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659B1 - 명함지갑 - Google Patents
명함지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0659B1 KR101350659B1 KR1020110093270A KR20110093270A KR101350659B1 KR 101350659 B1 KR101350659 B1 KR 101350659B1 KR 1020110093270 A KR1020110093270 A KR 1020110093270A KR 20110093270 A KR20110093270 A KR 20110093270A KR 101350659 B1 KR101350659 B1 KR 1013506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iness card
- plate
- locking
- cover
- busi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2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 B65D83/082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by means of an actuato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2—P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명함을 한 장씩 자동으로 재빠르게 꺼낼 수 있는 명함지갑을 제공하기 위해서, 내부에 여러 장의 명함을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한 케이스 함과 이 케이스함의 측부에 설치한 명함 취출구 보다 표면에 명함을 실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 함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명함 취출 플레이트와 이 명함 취출 플레이트를 한 방향에 이동 힘을 가하는 탄성 수단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해결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러 장의 명함을 수납하여 두고, 필요할 때에 조작 버튼을 누르면 명함을 한 장씩 자동으로 재빠르게 꺼낼 수 있는 명함지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장의 명함을 수납시킨 수납 케이스에 명함의 취출구를 설치하여 수납 케이스 저부에 설치한 판 용수철과 같은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밀어 올린 수단으로 명함을 위쪽에 밀어 올리고, 밀어 올린 명함을 덮개부측에 설치한 창부에 손가락을 넣어 손가락과 명함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명함을 슬라이드 시키고 1장씩 취출구에서 밀어낼 수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밀어 올리는 수단을 가지고, 덮개부측에 취출버튼부재를 접동가능하게 부착하여 이 취출버튼에 설치한 계지부에서 최상단의 명함의 단부를 계지하여 취출구에서 밀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 등록실용신안 제 3108210호 공보나 실개소 62-63020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공지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공되어 온 명함의 취출이 용이한 명함지갑은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 3108210호 공보나 실개소 62-63020호 공보에 기재의 것을 포함하여 모두 수작업으로 명함을 배출하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재빠르게 명함을 꺼낼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상부의 명함이 부주의로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여 손상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 취출 기구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얇고 부피가 커지지 않고, 조작 버튼을 누르면 명함의 보관 케이스에서 명함을 한 장씩 자동으로 재빠르고 확실하게 취출할 수가 있으며, 또한 명함의 보호가 충분한 명함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명함지갑은 바닥판과 이 바닥판 위에 배치된 여러 장의 명함을 수용하는 명함 수용함으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상기 바닥판과 상기 명함 수용함과의 사이에 탄성수단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명함 취출구에서 외부로 그 일부가 출입가능하게 구성된 명함 취출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 설치되어 상기 명함 수용함의 상면을 덮는 덮개와, 이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명함 수용함 내에 수용된 명함을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 측으로 압압하는 명함 압압 수단과,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수용한 상태로 잠금하는 플레이트 잠금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를 열어서 상기 명함 수용함 내에 여러 장의 명함을 수용하여 덮개를 닫으면, 상기 명함이 상기 취출 플레이트 위에 얹어져 압압되고, 플레이트 잠금수단을 해제시키면 선회하는 취출 플레이트가 그 위에 얹어진 명함을 한 장씩 상기 케이스 본체의 명함 취출구에서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이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케이스 본체에 닫힘 상태로 잠금하는 덮개 잠금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명함 압압 수단을, 상기 덮개의 상판부에 부착판을 끼워 설치한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상면측의 전부 혹은 일부에는 미끄럼 중지용 시트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잠금수단을, 계지훅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조작버튼 삽통공에 축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버튼과, 상기 조작버튼 삽통공 내에 그 바닥부와 상기 조작버튼의 사이에 탄설된 상기 조작버튼을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접동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계지훅과 계합하는 계지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이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케이스 본체에 닫힘 상태로 잠금하는 덮개 잠금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명함 압압 수단을, 상기 덮개의 상판부에 부착판을 끼워 설치한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상면측의 전부 혹은 일부에는 미끄럼 중지용 시트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잠금수단을, 계지훅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조작버튼 삽통공에 축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버튼과, 상기 조작버튼 삽통공 내에 그 바닥부와 상기 조작버튼의 사이에 탄설된 상기 조작버튼을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접동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계지훅과 계합하는 계지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명함 취출 시 상기 플레이트 잠금 수단의 잠금 해제 조작을 행하면, 이동하는 힘을 가한 명함 취출 플레이트가 그 위에 명함을 한 장만 얹어놓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하도록 선회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명함을 빼내는 것만으로 좋고, 명함을 한 장씩 취출하는 조작을 자동으로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는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의 구동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부피가 커지지 않고 얇으면서도 콤팩트한 명함지갑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명함 수용함 내에 수납된 명함은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에 의해 취출될 때까지는 명함 수용함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명함 보호도 충분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는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의 구동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부피가 커지지 않고 얇으면서도 콤팩트한 명함지갑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명함 수용함 내에 수납된 명함은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에 의해 취출될 때까지는 명함 수용함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명함 보호도 충분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을 (a) 닫힌 상태와 (b) 명함을 취출 상태에서 나타내는 표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을 (a) 닫힌 상태와 (b) 명함을 취출 상태에서 나타내는 아래쪽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에 명함을 수납할 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덮개의 내부에 설치된 명함 압압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수용함 및 이에 장착된 덮개 잠금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아래쪽 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덮개 잠금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그 (a) 도면은 도 7의 A-A 선을 따라 일부 파단 확대 단면도이며, (b) 도면은 그 계지 철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바닥 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 경우 케이스함의 내부에 수용되어 바닥과 전면적으로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 일부분이 케이스함의 외부에 노출하고, 플레이트 상의 명함을 취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잠금 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그 주요부를 아래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 힘을 가하는 탄성 수단으로 스프링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플레이트 잠금 수단의 조작 버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을 (a) 닫힌 상태와 (b) 명함을 취출 상태에서 나타내는 표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을 (a) 닫힌 상태와 (b) 명함을 취출 상태에서 나타내는 아래쪽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에 명함을 수납할 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덮개의 내부에 설치된 명함 압압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수용함 및 이에 장착된 덮개 잠금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아래쪽 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덮개 잠금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그 (a) 도면은 도 7의 A-A 선을 따라 일부 파단 확대 단면도이며, (b) 도면은 그 계지 철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바닥 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 경우 케이스함의 내부에 수용되어 바닥과 전면적으로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 일부분이 케이스함의 외부에 노출하고, 플레이트 상의 명함을 취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잠금 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그 주요부를 아래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명함 취출 플레이트 힘을 가하는 탄성 수단으로 스프링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플레이트 잠금 수단의 조작 버튼의 확대 사시도이다.
