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860B1 - 압축기용 모터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860B1
KR101348860B1 KR1020080003623A KR20080003623A KR101348860B1 KR 101348860 B1 KR101348860 B1 KR 101348860B1 KR 1020080003623 A KR1020080003623 A KR 1020080003623A KR 20080003623 A KR20080003623 A KR 20080003623A KR 101348860 B1 KR101348860 B1 KR 10134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weight
rotor
coupling
upper cover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591A (ko
Inventor
백찬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4Balan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용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축기용 모터를 구성하는 회전자(50)에는 회전자본체(50')의 양측 단부에 밸런스웨이트(6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자본체(50')에는 규소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코어부(52)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부(52)의 양측 단부에는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에는 결합돌기(56)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56)와 대응되게 상기 밸런스웨이트(60)에는 결합요홈(6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6)와 결합요홈(62)은 상기 회전자본체(5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방향으로 끼워짐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회전자본체(50')와 밸런스웨이트(6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56)와 결합요홈(62)을 형성하여 밸런스웨이트(60)를 회전자본체(50')에 결합한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나 공구가 필요없게 되므로 조립과 분해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자의 동작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밸런스웨이트(60)가 회전자본체(5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밸런스웨이트(60)와 회전자본체(50')의 체결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모터, 회전자, 밸런스웨이트, 체결

Description

압축기용 모터{Motor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사용되는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균형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한 압축기용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모터용 회전자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자본체(10)는 규소강판을 다수 장 적층하여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 코어부(12)를 가진다. 상기 코어부(12)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축공(13)이 형성되는데, 이에는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회전자본체(1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12)에는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4')가 설치되어 회전자본체(10)의 양단부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4')는 알루미늄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4')에는 각각 다수개의 고정돌기(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6)의 선단에는 2개의 변형부(1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본체(10)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축공(13)을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 는 위치에 밸런스웨이트(18)가 설치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18)는 회전자의 회전과정에서 중량편차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18)는 반원형상으로 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18)에는 상기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4')의 고정돌기(16)가 변형되면서 삽입되도록 변형삽입홈(19)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삽입홈(19)은 입구에서 내부로 가면서 2갈래로 나누어지고 양 방향으로 벌어지는 곡선형상으로 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18)는 상기 회전자본체(10)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돌기(16)의 변형부(17)가 상기 변형삽입홈(19)으로 삽입되면서 양 갈래로 나누어지도록 소성변형되어 결합된다.
즉, 회전자본체(10)의 양측 단부의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4')를 형성한 후에, 프레스에 이들을 장착시키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4)나 하부커버(14')의 고정돌기(16)가 밸런스웨이트(18)의 변형삽입홈(19) 입구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스를 동작시켜 상기 회전자본체(10)와 밸런스웨이트(19)중 어느 하나가 상대쪽을 향해 이동하여 타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16)의 변형부(17)가 상기 변형삽입홈(19)으로 삽입되면서 소성변형이 일어나고, 상기 변형부(17)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되어 변형삽입홈(19)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전자본체(10)와 밸런스웨이트(19)의 결합은 상기 변형부(17)가 상기 변형삽입홈(19)에 삽입되면서 소성변형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밸런스웨이트(18)는 상기 고정돌기(16)의 변형부(17)가 변형삽입홈(19)에 삽입되면서 소성변형되어 결합되므로, 회전자본체(10)에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분리하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16)가 손상되어 밸런스웨이트(18)를 다시 결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밸런스웨이트(18)를 교체하면서 모터의 성능시험을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16)와 변형삽입홈(19)의 결합구조상 상기 밸런스웨이트(18)를 상기 회전자본체(1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밸런스웨이트(18)를 회전자본체(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큰 힘을 가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큰 힘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자본체(1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상기 밸런스웨이트(18)는 상기 회전자가 회전되면 원심력을 계속적으로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런스웨이트(18)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상기 밸런스웨이트(18)와 회전자본체(10) 사이의 결합상태가 풀어지도록 만들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런스웨이트를 회전자본체에 착탈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런스웨이트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밸런스웨이트를 회전자본체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와; 중앙에 회전축공이 형성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양단부에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자본체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장착되어 회전자본체의 회전시 중량편차에 의한 진동을 제거하는 밸런스웨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회전되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냉매의 압축을 위해 설치된 압축기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압축기용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밸런스웨이트 및 하부커버와 밸런스웨이트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홈은 상기 밸런스웨이트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요홈은 상기 회전축공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삭제
