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60B1 -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60B1
KR101352060B1 KR1020130008688A KR20130008688A KR101352060B1 KR 101352060 B1 KR101352060 B1 KR 101352060B1 KR 1020130008688 A KR1020130008688 A KR 1020130008688A KR 20130008688 A KR20130008688 A KR 20130008688A KR 101352060 B1 KR101352060 B1 KR 10135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injection
width
slit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성
Original Assignee
(주)태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송 filed Critical (주)태송
Priority to KR102013000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상기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은, 내부에 분사통로가 형성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일측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분사통로와 연통된 유체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조립홈을 상면에 구비하며, 상기 제1경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게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2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면의 외측으로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2경사면에 다수 개가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면에서 상기 유체수용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며 외측 단부가 분사구 형태로 노출된 분사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슬릿은, 상기 분사슬릿의 폭보다 하측방향의 깊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반경방향 너비가 상기 상면보다 상면의 하측에서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에서의 폭보다 상기 상면의 하측에서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유체수용공간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역 V형 단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INJECTION NOZZLE WITH MIST SPRAY TYPE FOR EXTINCTION}
본 발명은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소화수를 와류식으로 미분무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연속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점화원과 산소 및 가연물과 연쇄반응이 존재하여야 하는 바, 산소의 공급을 차단시키거나 연소의 연쇄반응을 차단시키는 것과 같이 가연물이나 산소공급원 또는 연쇄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제거할 수 있다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각종 건물이나 공장과 같은 장소에서는 화재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가 방호대상물이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소화설비에서 소화수의 확산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와류식 (swirl type) 소화노즐이 사용되고 있으며, 미분무 형태로 분사하기 위해 마이크로 노즐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소화용 와류식 분사노즐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노즐형태로 제작되므로 세척이 어려워 재사용이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소화용 와류식 분사노즐은 부품수가 많고 조립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제작이 어려우며 세척을 위한 분리 또는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와류식 분사노즐은 와류의 형성으로 소화수의 분사각을 넓게 할 수 있지만, 소화수가 바깥쪽으로 많이 분사되고 분사노즐 중앙 아래는 분사되는 양이 적어서 소화액이 분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형성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화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분사구를 통한 물분사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분사슬릿에 의해 안개식으로 미분무되어 소화수 입자의 확산폭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소화수 입자의 확산시 분무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신속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지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분사통로가 형성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일측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분사통로와 연통된 유체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조립홈을 상면에 구비하며, 상기 제1경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게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2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면의 외측으로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2경사면에 다수 개가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면에서 상기 유체수용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며 외측 단부가 분사구 형태로 노출된 분사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슬릿은, 상기 분사슬릿의 폭보다 하측방향의 깊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반경방향 너비가 상기 상면보다 상면의 하측에서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슬릿은 상기 상면에서의 폭보다 상기 상면의 하측에서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유체수용공간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역 V형 단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슬릿의 하면은, 외측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홈은,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선단이 상기 조립홈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더욱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구는, 상기 결합부재의 끝단부의 하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링부재 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결합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에 의하면, 유체가 유체수용공간에 채워진 후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므로, 분사구를 통한 물분사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사슬릿은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분사되는 소화수는 상기 분사슬릿의 배치방향을 따라 방향성을 가지면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분사되고, 상기 분사슬릿에 의해 안개식으로 미분무되어 소화수 입자의 확산폭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분사슬릿이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경사면의 각도의 조절에 따라, 분사노즐의 하부 영역까지 소화수가 미분무될 수 있으므로, 소화수 입자의 확산시 