다음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명함지갑(1)은 내부에 여러 장의 명함(M)을 수용시킬 수 있는 케이스 함(10)을 갖춘 이 경우 케이스 함(10)의 측 부에는 명함 취출구(101)이 설치된(도 1 참조) 명함 취출 플레이트(3) 그 윗면에 1장의 명함(m)을 태운 상태(도 3, 도 4 참조), 상기 명함 취출구(101) 케이스 함(10)에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은 이것을 명함 취출구(101) 케이스 함(10) 외측을 향해 한 방향으로 선회 이동시키는 탄성 수단으로 스프링(7)(도 2, 도 11~13 참조)에 의해 이동 힘을 가하고 있다. 뒷부분처럼 조작 버튼(81)을 눌러 스프링(7)의 탄성력에 맞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전체 케이스 함(10)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잠금하는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잠금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 수단(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이 케이스 함(10)의 바깥쪽으로 향해 수평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가리키는 것과 같이 명함 취출 시에는 덮개(5)의 한쪽 구석에 노출하고 있는 조작 버튼(81)의 꼭대기부를 누르면, 명함지갑(1)의 한 방향의 측부의 면을 명함 취출구(101)에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이 선회 이동하여 나오고,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표면에 실려 나온 한 장의 명함(m)를 케이스 함(10)보다 외측에 취출 할 수가 있다.
명함(m)를 취출한 후, 명함 취출 플레이트(3)를 명함지갑(1) 안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밀어 넣고,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은 명함지갑(1)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잠금 수단(8)에 의해 잠금되어 도 1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하고, 다음번에 조작 버튼(81)을 누를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함(10)은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바닥 판(2)와 이 바닥 판(2) 상에 장착되는 명함 수용함(4)로 구성되는 케이스 본체(11)와, 이 케이스 본체(11)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5)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명함 수용함(4)은 도 2와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그 프레임에 여러 나사 구멍(418)과 바닥판(2)에 뚫은 여러 나사 구멍(26)을 이용하여 여러 중지 나사(423)에 의해 바닥판(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덮개(5)는 경첩 수단(6a, 6b)을 덮개(5)의 개폐 축지공(516)과 바닥 판(2)의 덮개 부착 핀 구멍(25)에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바닥판(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이 경첩 수단(6a, 6b)은 핀 모양의 것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공지의 경첩 수단으로 대체 할 수 있다.
덮개(5)는 도 6에서 가리키는 것과 같이 상판부(510)과 그 4변에 따라 설치한 주벽부(511~514)를 가진 덮개 본체(51)로 설치되고, 상판부(510)의 내면에는 여러 명함 압압 수단(52a, 52b, 52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벽 부(511~514) 중 대향 하는 단변 상의 주벽 부(512, 514)에는 상기의 같은 개폐 축지공(516)이 각각 설치되어 이러한 개폐 축지공(516)과 바닥 판 본체(21)(도 2 참조)의 대향 하는 단변의 벽면에 설치된 덮개 부착 핀 구멍(25)에, 경첩 수단(6a, 6b)을 삽통하는 것에 의해, 덮개(5)를 바닥 판(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 이동 가능, 즉,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덮개(5)의 상판 부(510)의 모퉁이 부에는 조작 버튼 삽통공(518)이 뚫린 덮개(5)를 닫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조작 버튼(81)의 꼭대기부(815)를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덮개(5)의 개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에 개폐시키는 형식이라도 좋지만, 휴대 전화기의 덮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형식도 좋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덮개(5)는 이것을 상기 케이스 본체(11)에 대해서 닫힘 상태에서 잠금하는 덮개 잠금 수단(9a, 9b)에 의해 실수로 열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덮개(5)의 상기 단변 측의 주벽부(512, 514)에는 계지 구멍(517)이 각각 설치되어 명함 수용함(4)의 프레임 내에 짜 넣은 덮개 잠금 수단(9a, 9b)(도 2, 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도 7은 명함 수용함(4)의 밑면 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의 계지 볼록(凸)편(91)의 앞끝이 이러한 계지 구멍(517)에 박아넣는 것에 의해 덮개(5)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덮개 잠금 수단(9a, 9b)(양자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도 8에서는 한 방향의 덮개 잠금 수단(9a)의 구성만을 나타내 있다.)은 계지 볼록(凸)편(91), 압축 용수철(92) 및 누름 덮개(93)로 구성되어(도 7, 도 8 참조) 계지 볼록(凸)편(91) 및 압축 용수철(92)는 명함 수용함(4)의 제1 단변 프레임(413) 및 제2 단변 프레임(414)에 각각 형성한 부품 수용 구멍(416a, 416b) 내에 수용되고, 이 구멍철의 개구부는 누름 덮개(93)에 의해 폐쇄 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지 볼록(凸)편(91)의 볼록(凸)부(91a)(도 8 참조)가 부품 수용구멍(416a, 416b)의 측벽에 돌출구멍(417a, 417b)에서 돌출하는 상태로 하여, 압축 용수철(92)에 의해 계지 볼록(凸)편(91)을 뒤에서 압압 하도록 조절한 후, 부품 수용구멍(416a, 416b)의 개구부에 누름 덮개(93)를 설치하고 폐쇄하는 것이다. 계지 볼록(凸)편(91)의 볼록(凸)부(91a)의 앞끝단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부(R)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5)를 닫은 상태에서는 계지 볼록(凸)편(91)의 볼록(凸)부(91a)가 덮개(5)의 상기 계지 구멍(517)에 박아 넣어 덮개(5)가 닫힌 상태로 잠금 된다. 