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882B1 - 섬유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882B1
KR101349882B1 KR1020070007564A KR20070007564A KR101349882B1 KR 101349882 B1 KR101349882 B1 KR 101349882B1 KR 1020070007564 A KR1020070007564 A KR 1020070007564A KR 20070007564 A KR20070007564 A KR 20070007564A KR 101349882 B1 KR101349882 B1 KR 10134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absorption wavelength
fabric softener
cloth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840A (ko
Inventor
김승수
정국인
곽상운
송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0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8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0Dyes ;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380 내지 4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의류오염물질의 색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의류 착용시 발생되는 인체 분비물 등 의류오염물질로 인해 나타나는 오염에 대한 색상을 보정함으로써 오염된 의류의 색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하여 시각적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섬유유연제, 염료, 흡수파장, 의류오염물질, 색보정

Description

섬유유연제 조성물{Fabric softener composition}
도 1은 삼원색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의류에서 추출한 인체 오염 농축액과 인체 오염 농축액에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염료를 혼합한 후 이들의 UV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오염물질로 오염된 의류의 색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하여 시각적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체에 전혀 무해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착용 후 세제로 세탁한 후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류 착용시 피지 등의 인체 분비물이 부착되어 의류를 변색시키며, 색 선명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의류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세제에 표백제 등을 첨가하여 왔다. 예를 들어, 의류에 표백효과를 갖게 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미국특허 제4,166,794호, 제4,203,852호 및 제4,460,487호에서는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 표백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표백제를 첨가한 세제의 경우 표백 효과 측면에서는 좋으나 의류 손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염료의 일종인 형광표백제의 경우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등 인체에 해로운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류의 손상이 없이 의류오염물질로 오염된 의류의 색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하여 시각적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체에 전혀 무해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80 내지 4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의류오염물질의 색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는 서로 다른 흡수파장을 갖는 2 종 이상의 염료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600 내지 7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8 내지 1×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가용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맑고 깨끗한 것을 좋아하는 인간의 심리에 부응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표백제나 형광증백제 등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인간이 시각적으로 느끼는 가시영역에서 원치 않는 특정색이 갖는 고유 파장을 상쇄시켜 주는 방법을 사용하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는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흡수 파장을 갖는 2 종 이상의 염료들이 혼합되어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580 내지 780 ㎚의 영역을 나타내는 염료를 의미한다. 또한,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라 함은 소정의 파장범위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380 내지 4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의류오염물질의 색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인체 분비물 등의 오염에 의해 발생된 미황색이나 누런색의 오염이 나타내는 파장을 상쇄시킴으로써 색 보정에 의해 오염된 의류의 색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이론은 적, 황, 청의 3원색만 있으면 모든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이론에 근거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물체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느끼는 것은 그 물체가 시각적으로 느끼는 색상과 보색 관계인 색의 빛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노란 색을 띄는 물체는 결국 그 물체가 보색인 파란색을 흡수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색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은 모든 가시영역에서의 빛을 흡수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할 때 그 물체가 노란색일 경우, 즉 보랏빛 청색의 빛을 흡수할 경우, 상대적으로 보랏빛 청색의 색을 부여함으로써 흡수파장의 균형을 유지시켜 시각적으로 색상을 느끼지 못하게 무색으로 느끼게 할 수 있다.
가시영역에서의 색상에 따른 흡광도는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실제 미황색 세정제와 보랏빛 청색 염료 및 이들의 혼합물의 흡광도를 파장에 따라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다.
파장범위 (㎚) 흡수광의 색 가시적인 색(흡수광의 보색)
자외선 < 380
가시광선 380∼435 보라 노란 초록
435∼480 파랑 노랑
480∼490 초록빛 파랑 주황
490∼500 푸른 초록 빨강
500∼560 초록 자주
560∼580 노란 초록 보라
580∼595 노랑 파랑
595∼650 주황 초록빛 파랑
650∼780 빨강 푸른 초록
적외선 > 78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20 ㎚를 중심으로 흡수파장을 갖는 엷은 미황색의 액체 세정제, 580 ㎚를 중심으로 흡수파장을 갖는 보라색 염료 및 670 ㎚의 중심으로 흡수파장을 갖는 청색계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 가시영역에서의 균일한 흡광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외관상 선명하고 깨끗한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즉,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의류에서의 미황색 또는 누런 오염에서도 투명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피지 등 인체의 오염이 나타내는 미황색 또는 누런색 계열의 오염물질을 도 1에 나탄낸 삼원색도와 같이 보색 관계인 보랏빛 청색계 색상을 가지는 염료를 혼합하여 색상을 보상시킴으로써 무색, 투명하게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상기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는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 또는 서로 다른 흡수파장을 갖는 2 종 이상의 염료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염료는 어떠한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사용할지라도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들이라면 1 종의 염료를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600 내지 7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이 380 내지 4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의류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 더 좋다.