분무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신속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지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분사노즐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적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분사노즐의 각 부품들이 나사결합에 의해 조립되므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분사노즐의 이물질 세척이 용이하므로 분사노즐이 재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분사부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분사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100)은,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분사통로(112)가 형성되며, 관통구(113)가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일측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분사통로(112)와 연통된 유체수용공간(133)이 형성되며, 타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제1경사면(131)이 형성된 결합부재(130)와,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110a)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조립홈(151)을 상면(154)에 구비하며, 상기 제1경사면(131)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경사면(131)에 대응되게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2경사면(153)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면(153)의 외측으로 분사구(156)가 형성된 분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부(15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50)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상면(154)과 제2경사면(153)에 걸쳐 형성되되 분사부(150)의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갖는 회오리 형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분사슬릿(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슬릿(155)은 상면(154)에서 유체수용공간(133)과 연통되고 결합부재(130)의 제1 경사면(131)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외측 단부가 분사구(156) 형태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에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분사통로(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통로(112)는 주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소화수 등이 공급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통로(112)의 끝단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113)가 형성되어 상기 분사통로(112)를 통해 유입된 소화수가 후술하는 유체수용공간(13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분사부(150)를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링형상으로 상기 몸체부(1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체결부(116)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130)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부(135)가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116)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30)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분사부(150)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분사부(150)와 결합되는 타측단부에는 제1경사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130)의 단부에 구비된 제1경사면(131)은, 상기 결합부재(130)의 내주면에 단부로 갈수록, 즉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부재(130)의 내경이 증가됨으로써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3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구(113)를 통해 상기 분사통로(112)와 연통된 유체수용공간(1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수용공간(133)은, 상기 결합부재(130)가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분사부(150)의 결합되면,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유체수용공간(133)에는 상기 분사통로(112)를 통해 유입된 소화수 등의 유체가 일정한 압력으로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수용공간(133)에 채워진 후 상기 분사구(156)를 통해 분사되므로, 상기 분사구(156)를 통한 물분사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분사부(150)는,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110a)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조립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110a)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체결부(117)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립홈(15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나사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부(117)와 상기 제2나사부(152)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분사부(150)는 상기 결합부재(130)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부(150)는 상기 제1경사면(131)에 접촉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제2경사면(15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체결부(117)와 상기 제2나사부(152)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131)과 상기 제2경사면(153)의 면접촉되면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경사면(131)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의 내주면에 단부로 갈수록, 즉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부재(130)의 내경이 증가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경사면(153)은 상기 결합부재(130)에서 멀어질수록, 즉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분사부(150)의 직경이 증가되도록 테이퍼지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면(153)에는 외측 단부에 복수의 분사구(15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구(156)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의 끝단부의 하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분사슬릿(155)이 상기 제1경사면(131)과 접하면서 분사슬릿(155)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재의 하측으로 소정길이(L)만큼 노출되면서 분사구(156)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150)는, 상면(154)과 제2경사면(153)에 걸쳐 다수 개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분사부(150)의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를 갖는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면(154)에서 유체수용공간(133)과 연통되고 외측 단부가 분사구(156) 형태로 노출된 