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628B1 -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628B1
KR101350628B1 KR1020080028432A KR20080028432A KR101350628B1 KR 101350628 B1 KR101350628 B1 KR 101350628B1 KR 1020080028432 A KR1020080028432 A KR 1020080028432A KR 20080028432 A KR20080028432 A KR 20080028432A KR 101350628 B1 KR101350628 B1 KR 10135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ack beam
cover
bumper co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075A (ko
Inventor
이승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62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충돌사고시 범퍼로 충격이 가해질 때 범퍼 내부의 구조물에 의해 범퍼 상부면이 위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범퍼 상부에 위치하는 타 물품이 2차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범퍼백빔과, 상기 범퍼백빔을 외부에서 커버하는 범퍼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범퍼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범퍼커버의 상부가 위로 돌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면과 결합되면서 충격을 받으면 타단이 상기 범퍼백빔 내부로 삽입되는 베이스부;
상기 범퍼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마운팅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자동차, 범퍼, 범버백빔, 범퍼커버, 테일게이트,

Description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Apparatus for Anti-Projection of Upper Area in Automobile Bumper}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충돌사고시 범퍼로 충격이 가해질 때 범퍼 내부의 구조물에 의해 범퍼 상부면이 위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범퍼 상부에 위치하는 타 물품이 2차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범퍼가 차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범퍼는 통상적으로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범퍼커버와,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에 위치되어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에너지업소버와, 상기 에너지업소버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범퍼백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범퍼커버를 통해 전달된 충격이 에너지업소버에서 1차로 흡수되고, 나머지 충격은 범퍼백빔에 전달되어 흡수됨과 동시에 차체로 분산된다.
도1은 종래 자동차용 범퍼와 그 주변 구조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종래 자동차용 범퍼에 충격이 가해질 때 범퍼가 변형되는 모습을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에서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먼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용 범퍼는 크게 범퍼백빔(10)과 범퍼커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범퍼백빔(10)은 차체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범퍼커버(20)의 외부에서 전달된 충격에너지를 차체로 분산시키는 프레임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범퍼커버(20)는 상기 범퍼백빔(1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범퍼백빔(10)을 감싸서 커버하는 것으로, 상기 범퍼커버(20)는 통상적으로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범퍼커버(20)는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부면에서 전방면을 거쳐 하부면에 이르기까지 감싸서 범퍼백빔(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외관이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면에는 각종의 주변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전방범퍼의 경우에는 범퍼커버(20)의 상부로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헤드램프가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범퍼의 경우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1은 이 중에서 일례로 후방범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서와 같이 범퍼커버(20)의 상부로 테일게이트(3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에는 상기 테일게이트(30)를 열고 차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 갈 수 있도록 스텝커버(21)가 설치된다.
상기 스텝커버(21)는 사용자가 차실 내부로 들어갈 때 밟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후방범퍼의 범퍼커버(20) 상부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치구조를 갖는 범퍼에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한 외력이 가해지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퍼커버(20)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방향인 범퍼백빔(10) 쪽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면은 압축이 이루어진다.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면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그 범퍼커버(20)의 상부면은 위로 돌출되는 변형을 일으키며 그 주변 구조물에 2차 손상을 가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범퍼인 경우, 범퍼커버(20)의 상부면이 돌출되면서 테일게이트(30)와 같은 주변 구조물에 충돌되어 테일게이트(30)가 손상되는 불필요한 손해를 가하게 되고, 전방범퍼의 경우에는 범퍼커버(20)의 상부면이 돌출되면서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헤드램프와 같은 주변 구조물에 충돌되어 라디에이터 그릴 또는 헤드램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범퍼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범퍼커버의 상부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범퍼커 버 상부에 배치되는 주변 구조물이 2차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범퍼백빔과, 상기 범퍼백빔을 외부에서 커버하는 범퍼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범퍼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범퍼커버의 상부가 위로 돌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면과 결합되면서 충격을 받으면 타단이 상기 범퍼백빔 내부로 삽입되는 베이스부;
상기 범퍼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마운팅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범퍼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범퍼백빔과 상기 범퍼커버 사이에 위치되면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범퍼백빔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범퍼백빔 내부로 삽입되는 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범퍼커버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범퍼백빔 내부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상기 마운팅부를 하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띠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충돌하여 범퍼에 충격이 가해져도 범퍼의 상부가 하방으로 함몰되는바, 범퍼 상부에 배치된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헤드램프, 테일게이트와 같은 주변 구조물이 변형되는 범퍼에 의해 2차로 손상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완전하게 해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이 설치된 범퍼커버가 범퍼백빔에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조립전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이 설치된 범퍼커버가 범퍼백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후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에 충격이 가해질 때 범퍼커버(20)의 상부가 위로 돌출되는 형태의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범퍼에 설 치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범퍼는 종래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범퍼백빔(10)과, 상기 범퍼백빔(10)을 외부에서 커버하는 범퍼커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에는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헤드램프(전방범퍼의 경우)와 같은 주변 구조물, 또는 테일게이트(30)(후방범퍼의 경우)와 같은 주변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하여 후방범퍼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후방범퍼에만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전방범퍼에 설치되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에 테일게이트(3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에 스텝커버(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본 발명은 크게 베이스부(110)와 마운팅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베이스부(110)는 일단이 상기 범퍼커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면서 상기 범퍼커버(20)의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을 전달받으면 타단이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범퍼백빔(10)에는 상기 베이스부(11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관통공(11)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다시 삽입부(111)와 유도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삽입부(111)는 상기 범퍼커버(2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삽입되는 부위로 그 형태는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핀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도부(112)는 상기 삽입부(111)와 연결되어 상기 범퍼백빔(10)과 상기 범퍼커버(20) 사이에 위치되는 부위로, 상기 범퍼커버(20)에 충격이 가해지면 후술하게 될 연결부(130)가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위이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112)는 상기 범퍼커버(20)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유도부(112)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유도부(112)가 있는 범퍼커버(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유도부(112)의 중심선상에 해당하는 정위치로 항상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도부(112)의 중심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서도 충격이 얼마든지 가해질 수 있는데 이때에도 상기 유도부(112)가 상기 범퍼백빔(10) 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방향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22)에는 마운팅부(120)가 고정 결합되는데, 상기 마운팅부(120)는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22)가 하방으로 용이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상기 범퍼커버(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부(120)는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22) 중에서도 내측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구조상으로나 외관상으로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마운팅부(12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부(130)가 마련되는데,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가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상기 마운팅부(120)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22)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아래로 함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유도부(112)가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될 때 함께 삽입되어야 하므로, 그 형상의 변형이 비교적 자유로워야 하지만, 그 길이방향으로의 변형은 가급적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연결부(130)는 쉽게 구부러지되 길이방향으로는 힘 전달이 용이하여 상기 마운팅부(120)를 잡아 당길 수 있어야 하므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band)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띠(131) 형태의 연결부(130)에는 상기 베이스부(110) 및 마운팅부(120)와 볼트 체결이나 리벳체결 등과 같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결공(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132)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132)의 양단에도 베이스부(110) 및 마운팅부(12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공(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연결부(130)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면 와이어의 특성상 쉽게 구부러지는 벤딩변형률이 크면서도 길이방향으로의 신장변형은 거의 없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후방범퍼의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후방범퍼의 경우에는 범퍼커버(20)의 상부에 통상 테일게이트(30)가 배치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30)를 통해 차실 내부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에 스텝커버(2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범퍼커버(20)에 충격이 가해지면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0)의 유도부(112)가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되면서 그와 함께 상기 연결부(130)가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되면 연결부(130)에 연결되어 있던 상기 마운팅부(120)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마운팅부(120)에 결합되어 있던 범퍼커버(20) 상부와 스텝커버(21)가 아래로 함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범퍼커버(20) 상부와 스텝커버(21)가 함몰되므로 범퍼커버(20)에 충격이 가해져도 종래와 같이 범퍼커버(20) 상부에 있는 주변 구조물이 2차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종래 자동차용 범퍼와 그 주변 구조물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자동차용 범퍼에 충격이 가해질 때 범퍼가 변형되는 모습을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에서 나타낸 작용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이 설치된 범퍼커버가 범퍼백빔에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조립전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이 설치된 범퍼커버가 범퍼백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범퍼백빔 11 : 관통공
20 : 범퍼커버 21 : 스텝커버
30 : 테일게이트 110 : 베이스부
111 : 삽입부 112 : 유도부
120 : 마운팅부 130 : 연결부
131 : 띠(band) 132 : 와이어