상기 염료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8 내지 1×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8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황색 또는 누런색을 나타내는 의류오염물질의 고유 흡수파장을 상쇄시키기 불충분하여 의류의 색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할 수 없고, 1×1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의류오염물질의 색상이 전체적으로 어두워지거나 의류의 염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첨가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섬유유연제에 사용되는 성분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팔미틱산 등의 지방산과 트리에탄올 아민(TEA)을 몰비율별로 트랜스-에스테르화하여 아민 에스테르를 합성하고 4급화한 에스테르형 양이온 계면활성제, 디에틸렌 트리아민으로 중화하여 4급화한 이미다졸린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에스테르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이미다졸린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가용화제는 통상적으로 섬유유연제 조성으로 널리 사용되는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향, 방부제, 살균제, 색소, 산화방지제, 소독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더 첨가할 수 있다.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기타 성분을 더 첨가할 수도 있으며, 그 함량 또한 제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장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7
하기 표 2의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으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염료의 특성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염료를 제외한 조성물은 균등하게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양이온 계면활성제 A 5 5 5 5 5 5 5
양이온 계면활성제 B 2 2 2 2 2 2 2
가용화제 2 2 2 2 2 2 2
0.5 0.5 0.5 0.5 0.5 0.5 0.5
방부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염료 A 0.002 0.005 0.0015 - - - 0.002
염료 B - - 0.0003 - - - 0.0003
염료 C - - - 0.0018 - - -
염료 D - - - - 0.2 0.05 0.015
100 중량%까지
[주]·양이온 A: 에스테르형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B: 이미다졸린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염료 A: 595∼65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 염료
·염료 B: 490∼5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적색 염료
·염료 C: 560∼5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보라색 염료
·염료 D: 600∼7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계 염료
인체 오염에 대한 580 내지 7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의 색상 보정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류에서 추출한 인체 오염 농축액과 인체 오염 농축액에 상기 실시예 7 조성의 염료를 혼합한 후 이를 UV로 각각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 오염 농축액은 420 ㎚에서 비교적 강한 파장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실시예 7 조성의 염료와 혼합한 경우에는 420 ㎚에서 파장이 상쇄되어 가시적으로 투명하게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염착 및 백색도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가. 염착 실험
하기와 같이 실제 사용하는 조건(염착실험1)과 세탁 전에 섬유유연제가 옷감에 묻은 후 세척하는(염착실험2) 두 가지 과정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1) 염착실험1 - 섬유유연제를 실사용 기준으로 평가하기 위해 표준사용 농도, 즉 물 1 ℓ당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각각 1 g씩 희석하여 5×5 ㎝의 하얀 수건 면포와 백색 면포를 침지시킨 후 꺼내어 자연건조 후 하기 기준에 따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2) 염착실험2 -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섬유유연제 원액에 5×5 ㎝의 하얀 수건 면포와 백색 면포를 침지시킨 후 꺼내어 자연건조 후 하기 기준에 따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5 염착 없음
4 색상 어두워짐
3 국부적으로 염착
2 부분 염착
1 전면 염착
나. 백색도 실험
1) 면포 - 30 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일정한 의류를 입게 한 후 의류로부터 인체 오염액을 추출하여 백색 면포에 침지시킨 후 자연건조하였다. 그 다음, 세탁기내에서 상기 면포를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섬유유연제 각각을 이용하여 세탁한 후 하기 기준에 따라 백색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유연제의 양은 유연제 표준사용량으로 사용하였다.
2) 의류 - 30 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일정한 의류를 입게 한 후, 이 의류를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섬유유연제 각각을 이용하여 세탁한 후 하기 기준에 따라 백색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유연제의 양은 유연제 표준사용량으로 사용하였다.
