, 선회장치와 고각조정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고, 탄약은 운용자가 직접 포신 안으로 넣게 된다.
종래의 곡사화기의 운용에 있어서, 사격을 위해 탄약을 장전할 때에는, 사격준비탄을 보관해 두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탑재차량의 탄약 보관상자에서 직접 탄약을 운반하여 공급하여야 함으로써 사격 준비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또한, 곡사화기 탑재 차량에 탄약을 미리 준비한 경우에도, 준비된 탄약을 곡사화기 주변에 아무곳에나 비치하기 때문에, 곡사화기가 표적 방향 사격을 위해 회전할 경우 위치가 달라져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탄약이 그대로 노출되어 훼손 가능성이 크다.
또한, 비상 시 수동으로 전환하여 사격할 때에, 탄약을 운용자가 직접들고 포신 안으로 넣어야 하는데, 포신의 포구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장전이 불편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492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127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격준비탄들을 가지런히 정렬하고 안정적으로 배치해 둘 수 있으면서, 포신 회전 시 함께 회전하여 포신 조립체와 사격준비탄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약의 공급과 장전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격준비탄의 훼손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 사격시 사격준비탄을 배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발판으로 활용하여 포구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탑재 차량에 설치된 선회장치를 통해 회전하며, 상면 위쪽으로는 사방이 외부에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피벗 지지대(34); 상기 피벗 지지대(34)에 후단이 피벗축(32)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벗축(32)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포신(34)과, 상기 포신(34)의 선단 포구에 사격 준비탄을 장전하는 자동장전장치(36)를 구비하고, 피벗 지지대(34) 맞은편 전방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고각조정장치(20)에 의해 사각조정이 가능하게 탑재되는 포신 조립체(30); 를 포함하고,
상기 포신 조립체(30) 측면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을 상기 고각조정장치(20)에 가까운 전반부 구역과 상기 피벗축(32)에 가까운 후반부 구역으로 구획하여, 전반부 구역에는 사격준비탄(40)을 안착시키기 위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가 설치되고, 후반부 구역에는 상기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에 비치된 사격 준비탄(120)을 들어서 상기 자동장전장치(36)에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탄약수가 밟고 서서 움직일 수 있는 바닥 공간을 확보한 발판 영역(12)이 마련되며,
상기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면에 돌출하여 설치되는 블록 구조물(14)과, 상기 블록 구조물(14)의 위쪽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하부 고정대(120)와, 상기 하부 고정대(120)의 위쪽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상부 고정대(110)와, 상기 하부 고정대(120)와 상부 고정대(110)를 상하로 연결하여 상기 블록 구조물(14)에 고정하는 복수의 지지 기둥(1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대(120)에는, 사격준비탄(40)을 거꾸로 세워서 위에서 아래로 끼워 넣으면 사격준비탄(40)의 선단측 몸통(42)의 곡면부(42a) 둘레를 밀착 지지하는 복수의 장착공(12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고정대(110)에는 사격준비탄(40)을 거꾸로 세워서 위에서 아래로 끼워 넣으면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직선부(42b) 둘레를 지지하는 복수의 장착공(1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고정대(110)의 장착공(112) 테두리에는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직선부(42b) 표면의 접촉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114)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고정대(120)의 장착공(122) 테두리에는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곡면부(42a) 표면의 접촉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1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사격준비탄 정렬대에 사격준비탄을 준비해 둠으로써 탄약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사격준비탄 정렬대의 후방을 운용자를 위한 발판 영역으로 제공함으로써 탄약수가 사격준비탄과 포신 조립체에 항상 가깝에 위치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사격준비탄 정렬대가 곡사화기의 회전부인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화되어 운용되므로, 곡사화기, 사격준비탄 정렬대, 탄약수의 위치가 변화없이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탄약수의 이동이 불필요하고 장전을 위한 신체 동작이 간결해짐으로써, 사격 운용의 편의성 및 신속성이 향상되어 전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격준비탄 정렬대는 수동 사격시 탄약 장전을 위해 탄약수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으로 활용 수 있고, 그에 따라 포구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수동 사격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격준비탄 정렬대가 상부 고정대와 하부 고정대를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사격준비탄의 몸통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함께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사격준비탄이 매우 안정적인 자세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사격준비탄을 거꾸로 세워서 비치되는 한편, 비치된 사격준비탄은 상부 고정대와 하부 고정대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 있게 되므로, 탄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몸통이나 장약의 훼손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격준비탄 정렬대를 구비한 곡사화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격준비탄 정렬대의 구조를 