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914B1 -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914B1
KR101351914B1 KR1020120048085A KR20120048085A KR101351914B1 KR 101351914 B1 KR101351914 B1 KR 101351914B1 KR 1020120048085 A KR1020120048085 A KR 1020120048085A KR 20120048085 A KR20120048085 A KR 20120048085A KR 101351914 B1 KR101351914 B1 KR 101351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iron
fecl
nabh
reductio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735A (ko
Inventor
안종관
김철주
윤호성
정경우
Original Assignee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91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4Nanosiz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3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05Submicron siz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철 분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제로 Na4P2O7를 사용하여 철 전구체인 FeCl3의 표면을 음전하로 유도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은 (a) FeCl3를 분산제인 Na4P2O7 용액에 녹여 슬러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슬러리 혼합 용액을 환원제인 NaBH4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 내에 투입하여 환원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환원 반응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 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척된 철 침전물을 40 ~ 80℃에서 5 ~ 25시간 동안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RON NANO PARTICLES WITH EXCELLENT DISPERSIVE PROPERTY}
본 발명은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 분말의 응집성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제로 Na4P2O7를 사용하여 철 전구체인 FeCl3의 표면을 음전하로 유도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전자기기의 보급 확대, 그리고 처리속도 향상을 위한 고밀도 전자회로 소자의 미소화, 고기능화, 다양화 그리고 정밀화를 위해서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전도성이 뛰어난 미립 금속분말 제조기술 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경제성이 있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미립금속분말을 합성하고 물성을 제어할 수 있는 원천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조립 금속분말의 제조 및 활용에 관한 연구나 개발성과는 상당수 있으나 도전성 코팅을 위한 미립 금속분말의 제조 및 형상제어, 금속분말을 사용한 코팅제 제조 개발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불과하며 미립 금속분말의 형상제어기술이 전무하여 실용화의 걸림돌로 남아있다. 특히, 미립 금속분말의 형상(morphology)은 페이스트의 도전성, 코팅층의 접착성 및 젖음성, 열전도도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원료금속분말의 형상제어기술 확립은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금속이온의 환원반응은 환원제에서 공급되는 전자에 의한 산화 · 환원 반응의 결과로 일어난다.
mMen + + nRed ㆍ mMe0 + nOX
위 반응의 구동력은 반쪽반응인 산화환원전위(ΔE)의 차이이다. 이때, 다음의 식에 의해 ΔE의 크기는 평형상수 Ke 값을 결정한다.
ln Ke = nF ㆍ △E / RT
이때, ΔE가 양의 값일 때 환원반응은 열역학적으로 가능하다. 즉, 환원제의 산화환원전위는 금속이온 보다 음의 값을 가져야 하며, 그 차이는 0.3 ∼ 0.4V 보다 더 커야 한다. 만일, 그 차이가 더 작다면 환원반응은 일어나지 않거나 매우 천천히 진행하게 된다.
Au, Pt, Pd, Ag, Rh(E0 > 0.7V)와 같은 강한 양성을 띠는 금속들은 약한 환원제로도 일반적인 반응조건 하에서 환원이 일어나는 반면 음성(E0 < - 0.2V)을 띠는 금속은 강한 환원제 또는 높은 온도나 압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환원력이 다른 환원제를 사용하여 같은 크기의 금속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반응온도가 각각 달라지며 또한 비슷한 크기의 금속분말도 사용된 환원제에 따라 반응성, 결정성 등이 달라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액 중 금속입자의 생성과정에서 성장반응 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이미 형성된 입자들 상에 중성 금속 원자들에 부착되어 성장하는 과정이 있고, 둘째로는 이미 형성된 입자들 상호 간의 응집이나 부착으로 성장하는 과정이 있다. 이러한 두 개의 구별된 경로는 정교하게 분산된 금속들의 크기, 형태, 구조와 관련된 여러 가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성장이 일어날 경우에는 규칙적인 모양의 금속 결정으로 발전하고, 두 번째 방법으로 성장이 일어날 경우에는 대부분 구형의 다결정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실제로 성장과 응집은 같은 시스템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며 어느 공정이 지배하는 가에 따라서 최종입자의 다결정성, 내부 결정입계(grain boundary), 밀도, 형태(shape) 등이 결정된다.