평가기준
5 백색도/선명도 탁월
4 백색도/선명도 우수
3 백색도/선명도 보통
2 백색도/선명도 저조
1 백색도/선명도 불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염착실험1 5 2 5 5 5 2 5
염착실험2 5 1 5 5 5 1 5
백색도 (면포) 2 2 3 3 4 2 5
백색도 (의류) 2 2 3 3 4 1 4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95∼65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 염료만을 사용한 실시예 1은 염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어느 정도의 백색도를 유지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청색 염료의 함량을 증가시켜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과 유사한 정도의 백색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95∼65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 염료와 490∼5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적색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염착의 발생이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백색도를 나타내었다. 560∼58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보라색 염료를 사용한 실시예 4의 경우 또한 실시예 3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600∼7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계 염료를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5에서는 염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백색도가 상당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염료의 함량을 증가시킨 실시예 6의 경우 다소의 염착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595∼65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 염료, 490∼5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적색 염료 및 600∼700 ㎚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계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7의 경우에는 백색도 및 염착 실험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의류오염물질로 인해 오염 의류의 색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하여 시각적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380 내지 480 nm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의류오염물질의 색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nm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를 첨가하고,
    상기 염료는 서로 다른 흡수파장을 갖는 2종 이상의 염료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2종 이상의 염료 중 하나는 600 내지 700nm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8 내지 1×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5. 가시적으로 580 내지 780 nm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가용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염료는 서로 다른 흡수파장을 갖는 2종 이상의 염료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2종 이상의 염료 중 하나는 600 내지 700nm의 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070007564A 2007-01-24 2007-01-24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134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64A KR101349882B1 (ko) 2007-01-24 2007-01-24 섬유유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64A KR101349882B1 (ko) 2007-01-24 2007-01-24 섬유유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40A KR20080069840A (ko) 2008-07-29
KR101349882B1 true KR101349882B1 (ko) 2014-01-09

Family

ID=3982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564A KR101349882B1 (ko) 2007-01-24 2007-01-24 섬유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8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93B1 (ko) * 1995-12-29 1998-10-15 성재갑 무색 투명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0521780B1 (ko) * 1998-12-31 2006-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유연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93B1 (ko) * 1995-12-29 1998-10-15 성재갑 무색 투명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0521780B1 (ko) * 1998-12-31 2006-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유연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40A (ko) 200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2449T3 (es) Disolvente para limpieza en seco que comprendre eter biodegradable.
DE2236300A1 (de) Blaeuungsmittel und deren verwendung
DE2855519C2 (de) Einphasige flüssige, nichtionische Tenside und Imidazoliniumverbindungen als Gewebeweichmacher in einem Lösungsmittel enthaltende Waschmittel
DE2426581A1 (de) Phosphatfreies weichspuelendes waschmittel
DE2627449A1 (de) Wasch- und bleichmittelgemische sowie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r farbuebertragung beim waschen oder bleichen
WO199805126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arfärbemitteln
KR101962283B1 (ko) 모다크릴/메타계아라미드/면 혼방섬유의 2욕 염색방법
DE69817717T2 (de) Amphotere Reinigungslösung von niedrigem pH
DE2939918A1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textilen flaechengebilden aus polyesterfasern fuer die anwendung als warnschutzbekleidung
KR101349882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DE2705047B2 (de) Verwendung von a -Acyloxy- N-acylamiden als Aktivatoren für Perverbindungen
CN104450278B (zh) 一种防沾护色洗衣液
DE60206733T2 (de) Verbessertes verfahren zur reinigung von curcuma flecken
KR20030085578A (ko) 벤즈트리아졸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직물 세정 조성물
DE1617203A1 (de) Geschirrwaschmittel
EP0994691B1 (de) Verwendung von esterquats als emulgatoren in zubereitungen für die färbung von keratinfasern
DE3111158A1 (de) Desinfizierender reinigungsverstaerker fuer die chemischreinigung
DE602005003134T2 (de) Pflegemittel
DE69119718T3 (de)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Textilien
ES2287904T3 (es) Procedimiento para el blanqueo optico de fibras sinteticas o de fibras sinteticas en mezcla con fibras naturales.
Perincek Ozonation: A new patterning method for optical bleached fabrics
DE102017125010A1 (d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Manganoxid-Ablagerungen von textilen Oberflächen
KR0149393B1 (ko) 무색 투명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
DE2456212C3 (de) Pulverförmige Reinigungsmittel-Mischung
KR100952440B1 (ko) 천연 염색 의류용 액체세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