덮개(5)를 열 때는 계지 볼록(凸)편(91)이 돌출 구멍(417a, 417b)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손가락을 이용해 동시에 압압 함으로써, 계지 볼록(凸)편(91)과 돌출구멍(417a, 417b)의 사이의 계합이 빠져 덮개(5)의 열림 조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케이스 함(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덮개(5)의 상판 부(510)의 내면에는 상기와 같이 명함 압압 수단(52a, 52b, 52c)가 설치되어(도 2, 도 6 참조) 케이스 함(10)의 내부에 수용된 명함(M)을 상기 명함 취출한 플레이트(3) 측에 압압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명함 압압 수단(52a, 52b, 52c)은 모두 스프링(521)과 그 일단을 덮개(5)의 상판 부(510)에 고정하는 부착 판(522)으로 구성되어, 스프링(521)의 자유단 측에서 명함 수용함(4) 내에 수납되어 여러 장의 명함(M)를 위에서 압압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최하층의 명함이 명함 취출한 플레이트(3)의 표면의 후술하는 오목한 곳(314) 내에 원활하게 받아들여지게 되어 있다. 부착 판(522)는 나사(523)에 의해 상판 부(510)의 내면에 고정된다. 이 명함 압압 수단(52a, 52b, 52c)는 케이스 본체(11)의 바닥에 설치해도 좋고, 그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명함 수용함(4)은 도 2 및 도 7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중앙부가 통상의 명함과 같은 사이즈의 공동부(410)가 된 테두리 본체(41)로 되어, 이 공동부(410) 내에 7장 ~ 16장의 명함(M)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명함 수용함(4)의 바깥 쪽으로 장변 프레임(411)은 상기 명함 취출구(101)에 임하는 장변 이며, 이것과 대향 하는 안쪽 장변 프레임(412)에는 상기 명함 압압 수단(52a와 52c)의 스프링(521)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명함의 매수에 따라 변위 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잘라 잘게 깬 오목(凹)부(421a, 421b)가 형성되고 있다.
명함 수용함(4)의 제1 단변 프레임(413) 및 제2 단변 프레임(414)에 각각 형성한 단차 볼록(凸)부(419a와 419b)는 후술하는 바닥 판(2)(도 2, 도 10 참조)의 상단면(27a)와 중단면(27c) 과의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볼록(凸)부이며, 바닥판(2)의 주벽에 뚫은 단차 볼록(凸)부 삽입 구멍(28a, 28b)에 각각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이 단차 볼록(凸)부(419a 및 419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명함 취출구(101)가 좁아지고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명함 수용함(4)의 제1 단변 프레임(413) 상에 형성한 지축두부접수구(420)은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3)를 선회 이동 가능하게 축지하기 위해 후술의 바닥판(2)에 설치한 지축(22)의 두부를 수용하는 구멍이다.
더욱더 또한, 명함 수용함(4)의 안쪽 장변 프레임(412)과 제1 단변 프레임(413)이 교차하는 모퉁이부에는 후술하는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조작 버튼(81)의 꼭대기부를 통과시키는 조작 버튼 삽통공(4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버튼 삽통공(415)는 대경부(415a)와 단차 스톱퍼(415b)와 소경부(415c)로 구성되어 대경부(415a)에는 도 15에 표시된 조작 버튼(81)의 대경부(812)가 박아 넣고, 단차 스톱퍼(415b)에는 조작 버튼(81)의 단차부(813)이 당 접해, 소경부(415c)에는 조작 버튼(81)의 소경부(814)가 박아 넣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조작 버튼(81)은 탄성수단(82)에 의해 위쪽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있지만, 조작 버튼 삽통공(415)의 상기 단차 스톱퍼(415b)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 한계 위치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명함 수용함(4)의 안쪽 장변 프레임(412)의 양단 가까이의 밑면 쪽에는 위치 결정 오목(凹)부(422a, 422b)가 형성되어 바닥 판(2)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위치 결정 볼록(凸)부(29a, 29b)와 서로 끼울 수 있는 것에 의해 바닥판(2)과 명함 수용함(4)과의 정확한 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위치 맞추는 것을 하고 바닥판(2)과 명함 수용함(4)을 고정할 때, 바닥 판(2)의 상기 위치 결정 볼록(凸)부(29a)의 측면(29c)과, 명함 수용함(4)의 위치 결정 오목(凹)부(422a)에 마주대하는 측면(422c)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설계되어있으며, 그 틈새에 조작 버튼(81)의 회전 중지 돌기부(816)가 끼워넣는 것에 의해 조작 버튼(81)의 축 중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명함 취출 플레이트(3)(도 2, 도 9 참조)은 수평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여 상기 명함 취출구(101)보다 명함을 상기 케이스 함(10)의 밖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은 그 한쪽의 단변에 설치한 축지공(315)에 바닥판(2)의 한쪽의 단변 상에 설치한 지축(22)를 삽통하는 것에 의해 그 지축(22)의 중심점(따라서 또한, 축지공(315)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바닥판(2)에 대해서 선회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고, 지축(22)의 근원부에 장착된 탄성 수단으로 스프링(7)에 의해 상기 수용 위치에서 진출 위치를 향해 한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더구나 스프링(7)은 뒤틀림 코일 스프링, 인장 코일 스프링,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즉, 명함 취출 플레이트(3)는 이것은 바닥 판(2) 상에 전면적으로 겹친 수용 위치와, 적어도 그 명함 취출 측의 주변 둘레부가 상기 바닥 판의 주변 둘레부 보다도 외부에 노출된 진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주로 평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상기 지축(22)을 중심으로 바닥 판(2)에 대해서 선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명함 취출 플레이트(3)는 상기 수용 위치에 있을 때에, 그 표면의 오목한 곳(314)에 명함을 한 장씩 안에 집어넣어 그 취출 조작 시에 상기 진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그 1장의 명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꺼내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표면에는 도 9에 상세히 나타내 보이도록 그 3변에 따라 외부방향 장변측 상단면(311)과 안쪽 장변측 상단면(312)과 단변측 상단면(313)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됨과 동시에, 제1 단차부(310a)에 의해 이것보다 1 단 내려 중단면(314a, 