금속입자의 최종 크기는 과포화도, 핵생성 단계에 관여한 용질의 양, 시스템에 관여한 금속의 양, 응집력 등에 따라 변하게 된다. 금속원자의 과포화도가 높으면 많은 수의 핵을 생성하게 되고 만일 응집반응기구가 억제되면 입자크기의 증가는 용액 중에 남아있는 금속의 소모에 의한 성장만을 기대할 수 있어서 최종 입자는 나노사이즈 크기가 된다. 결과적으로 안정화된 나노사이즈 입자의 분산을 달성하려면 충분히 안정화된 시스템에서 강력한 환원제로 금속이온을 환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확산성장에 의하여 보다 큰 입자를 원하면 작은 수의 핵이 생성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은 느린 반응, 시드(seeds) 첨가 또는 점차적인 금속이온의 첨가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기존의 입자가 안정하고 따라서 응집이 억제되어야만 한다.
응집에 의해 성장하는 금속입자의 최종 크기는 분산된 이온의 세기, 초기입자의 표면전하, 첨가제의 성질에 따라 결정되며 이 같은 변수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단 분산 콜로이드 금속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NdFeB계의 폐 영구자석의 폐스크랩 침출액에서 80% 정도를 차지하는 철의 이온 상태의 거동은 분리정제 과정에서 에멀젼을 만들거나 크루드(crud)를 만들어서, 분리 정제의 수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희토류 원소인 네오디뮴과 디스프로슘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분리 및 정제과정에서 철의 이온 거동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66753호(2010.06.29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철 나노분말 소결체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을 뿐,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는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 분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제로 Na4P2O7를 사용함으로써, 철 전구체인 FeCl3의 표면을 음전하로 유도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은 (a) FeCl3를 분산제인 Na4P2O7 용액에 녹여 슬러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슬러리 혼합 용액을 환원제인 NaBH4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 내에 투입하여 환원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환원 반응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 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척된 철 침전물을 40 ~ 80℃에서 5 ~ 25시간 동안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 환원법을 이용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은 철 분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제로 Na4P2O7를 사용하여 철 전구체인 FeCl3와 혼합하여 FeCl3의 표면을 음전하로 유도한 후 환원제인 NaBH4를 이용하여 환원 반응시킴으로써 분산성이 우수한 순수한 철 나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활용하여, NdFeB계의 폐 영구자석의 폐스크랩 침출액에서 80% 정도를 차지하는 철의 이온 상태의 거동에 대하여 규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철의 분리 및 정제 과정에서 에멀젼이나 크루드(crud)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분리 및 정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철 나노 분말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4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에 대한 제타 포텐셜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5 ~ 7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에 대한 제타 포텐셜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에 대한 미세 조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철 나노 분말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은 슬러리 혼합 용액 마련 단계(S110), 환원 반응 단계(S120), 필터링/세척 단계(S130) 및 건조 단계(S140)를 포함한다.
슬러리 혼합 용액 마련
슬러리 혼합 용액 마련 단계(S110)에서는 철 전구체인 FeCl3와 분산제인 Na4P2O7 용액을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 용액을 마련한다. 이러한 슬러리 혼합 용액은 슬러리 혼합 용액 저장 탱크(120)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Na4P2O7 용액은 FeCl3 1g/L에 대하여 80 ~ 120mg/L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FeCl3의 표면을 음전하가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후술할 환원제와의 환원 반응시 철 입자들 간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험 결과, 상기 범위에서 FeCl3와 Na4P2O7 용액을 혼합했을 경우, FeCl3의 표면이 음전하로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Na4P2O7 용액이 FeCl3 1g/L에 대하여 80mg/L 미만으로 첨가되거나, 또는 120mg/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음전하로 유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원 반응
환원 반응 단계(S120)에서는 슬러리 혼합 용액을 환원제인 NaBH4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110) 내에 투입하여 환원 반응시킨다. 반응조(110)는 외부와 밀폐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반응조(110)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응조(110)의 내부에는 설정된 높이 및 농도로 NaBH4 용액이 채워진다.
