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832B1 -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832B1
KR101350832B1 KR1020120019775A KR20120019775A KR101350832B1 KR 101350832 B1 KR101350832 B1 KR 101350832B1 KR 1020120019775 A KR1020120019775 A KR 1020120019775A KR 20120019775 A KR20120019775 A KR 20120019775A KR 101350832 B1 KR101350832 B1 KR 101350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light source
camera
flash modu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010A (ko
Inventor
이승수
이민종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2001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8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6Housing mod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82Reflectors
    • G03B2215/0585Movable reflectors, e.g. change of illumination angle or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조명을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광원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지향각과 조명광 조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가 줌인되거나 줌아웃되어 화각이 변하는 경우에 조명 영역(지향각)이 촬영 영역에 맞추어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으므로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선명한 사진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전하는 카메라의 기능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사진 영상을 얻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줌 기능 및/또는 오토 포커스 기능에 연동하는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Flash Module for Camera,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카메라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조명광을 출사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서 출사되는 조명광의 지향각 및/또는 상기 조명광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나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는 보조광원으로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어두운 촬영 환경, 특히 야간 촬영시에 피사체를 조명하는 장치로서,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플래시 모듈에서 풍부한 광량을 제공하는 제논 플래시(Xenon Flash)까지 다양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이 디지털 카메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모듈로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기기(1)의 본체(10), 예를 들면 단말기 본체에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0)과 카메라 플래시 모듈(30)이 구비되는데, 상기 플래시 모듈(30)은 리플렉터(Reflector)나 렌즈(Lens)와 같은 광학계(31)와 상기 광학계(31)의 내측에 구비되는 광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32)은 기판(33)상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사진을 찍을 때 발광하게 되고, 상기 광원(32)에서 출사되는 조명광은 상기 광학계(31)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방의 일정 영역을 조명하게 된다.
근래에 들어 디지털 촬영장치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나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1)에는 자동 초점 기능, 즉 오토 포커스(Auto Focus) 기능을 갖는 촬영장치 즉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오토 포커스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20)에는 렌즈의 축방향 이동을 통해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데, 상기 액츄에이터의 예로는 스탭 모터, 압전 소자,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등이 있으며, 근래에는 보다 정밀한 오토 포커스를 위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오토 포커스를 위한 액츄에이터, 특히 보이스 코일 모터에 대한 예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512호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0124호 등 다수의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의한 조명영역과 피사체의 위치에 따른 광손실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따르면 촬영장치 특히 카메라 모듈(20)과 피사체 간의 거리 및 피사체의 위치(촛점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플래시 모듈(30)에 의해 조명되는 조명 영역이 일정하며,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손실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카메라 모듈(20)에서 렌즈의 줌 기능에 의해 상기 피사체가 확대되면 촬영 영역(화각, A1)이 감소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플래시 모듈(30)에 의한 조명 영역(A2)과 조명광 조사방향이 일정하므로 광 손실을 막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의 (b)에서와 같이 피사체가 렌즈의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촛점 영역(B1)이 편심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 모듈(30)은 오토 포커스 기능에 의해 촛점을 자동 조절하나, 상기 플레시 모듈(30)의 조명 영역(B2)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환경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0)의 기능은 크게 개선되고 있으나, 보조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카메라 프래시 모듈(30)은 상기 카메라 모듈(30)의 기능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므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향상된 기능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는 조명 기능을 갖춘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512호, 2011년 1월 27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0124호, 2008년 5월 8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5825호, 2006년 7월 4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7236호, 2009년 5월 12일 공개
본 발명은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서 출사되는 조명광의 광 손실을 최소화하고 촬영 영역, 더나가 촛점 영역으로 집중적으로 조명광을 출사할 수 있는 구조의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사체의 조명을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광원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지향각과 조명광 조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카메라 렌즈가 줌인(Zoom In)되는 경우,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을 축소한다. 반면, 카메라 렌즈가 줌아웃(Zoom Out)되는 경우,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을 확대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학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계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계 중 어느 하나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광학계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갖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학계의 중심축에서 편심되도록 상기 광학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광학계의 중심에서 편심됨에 따라 상기 조명광 조사방향이 변화된다.