314b)가 형성되고 그 위에 제2 단차부(310b)에 의해 더 1 단 내려 하단면(314c)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면(314c)에는 펠트 등으로 구성된 미끄럼 중지 시트(32)를 붙인 오목한 곳(314) 내에서 안에 집어넣은 명함을 명함 취출 조작 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선회 이동동작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뛰쳐나오거나 낙하하거나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붙여진 미끄럼 중지 시트(32)의 표면의 높이는 상기 중단면(314a)의 표면보다 높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중지 시트(32)는 펠트 외에 각종 소재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미끄럼 중지 시트(32) 사용하는 이외에, 예를 들어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표면 자체에 가늘게 오목 볼록 가공을 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 단차부(310a)의 단차량은 취출 하여야 할 명함 1장의 두께에 동일한가 그것보다 약간 적게 설정된다. 명함 1장의 두께보다 크면 아래에서 2번째의 명함에 제1 단차부(310 a)의 엣지가 걸려 원활한 취출 동작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축지공(315)을 설치한 측과 반대 측의 단변에는 명함을 잡기 쉽게 하기 위한 절결(316)이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는, 명함 취출 시에 외부방향 장변측 상단면(311)의 어느 장변측과 절결(316)의 어느 단변측을 포함한 영역은 도 3(b) 및 도 4(b)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외부에 노출하도록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선회 이동한다.
또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스프링 작용 단면(318)이 설치된 측의 모퉁이 부에는 계지 홈 부착 돌기 부(317)가 설치되고 그 하면에 상기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조작 버튼(81)의 계지 훅(811)과 계합하는 계지홈(8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바닥판(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바닥판(2)의 내면 측에는 도 2, 도 10에서 가리키는 것과 같이, 상단면(27a)와 중단면(27c)와의 사이에 제1 단차부(27b)가 설치되고 있다. 상단면(27a)은 상기 명함 수용함(4)의 하면에 밀착, 교묘하게 가로채어지면 중단면(27c)와 명함 수용함(4)와의 사이에는 제1 단차부(27b)의 단차에 똑같은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 내에서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상기 지축(22) 및 축지공(315)을 중심으로 상기 수용 위치와 진출 위치와의 사이에 선회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간이 외부에 통하는 부분이 상기 명함 취출구(101)에 해당한다.
또한, 중단면(27c)보다 아래에는 제2 단차부(27d)를 설치하는 것에 따라 원호상에 단락 지어진 복수의 하단면(27e)이 설치되며, 이 하단면(27e)에 의해 복수의 활 모양의 리브(rib)부(27f)가 형성되며 바닥판(2)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명함 취출 플레이트(3) 수평 방향으로 선회 접동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잠금 수단(8)(도 2, 도 7, 도 11~15 참조. 또한 도 13은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설치 위치를 포함한 주요부를 아래쪽에서 본 설명도이며, 도 15는 조작 버튼(81)의 확대도이다.)은 명함 취출 플레이트(3)를 케이스 함(10)의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로 잠금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케이스 함(10)보다 일부를 노출시켜 상기 케이스 본체(11)에 설치된 조작 버튼 삽통공(415)에 비회전 또한 축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곳의 계지훅(811)을 가지는 조작 버튼(81)과, 이 조작 버튼 삽통공(415) 안에 바닥과 상기 조작 버튼(81)과의 사이에 탄설된 탄성수단(82)과,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3)에 형성한 계지홈(83)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조작 버튼 삽통공(415) 안에 바닥은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명함 수용함(4)에 설치된 조작 버튼 삽통공(415)의 바로 밑의 바닥 판(2) 상의 플레이트 잠금 수단 유지구멍(24)안에 바닥(240)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의 것에는,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은, 계지훅(811)을 가지는 상기 조작 버튼(81)과 조작 버튼(81)을 밀어 올릴 방향(도 13에는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수단으로 탄성 수단(82)과 명함 취출 플레이트(3)상에 설치한 계지홈(83)으로 구성된다.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보통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위치에 있는 조작 버튼(81)이 탄성 수단(82)에 의해 힘을 가하게 되는 것으로, 조작 버튼(81)의 계지훅(811)은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계지홈(83)과 계합 상태를 유지하고, 그것에 따라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그 수용 위치에 보관 유지되도록 잠금 된다.
한편 명함 취출 시에는 상기 탄성 수단(82)의 힘을 가하는 것에 저항하여 조작 버튼(81)의 꼭대기부(815)를 누르는 것에 의해, 계지훅(811)이 계지홈(83)에서 이탈하여 잠금이 해제되고, 명함 취출 플레이트(3)는 상기 스프링(7)의 힘을 가함에 의해 상기 진출 위치에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 버튼(81)은 상기와 같이 축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하는 것 이외에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거나 축 중심으로 회동시키거나 하는 것에 의해, 잠금 걸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외 각종의 구성을 채용하여 얻는 것도 있다.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선회 이동 기구 및 그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을 조립할 때에는 먼저, 명함 취출 플레이트(3)를 선회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7)과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을 바닥판(2) 상에 설정해, 그 위에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을 씌우도록 하여 설치한다. (주로 도 2 참조).