보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격준비탄 정렬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곡사화기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사화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자동장전장치(36)는 탄약을 얹으면, 포신(34)의 포구측으로 이송시키고 포구 안으로 넣는 자동장치이지만,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포구 안으로 넣는 일부의 장치 구조물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필요하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면들을 참고하면 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사화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고각조정장치(20)에 의해 사각조정이 가능하게 탑재되는 포신 조립체(30)와, 포신 조립체(30)의 측방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설치되는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탑재 차량에 구비되는 선회장치에 연결되어, 조준시 선회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포신 조립체(30)를 타겟을 지향하도록 선회시킨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상면 위쪽으로는 사방이 외부에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운용자가 베이스 플레이트(10) 위에 올라가 선 채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에 사격준비탄을 안착시키거나 안착된 사격준비탄을 포신 조립체(30)로 옮겨 넣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고각조정장치(20)에 포신 조립체(30)를 어떠한 방해 없이 상하로 움직여 고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포신 조립체(30)는, 포신(34)을 피벗축(3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포신(34)을 따라 자동장전장치(36)를 구비한다. 또, 포신 조립체(30)는 고각조정장치(20)에 의해 사각이 조정된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신(34)은, 그것의 후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벗 지지대(34)에 피벗축(32)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벗축(32)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포신 조립체(30)는, 포신(34)의 선단 포구에 사격 준비탄을 장전하는 자동장전장치(36)를 구비하며, 피벗 지지대(34) 맞은편 전방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고각조정장치(20)에 의해 사각조정이 가능하게 탑재된다.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는, 사격준비탄(40)을 정렬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포신 조립체(30)가 탑재된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포신 조립체(30)의 선회 조정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회전시키더라도 사격준비탄 정렬대(100)가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포신 조립체(30)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는 포신 조립체(30)에 대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포신 조립체(30)의 선회 조정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사격준비탄(40)을 취급할 수 있다.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블록 구조물(14) 상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대(120)는 블록 구조물(14)의 위쪽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상부 고정대(110)는 하부 고정대(120)의 위쪽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부 고정대(120)와 상부 고정대(110)는 복수의 지지 기둥(130)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어 블록 구조물(14)에 고정된다.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에는 사격준비탄(40)을 거꾸로 세워서 위에서 아래로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사격준비탄(40)을 거꾸로 세워서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에 끼워 넣으면 탄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탄약수가 사격준비탄(40)을 들고 옮기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는, 포신 조립체(30)의 전방측에 가깝도록, 즉,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전방쪽으로 치우쳐서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격준비탄 정렬대(100) 후방쪽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은 운용자(예; 탄약수)가 서서 대기하기 위한 평탄한 발판 영역(도면에서 음영으로 표시한 부분)(12)으로 할당할 수 있다. 발판 영역(12)에는, 통상적으로 자동 및 수동 사격 시 탄약수가 위치하게 된다. 즉, 발판 영역(12)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의 후방이면서 피벗 지지대(34)의 측면이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 공간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포신 조립체(30) 측면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을 상기 고각조정장치(20)에 가까운 전반부 구역과 상기 피벗축(32)에 가까운 후반부 구역으로 구획하여, 전반부 구역에는 사격준비탄(40)을 안착시키기 위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를 설치하고, 후반부 구역에는 상기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에 비치된 사격 준비탄(120)을 들어서 자동장전장치(36)에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탄약수가 밟고 서서 움직일 수 있는 바닥 공간을 확보한 발판 영역(12)을 마련함으로써, 탄약수는 발판 영역(12)으로 만들어 놓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 바닥을 밟고 서서 움직이면서 바로 앞의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에 비치된 사격 준비탄(120)을 들어 상기 자동장전장치(36)에 공급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전방쪽으로 치우쳐서 설치하면, 수동 사격시 탄약 장전을 위해 탄약수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으로 활용하기 좋다.
