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69Y1 - 손수건 케이스 - Google Patents

손수건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69Y1
KR200286469Y1 KR2020020007818U KR20020007818U KR200286469Y1 KR 200286469 Y1 KR200286469 Y1 KR 200286469Y1 KR 2020020007818 U KR2020020007818 U KR 2020020007818U KR 20020007818 U KR20020007818 U KR 20020007818U KR 200286469 Y1 KR200286469 Y1 KR 200286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wer case
case
handkerchief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상
Original Assignee
유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상 filed Critical 유재상
Priority to KR2020020007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69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수건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거울을 포함하는 덮개(1)와; 상기 덮개(1)와 연결되는 하부케이스(2)와; 상기한 덮개(1)와 하부케이스(2)를 연결하는 힌지부(3)와; 상기한 힌지부(3)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덮개(1)와 하부케이스(2)를 결합시키는 체결부(5)와; 상기한 덮개(1) 또는 하부케이스(2)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방향구(20)를 포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덮개(1)에는 방향구(20)를 설치하되, 그 방향구(20)는 뚜껑(21)과, 뚜껑(21)의 내부에 내장되는 방향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방향구(20)는, 내경에 암나사부(28)를 형성한 축(27)를 갖는 결합체(26)와, 상기한 덮개(11)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한 암나사부(28)와 결합되는 나사(25)와, 상기 나사(25)에 끼워지는 방향부재(23)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하부케이스(2)에는 통공(6)을 형성시키고, 그 통공(6)의 하부로는 방향부재(23) 및 커버(2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하부케이스(2) 또는 덮개(1)의 어느 한 곳에는 통공(32)과, 음향부(34)와, 덮개(33)로 이루어 지는 음향발생부(3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수건 케이스{handkerchief case}
본 고안은 손수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손수건에 대한 별도의 수납 케이스가 없어서 일반적으로 호주머니 또는 여성의 경우, 핸드백이나 가방 등에 보관하여 가지고 다녔었다.
이 경우, 손수건이 쉽게 때가 타서 더럽혀지며, 또한 손수건을 사용하여 더럽혀진 경우에도 이를 주머니나 가방 등에 다른 물건 들과 함께 보관하므로 꺼림직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한 손수건을 핸드백이나 주머니에 다른 물건과 함께 보관하면 손수건 외의 다른 물건에서 나오는 냄새가 베어서 손수건을 사용시 불쾌감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별도의 손수건 케이스를 구성하여 이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음향까지 나오게 하여 사용시 유쾌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구(20)에 대한 사용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구의 다른 구성예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음향발생구를 추가한 구성예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덮개에 음향부(34)를 내장한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 구성도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내부에 거울을 포함하는 덮개(1)와; 상기 덮개(1)와 연결되는 하부케이스(2)와; 상기한 덮개(1)와 하부케이스(2)를 연결하는 힌지부(3)와; 상기한 힌지부(3)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덮개(1)와 하부케이스(2)를 결합시키는 체결부(5)와; 상기한 덮개(1) 또는 하부케이스(2)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방향구(20)를 포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덮개(1)에는 방향구(20)를 설치하되, 그 방향구(20)는 뚜껑(21)과, 뚜껑(21)의 내부에 내장되는 방향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방향구(20)는, 내경에 암나사부(28)를 형성한 축(27)를 갖는 결합체(26)와, 상기한 덮개(11)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한 암나사부(28)와 결합되는 나사(25)와, 상기 나사(25)에 끼워지는 방향부재(23)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하부케이스(2)에는 통공(6)을 형성시키고, 그 통공(6)의 하부로는 방향부재(23) 및 커버(2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하부케이스(2) 또는 덮개(1)의 어느 한 곳에는 통공(32)과, 음향부(34)와, 덮개(33)로 이루어 지는 음향발생부(3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수건 케이스는 덮개(1)와 하부케이스(2)로 이루어지고 이는 힌지부(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덮개(1)에는 거울(4)을 부착 설치하였다. 덮개(1)는 그 내부가 전체적으로 약간 오목한 형상으로 만든다. 즉 덮개(1)의 외벽(7)이 약간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하부케이스(2) 역시 전체적으로 약간 오목한 공간으로 형성되어 이곳에 손수건을 임의 접어서 수용할 수 있게 하였다
비록 도면에서는 개략 정사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직사각, 원형, 타원형 등등의 여러 다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케이스(2)의 한 부위엔 선택적으로 통공(6)을 더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부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시켰다
덮개(1)와 하부케이스(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수단, 예들들어, 덮개(1)엔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2)엔 홈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체결부(5)가 형성된다.
도 2 는 덮개(1)를 덮은 상태에서 일부 절개하여 본 일부 단면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의 상부면엔 방향구(20)를 일체로 형성시켰다
방향구(20)는 홈(22)을 갖는 뚜껑(21)에 의하여 덮혀 있으며 그 내부엔 방향 부재(23)가 수용되어 있다
도 3 은 그 사용 예들 보여주고 있다
뚜껑(21)의 홈(22)에 손가락 끝 등을 이용하여 제껴서 열면 그 내부에 방향부재(23)가 내장되어 있다. 방향부재(23)는 교체 가능하다
또한 하부케이스(2) 바닥에도 방향부재(23)를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는 선택적인 것으로 반드시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방향부재(23)의 상면은 통공(6)과 대면하여 하부케이스(2) 내면에 보관되어 있는 손수건 등에 향수 냄새가 은은히 베어나올 수 있게 한다. 방향부재(23)의 저면은 커버(24)로 덮어 두며, 마찬가지로 이 방향부재(23)는 커버(24)의 착탈에 의하여 교체 할 수 있다
상기한 방향부재(23)는 예들들어, 향수를 포함하는 스펀지나 코르크 등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방향구(2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구(20)를 덮개(1)의 상부에 형성시키되 나사식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덮개(1)의 상면의 일부를 돌출된 나사(25)로 형성시키고 이와 결합되는 결합체(26)는 그 중심을 축(27)으로 형성하여 그 축(27) 내부를 암나사부(28)를 형성하여 결합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나사(25)의 외주로는 방향부재(23)가 끼워지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결합체(26)를 돌려서 방향부재(23)의 방향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하고, 또한 방향부재(23)를 갈아 끼울수 있도록 하였다
도 5 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부(30)를 더 형성시켰다
음향발생부(30)는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하부케이스(2)에 형성시키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통공(31)을 형성시켜서 이 통공을 통하여 음향이 나오도록 한다.
통공(31)은 반대로 덮개에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은 덮개에 음향발생부를 내장한 것으로, 그 내부 구조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음향부(34)를 내장하여 별도의 뚜껑 역할을 하는 덮개(33)로 고정할 수 있다
이 음향부(34)는 이미 널리 알려진 멜로디 기능을 갖는 메모리칩과 기판과 밧데리를 포함하며, 이는 도 1에 도시한 체결부(5)와 연결되어 체결부(5)의 개방과 함께 음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은 이미 다른 물품 예들들어 선물용품 등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부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 특히 각 구성의 설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들 각 부품들은 덮개(1) 및 하부케이스(2)의 어느 위치에든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손수건 케이스를 열면 향기와 함께 아름다운 멜로디가 나오게 되므로 매우 즐겁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수건 케이스에서 은은한 향기가 조절 가능하게 나오므로 이 손수건 케이스를 수용하는 가방이나 주머니에서도 향기가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하부케이스(2)에 구성한 방향부재(23)에 의하여 손수건 자체에도 향기가 항상 베어 있어 유쾌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방향부재 등은 교체가 가능하므로 장기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내부에 거울을 포함하는 덮개(1)와;
    상기 덮개(1)와 연결되는 하부케이스(2)와;
    상기한 덮개(1)와 하부케이스(2)를 연결하는 힌지부(3)와;
    상기한 힌지부(3)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덮개(1)와 하부케이스(2)를 결합시키는 체결부(5)와;
    상기한 덮개(1) 또는 하부케이스(2)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방향구(20)를 포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1)에는 방향구(20)를 설치하되, 그 방향구(20)는 뚜껑(21)과, 뚜껑(21)의 내부에 내장되는 방향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방향구(20)는, 내경에 암나사부(28)를 형성한 축(27)를 갖는 결합체(26)와, 상기한 덮개(1)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한 암나사부(28)와 결합되는 나사(25)와, 상기 나사(25)에 끼워지는 방향부재(23)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케이스(2)에는 통공(6)을 형성시키고, 그 통공(6)의 하부로는 방향부재(23) 및 커버(2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케이스(2) 또는 덮개(1)의 어느 한 곳에는 통공(32)과, 음향부(34)와, 덮개(33)로 이루어 지는 음향발생부(3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 케이스
KR2020020007818U 2002-03-16 2002-03-16 손수건 케이스 KR200286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818U KR200286469Y1 (ko) 2002-03-16 2002-03-16 손수건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818U KR200286469Y1 (ko) 2002-03-16 2002-03-16 손수건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69Y1 true KR200286469Y1 (ko) 2002-08-22

