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368B1 - 배선용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차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0368B1 KR101350368B1 KR1020120112542A KR20120112542A KR101350368B1 KR 101350368 B1 KR101350368 B1 KR 101350368B1 KR 1020120112542 A KR1020120112542 A KR 1020120112542A KR 20120112542 A KR20120112542 A KR 20120112542A KR 101350368 B1 KR101350368 B1 KR 101350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ip
- mold case
- alarm
- contact opening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8—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having provisions for interchangeable or replaceable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63—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lunger type arm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 또는 단락 등의 이상상태 발생시 부하기기의 전로를 자동 차단하게 된 트립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경보스위치의 분해조립이 수월하도록 한 배선용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 몰드케이스; 상기 몰드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접점을 ON/OFF시키게 된 접점개폐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채로, 접점 개폐시 발생한 아크를 방전시키는 소호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과도전류나 단락전류에 응답해 상기 접점개폐장치를 작동시키되, 부하기기의 전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자를 통해 유입된 전류에 의해 자화되는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을 둘러 감싼 상태로 이상전류로부터 자계를 발생시키게 된 나선형 코일과, 상기 마그네틱의 자화시 상호 접합하는 흡인작용을 이루게 된 "ㄱ"자형 트립편과, 상기 트립편 흡인작용시의 간섭에 의해 수평 이동을 하는 이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트립장치; 및,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접점개폐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폐토록 한 경보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 몰드케이스; 상기 몰드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접점을 ON/OFF시키게 된 접점개폐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채로, 접점 개폐시 발생한 아크를 방전시키는 소호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과도전류나 단락전류에 응답해 상기 접점개폐장치를 작동시키되, 부하기기의 전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자를 통해 유입된 전류에 의해 자화되는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을 둘러 감싼 상태로 이상전류로부터 자계를 발생시키게 된 나선형 코일과, 상기 마그네틱의 자화시 상호 접합하는 흡인작용을 이루게 된 "ㄱ"자형 트립편과, 상기 트립편 흡인작용시의 간섭에 의해 수평 이동을 하는 이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트립장치; 및,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접점개폐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폐토록 한 경보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용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 또는 단락 등의 이상상태 발생시 부하기기의 전로를 자동 차단하게 된 트립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경보스위치의 분해조립이 수월하도록 한 배선용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 600V, 직류 500V 이하의 저압 옥내 전로의 보호를 위해, 회로의 수동개폐는 물론 단락 고장 등의 이상상태에서는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토록 설계된 배선용차단기(配線用遮斷器,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MCCB)를 주로 사용한다.
한편, 최근의 무정전 전원장치(無停電電源裝置,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UPS)나 사무자동화(Office Automation : OA) 도입에 의해, 단락사고가 있다면 순시에 차단하여 전로를 보호하는 차단기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과도전류(過渡電流, Transient current) 또는 단락전류(短絡電流, Short-circuit current)의 감지(발생)시 사전 경보 기능을 하는 차단기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0958988호 등을 통해, 누전 트립 유닛의 주요부품을 전용(轉用)하여, 과전류 또는 단락 등의 이상상태를 자동으로 경보하도록 된 누전 경보 부착 배선용 차단기(이하 "배선용차단기"라 함)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접점개폐장치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게 된 트립장치 구성에 필요한 부품수가 많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한 관계로, 각 부품들의 생산 및 이들 부품들의 조립결합에 상당한 작업성을 필요로 함은 물론이거니와 이로 인한 제조기간의 지연 및 생산성 결여의 문제점을 초래해 왔다.