즉, 사격준비탄 정렬대(100)가 포신(34)의 포구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탄약수가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의 블록 구조물(14)이나 상부 고정대(110)를 밟고 올라서면 탄약을 포구에 쉽고 신속하게 넣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배치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에 사격준비탄(40)을 준비해 둠으로써 탄약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의 후방을 운용자를 위한 발판 영역(12)으로 제공함으로써 탄약수가 사격준비탄(40)과 포신 조립체(30)에 항상 가깝에 위치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가 곡사화기의 회전부인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일체화되어 운용되므로, 곡사화기, 사격준비탄 정렬대(100), 탄약수의 위치가 변화없이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탄약수의 이동이 불필요하고 장전을 위한 신체 동작이 간결해짐으로써, 사격 운용의 편의성 및 신속성이 향상되어 전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는 수동 사격시 탄약 장전을 위해 탄약수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으로 활용 수 있으므로, 수동 사격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격준비탄 정렬대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3에는 주요부 확대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의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에는, 복수의 사격준비탄(40)을 끼워넣기 위한 복수의 장착공(112)(122)이 형성된다.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112)(122)에, 사격준비탄(40)을 탄두가 아래를 향하도록 거꾸로 세워서 위에서 아래로 끼워넣으면,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둘레가 장착공(112)(122)에 의해 지지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격준비탄(40)을 세워서 위에서 아래로 끼워 넣으면, 하부 고정대(120)의 장착공(122)에는 사격준비탄(40)의 선단측 몸통(42)의 곡면부(42a) 둘레가 밀착 지지되고, 상부 고정대(110)의 장착공(112)에는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직선부(42b) 둘레가 지지된다.
사격준비탄 정렬대(100)가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를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구조이므로,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윗부분은 상부의 장착공(112)에 의해 지지되고 몸통(42)의 아랫부분은 하부의 장착공(12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사격준비탄(40)이 매우 안정적인 자세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사격준비탄(40)을 거꾸로 세워서 비치되는 한편, 비치된 사격준비탄(40)은 상부 고정대(110)와 하부 고정대(120)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 있게 되므로, 탄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몸통(42)이나 장약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사격준비탄(40)의 훼손을 방지하고 충격을 더욱 줄이기 위해, 상부 고정대(110)의 장착공(112) 테두리에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114)를 구비하여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 표면이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114)는 고무, 펠트, 플라스틱, 섬유, 목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부 고정대(110)의 장착공(112)에 더하여, 하부 고정대(120)의 장착공(122)에도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124)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12 : 발판 영역
20 : 고각정장치
30 : 포신 조립체
40 : 사격준비탄
100 : 사격준비탄 정렬대
110 : 상부 고정대
112, 122 : 장착공
114, 124 :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
120 : 하부 고정대

Claims (5)

  1. 고각사격을 하는 포구장전식의 곡사화기로서,
    탑재 차량에 설치된 선회장치를 통해 회전하며, 상면 위쪽으로는 사방이 외부에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피벗 지지대(34);
    상기 피벗 지지대(34)에 후단이 피벗축(32)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벗축(32)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포신(34)과, 상기 포신(34)의 선단 포구에 사격 준비탄을 장전하는 자동장전장치(36)를 구비하고, 피벗 지지대(34) 맞은편 전방의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고각조정장치(20)에 의해 사각조정이 가능하게 탑재되는 포신 조립체(30); 를 포함하고,
    상기 포신 조립체(30) 측면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을 상기 고각조정장치(20)에 가까운 전반부 구역과 상기 피벗축(32)에 가까운 후반부 구역으로 구획하여, 전반부 구역에는 사격준비탄(40)을 안착시키기 위한 사격준비탄 정렬대(100)가 설치되고, 후반부 구역에는 상기 사격준비탄 정렬대(100)에 비치된 사격 준비탄(120)을 들어서 상기 자동장전장치(36)에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탄약수가 밟고 서서 움직일 수 있는 바닥 공간을 확보한 발판 영역(12)이 마련되며,
    상기 사격준비탄 정렬대(1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돌출 설치되는 블록 구조물(14)과,
    상기 블록 구조물(14)의 위쪽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하부 고정대(120)와,