Family

ID=7311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818U KR200286469Y1 (ko) 2002-03-16 2002-03-16 손수건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61Y1 (ko) * 2010-10-15 2011-05-13 어윤하 향기나는 명함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61Y1 (ko) * 2010-10-15 2011-05-13 어윤하 향기나는 명함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57687S1 (en) Cosmetics case
USD453070S1 (en) Handbag
USD457113S1 (en) Lock construction
USD457812S1 (en) Clock
USD389362S (en) Beach towel with head rest storage device
USD453624S1 (en) Tool box with compartment for a level
USD467274S1 (en) Container top writing instrument
USD424749S (en) Container for cosmetics
USD418368S (en) Cup
USD410778S (en) Compartment structure of bottle case
USD467038S1 (en) Lipstick case
KR200286469Y1 (ko) 손수건 케이스
USD401405S (en) Toiletry container
USD454686S1 (en) Eyeglass case
USD527674S1 (en) Incense kit
USD435896S1 (en) Scent wick dispenser
USD431353S (en) Soft body medical instrument case
USD472464S1 (en) Storage case
USD513720S1 (en) Vehicle
USD459541S1 (en) Shotgun shell cigarette lighter
USD491314S1 (en) Cosmetic container
USD434511S (en) Candle holder of integral plastic construction
USD450763S1 (en) Portion of a book with maraca implanted therein
KR20160057110A (ko) 발향 액세서리
USD471454S1 (en) Ornamental li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