또한, 이상상태의 사전 경보에 필요한 경보스위치의 하우징이 단일 구조체로 이루어진 관계로 인해, 그 내부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칭을 위한 푸시레버 그리고 상기 푸시레버의 복원작용을 위한 탄성스프링을 동시에 연계시키는 조립공정은 물론이거니와 차후 리미트스위치 등과 같은 주요부품의 교환작업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그네틱과 코일 및 트립편만으로 트립장치를 구성하여, 필요한 부품수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생산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선용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미트스위치 내장용 메인하우징 및 푸시레버 내장용 베이스하우징으로 경보스위치의 하우징을 분리 구성하여, 주요부품의 분해조립을 수월히 하면서도 베이스하우징의 단순 교체만으로도 각종 배선용차단기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용차단기용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형 몰드케이스; 상기 몰드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접점을 ON/OFF시키게 된 접점개폐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채로, 접점 개폐시 발생한 아크를 방전시키는 소호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과도전류나 단락전류에 응답해 상기 접점개폐장치를 작동시키되, 부하기기의 전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자를 통해 유입된 전류에 의해 자화되는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을 둘러 감싼 상태로 이상전류로부터 자계를 발생시키게 된 나선형 코일과, 상기 마그네틱의 자화시 상호 접합하는 흡인작용을 이루게 된 "ㄱ"자형 트립편과, 상기 트립편 흡인작용시의 간섭에 의해 수평 이동을 하는 이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트립장치; 및,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접점개폐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폐토록 한 경보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드케이스에는, 상기 접점개폐장치와 상기 소호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의 내재수용을 위한 제1설치공간부와, 상기 경보스위치의 내재수용을 위한 제2설치공간부가 각각 별도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경보스위치는, 이상상태 사전 경보를 위해 액추에이터에 의한 다수 단자의 개로 및 폐로가 가능케 된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단부에 연계배치된 채로, 상기 접점개폐장치와 상기 트립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ON/OFF시키게 된 푸시레버와,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몰드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푸시레버를 내장한 채, 상기 메인하우징 하부에 조립되는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푸시레버는, 단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공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상기 액추에이터 푸싱을 위해 회동작용케 된 누름편부 및 상기 접점개폐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 작동시의 마찰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편부를 회동시키는 마찰편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점개폐장치 작동 외력의 소멸시, 상기 누름편부를 밀어올리는 상기 액추에이터 가압의 지속을 통해 상기 경보장치의 전로가 개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조립결합 및 상기 경보장치의 전로를 상기 단자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단이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전,후방 근접 외측부에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한 제1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벽의 양단부 상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단차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푸시레버를 내재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 조립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편이 일측 선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푸시레버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된 제2구획벽이 상기 조립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편이 상기 제2구획벽의 일측 끝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푸시레버의 축공에 삽입되어 축결합하는 중심축이 상기 제2구획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대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배선용차단기는, 접점개폐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트립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함을 통해, 몰드케이스의 구조변경이 용이토록 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제품 소형화를 통한 제조비용 절감 및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이상상태의 사전 경보에 필요한 경보스위치 하우징의 분리형 구조 달성을 통해, 주요부품 조립공정의 수월함은 물론이거니와, 베이스하우징의 단순 교체만으로도 각종 규격의 배선용차단기마다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이 가능함에 따른 제품의 호환성 증대와 더불어 차후 유지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 달성을 통하여, 인간활동(人間活動, Human activity)의 근간이 되는 통신, 전력 및 교통망 등 선(Line) 형태의 사회기반시설을 통칭하는 라이프라인(Lifeline) 구축에 필요한 각종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에 있어, 몰드케이스와 경보스위치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에 있어, 경보스위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확대단면도.
도 4a 내지 도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에 있어, 몰드케이스와 경보스위치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에 있어, 경보스위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확대단면도.
도 4a 내지 도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에 있어 몰드케이스와 경보스위치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에 있어 경보스위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확대단면이고, 도 4a 내지 도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A)는, 박스형 몰드케이스(1)와, 상기 몰드케이스(1)에 내장된 상태로 접점을 ON/OFF시키게 된 접점개폐장치(2)와, 상기 몰드케이스(1)에 더 내장된 채로 접점 개폐시 발생한 아크를 방전시키는 소호(消弧, Extinction of arc)장치(3)와, 과도전류나 단락전류에 응답해 접점개폐장치(2)를 작동시키게 된 트립장치(4)와, 상기 몰드케이스(1)에 더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접점개폐장치(2) 및 트립장치(4) 작동에 연계하여 경보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전로를 개폐토록 한 경보스위치(5)로 구성된다.