    상기 하부 고정대(120)의 위쪽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상부 고정대(110)와,
    상기 하부 고정대(120)와 상부 고정대(110)를 상하로 연결하여 상기 블록 구조물(14)에 고정하는 복수의 지지 기둥(1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대(120)에는, 사격준비탄(40)을 거꾸로 세워서 위에서 아래로 끼워 넣으면 사격준비탄(40)의 선단측 몸통(42)의 곡면부(42a) 둘레를 밀착 지지하는 복수의 장착공(12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고정대(110)에는, 사격준비탄(40)을 거꾸로 세워서 위에서 아래로 끼워 넣으면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직선부(42b) 둘레를 지지하는 복수의 장착공(1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고정대(110)의 장착공(112) 테두리에는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직선부(42b) 표면의 접촉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114)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고정대(120)의 장착공(122) 테두리에는 사격준비탄(40)의 몸통(42)의 곡면부(42a) 표면의 접촉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 방지용 완충 부재(1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사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75955A 2014-06-20 2014-06-20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KR10161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55A KR101614377B1 (ko) 2014-06-20 2014-06-20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55A KR101614377B1 (ko) 2014-06-20 2014-06-20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82A KR20150146082A (ko) 2015-12-31
KR101614377B1 true KR101614377B1 (ko) 2016-04-29

Family

ID=5512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955A KR101614377B1 (ko) 2014-06-20 2014-06-20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1988B (zh) * 2017-12-11 2019-12-3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五研究所 一种用于鱼雷装退箱设备中的抓雷运载机构支撑装置
CN109186340A (zh) * 2018-08-29 2019-01-11 南京理工大学 一种摩擦力可调刚度可变式缓冲装置
CN109780928A (zh) * 2019-01-17 2019-05-21 广州国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磁轨道技术用的电磁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416U (ko) * 1999-02-25 2000-09-25 이중구 포탄고정장치
KR20070066683A (ko) * 2005-12-22 2007-06-2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수직 장착 및 탈착을 위한 탄 저장장치
KR20110121276A (ko) 2010-04-30 2011-11-07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탑재식 박격포
KR20110121277A (ko) * 2010-04-30 2011-11-07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탑재식 박격포
KR101374920B1 (ko) 2012-11-07 2014-03-14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장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82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028B2 (en) Gun mount
US2909167A (en) Repeating shot archery bow with double sight
KR101614377B1 (ko) 사격준비탄 정렬 및 장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곡사화기
US4821443A (en) Recoil absorber
US8091895B2 (en) Target positioning system
US20040020097A1 (en) Adjustable gun rest apparatus
US8733227B1 (en) Stand mountable weapon support assembly
US4203244A (en) Gunstock elevator attachment
US11821700B2 (en) Recoil management system
US4203243A (en) Raised rib and stock elevator attachment for shotguns
WO2018176582A1 (zh) 供弹机构及发射装置
US8955247B2 (en) Portable support mount
SE0003019L (sv) Vapentorn för en stridsenhet
US20220404113A1 (en) Shooting rest with shoulder rest
US20120125307A1 (en) Crossbow quiver mounting bracket, screw connect and thumbscrew assembly
US20160363407A1 (en) Firearm Stand
US10415921B1 (en) Rifle rest
US20180356174A1 (en) Guns and mounting structure assembly, and a 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rail of a handgun to a rail of a long gun
KR101305445B1 (ko)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US20110113670A1 (en) Parabolic rifle rest
US20160216057A1 (en) Versatile shooting rest
US20200224994A1 (en) Archery cushion plunger mounting device
KR101352783B1 (ko)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CN212058478U (zh) 滑轮弹弓及其射箭
US10330434B2 (en) Firearm s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