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학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계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신호와 줌 신호에 연동하여 조명광의 조사방향과 지향각이 조절되도록 광원과 광학계의 상대 이동을 구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원을 발광시켜서 조명광을 출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플레시 모듈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촛점에 맞추어 조명광을 출사할 수 있고 카메라 렌즈가 줌인되거나 줌아웃되어 화각이 변하는 경우에 조명 영역(지향각)이 촬영 영역에 맞추어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으므로,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선명한 사진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가 촬영 영역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경우에 촛점 영역에 맞추어 조명광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촛점 영역에 위치하는 피사체에 집중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토 포커스 기능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전하는 카메라의 기능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사진 영상을 얻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줌 기능 및/또는 오토 포커스 기능에 연동하는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갖는 전자기기의 일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의한 조명영역과 피사체의 위치에 따른 광손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이 적용된 전자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통해 지향각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통해 조명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가 설명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이 적용된 전자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조명광을 출사하는 광원(110)과 광학계(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원(110)은 상기 광학계(12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광학계(12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부재, 예를 들면 리플렉터나 렌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110)에서 출사되는 조명광은 상기 광학계(120)에 의해 촬영장치 전방의 일정 영역을 조명하게 된다. 상기 광학계(120)의 기본적 기능과 작동은 일반적인 플래시 모듈의 광학계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120)는 상기 광원(110)에 대한 상대 이동(Relative Movement 또는 Relative Motion)에 의해 지향각(Angle of Beam Spread) 및/또는 조명광 조사 방향을 변화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광학계(120)는 상기 광원(110)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지향각(Angle of Beam Spread) 및/또는 조명광 조사 방향을 변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계(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110)이 움직이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학계(120)가 움직임으로써, 상기 광원(110)과 상기 광학계(120)의 상대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학계(120)가 복수의 광학부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을 기준으로 상기 광학부재들의 일부가 움직이는 경우도 상기 광원과 광학계의 상대 이동에 포함되는 개념임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계(120)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120)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전후방향, 즉 광학계의 전후방향(Z축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전후방향에 수직한 방향(X축/Y축 방향)으로 이동(Shift)됨으로써 상기 지향각과 조명광 조사 방향이 조절되는데, 특히 상기 Z축 방향과 이에 수직한 축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의 사선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110)과 상기 광학계(120)가 상호 직교하는 적어도 2축방향의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이나 줌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메라 플래시 모듈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상기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지향각 및/또는 상기 조명광 조사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포착되는 영역은 전자기기 본체의 디스플레이(화면)에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지향각 조절 방식과 조명광 조사 방향의 조절 방식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통해 지향각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통해 조명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와 비교할 때 도 6의 (b)는 지향각(플래시 모듈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조명광의 각도)이 상대적으로 확대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원(110)과 상기 광학계(120)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이 축소/확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상기 광학계(120)가 상기 광원(110)에 대한 상대 이동을 통해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의 후방으로 후퇴하면 지향각이 축소되고,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광원(110)이 전진하면 상기 지향각이 확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광원(110)과 광학계(120)가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광원(110)과 상기 광학계(120)의 상대 이동이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기 지향각이 축소되는 경우의 예로는 카메라 렌즈, 즉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줌인(Zoom In)되어서 화각(촬영 영역)이 축소되는 경우나 포커싱된 촛점 영역을 보다 밝게 조명하는 경우를 들 수 있고, 상기 지향각이 확대되는 경우의 예로는 카메라 렌즈, 즉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줌아웃(Zoom Out)되어서 화각(촬영 영역)이 확대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향각의 조절은 상기 광학계(1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12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 즉 Z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구현된다. 즉, 상기 광원(110)과 상기 광학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이면 상술한 지향각의 조절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120)의 전후방향(광학계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 상기 광학계(120)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명광 조사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120)의 중심축에서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가 되도록 상기 광학계(12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면, 상기 조명광의 조사 방향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계(120)의 중심축(Z축)이란 상기 광학계(120)의 중심을 전후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으로서, 피사체가 위치하는 촛점 영역이 도 7의 (a)와 같이 좌측에 위치하면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120)의 중심축에서 우측으로 상대 이동하고, 피사체가 위치하는 촛점 영역이 도 7의 (b)와 같이 우측에 위치하면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120)의 중심축에서 좌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학계(120)가 상기 광원(110)의 중심축(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광원(110)의 외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광원(110)이 상기 광학계(120)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광학계(120)의 내측에 구비되면, 상기 광원(110)과 상기 광학계(120)의 상대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향각의 조절과 상기 조명광 조사 방향의 조절은 카메라 모듈의 줌 기능 및 포커싱 기능에 연동하여 상술한 제어모듈에 의해 자동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가 줌인/줌아웃되거나 사용자가 카메라의 포착 영역을 출력하는 상기 전자기기의 스크린(디스플레이), 즉 터치 패드의 소정 위치를 터치하여 촛점 영역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줌인/줌아웃 신호와 포커싱 신호에 연동해서 조명광 조사방향이나 지향각이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위한 광학계로 리플렉터(120a)가 적용된 구조의 카메라 플래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지향각 및/또는 조명광 조사 방향의 조절 방식(광원과 광학계의 상대 이동)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광원(110)과 광학계(120)와 액츄에이터(130, 140)와 하우징(150, 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30, 140)는 상기 광원(110)과 광학계(120)의 상대 이동을 구현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1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학계(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 및/또는 상기 조명광 조사 방향이 조절되는 예가 개시된다.