몰드케이스(1)는, 배선용차단기를 이루는 구성장치들의 연계구조 및 단일화를 위한 것으로, 상기 접점개폐장치(2)와 소호장치(3) 및 상기 트립장치(4)를 내재수용하게 된 제1설치공간부(1a), 그리고 상기 경보스위치(5)를 별도로 내재수용할 수 있는 제2설치공간부(1b)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설치공간부(1b)와 근접한 상단 일측에는, 차후 후술될 상기 경보스위치(5)의 체결편을 결착시킬 수 있는 착탈공(1c)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착탈공(1c)의 대응 타측 상단에는, 힌지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제2설치공간부(1b)의 개구 상단부 개폐를 통해 상기 경보스위치(5)의 분해조립이 용이토록 한 덮개(1-1)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부하기기의 전로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촉자(11)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경보스위치(5)의 수동조작을 위하는 테스트바(12)가 상기 트립장치(4)에 연계 가능한 상태로 상단 일측에 삽입결합되어 있다.
접점개폐장치(2)는, 상기 트립장치(4) 작동에 연계한 접점의 자동 개폐는 물론 사용자에 의한 접점의 수동 개폐가 가능케 된 것으로, 일측 선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타측 선단이 접촉자(11)와 스위칭(Switching)을 이루게 된 크로스바(21)와, 상기 몰드케이스(1) 상측에 더 구비된 상태로 정해진 회동반경 이내에서 상기 크로스바(21)를 수동으로 강제 스위칭시킬 수 있는 수동레버(22)를 더 포함한다.
소호장치(3)는, 전기회로의 개폐기를 여닫을 때 생기는 접점 간 아크를 신속히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금속판을 상,하로 적층시켜서 된 수직 그리드형 배치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트립장치(4)는, 과도전류 또는 단락전류에 응답해 상기 접점개폐장치(2)의 ON/OFF 작동 자동화를 위한 것으로, 접촉자(11)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에 의해 자화(磁化, Magnetization / 자기화)되는 마그네틱(41)과, 상기 마그네틱(41)을 둘러 감싼 상태로 이상전류로부터 자계(磁界, Magnetic field)를 발생시키게 된 나선형 코일(42)과, 상기 마그네틱(41)의 자화시 상호 접합하는 흡인(吸引, Suction, Aspiration)작용을 이루게 된 "ㄱ"자형 트립편(43)과, 상기 트립편(43)의 흡인작용시 또는 상기 테스트바(12) 하강작용시의 간섭에 의해 수평 이동을 하는 이동샤프트(44)로 구성된다.
경보스위치(5)는, 상기 접점개폐장치(2) 및 트립장치(4) 작동에 연계하여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로(Open circuit, OFF) 및 폐로(Closed circuit, ON)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장치의 전로 개폐를 위한 리미트스위치(51)와, 상기 리미트스위치(51)의 하단부에 연계배치된 채로 상기 접점개폐장치(2) 또는 트립장치(4) 작동에 연계하여 리미트스위치(51)를 ON/OFF시키게 된 푸시레버(52)와, 상기 리미트스위치(51)를 내장한 상태로 몰드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하우징(53)과, 상기 푸시레버(52)가 리미트스위치(5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한 푸시레버(52)를 내장한 채 상기 메인하우징(53) 하부에 조립되는 베이스하우징(54)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51)는, 메인하우징(53)에 의해 상기 몰드케이스(1)의 설치공간부(1a)에 내장되고, 이상상태를 알리는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폐할 수 있는 다수의 단자(511) 및 상기 단자(511)들 간 스위칭을 통한 전로의 개폐를 위한 액추에이터(512)가 구비되는 한편, 차단기의 ON/OFF 상태와 Trip(자동 차단) 상태를 구분하여 보조접점(Auxiliary Switch : AX)과 경보접점(Alarm Switch : AL)의 용도로 복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레버(52)는, 단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공(52a)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축공(52a)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상기 액추에이터(512) 푸싱을 위해 회동작용케 된 누름편부(52-1) 및 상기 접점개폐장치(2) 또는 트립장치(4) 작동시의 마찰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편부(52-1)를 회동시키는 마찰편부(52-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점개폐장치(2) 작동 외력의 소멸시, 상기 누름편부(52-1)를 밀어올리는 액추에이터(512) 가압의 지속을 통해 경보장치의 전로가 평시 개로(OFF)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하우징(53)은, 상기 리미트스위치(51)의 조립결합 및 경보장치의 전로를 단자(511)에 연결하기 위해, 상,하단이 개구된 수용공간부(53a)가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4)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53b) 및 제2체결공(53c)이 상기 수용공간부(53a)의 전,후방 근접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체결공(53b)(53c) 각각의 하측 말단부에는, 차후 후술될 상기 베이스하우징(54)의 제1,2결착편의 조립상태 유지고정을 위한 단턱(53b-1)(53c-1)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53)의 수용공간부(53a)를 종으로 구획하여 리미트스위치(51)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한 제1구획벽(531)이 형성되되, 상기 제1구획벽(531)의 양단부 상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51)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단차(531-1)가 돌출형성된다.