이때, 슬러리 혼합 용액은 NaBH4 용액에 대하여 1 : 3 ~ 1 : 5의 몰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 혼합 용액과 NaBH4 용액의 몰비가 1 : 3 미만일 경우에는 NaBH4 용액 대비 슬러리 혼합 용액의 몰비가 낮은 관계로 환원 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슬러리 혼합 용액과 NaBH4 용액의 몰비가 1 : 5를 초과할 경우에는 NaBH4 용액의 첨가에 따른 상승 효과 대비 비용 상승이 더 크게 작용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단계에서, 반응조(110) 내에 설치되는 임펠러(130)를 이용하여 슬러리 혼합 용액과 NaBH4 용액을 100 ~ 500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러(130)는 슬러리 혼합 용액과 NaBH4 용액을 교반하는 교반자(132)와, 상기 교반자(132)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구동 모터(13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교반 속도가 100rpm 미만일 경우에는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교반 속도가 500rpm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슬러리 혼합 용액은 NaBH4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110) 내에 드롭와이즈(drop-wise)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 혼합 용액을 한번에 공급하는 배치식(batch) 방법보다 한 방울씩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드롭와이드 방식으로 공급할 경우, 구 형상의 철 분말을 확보하는 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입자 사이즈의 조절이 용이하다. 이때, 슬러리 혼합 용액을 환원제인 NaBH4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110) 내에 드롭와이즈 방식으로 공급하자마자 즉시 거품이 발생하면서 검은색의 철 침전물이 형성되며, 자석을 가까이 접근시켰을 때 철 침전물이 자석에 달라붙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슬러리 혼합 용액은 1ml/min ~ 5ml/min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 혼합 용액의 투입 속도가 1ml/min 미만일 경우에는 핵생성이 적고 핵성장이 길어 입자의 크기가 조대해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슬러리 혼합 용액의 투입 속도가 5ml/min를 초과할 경우에는 핵생성이 일정하나 입자의 응집이 심화되어 미세한 철 분말을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한편, 슬러리 혼합 용액을 환원제인 NaBH4 용액에 투입하여 환원 반응시킬 때, 반응온도는 40 ~ 8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가 40℃ 미만일 경우에는 그 온도가 너무 낮은 관계로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반응온도가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온도 상승 효과 없이 공정 비용 및 시간만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반응온도는 히터(140) 및 제어부(1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히터(140)는 반응조(110)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히터(140)는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반응조(11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50)는 슬러리 혼합 용액 저장 탱크(120), 임펠러(130) 및 히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하나의 예를 들면, 히터(1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응조(110), 임펠러(130), 히터(140) 등과 분리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환원 반응은 슬러리 혼합 용액을 NaBH4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110) 내에 투입한 후, 거품 발생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시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1 ~ 1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 반응 시간이 1분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 시간이 너무 짧은 관계로 구형의 철 분말을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환원 반응 시간이 1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환원 반응의 활성화를 위하여 NaBH4 용액을 다량으로 첨가해야 하는 데 따른 제조 비용의 상승 문제가 있다.
필터링/세척
필터링/세척 단계(S130)에서는 환원 반응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 용액으로 세척한다.
이때, 본 단계에서는 환원 반응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하면서 세척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때, 세척은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으로 이루어진 세척 용액을 이용하여 3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건조 단계(S140)에서는 세척된 철 침전물을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한다.