분사슬릿(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슬릿(155)은,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유체수용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경사면(131)에 접하며, 방사상으로 길게 소정 깊이로 절개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슬릿(155)은, 상기 분사슬릿(155)의 폭(분사부의 원주방향의 폭)보다 하측방향의 깊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131)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반경방향 너비가 상기 상면(154)보다 상면(154)의 하측에서 넓어지는 슬릿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슬릿(155)은, 상기 결합부재(130)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절개된 슬릿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130)측의 개구부는 상기 유체수용공간(133)과 연통되어 상기 유체수용공간(133)에 수용된 소화수 등의 유체가 상기 분사슬릿(155)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슬릿(155)은 다수 개가 수직으로 형성되되,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고 외측 단부로 상기 분사슬릿(155)의 일부가 분사구(156) 형태로 노출되어 유체가 분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통로(112)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관통구(113)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상기 결합부재(130)의 유체수용공간(133)에 수용되며, 상기 유체수용공간(133)에 수용된 유체는 상기 분사슬릿(155)에 채워지고, 유체는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분사구(15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슬릿(155)은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분사되는 유체는 상기 분사슬릿(155)의 배치방향을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분사되므로, 분사되는 수화수는 와류를 형성하면서 분사되고, 상기 분사슬릿(155)에 의해 안개식으로 미분무되어 소화수 입자의 확산폭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사슬릿(155)이 제1경사면(131)을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제1경사면(131)의 각도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의 하부 영역까지 소화수가 미분무될 수 있으므로, 소화수 입자의 확산시 분무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지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홈(151)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131)과 상기 제2경사면(153)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110a)이 상기 조립홈(151)에 소정거리(d)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131)과 상기 제2경사면(153)이 더욱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조립홈(151)과 상기 몸체부(110)의 설계시에,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110a)이 상기 조립홈(151)의 안쪽 끝까지 오도록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110a)이 상기 조립홈(151)의 안쪽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110a)과 상기 조립홈(151) 내부에 여유공간이 생김으로써 설계상의 오차로 인해 생기는 조립공차를 최소화하여, 상기 분사부(150)와 상기 결합부재(130)를 더욱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의 효율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131)과 제2경사면(153) 사이에 별도의 실링을 위한 부재가 필요하지 않아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소화함과 동시에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 및 수압에 의해 상기 분사부(150)와 상기 결합부재(130) 사이(즉, 제1경사면(131)과 제2경사면(153) 사이)가 벌어진 경우에도 상기 조립홈(151) 내부의 여유공간으로 인해 사용중간에 더욱 밀착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슬릿(155)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분사슬릿(155)은 상기 유체수용공간(133)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커지는 역 V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분사슬릿(155)의 형상과 같이, 분사부(150)의 상면(154)에서의 폭보다 상면(154)의 하측에서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역 V형 단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슬릿(155)은 분사구(156)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분사각이 형성되므로, 상기 분사구(156)를 통한 소화수의 확산폭이 더욱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소화수의 방향성 흐름을 효율적으로 발생시켜 소화수 분사시에 와류의 흐름을 유발하기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분사슬릿(155)의 역 V형 단면을 포함하는 형상은 도시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분사슬릿(155) 및 상기 분사구(156)를 통해 와류를 형성하며 소화수가 분사 및 확산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링부재 장착홈(115)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결합부재(13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 중에서 상기 결합부재(130)와 접촉되는 면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실링부재 장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 장착홈(115)에 링 형상의 실링부재(170)를 끼움결합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결합부재(130) 사이가 실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수용공간(133)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결합부재(130)와 상기 몸체부(110)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100)이 도시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에 비해, 상기 분사슬릿(155)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사슬릿(155)은, 상기 분사슬릿(155)의 하면은 외측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156)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슬릿(155)에 수용된 소화수가 외부로 분사될 때, 분사되는 소화수의 상당량이 도 5에 도시된 "b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실시예와 같이 분사슬릿(155)의 하면이 지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면 도 5에 도시된 "b' 방향"으로 분사되므로, 분사되는 소화수의 상당량이 상기 분사노즐의 바깥쪽으로는 많지만 상기 분사노즐의 중앙부 하부에는 분사량이 적어서, 소화수가 분사되는 범위가 일정범위 내로 한정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슬릿(155)의 형상에 의하면, 상기 분사슬릿(155)에 수용되어 외부로 분사되는 소화수의 상당량이 도시된 도 5의 "b 방향"으로 분사되므로 상기 일실시예에 비해 소화수가 분사되는 범위가 확대되고, 분사되는 범위 내에서 소화수의 분포를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에 의하면, 유체가 유체수용공간에 채워진 후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므로, 분사구를 통한 물분사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슬릿은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분사되는 소화수는 상기 분사슬릿의 배치방향을 따라 방향성을 가지면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분사되고, 상기 분사슬릿에 의해 안개식으로 미분무되어 소화수 입자의 확산폭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분사슬릿이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경사면의 각도의 조절에 따라, 분사노즐의 하부 영역까지 소화수가 미분무될 수 있으므로, 소화수 입자의 확산시 분무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신속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지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적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110 : 몸체부