더하여, 상기한 메인하우징(51)의 외단부 일측에는, 몰드케이스(1)의 설치공간부(1a)에 내장되는 상기 메인하우징(51)의 조립상태 유지를 위한 "U"자형 체결편(532)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54)은, 리미트스위치(51)의 액추에이터(512) 푸싱작용을 위한 상기 푸시레버(52)를 내재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 조립공간부(54a)가 내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53)의 제1체결공(53b)에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편(541)이 일측 선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푸시레버(52)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된 제2구획벽(542)이 상기 조립공간부(54a)를 종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공(53b)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편(543)이 상기 제2구획벽(542)의 일측 끝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푸시레버(52)의 축공(52a)에 삽입되는 중심축(544)이 상기 제2구획벽(542)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대향 돌출된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하우징(54)의 조립공간부(54a)에 상기 푸시레버(52)가 내재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544)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편부(52-1)와 마찰편부(52-2)의 회동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하우징(54)의 바닥단부에는, 상기 누름편부(52-1)를 탄발력으로 밀어올리게 된 탄성스프링(521)의 수용을 위한 안착홈(54b)이 더 형성된다. 이는, 상기 누름편부(52-1)가 액추에이터(512)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미트스위치(51)가 평시 개로(OFF)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과전류 및 단락 등으로부터 부하기기를 보호할 목적으로 상기 부하기기의 전로 상에 본 발명의 배선용차단기(A)를 설치하는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53)에는 리미트스위치(51)를 내장시키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4)에는 푸시레버(52)를 내장시킨 다음, 메인하우징(53)과 베이스하우징(54)을 상호 간 연계시켜 조립결합하는 것만으로 경보스위치(5)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11)를 통해 과도전류 또는 단락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트립장치(4)의 코일(42)에 자계가 형성되고 그 영향으로 마그네틱(41)은 자화하여 자성(磁性, Magnetism)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 금속재로 된 상기 트립편(43)의 수평부가 상기한 마그네틱(41)에 접합되는 반면, 수직부는 이동샤프트(44)를 일측으로 밀어 제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샤프트(23) 이동시 접점개폐장치(3)의 링크부(도시하지 않음)가 연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한 접점개폐장치(3)의 크로스바(31)가 접촉자(1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부하기기의 전로가 개로(OFF)된다. 그리고, 이때 발생한 아크는 상기 소호장치(3)에 의해 신속히 방전된다.
이어서, 상기 크로스바(31)는 경보스위치(5)에 구비된 상기 푸시레버(2)의 마찰편부(2-2)를 일측으로 밀어 제친다. 결국,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액추에이터(12)를 가압하던 상기 누름편부(2-1)가 하향 회동케 됨에 따라 상기한 리미트스위치(1)의 단자(511)들이 폐로(ON)되는 것에 의해 램프의 점등 또는 버저의 신호음이 발생 등과 같은 경보장치에 의한 사전 경보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배선용차단기(A)는, 이상전류의 발생과 동시에 전류를 자동 차단함을 주요 목적으로 하나, 전력설비의 점검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시에는 일시적으로 부하기기의 전로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상기 수동레버(32)를 강제 회전시켜 크로스바(31)가 회동하도록 한 수동조작을 통해 접점개폐장치(3)를 동작시킬 수 있고, 상기 테스트바(12)를 직접 가압하여 상기 트립장치(4)의 이동샤프트(44)를 일측으로 밀어낼 수 있음이 가능하다.