이때, 건조는 40 ~ 80℃에서 5 ~ 25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에서, 건조 온도가 40℃ 미만이거나, 건조 시간이 5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관계로 결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건조 온도가 80℃를 초과하거나, 건조 시간이 25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 비용의 상승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과도한 건조로 인해 비표면적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은 철 분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제로 Na4P2O7를 사용하여 철 전구체인 FeCl3와 혼합하여 FeCl3의 표면을 음전하로 유도한 후 환원제인 NaBH4를 이용하여 환원 반응시킴으로써 분산성이 우수한 순수한 철 나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활용하여, NdFeB계의 폐 영구자석의 폐스크랩 침출액에서 80% 정도를 차지하는 철의 이온 상태의 거동에 대하여 규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철의 분리 및 정제 과정에서 에멀젼이나 크루드(crud)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분리 및 정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료 제조
실시예 1
FeCl3(anhydrous, 98 %이상, samchun, Korea) 1g/L에 대하여 Na4P2O7(99%이상, Junsei, Japan) 용액 100mg/L를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환원제인 NaBH4(99% 이상, across, USA)를 증류수(H2O)에 녹여서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후, 임펠러(MS-5020, TOPS)를 이용하여 NaBH4 용액을 2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슬러리 혼합 용액을 2ml/min의 속도로 방울방울 집어넣어서 NaBH4 용액과의 몰비를 1 : 3으로 조절한 후 40℃에서 10분 동안 환원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에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철 침전물을 3차례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세척된 철 침전물을 7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FeCl3(anhydrous, 98 %이상, samchun, Korea) 1g/L에 대하여 Na4P2O7(99%이상, Junsei, Japan) 용액 80mg/L를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환원제인 NaBH4(99% 이상, across, USA)를 증류수(H2O)에 녹여서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후, 임펠러(MS-5020, TOPS)를 이용하여 NaBH4 용액을 2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슬러리 혼합 용액을 3ml/min의 속도로 방울방울 집어넣어서 NaBH4 용액과의 몰비를 1 : 4로 조절한 후 60℃에서 5분 동안 환원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에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철 침전물을 3차례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세척된 철 침전물을 70℃에서 15시간 동안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FeCl3(anhydrous, 98 %이상, samchun, Korea) 1g/L에 대하여 Na4P2O7(99%이상, Junsei, Japan) 용액 120mg/L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후, 환원제인 NaBH4(99% 이상, across, USA)를 증류수(H2O)에 녹여서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후, 임펠러(MS-5020, TOPS)를 이용하여 NaBH4 용액을 4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슬러리 혼합 용액을 2ml/min의 속도로 방울방울 집어넣어서 NaBH4 용액과의 몰비를 1 : 5로 조절한 후 80℃에서 2분 동안 환원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에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철 침전물을 3차례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세척된 철 침전물을 80℃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FeCl3(anhydrous, 98 %이상, samchun, Korea)를 증류수(H2O)에 녹여서 철 슬러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환원제인 NaBH4(99% 이상, across, USA)를 증류수(H2O)에 녹여서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후, 임펠러(MS-5020, TOPS)를 이용하여 NaBH4 용액을 2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FeCl3 슬러리 용액을 7ml/min의 속도로 방울방울 집어넣어서 NaBH4 용액과의 몰비를 1 : 3으로 조절한 후, 60℃에서 15분 동안 환원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에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철 침전물을 3차례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세척된 철 침전물을 40℃에서 30시간 동안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FeCl3 용액 1g/L에 대하여 Na4P2O7 용액 10mg/L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FeCl3 용액 1g/L에 대하여 Na4P2O7 용액 1,000mg/L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FeCl3 용액 1g/L에 대하여 Na4P2O7 용액 10,000mg/L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5
FeCl3 용액 0.2g/L에 대하여 Na4P2O7 용액 100mg/L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6
FeCl3 용액 0.5g/L에 대하여 Na4P2O7 용액 100mg/L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7
FeCl3 용액 2g/L에 대하여 Na4P2O7 용액 100mg/L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 분말을 수득하였다.
2. 물성 결과
1) 입자 크기 및 모양은 전자현미경(Magellan400, FEI company or JSM6380, JEOL)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2) 입자 크기는 나노입도분석기(NANOPHOX, Sympatec GmbH)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제타 포텐셜은 ELS-8000(Otasuka Electronics Co)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4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에 대한 제타 포텐셜 값을 나타낸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FeCl3 용액을 1g/L로 고정하고 Na4P2O7를 0 mg/L, 10mg/L, 100mg/L, 1,000mg/L, 10,000mg/L로 각각 혼합하고 난 후, 측정한 제타 포텐셜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eCl3 용액을 1g/L에 대하여 100mg/L로 첨가한 실시예 1에 따른 시료의 경우, 제타전위가 -2 mV로 음전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 4에 따른 시료들(a), (b), (c), (d)의 경우에는 제타전위가 모두 양전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5 ~ 7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에 대한 제타 