즉, 스프링(7)에 대해서는 그 곡선부(71)을 바닥판(2)의 한 방향의 단변 측에 설치한 지축(22)의 근원부에 장착하여 스프링(7)의 작용암(73)이 바닥판(2)의 스프링 수용 오목(凹)부(23a) 내에 수용되어 중지암(72)가 스프링 수용 오목(凹)부(23b) 내에 수용하도록 설정 한다(도 2, 도 10, 도 14 참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스프링(7)의 작용암(73)의 선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부려진 작용 단부(74)는 바닥판(2)의 후술하는 중단면(27c)보다도 위에 돌출하여 후술하는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한방향의 단변 측에 형성된 스프링 작용 단면(318)에 압접하게 할 수 있어, 명함 취출 플레이트(3)를 그 진출 위치에 향하여 이동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잠금 수단(8)에 대해서는 그 탄성 수단(82)과 조작 버튼(81)을 바닥판(2)의 하나의 모퉁이 부에 설치된 플레이트 잠금 수단 유지구멍(24) 내에 끼워 넣은 상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수단(82)를 플레이트 잠금 수단 유지구멍(24) 내에 끼워넣고, 그 위에 조작 버튼(81)을 씌우는 것에 의하여, 플레이트 잠금 수단 유지구멍(24) 안에 바닥(240)과 조작 버튼(81)의 꼭대기부(815)의 내면과의 사이에 탄성 수단(82)의 용수철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런 뒤,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한 방향의 단변 측에 설치한 축지공(315)을 바닥판(2)의 상기 지축(22)에 끼워 맞추고,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이 바닥판(2) 위에 겹쳐지도록 설정한다. 이때, 스프링(7)의 작용 단부(74)가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상기 스프링 작용 단면(318)에 작용하기에 따라, 스프링 작용 단면(318)에 스프링(7)의 작용 단부(74)를 압접시킨 상태에서, 더욱 그 위에 명함 수용함(4)을 맞추어, 명함 수용함(4)을 바닥 판(2)에 고정한다. 즉, 명함 수용함(4)의 각 프레임 부에 설치된 여러 나사 구멍(418)과 바닥판(2)의 주변둘레부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 구멍(46)을 이용하여 복수의 중지 나사(423)에 의해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해 명함 수용함(4)과 바닥판(2)을 고정한다. 그때,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조작 버튼(81)의 머리부가 명함 수용함(4)의 모퉁이 부에 설치된 조작 버튼 삽통공(415) 내에 삽통되도록 하여 명함 수용함(4)과 바닥판(2)을 고정한다.
또, 조립 완성 후에 있어서 조작 버튼(81)의 축 중심의 회전을 방지(회전 멈춤)하기 위하여, 조작 버튼(81)의 상기 회전 중지 돌기부(816)가 바닥판(2)의 상기 위치 결정 볼록(凸)부(29a)의 측면(29c)과, 명함 수용함(4)의 위치 결정 오목(凹)부(422a)에 마주대하는 측면(422c)과의 사이의 극간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명함 수용함(4)과 바닥판(2)을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명함 수용함(4)을 바닥 판(2)에 고정하는 시점에서,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조작 버튼(81)의 계지훅(811)을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계지홈 부착 돌기부(317)에 형성된 계지홈(83)에 계합시킨 상태(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바닥판(2)과 전면적으로 겹쳐, 바닥판(2)과 명함 수용함(4)과의 사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하여 둘 필요는 없지만, 계합하게 해도 지장은 없다.
상기와 같이 하여 명함 수용함(4)과 바닥판(2)을 고정한 후, 덮개(5)를 바닥판(2)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멈춤한다. 즉, 상기와 같이 덮개(5)의 상기 개폐 축지공(516)과 바닥판(2)의 덮개부착 핀 구멍(25)에 힌지 수단(6a, 6b)을 삽통, 고정하는 것에 의해 덮개(5)를 바닥 판(2)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명함지갑(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함지갑(1)은 도시한 것처럼 얇고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상기 명함 수용함(4)의 내부에 7장 ~ 16장의 명함을 수납할 수 있다.
즉 명함 수용함(4)는 수평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고, 그 구동력원인 스프링(7)도 수평면 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명함지갑을 전체적으로 얇고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명함지갑(1)을 운반할 때, 여러 장의 명함(M)은 명함 수용함(4)의 내부에 수납되어 덮개(5)에 의해 완전하게 커버 되고 있어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3)에 의해 취출 될 때까지는 외부에 노출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명함이 손상될 것은 없고, 충분히 보호된다.
명함지갑(1) 내에 명함을 수납하는 때에는, 도 5처럼 명함지갑(1)의 덮개(5)를 열고, 명함 수용함(4) 내에 여러 장( 7장 ~ 16장)의 명함(M)을 넣도록 한다.
명함을 취출 할 때에는, 상기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조작 버튼(81)을 누르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조작으로 명함을 1장씩 명함 취출 플레이트(3)에 실어 재빠르게 꺼낼 수가 있다.
다음,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명함 취출 플레이트(3) 및 플레이트 잠금 수단(8)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3(a)은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바닥판(2)과 전면적으로 겹쳐 상기 수용 위치에 유지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13(a)에 도시와 같이 탄성 수단(82)과 조작 버튼(81)은 바닥판(2)의 플레이트 잠금 수단 유지구멍(24)에 끼워 넣어진 위치에 있으며, 조작 버튼(81)의 계지훅(811)은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계지홈(83)과 계합하고, 탄성 수단(82)에 밀어 올리고 힘에 의해 조작 버튼(81)이 위쪽 방향(도 13에서는 아래 방향)에 밀리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상태(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즉, 이 상태에 있어 바닥판(2)의 상기 지축(22)에 의해 축지 된 스프링(7)은 그 굽힘 응력이 축적된 상태에 있어(도 11을 아울러 참조), 그 선단의 작용 단부(74)는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스프링 작용 단면(318)에 작용하여,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을 지축(22)를 중심으로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이동시키려고 하지만, 계지홈(83)에 계지훅(811)이 계합된 잠금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선회 이동은 저지된 상태에 있다.