결국, 과전류 및 단락 등에 따른 상기 트립장치(4) 및 접점개폐장치(2) 그리고 상기 경보스위치(5)의 연동과 더불어, 상기 경보스위치(5)에 의한 경보장치 작동에 따른 사전 경보로, 이상상태를 사용자가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트립장치(4) 구조의 단순화 및 상기 경보스위치(5) 하우징의 분리형 구조 달성을 통해서는, 제품의 소형화는 물론 주요부품의 조립결합공정을 보다 수월케 하면서도, 상기 베이스하우징(54)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각종 규격의 배선용차단기에 간단히 적용시킬 수 있음과 같은 사용성 증대의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배선용차단기, 1 : 몰드케이스, 1a : 제1설치공간부
1b : 제2설치공간부, 1c : 착탈공, 1-1 : 덮개
2 : 접점개폐장치, 3 : 소호장치, 4 : 트립장치
5 : 경보스위치, 11 : 접촉자, 12 : 테스트바
21 : 크로스바, 22 : 수동레버, 41 : 마그네틱
42 : 코일, 43 : 트립편, 24 : 이동샤프트
51 : 리미트스위치, 52 : 푸시레버, 52a : 축공
52-1 : 누름편부, 52-2 : 마찰편부, 53 : 메인하우징
53a : 수용공간부, 53b : 제1체결공, 53b-1, 53c-1 : 단턱
53c : 제2체결공, 54 : 베이스하우징, 54a : 조립공간부
54b : 안착홈, 511 : 단자, 512 : 액추에이터
521 : 탄성스프링, 531 : 제1구획벽, 531-1 : 단차
532 : 체결편, 541 : 제1결착편, 542 : 제2구획벽
543 : 제2결착편, 544 : 중심축
1b : 제2설치공간부, 1c : 착탈공, 1-1 : 덮개
2 : 접점개폐장치, 3 : 소호장치, 4 : 트립장치
5 : 경보스위치, 11 : 접촉자, 12 : 테스트바
21 : 크로스바, 22 : 수동레버, 41 : 마그네틱
42 : 코일, 43 : 트립편, 24 : 이동샤프트
51 : 리미트스위치, 52 : 푸시레버, 52a : 축공
52-1 : 누름편부, 52-2 : 마찰편부, 53 : 메인하우징
53a : 수용공간부, 53b : 제1체결공, 53b-1, 53c-1 : 단턱
53c : 제2체결공, 54 : 베이스하우징, 54a : 조립공간부
54b : 안착홈, 511 : 단자, 512 : 액추에이터
521 : 탄성스프링, 531 : 제1구획벽, 531-1 : 단차
532 : 체결편, 541 : 제1결착편, 542 : 제2구획벽
543 : 제2결착편, 544 : 중심축
Claims (7)
- 박스형 몰드케이스;
상기 몰드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접점을 ON/OFF시키게 된 접점개폐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채로, 접점 개폐시 발생한 아크를 방전시키는 소호장치;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과도전류나 단락전류에 응답해 상기 접점개폐장치를 작동시키되, 부하기기의 전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자를 통해 유입된 전류에 의해 자화되는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을 둘러 감싼 상태로 이상전류로부터 자계를 발생시키게 된 나선형 코일과, 상기 마그네틱의 자화시 상호 접합하는 흡인작용을 이루게 된 "ㄱ"자형 트립편과, 상기 트립편 흡인작용시의 간섭에 의해 수평 이동을 하는 이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트립장치; 및,
상기 몰드케이스에 더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접점개폐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폐토록 한 경보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케이스에는, 상기 접점개폐장치와 상기 소호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의 내재수용을 위한 제1설치공간부와,
상기 경보스위치의 내재수용을 위한 제2설치공간부가 각각 별도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스위치는, 이상상태 사전 경보를 위해 액추에이터에 의한 다수 단자의 개로 및 폐로가 가능케 된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단부에 연계배치된 채로, 상기 접점개폐장치와 상기 트립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ON/OFF시키게 된 푸시레버와,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몰드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푸시레버를 내장한 채, 상기 메인하우징 하부에 조립되는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레버는, 단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공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상기 액추에이터 푸싱을 위해 회동작용케 된 누름편부 및 상기 접점개폐장치 및 상기 트립장치 작동시의 마찰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편부를 회동시키는 마찰편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점개폐장치 작동 외력의 소멸시, 상기 누름편부를 밀어올리는 상기 액추에이터 가압의 지속을 통해 상기 경보장치의 전로가 개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조립결합 및 상기 경보장치의 전로를 상기 단자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단이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전,후방 근접 외측부에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한 제1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벽의 양단부 상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단차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푸시레버를 내재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 조립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편이 일측 선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푸시레버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된 제2구획벽이 상기 조립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편이 상기 제2구획벽의 일측 끝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푸시레버가 축결합하는 중심축이 상기 제2구획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대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542A KR101350368B1 (ko) | 2012-10-10 | 2012-10-10 | 배선용차단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542A KR101350368B1 (ko) | 2012-10-10 | 2012-10-10 | 배선용차단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0368B1 true KR101350368B1 (ko) | 2014-01-14 |
