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157Y1 - 손수건 케이스 - Google Patents

손수건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157Y1
KR200284157Y1 KR2020020009907U KR20020009907U KR200284157Y1 KR 200284157 Y1 KR200284157 Y1 KR 200284157Y1 KR 2020020009907 U KR2020020009907 U KR 2020020009907U KR 20020009907 U KR20020009907 U KR 20020009907U KR 200284157 Y1 KR200284157 Y1 KR 200284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kerchief
case
cover
simple wall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상
Original Assignee
유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상 filed Critical 유재상
Priority to KR2020020009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157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수건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거울(11)을 포함하는 덮개(10)와; 상기 덮개(10)와 연결되며, 손수건을 수용하는 공간인 대수납부(21)와, 대수납부(21) 일측에 형성되는 소수납부(22)를 갖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한 덮개(10)와 하부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는 간이벽(30)과; 상기한 덮개(10), 하부케이스(20) 그리고 간이벽(30)을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간이벽(30)은 명함을 수용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오목부(31)와, 오목부(31)의 하측에 형성되는 커버부(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소수납부(22)는 그 상하 중 어느 한쪽에 탄성수단(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수건 케이스{handkerchief case}
본 고안은 손수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손수건에 대한 별도의 수납 케이스가 없어서 일반적으로 호주머니 또는 여성의 경우, 핸드백이나 가방 등에 보관하여 가지고 다녔었다.
이 경우, 손수건이 쉽게 때가 타서 더럽혀지며, 또한 손수건을 사용하여서 손수건이 더럽혀진 경우에도 이를 주머니나 가방 등에 다른 물건 들과 함께 보관하므로 꺼림직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한 손수건을 핸드백이나 주머니에 다른 물건과 함께 보관하면 손수건 외의다른 물건에서 나오는 냄새가 베어서 손수건을 사용시 불쾌감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손수건 케이스가 200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7818 호로 나와 있다.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손수건 케이스는 향기가 방향되게 케이스가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거울이 내장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손수건 케이스의 기능을 새롭게 개선한 것으로 내부에 향수 용기 또는 라이타 등을 내장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명함등과 같은 생활상 필요한 물품도 간편히 내장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고 또 손수건과 거울이 바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토록하여 거울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수건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를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간이벽(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의 하부케이스(20)를 상면에서 내려다 본 평면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상기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내부에 거울(11)을 포함하는 덮개(10)와; 상기 덮개(10)와 연결되며, 손수건을 수용하는 공간인 대수납부(21)와, 대수납부(21) 일측에 형성되는 소수납부(22)를 갖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한 덮개(10)와 하부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는 간이벽(30)과; 상기한 덮개(10), 하부케이스(20) 그리고 간이벽(30)을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간이벽(30)은 명함을 수용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오목부(31)와, 오목부(31)의 하측에 형성되는 커버부(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소수납부(22)는 그 상하 중 어느 한쪽에 탄성수단(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소수납부(22)는 손수건케이스의 바깥 위치에 형성시킨 개폐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과 특징 외의 다른 목적 및 특징과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는 덮개(10)와 하부케이스(20)로 이루어 지고, 그 사이에 간이벽(30)이 형성된다. 이 3 부재는 힌지(40)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힌지(40)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덮개(10)에는 거울(11)이 설치되며, 간이벽(30)에는 다소 넓은 오목부(31)를 형성한다.
오목부(31)는 명함 등을 최소한 3 장 이상 넣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시킨다. 도 2 는 간이벽(30)의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간이벽(30)의 오목부(31) 아래쪽엔 커버부(32)를 형성시킨다. 이 커버부(32)는 명함 등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는 보호 커버 역할을 한다.
하부케이스(20)는 다소 큰 공간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대수납부(21)와 그 일측으로 다소 작은 공간으로 형성되는 소수납부(22)로 이루어 진다.
대수납부(21)에는 손수건을 접어서 수납시키고 소수납부(22)에는 스프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형 향수(23)를 또는 라이타 등을 내장시킬 수 있다 .
소수납부(22)의 상하 중 어느 한쪽엔 스프링등의 탄성수단(24)이 지지대25)와 일체로 형성되어 향수(23) 등을 탄성적으로 고정시킨다.
지지대(25)가 없이 그냥 탄성수단(24)만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수건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도 향수(23) 등을 꺼낼 수 있게 구성하였다.
예들들어, 개폐구(26)를 케이스의 외주에 형성시키되 슬라이드식으로 구성하여 개폐구(26)를 열고 꺼낼 수 있다. 이 경우 향수(23)가 삽입되는 내부 통공의 저부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24)이 내장되어 있어서 개폐구(26)를 열면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구성한다.
여기서 개폐구(26)는 여러 형태로 구성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한 지점을 힌지점으로 하여 개폐구(26)를 힌지식으로 개폐하여 개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예 역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라 할 수있다
또는, 다른 구성예로, 개폐구(26)가 필요 없이 향수나 라이타 등을 그냥 압입식으로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사용 예를 이하, 설명한다.
먼저, 손수건은 적당히 접어서 대수납부(21)에 넣어 둔다
그리고 소수납부(22)엔, 예들들어 소형 향수(23) 용기의 바닥을 지지대(25)에 대고 눌러서 밀어 넣으면 소수납부(22) 내에 덜거럭 거림 없이 고정된다. 이 향수(23)는 손수건 케이스와 함께 내장하여 판매 할 수도 있다
또한 손수건도 손수건 케이스 내에 넣어서 세트로 판매할 수 있다.
향수는 손수건과 어울리는 것이므로 향수를 수납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라이타 등과 같이 다른 물건도 내장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간이벽(30)에 형성한 오목부31)에는 명함 등을 내장시켜 둔다
명함을 별도로 보관하는 케이스 등이 있기는 명함보관케이스를 항상 챙기는 것도 번거롭고 또 옷을 자주 갈아 입기 때문에 항상 가지고 다니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실상 명함은 여러장을 한꺼번에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목부(31)가 지나치게 깊을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대방으로 부터 명함을 받을때 아무곳에 보관하는 것보다 임시로 이 간이벽(30)으로 이루어 지는 명함보관부에 넣어 두면 편리하고, 또 주는 사람에게도 자신의 명함을 소중하게 여긴다고 보여질 수 있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손수건을 사용한 후 손수건이 더럽혀 졌을 경우, 간이벽(30)으로 인하여 더럽혀진 손수건이 거울(11)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거울(11)을 항상 깨끗이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여러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들들어 손수건 케이스의 형상을 직사각 형태가 아닌 타원형이나 정사각형 등을 구성할 수 있고 또 대수납부(21)와 소수납부(22)의 형성 위치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손수건 케이스의 기능 외에 추가로 명함보관 케이스 역할도 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주머니나 가방에 가지고 다니는 별도의 향수 용기나 라이타 등을 본 케이스에 수용하여 둘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거울을 사용 가능하고, 손수건을 향수에 뭍혀서 사용할 수도 있고 또 손수건은 거울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사용한 손수건으로 인해 거울이 오염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으로 부터 명함 등을 받을 때, 아무 주머니나 수첩에 보관하지 않고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에 보관하면, 상대방의 명함을 소중히 보관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상대방으로 부터 매우 호감을 줄 수 있어 비즈니스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사람 등을 많이 만나는 직업인 들에게 있어서는 항상 소지하여야 하는 물품들을 본 케이스 하나에 전부 내장시킬 수 있어, 명함과, 손수건과, 라이타 또는 향수용기 등을 각각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또 그렇게 각각 챙기다가 누락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생활 용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거울(11)을 포함하는 덮개(10)와;
    상기 덮개(10)와 연결되며, 손수건을 수용하는 공간인 대수납부(21)와, 대수납부(21) 일측에 형성되는 소수납부(22)를 갖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한 덮개(10)와 하부케이스(20) 사이에 설치되는 간이벽(30)과;
    상기한 덮개(10), 하부케이스(20) 그리고 간이벽(30)을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간이벽(30)은 명함을 수용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오목부(31)와, 오목부(31)의 하측에 형성되는 커버부(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납부(22)는 그 상하 중 어느 한쪽에 탄성수단(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납부(22)는 손수건케이스의 바깥 위치에 형성시킨 개폐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KR2020020009907U 2002-04-02 2002-04-02 손수건 케이스 KR200284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907U KR200284157Y1 (ko) 2002-04-02 2002-04-02 손수건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907U KR200284157Y1 (ko) 2002-04-02 2002-04-02 손수건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157Y1 true KR200284157Y1 (ko) 2002-07-27