또, 조작 버튼(81)은 그 단차부(813)(도 15 참조)가 명함 수용함(4)의 조작 버튼 삽통공(415)(도 7 참조)의 단차 스톱퍼(415b)(도 7 참조)에 저지되고 그것보다 먼저 이동하지 않게 이루어져 있다.
뒤이어, 명함을 취출하기 위해서, 도 13의(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기 탄성 수단(2)의 용수철력에 저항해 조작 버튼(81)의 꼭대기부(815)를 손가락으로 누르고, 조작 버튼(81)의 계지훅(811)이 계지홈(83)에서 이탈하고, 도 13(c)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스프링(7)의 힘을 가함에 의해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축지공(315)(지축(22))를 중심으로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이동하고, 상기 진출 위치에 변위 하므로 도 3(b) , 도 4(b)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명함 취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각도만 선회하고, 그 하나의 각부(319)가 바닥판(2)의 하나의 각부 가까운 주벽 내면(20)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그 이상의 선회 이동은 저지되는 것이고, 상기 주벽 내면(20)이 스톱퍼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다. 이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선회 시에 각도(실시예에는 20도)이상 선회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 것은, 명함(m)은 항상 명함 압압 수단(52a, 52b, 52c)에 의해 명함 취출 플레이트(3) 측에 압압 되어 있으므로, 다음의 명함(m)을 명함 취출 플레이트(3) 상에 부드럽게 위치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명함을 꺼낸 후,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을 원래 수용 위치에 되돌리기에는 도 13(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출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을 손가락으로 눌러 되돌려 축지공(315)(지축(2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 이동시킨다. 명함 취출 플레이트(3)가 당초의 수용 위치에 가까워 지면, 명함 취출 플레이트(3)에 설치된 계지홈 부착 돌기부(317)의 외주 면에 의해 계지훅(811)이 눌려 내려지고(도 13에서는 밀어 올릴 수 있다.) 또는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을 내부에 밀어 넣는 것과, 계지훅(811)이 계지홈(83)에 계합하고, 동시에 그 측부(31)가 바닥판(2)의 내측부(23c)에 당접하여, 도 13(a) 및 도 11에 나타내는 것 같은 원래의 수용 위치에 보전된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덮개(5)의 개폐 방식은 도시한 실시예의 같은 상하에 선회시키는 형식에 한정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형식에도 좋다.
명함 압압 수단(52a, 52b, 52c)도 덮개(5)의 내면에 설치되는 것 이외에 상기 명함 수용함(4) 자체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그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함 취출 플레이트(3)도 상기와 같은 선회 이동 형식에 한정하지 않고,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직선적인 슬라이드 형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명함 취출 플레이트(3)의 표면에 부착되는 미끄럼 중지 시트로는 펠트 외에 각종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끄럼 중지 시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표면 자체에 가늘게 오목 볼록 가공을 실시하여 미끄럼 중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한, 상기 플레이트 잠금 수단(8)에 관해서도 각종 각양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조작 버튼은 위에서처럼 축 방향에 접동 가능하게 하는 것 이외에,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거나 축 중심으로 회동시키거나 하는 것에 의해 잠금 걸이를 빼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등, 각종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목적의 범위 내에서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당 업자가 용이하게 생각을 할 수 있는 모든 변경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1장씩의 명함의 취출 동작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어, 얇고 부피가 커지지 않고, 명함의 보호도 충분할 뿐만 아니라, 명함을 건네주는 상대방에게 자기의 인상을 강하게 할 수 있는 명함지갑으로써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다.
1 : 명함지갑 2 : 바닥판
3 : 명함 취출 플레이트 4 : 명함 수용함
5 : 덮개 6 a, 6 b : 힌지 수단
7 : 명함 취출 플레이트 힘을 가하는 용의 스프링
8 : 플레이트 잠금 수단 9 a, 9 b : 덮개 잠금 수단
10 : 케이스 함 11 : 케이스 본체
20 : 주벽 내면 21 : 바닥판 본체
22 : 지축 23 a, 23 b : 스프링 수용 오목(凹)부
24 : 플레이트 잠금 수단 유지구멍 25 : 덮개 부착 핀 구멍
26 : 나사 구멍 27a : 상단면
27b : 제1 단차부 27c : 중단면
27d : 제2 단차부 27e : 하단면
27f : 리브(Rib)부
28 a, 28 b : 단차 볼록(凸)부 삽입 구멍
29 a, 29 b : 위치 결정 볼록(凸)부 29c : 볼록(凸)부 측면
31 : 측부 32 : 미끄럼 중지 시트
41 : 테두리 본체 51 : 덮개 본체
71 : 곡선부 72 : 중지암
73 : 작용암 74 : 작용 단부
81 : 조작 버튼 82 : 탄성 수단
83 : 계지홈 91 : 계지 볼록(凸)편
91a : 볼록(凸)부 92 : 압축 용수철
93 : 누름 뚜껑 101 : 명함 취출구
240 : 바닥 310a : 제1 단차부
310b : 제2 단차부 311 : 외방 장변측 상단면
312 : 내방 장변측 상단면 313 : 단변측 상단면
314 : 오목한 곳 314 a, 314 b : 중단면
314c : 하단면 315 : 축지공
316 : 절결 317 : 계지홈 부착 돌기부
318 : 스프링 작용 단면 319 : 각부
410 : 공동부 411 : 외방 장변 프레임
412 : 내방 장변 프레임 413 : 제1 단변 프레임
414 : 제2 단변 프레임 415 : 조작 버튼 삽통공
415a : 대경부 415b : 단차 스톱퍼
415c : 소경부 416 a, 416 b : 부품 수용구멍
417 a, 417 b : 돌출구멍 418 : 나사구멍
419 a, 419 b : 단차 볼록(凸)부 420 : 지축두부접수구
421 a, 421 b : 절결 오목(凹)부 422 a, 422 b : 위치 결정 오목(凹)부
422c : 마주대하는 측면 510 : 상판부
511~514 : 주벽부 516 : 개폐축지공