Family
ID=5014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2542A KR101350368B1 (ko) | 2012-10-10 | 2012-10-10 | 배선용차단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036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77090A (zh) * | 2014-09-29 | 2015-02-25 | 江苏普华力拓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多个联动跳闸的小型断路器 |
CN104377093A (zh) * | 2014-09-29 | 2015-02-25 | 江苏普华力拓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小型断路器跳闸装置 |
KR101931548B1 (ko) * | 2017-02-16 | 2018-12-24 |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 직류 전류 차단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0994A (ko) * | 1997-08-30 | 1999-03-25 | 윤종용 | 요금지불형인쇄장치 및 동작방법 |
KR200382140Y1 (ko) * | 2005-01-29 | 2005-04-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차단기의 경보스위치장치 |
KR200430939Y1 (ko) | 2006-08-25 | 2006-11-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장치 |
-
2012
- 2012-10-10 KR KR1020120112542A patent/KR101350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0994A (ko) * | 1997-08-30 | 1999-03-25 | 윤종용 | 요금지불형인쇄장치 및 동작방법 |
KR200382140Y1 (ko) * | 2005-01-29 | 2005-04-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차단기의 경보스위치장치 |
KR200430939Y1 (ko) | 2006-08-25 | 2006-11-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77090A (zh) * | 2014-09-29 | 2015-02-25 | 江苏普华力拓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多个联动跳闸的小型断路器 |
CN104377093A (zh) * | 2014-09-29 | 2015-02-25 | 江苏普华力拓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小型断路器跳闸装置 |
KR101931548B1 (ko) * | 2017-02-16 | 2018-12-24 |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 직류 전류 차단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540838U (zh) | 电气开关装置及其电弧隔板组件和电弧罩组件 | |
EP3364435B1 (en) | Molded-case circuit breaker for dc | |
JP6603630B2 (ja) | 可動式端子バリアを有する回路遮断器 | |
JP6103489B2 (ja) | 直流開閉器の消弧機構、および当該消弧機構を有する直流開閉器並びに直流遮断器 | |
EP2608240B1 (en) | Arc extinguishing apparatus for ring main unit | |
JPH0828173B2 (ja) | 電気回路遮断器 | |
KR101350368B1 (ko) | 배선용차단기 | |
JP2007115572A (ja) | 耐電圧テスト用スイッチおよび漏電遮断器 | |
CN106971882B (zh) | 电路中断设备、灭弧装置及相关方法 | |
US8309873B2 (en) | Low-voltage circuit breaker with sealed interchangeable poles | |
RU101863U1 (ru) | Электрическ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изковольтных цепей | |
JP2008511279A (ja) | 低電圧開閉装置用給電システム | |
KR200479886Y1 (ko) | 배선용차단기의 아크가스 배출구조 | |
US9053888B2 (en) | Tie bar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assembly | |
CA2868250C (en) | Circuit breaker adaptor for plug-in circuit breaker panel | |
KR101350367B1 (ko) |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 | |
JP6044927B2 (ja) | 直流開閉器および直流遮断器 | |
US7545247B2 (e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ase and terminal shield therefor | |
US20080246563A1 (en) | Low-voltage circuit breaker with interchangeable poles | |
CA2934037C (e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housing assembly therefor | |
JP3035548U (ja) | 開閉器の消弧室 | |
JP4090968B2 (ja) | 回路遮断器 | |
KR200496737Y1 (ko) |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 |
KR200224235Y1 (ko) | 배선용차단기의소호장치 | |
KR200224232Y1 (ko) | 배선용차단기개폐기구의하부링크핀조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