112 : 분사통로 113 : 관통구
115 : 실링부재 장착홈 130 : 결합부재
131 : 제1경사면 133 : 유체수용공간
150 : 분사부 151 : 조립홈
153 : 제2경사면 155 : 분사슬릿
156 : 분사구 170 : 실링부재

Claims (8)

  1. 내부에 분사통로가 형성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일측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분사통로와 연통된 유체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조립홈을 상면에 구비하며, 상기 제1경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게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2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면의 외측으로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2경사면에 다수 개가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면에서 상기 유체수용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며 외측 단부가 분사구 형태로 노출된 분사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슬릿은, 상기 분사슬릿의 폭보다 하측방향의 깊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반경방향 너비가 상기 상면보다 상면의 하측에서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슬릿은 상기 상면에서의 폭보다 상기 상면의 하측에서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유체수용공간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커지는 역 V형 단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슬릿의 하면은, 외측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선단이 상기 조립홈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더욱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결합부재의 끝단부의 하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링부재 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결합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8. 삭제
KR1020130008688A 2013-01-25 2013-01-25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KR10135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88A KR101352060B1 (ko) 2013-01-25 2013-01-25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88A KR101352060B1 (ko) 2013-01-25 2013-01-25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060B1 true KR101352060B1 (ko) 2014-01-17

Family

ID=5014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88A KR101352060B1 (ko) 2013-01-25 2013-01-25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592B1 (ko) * 2014-11-03 2015-07-01 (주)태송 소화용 분사노즐
KR20160122568A (ko) *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태창아이스 제빙장치용 회전식 물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제빙장치
CN108561923A (zh) * 2018-06-11 2018-09-2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清洗喷头和油烟机
CN111249658A (zh) * 2020-01-21 2020-06-09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低压单相细水雾喷头
RU201722U1 (ru) * 2020-08-18 2020-12-29 Сергей Павлович Бородай Форсунка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8183A (en) * 1994-10-28 1996-05-21 Waldrum Specialties, Inc. Micro-orifice nozzle
JPH09507147A (ja) * 1994-01-05 1997-07-22 クレ ファスティゲット ウント フォーファルティンク アーベー 噴霧分散用ノズル
KR20030067787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윈 소화용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147A (ja) * 1994-01-05 1997-07-22 クレ ファスティゲット ウント フォーファルティンク アーベー 噴霧分散用ノズル
US5518183A (en) * 1994-10-28 1996-05-21 Waldrum Specialties, Inc. Micro-orifice nozzle
KR20030067787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윈 소화용 분사노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592B1 (ko) * 2014-11-03 2015-07-01 (주)태송 소화용 분사노즐
KR20160122568A (ko) *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태창아이스 제빙장치용 회전식 물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제빙장치
KR101669605B1 (ko) 2015-04-14 2016-10-27 주식회사 태창아이스 제빙장치용 회전식 물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제빙장치
CN108561923A (zh) * 2018-06-11 2018-09-2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清洗喷头和油烟机
CN111249658A (zh) * 2020-01-21 2020-06-09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低压单相细水雾喷头
RU201722U1 (ru) * 2020-08-18 2020-12-29 Сергей Павлович Бородай Форсунка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060B1 (ko) 소화용 미분무 분사노즐
JP4711447B2 (ja) 媒体を噴霧する方法及び噴霧ノズル
JP5534416B2 (ja) シャワー装置
CA2546881A1 (en) Gas turbine engine combustor with improved cooling
US8579213B2 (en) Single circuit multiple spray cone pressure atomizers
CN209108502U (zh) 细水雾喷头
KR102145195B1 (ko) 미스트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샤워헤드
US11192124B2 (en) Fluidic scanner nozzle and spray unit employing same
ATE420729T1 (de) Luftunterstützte spritzdüsenanordnung zum spritzen viskoser flüssigkeiten
CN104703661B (zh) 具有供水孔的灭火喷嘴
JP6410924B2 (ja) デュアルオリフィス噴霧器を備える多機能燃料ノズル
KR101532592B1 (ko) 소화용 분사노즐
KR101581391B1 (ko)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샤워기 노즐
JP2007237093A (ja) 噴射ノズル
US20070067904A1 (en) Jet for a shower cubicle
JP3961998B2 (ja) 散水ノズル
KR100609722B1 (ko) 다중 충돌 분무 노즐
JP5664582B2 (ja) シャワー装置
JP2006326384A (ja) 噴霧ノズル
JP6465836B2 (ja) ノズル装置
KR200354757Y1 (ko) 가스버너용 노즐
JP5849513B2 (ja) シャワー装置
KR100779729B1 (ko) 와류식 미분무형 소화노즐
CN103963144B (zh) 用于生产雾化喷嘴的模具,用于生产雾化喷嘴的模具组、阴模和方法
US2318951A (en) Spray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