517 : 계지구멍 518 : 조작 버튼 삽통공
52 a, 52 b, 52 c : 명함 압압 수단
521 : 스프링 522 : 부착판
523 : 나사 811 : 계지훅
812 : 대경부 813 : 단차부
814 : 소경부 815 : 꼭대기부
816 : 회전 중지 돌기부 m : 각 명함
M : 여러 장의 명함
3 : 명함 취출 플레이트 4 : 명함 수용함
5 : 덮개 6 a, 6 b : 힌지 수단
7 : 명함 취출 플레이트 힘을 가하는 용의 스프링
8 : 플레이트 잠금 수단 9 a, 9 b : 덮개 잠금 수단
10 : 케이스 함 11 : 케이스 본체
20 : 주벽 내면 21 : 바닥판 본체
22 : 지축 23 a, 23 b : 스프링 수용 오목(凹)부
24 : 플레이트 잠금 수단 유지구멍 25 : 덮개 부착 핀 구멍
26 : 나사 구멍 27a : 상단면
27b : 제1 단차부 27c : 중단면
27d : 제2 단차부 27e : 하단면
27f : 리브(Rib)부
28 a, 28 b : 단차 볼록(凸)부 삽입 구멍
29 a, 29 b : 위치 결정 볼록(凸)부 29c : 볼록(凸)부 측면
31 : 측부 32 : 미끄럼 중지 시트
41 : 테두리 본체 51 : 덮개 본체
71 : 곡선부 72 : 중지암
73 : 작용암 74 : 작용 단부
81 : 조작 버튼 82 : 탄성 수단
83 : 계지홈 91 : 계지 볼록(凸)편
91a : 볼록(凸)부 92 : 압축 용수철
93 : 누름 뚜껑 101 : 명함 취출구
240 : 바닥 310a : 제1 단차부
310b : 제2 단차부 311 : 외방 장변측 상단면
312 : 내방 장변측 상단면 313 : 단변측 상단면
314 : 오목한 곳 314 a, 314 b : 중단면
314c : 하단면 315 : 축지공
316 : 절결 317 : 계지홈 부착 돌기부
318 : 스프링 작용 단면 319 : 각부
410 : 공동부 411 : 외방 장변 프레임
412 : 내방 장변 프레임 413 : 제1 단변 프레임
414 : 제2 단변 프레임 415 : 조작 버튼 삽통공
415a : 대경부 415b : 단차 스톱퍼
415c : 소경부 416 a, 416 b : 부품 수용구멍
417 a, 417 b : 돌출구멍 418 : 나사구멍
419 a, 419 b : 단차 볼록(凸)부 420 : 지축두부접수구
421 a, 421 b : 절결 오목(凹)부 422 a, 422 b : 위치 결정 오목(凹)부
422c : 마주대하는 측면 510 : 상판부
511~514 : 주벽부 516 : 개폐축지공
517 : 계지구멍 518 : 조작 버튼 삽통공
52 a, 52 b, 52 c : 명함 압압 수단
521 : 스프링 522 : 부착판
523 : 나사 811 : 계지훅
812 : 대경부 813 : 단차부
814 : 소경부 815 : 꼭대기부
816 : 회전 중지 돌기부 m : 각 명함
M : 여러 장의 명함
Claims (8)
- 바닥판과 이 바닥판 위에 배치된 여러 장의 명함을 수용하는 명함 수용함으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상기 바닥판과 상기 명함 수용함과의 사이에 탄성수단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명함 취출구에서 외부로 그 일부가 출입가능하게 구성된 명함 취출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 설치되어 상기 명함 수용함의 상면을 덮는 덮개와, 이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명함 수용함 내에 수용된 명함을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 측으로 압압하는 명함 압압 수단과,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수용한 상태로 잠금하는 플레이트 잠금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를 열어서 상기 명함 수용함 내에 여러 장의 명함을 수용하여 덮개를 닫으면, 상기 명함이 상기 취출 플레이트 위에 얹어져 압압되고, 플레이트 잠금수단을 해제시키면 선회하는 취출 플레이트가 그 위에 얹어진 명함을 한 장씩 상기 케이스 본체의 명함 취출구에서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지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이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케이스 본체에 닫힘 상태로 잠금하는 덮개 잠금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지갑.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압압 수단은 상기 덮개의 상판부에 부착판을 끼워 설치한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지갑.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의 상면측의 전부 혹은 일부에는 미끄럼 중지용 시트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지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잠금수단을, 계지훅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조작버튼 삽통공에 축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버튼과, 상기 조작버튼 삽통공 내에 그 바닥부와 상기 조작버튼의 사이에 탄설된 상기 조작버튼을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접동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명함 취출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계지훅과 계합하는 계지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37481A JP5727750B2 (ja) | 2010-10-22 | 2010-10-22 | 名刺入れ |
JPJP-P-2010-237481 | 2010-10-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2646A KR20120042646A (ko) | 2012-05-03 |
KR101350659B1 true KR101350659B1 (ko) | 2014-01-10 |
Family
ID=4597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3270A KR101350659B1 (ko) | 2010-10-22 | 2011-09-16 | 명함지갑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985387B2 (ko) |
JP (1) | JP5727750B2 (ko) |
KR (1) | KR101350659B1 (ko) |
CN (1) | CN102452246B (ko) |
TW (1) | TWI47493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09866B (zh) * | 2013-01-15 | 2014-08-06 | 李观养 | 立式名片盒 |
CN103057304B (zh) * | 2013-01-15 | 2015-01-21 | 李观养 | 按键式名片盒 |
US9907375B1 (en) * | 2017-03-10 | 2018-03-06 | Michael William Kitchen | Electromagnetic shielding card case for contactless and chip and pin cards |
US10787308B1 (en) * | 2019-04-03 | 2020-09-29 | American Greetings Corporation | Gift card presentation device |
US11369186B1 (en) | 2019-07-16 | 2022-06-28 | Full Coverage Security Solutions, LLC | Credit card/identity card holder |