Family

ID=7307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907U KR200284157Y1 (ko) 2002-04-02 2002-04-02 손수건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659B1 (ko) 2010-10-22 2014-01-10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명함지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659B1 (ko) 2010-10-22 2014-01-10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명함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0914A (en) Portable lap office assembly having internal desktop writing surface
USD456954S1 (en) Make-up packaging
KR200284157Y1 (ko) 손수건 케이스
KR200231463Y1 (ko) 화장 및 손톱소제용구 보관함
WO2003092430A1 (en) Interior storage structure for bags
KR200369903Y1 (ko) 화장품 용기
KR200286469Y1 (ko) 손수건 케이스
KR200260070Y1 (ko) 인덱스 클리어 파일
KR200378800Y1 (ko) 분리 휴대가 가능한 손가방
KR200404516Y1 (ko) 다용도 휴대용 화장지 지갑
KR20100055805A (ko) 다중안경케이스
KR200172164Y1 (ko) 담배케이스
JP3062992U (ja) 入院用バッグ
KR200197513Y1 (ko) 화장품 용기
US6050418A (en) Portable cosmetic case
JP3118536U6 (ja) 金属ケース
JP3118536U (ja) 金属ケース
JP3025210U (ja) 衣服のポケット
KR200229202Y1 (ko) 필통
KR200249576Y1 (ko) 휴대용 이중 케이스
KR200229159Y1 (ko) 노트북 컴퓨터용 가방
KR200370393Y1 (ko) 핸드폰 케이스가 구비된 가방
JP2001095620A (ja) 油とり紙収納部を有するコンパクトケース
KR0113683Y1 (ko) 열쇠수납공간을 가진 지갑
KR200279010Y1 (ko)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