상기 액츄에이터(Actuator)는 상기 광학계(120)의 전진/후진을 위한 제1액츄에이터(130)와 상기 광학계(120)의 좌우 이동을 위한 제2액츄에이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를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가 상기 제1액츄에이터(130)로 적용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이 예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액츄에이터(130)는 상기 광학계(120)의 둘레에 고정되는 보빈(131)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132)과 상기 하우징(150, 16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자성체(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학계(120)는 상기 하우징(150, 160)의 내부에 수용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50, 160)의 내측에 구비되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광학계(120)의 전단(도 9에서 광학계의 상단)과 상기 광학계(120)의 후단(도 9에서 광학계의 바닥)이 상기 리프 스프링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움직이는 대상물이 카메라 모듈의 렌즈에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광학계로 대체된 구조라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광학계(120)의 이동을 위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방식나 기본 구조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를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방식과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므로, 상기 제1액츄에이터(130), 즉 광학계의 구동을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의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카메라의 오토 포커스를 위해 이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상기 광학계(120)에 적용한 것을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50, 160)은 상기 광학계(120)를 둘러싸는 케이스(150)와 상기 케이스(150)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50)의 내측에 상기 자성체(1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110)은 기판(111)상에 실장되어 상기 조명광을 출사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액츄에이터(140)는 상기 케이스(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광학계(120)가 상기 광원(11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하우징(150, 16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140)에 의해 상기 하우징(150, 160)이 좌우로 움직이면, 상기 광학계(120)가 상기 하우징(150, 160)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시프트(Shift)됨으로써 조명광의 조사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원(110)과 광학계(120)의 상대 이동을 위한 구성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조나 다른 종류의 액츄에이터로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제2액츄에이터의 적용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광학계(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110)이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광원(210)과 복수개의 광학부재들(221, 222)을 갖는 광학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학계(220)가 상기 광원(21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부재들(221, 222) 중 일부가 상기 광원(21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계(220)가 복수개의 리플렉터,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리플렉터(221)와 외측 리플렉터(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중 상기 외측 리플렉터(222)가 상기 광원(210)을 기준으로 전후방향(Z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상기 내측 리플렉터(221)와 상기 광원(210)은 상대 이동이 없는 구조이다. 바꾸어서 말하면, 상기 외측 리플렉터(22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광원(210)이 상기 외측 리플렉터(22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가 된다.
도 10에서 (a)는 (b)와 비교하여 지향각이 축소된 상태로서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외측 리플렉터(222)가 상기 광원(210)을 기준으로 후퇴하면서 지향각을 확대시키고, 반대로 도 10의 (a)와 같이 상기 외측 리플렉터(222)가 전진하면서 지향각을 축소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카메라 플래시 모듈 110, 210: 광원
120, 220: 광학계 130: 제1액츄에이터
131: 보빈 132: 코일
133: 자성체 140: 제2액츄에이터
150: 케이스 160: 하우징 커버

Claims (10)

  1. 피사체의 조명을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광원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지향각과 조명광 조사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은 상기 광학계의 중심축에서 편심되도록 상기 광학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광학계의 중심에서 편심됨에 따라 상기 조명광 조사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가 줌인(Zoom In)되는 경우,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을 축소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가 줌아웃(Zoom Out)되는 경우,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에 대한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을 확대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학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계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지향각을 변화시키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계 중 어느 하나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갖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학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학계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
  10. 삭제
KR1020120019775A 2012-02-27 2012-02-27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 KR101350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75A KR101350832B1 (ko) 2012-02-27 2012-02-27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75A KR101350832B1 (ko) 2012-02-27 2012-02-27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010A KR20130098010A (ko) 2013-09-04
KR101350832B1 true KR101350832B1 (ko) 2014-01-14

Family

ID=4945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775A KR101350832B1 (ko) 2012-02-27 2012-02-27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2396B1 (en) 2015-02-02 2018-06-05 Apple Inc. Focusing lighting module
WO2016200026A1 (ko) * 2015-06-11 2016-12-15 크루셜텍(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가지는 카메라 플래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857A (ja) * 1999-11-05 2001-05-18 Minolta Co Ltd フラッシュ装置
JP2006091606A (ja) * 2004-09-27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KR20080024030A (ko) * 2006-09-12 2008-03-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857A (ja) * 1999-11-05 2001-05-18 Minolta Co Ltd フラッシュ装置
JP2006091606A (ja) * 2004-09-27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KR20080024030A (ko) * 2006-09-12 2008-03-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010A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532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04147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4894041B2 (ja) 電子撮像装置
JP2008064937A (ja) レンズ駆動制御装置
JP2014063157A (ja) 携帯用機器に関する操作可能な照射光源
JP2006221098A (ja) フラッシュライト用led付き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22994A (ja) 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用光学レンズアセンブリ
KR20200039378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10074412A (ko) 리니어 구동 led 발광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
CN115993751A (zh) 相机模块与电子装置
KR20070019893A (ko) 휴대폰 줌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832B1 (ko) 카메라 플래시 모듈, 이를 갖는 전자기기 및 카메라 플레시 모듈의 제어방법
JP2016081048A (ja) 屈曲撮像装置
JP2008122463A (ja) 閃光装置、並びに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20070475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調整装置および組立調整方法
JP2012088374A (ja) 撮像ユニット
KR102464591B1 (ko) 센서 구동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163640B1 (ko)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4666997B2 (ja) 鏡胴ユニット、カメラおよび画像入力装置
CN102566204A (zh) 有光照射功能的变焦透镜驱动装置、相机及移动终端装置
US20040001250A1 (en) Data presentation apparatus
JP2014115318A (ja) 補助光投光装置および補助光投光方法
JP2019207313A (ja) 撮像装置
JP7210362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8102198A (ja)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