Claims (5)

  1. 범퍼백빔(10)과, 상기 범퍼백빔(10)을 외부에서 커버하는 범퍼커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범퍼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가 위로 돌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범퍼커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면서 충격을 받으면 타단이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범퍼커버(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부(120);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마운팅부(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 범퍼커버(2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삽입되는 삽입부(111)와,
    상기 삽입부(111)와 연결되어 상기 범퍼백빔(10)과 상기 범퍼커버(20) 사이에 위치되면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1)는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되는 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부(112)는 상기 범퍼커버(20)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 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방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가 상기 범퍼백빔(10) 내부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상기 마운팅부(120)를 하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방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0)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방지장치.
KR1020080028432A 2008-03-27 2008-03-27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 KR10135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432A KR101350628B1 (ko) 2008-03-27 2008-03-27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432A KR101350628B1 (ko) 2008-03-27 2008-03-27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075A KR20090103075A (ko) 2009-10-01
KR101350628B1 true KR101350628B1 (ko) 2014-01-10

Family

ID=4153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432A KR101350628B1 (ko) 2008-03-27 2008-03-27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6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989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의 충격완화용 범퍼 장치
US20040080167A1 (en) 2002-03-08 2004-04-29 Compagnie Plastic Omnium Energy absorber for interposing between a rigid beam and a bumper skin, and an energy-absorbing assembly
KR20040043572A (ko) * 2002-11-19 2004-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결합구조
KR20060100033A (ko) * 2005-03-16 2006-09-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989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의 충격완화용 범퍼 장치
US20040080167A1 (en) 2002-03-08 2004-04-29 Compagnie Plastic Omnium Energy absorber for interposing between a rigid beam and a bumper skin, and an energy-absorbing assembly
KR20040043572A (ko) * 2002-11-19 2004-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결합구조
KR20060100033A (ko) * 2005-03-16 2006-09-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075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3469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6612644B2 (en) Fender for automobiles
US759734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curtain airbag
KR100506923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KR101350628B1 (ko) 자동차 범퍼용 상부돌출 방지장치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JP2006044312A (ja) 車体前部構造
JP4852074B2 (ja) 車体前部構造
KR20050117296A (ko) 차량용 범퍼 빔
JP6558384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4725838B2 (ja) 内装トリム構造
KR101124981B1 (ko) 자동차용 후드 스트라이커
KR20110023347A (ko) 자동차용 범퍼 페시아
KR100921123B1 (ko) 보행자 보호용 후드
KR10059868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가스리프터 장착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200172334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마운팅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JPH05162594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JP2004268838A (ja) 車両のカウルパネル構造
KR101593077B1 (ko) 에어백의 지지 조립체
KR100427765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카울판넬구조
KR100757152B1 (ko) 차량용 루프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트 장치
KR19990041202U (ko) 자동차의 언더 커버 체결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200148110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멤버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