포텐셜 값을 나타낸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Na4P2O7 용액을 100mg/L로 고정하고 FeCl3 용액을 0.2g/L, 0.5g/L, 0.8g/L, 1.0g/L, 1.2g/L, 2.0g/L로 각각 혼합하고 난 후, 측정한 제타 포텐셜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a4P2O7를 100mg/L로 고정한 후에 FeCl3의 양을 변화시켰을 경우,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1), (2), (3)은 제타전위가 -0.4mV, -2.0mV, -0.5mV로 각각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5 ~ 7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e), (f), (g)의 경우에는 제타전위가 모두 양전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에 대한 미세 조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의 경우, 전자현미경상에서 관찰한 평균 입자 크기가 대략 52nm이며, 전반적으로 잘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분산제인 Na4P2O7가 제조되는 철 분말 입자들의 응집을 막아 개별단위의 입자로 분리시킨 데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슬러리 혼합 용액 마련 단계
S120 : 환원 반응 단계
S130 : 필터링/세척 단계
S140 : 건조 단계

Claims (5)

  1. (a) FeCl3를 분산제인 Na4P2O7 용액에 녹여 슬러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슬러리 혼합 용액을 환원제인 NaBH4 용액이 채워진 반응조 내에 투입하여 환원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환원 반응으로 침강된 철 침전물을 필터링한 후, 세척 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척된 철 침전물을 40 ~ 80℃에서 5 ~ 25시간 동안 건조하여 철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Na4P2O7 용액은
    상기 FeCl3 1g/L에 대하여 80 ~ 120mg/L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슬러리 혼합 용액은 1ml/min ~ 5ml/min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환원 반응은
    40 ~ 80℃에서 1 ~ 1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시,
    상기 반응조 내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이용하여 상기 슬러리 혼합 용액과 NaBH4 용액을 100 ~ 500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KR1020120048085A 2012-05-07 2012-05-07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KR101351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85A KR101351914B1 (ko) 2012-05-07 2012-05-07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85A KR101351914B1 (ko) 2012-05-07 2012-05-07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35A KR20130124735A (ko) 2013-11-15
KR101351914B1 true KR101351914B1 (ko) 2014-02-07

Family

ID=4985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085A KR101351914B1 (ko) 2012-05-07 2012-05-07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9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454B1 (ko) 2012-04-27 2012-10-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철 분말 회수 방법
KR101194273B1 (ko) * 2012-04-27 2012-10-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분산 특성이 우수한 구형 철 분말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454B1 (ko) 2012-04-27 2012-10-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철 분말 회수 방법
KR101194273B1 (ko) * 2012-04-27 2012-10-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분산 특성이 우수한 구형 철 분말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 YUVAKKUMAR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ZERO VALENT IRON NANOPARTICLES, Digest Journal of Nanomaterials and Biostructures Vol. 6, No 4, pp. 1771-1776(2011.12.) *
Yuan-Pang Sun et al. Characterization of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120, No. 1-3, pp. 47-56(2006.06.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35A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659B1 (ko) 금속 및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JP5828923B2 (ja) ニッケル粉の製造方法
EP3042727B1 (en) Composition containing fine silver particles, production method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fine silver particles, and paste having fine silver particles
EP2394973B1 (en) Method for preparing graphite particle/copper composite material
KR20100112555A (ko) 은 미분, 은 잉크 및 은 도료 및 그 제조법
CN102407342A (zh) 粒径可精确控制的纳米银粉的制备方法
JP2010043337A (ja) 銀粉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097922A (zh) 一种纳米银颗粒及其制备方法和用途
Yang et al. A simple way for preparing antioxidation nano-copper powders
JP2013541640A (ja) 銀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798504B (zh) 3d打印用稀土氧化物弥散增强钨粉的制备方法
KR101194273B1 (ko) 분산 특성이 우수한 구형 철 분말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nha et al. Synthesis of nanosized copper powder by an aqueous route
CN106082297B (zh) 一种中心粒径20~60微米氧化钆的制备方法
JP2007284715A (ja) ニッケルナノ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ニッケルナノ粒子
JP2019108610A (ja) 球状銀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51914B1 (ko) 분산성이 우수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CN113020588A (zh) 一种氧化石墨烯掺杂钨-铜核壳结构材料的制备方法
JP2017039991A (ja) 銀コート銅粉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ペースト
KR101193454B1 (ko) 폐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철 분말 회수 방법
KR101351913B1 (ko) 슬러리 환원법을 이용한 철 나노 분말 제조 방법
JP6531913B2 (ja) ニッケル粉の製造方法
JP2018104724A (ja) 銀コート銅粉の製造方法
CN103601483A (zh) 镧锰掺杂锶铁氧体磁性粉体新型合成方法
KR20110019603A (ko) 슬러리환원법에 의해 염화은으로부터 나노 은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나노 은입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