US11937673B2 (en) | 2021-04-05 | 2024-03-26 | Aaron BRYANT | Modular wallet assembl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19831U (ko) * | 1986-01-17 | 1987-07-30 | ||
KR200284157Y1 (ko) | 2002-04-02 | 2002-07-27 | 유재상 | 손수건 케이스 |
KR20090017997A (ko) * | 2007-08-16 | 2009-02-19 | 타이완 인더스트라이얼 패스트너 코포레이션 | 명함포켓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72051A (en) * | 1946-11-15 | 1949-05-31 | Gillette Safety Razor Co | Blade-dispensing container |
US3114475A (en) * | 1961-07-27 | 1963-12-17 | Newsomatic Corp | Vending machine |
JPS4950338U (ko) * | 1972-08-04 | 1974-05-02 | ||
US3827597A (en) * | 1973-03-05 | 1974-08-06 | Philip Morris Inc | Blade dispenser |
US4887739A (en) * | 1988-05-31 | 1989-12-19 | Parker Robert J | Business card dispenser |
JPH02132435U (ko) * | 1989-04-11 | 1990-11-02 | ||
JPH0466130U (ko) * | 1990-10-08 | 1992-06-10 | ||
CN2107380U (zh) * | 1991-11-16 | 1992-06-17 | 杨亚藩 | 名片盒 |
US5730319A (en) * | 1995-03-16 | 1998-03-24 | Michael J. Duly | Business card dispenser |
JP3084019B2 (ja) * | 1998-04-10 | 2000-09-04 | 良則 飯田 | カードケース |
US6796455B2 (en) * | 2001-11-08 | 2004-09-28 | Pacific Handy Cutter, Inc. | Blade dispenser assembly |
US7093736B2 (en) * | 2002-07-11 | 2006-08-22 |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 Alarmed tablet dispenser |
US7308771B2 (en) * | 2003-03-13 | 2007-12-18 | Harry Memelink | Card holder |
FR2894789B1 (fr) * | 2005-12-20 | 2008-02-22 |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 Dispositf de positionnement et de maintien d'une clef de secours |
CN201089273Y (zh) * | 2007-09-03 | 2008-07-23 |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 名片袋结构 |
US7946450B2 (en) * | 2008-04-25 | 2011-05-24 | R.J. Reynolds Tobacco Company | Dispensing container |
TWM360787U (en) * | 2008-12-31 | 2009-07-11 | Univ Far East | Rotary name card holder |
US8397912B1 (en) * | 2012-10-12 | 2013-03-19 | Good Year Hardware Co., Ltd. | Rotary toolbox |
-
2010
- 2010-10-22 JP JP2010237481A patent/JP572775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9-16 KR KR1020110093270A patent/KR1013506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0-05 US US13/253,729 patent/US898538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0-21 TW TW100138402A patent/TWI47493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0-21 CN CN201110322830.2A patent/CN10245224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19831U (ko) * | 1986-01-17 | 1987-07-30 | ||
KR200284157Y1 (ko) | 2002-04-02 | 2002-07-27 | 유재상 | 손수건 케이스 |
KR20090017997A (ko) * | 2007-08-16 | 2009-02-19 | 타이완 인더스트라이얼 패스트너 코포레이션 | 명함포켓 구조 |
KR101052665B1 (ko) | 2007-08-16 | 2011-07-28 | 타이완 인더스트라이얼 패스트너 코포레이션 | 명함포켓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217188A (en) | 2012-05-01 |
US8985387B2 (en) | 2015-03-24 |
CN102452246A (zh) | 2012-05-16 |
US20120097698A1 (en) | 2012-04-26 |
KR20120042646A (ko) | 2012-05-03 |
JP5727750B2 (ja) | 2015-06-03 |
TWI474936B (zh) | 2015-03-01 |
CN102452246B (zh) | 2014-12-31 |
JP2012086518A (ja) | 2012-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0659B1 (ko) | 명함지갑 | |
EP1557384A2 (en) | A printable media cassette | |
US10194689B2 (en) | Container | |
WO2011132754A1 (ja) | カップホルダ | |
KR101323666B1 (ko) | 휴대폰용 케이스 | |
KR101588222B1 (ko) | 휴대폰 케이스 | |
US20120234855A1 (en) | Business card case | |
KR200480724Y1 (ko) | 휴대폰 케이스 구조체 | |
US20080142540A1 (en) | Card-holding case with a dispensing hole | |
JP2006346230A (ja) | 遊技機 | |
JP4781683B2 (ja) | コンパクト容器 | |
KR20210087196A (ko) | 슬라이드 방식의 카드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
JP2012035517A (ja) | 名刺入れ | |
KR102339621B1 (ko) | 클립 방식의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
KR102092455B1 (ko) |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 |
JPS635542B2 (ko) | ||
JP5184133B2 (ja) | 遊技台用台間機のロック機構 | |
JP6979195B2 (ja) | 容器 | |
KR20090008741A (ko) | 금융자동화기기 | |
KR200461866Y1 (ko) | 담배 케이스 | |
JP2021026531A (ja) | 開閉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 |
KR100727930B1 (ko) | 인쇄기기의 미디어 카세트 | |
JP2000181168A (ja) | 画像形成装置の取手構造 | |
JP5465113B2 (ja) | 遊技媒体受入具 | |
JPH11334892A (ja) | 給紙カセッ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