상기 결합요홈(62)은 상기 회전자본체(50’)와 대응되는 밸런스웨이터(60) 표면을 기준으로 내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에 걸림채널(6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56)는 상기 걸림채널(64)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단부(58)가 형성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반원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양 선단부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표면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모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회전자본체와 밸런스웨이트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와 결합요홈을 형성하여 밸런스웨이트를 회전자본체에 결합한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나 공구가 필요 없게 되므로 조립과 분해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회전자의 동작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밸런스웨이트가 회전자본체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밸런스웨이트와 회전자본체의 체결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스크롤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용 회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런스웨이트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압축기의 외관을 하우징(2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서 상단부에는 상부캡(21)이 설치되어 하우징(20)의 내부공간을 차폐한다. 상기 상부캡(21)은 상기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넓은 의미로 하우징(20)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상단에는 톱플레이트(22)가 설치되어 하우징(20) 내부공간을 흡입실(23)과 토출실(24)로 구획한다. 상기 톱플레이트(22)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20), 보다 정확하게는 상부캡(21)의 내면에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흡입실(23)과 외부를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20)을 관통하여 흡입파이프(23')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실(24)과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하우징(20)을 관통하여 토출파이프(24')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하단에는 서브플레이트(25)가 설치된다. 상기 서브플레이트(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축(4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압축기구부(26)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구부(26)는 상기 흡입실(23)로 들어온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롤식의 압축기구부(26)가 채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탑플레이트(22)에는 고정스크롤(27)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스크롤(27)은 원판형상의 고정단판(28)의 일면에 와선형으로 고정랩(28')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스크롤(27)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토출구(30)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실(35)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토출실(24)로 전달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중 상기 흡입실(23)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프레임(32)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2)에는 선회스크롤(3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상기 고정스크롤(27)과 마주보게 설치되는데, 그 구성은 원판형상의 선회단판(34)의 일면에 와선형으로 선회랩(3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선회랩(34')은 상기 고정랩(28')과 협력하여 압축실(35)을 형성하는데, 상기 선회스크롤(33)이 상기 고정스크롤(27)에 대해 회전함에 의해 상기 고정랩(27')과 선회랩(34')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35)의 체적이 점차 작아지면서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고 마지막에 상기 토출구(30)와 압축실(35)이 연통되어 냉매가 토출실(24)로 토출된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상기 프레임(32)에 올드햄링(3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올드햄링(36)은 상기 선회스크롤(33)이 그 중심이 상기 고정스크롤(27)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만을 유지한 채 자전하지 않고 공전만을 반복하며 선회되도록 한다.
상기 선회스크롤(33)에는 보스(3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스(38)는 상기 선회랩(34')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보스(38)에는 회전축(40)의 편심핀(41)이 삽입되어 회전축(40)에 의해 선회스크롤(33)이 공전하게 한다. 상기 회전축(40)은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32)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서브플레이트(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42)가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42)는 크게 고정자(44)와 회전자(50)로 구성 된다. 상기 고정자(44)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자몸체(46)에 형성된 슬롯(도시되지 않음)에 코일(48)이 권선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몸체(46)의 외면은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자몸체(46)는 대략 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자(5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자(50)의 골격을 회전자본체(50')가 형성하는데, 상기 회전자본체(50')는 원통형상의 코어부(52)의 양단에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코어부(52)는 일반적으로 규소강판을 다수개 적층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코어부(52)의 구성은 하나의 층을 하나의 규소강판, 본 실시예의 경우 도넛 형상의 규소강판이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나, 하나의 층을 구성하는 규소강판을 여러 조각으로 하고, 이들 조각들을 적층하여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일체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코어부(52)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회전축공(53)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축공(53)에는 상기 회전축(40)이 압입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50)가 회전되면 회전축(40)이 함께 회전된다.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는 각각 상기 코어부(52)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는 상기 코어부(52)의 평면형상과 같은 평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는 금속재질로서 예를 들면, 스틸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의 표면에는 결합돌기(56)가 돌출되게 형 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6)는 상기 회전축공(53)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폭이 좁아지고 회전축공(53)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6)의 양단을 따라서는 걸림단부(58)가 각각 길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부(58)는 상기 결합돌기(56)가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의 표면에 연결된 부분보다 상단부의 폭이 더 넓게 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단부(58)는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에서 상기 결합돌기(56)가 상기 회전자(50)의 회전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자본체(50')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즉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에는 밸런스웨이트(60)가 장착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60)는 회전자(50)의 회전과정에서 중량편차에 의한 진동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60)는 상기 회전자본체(5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자본체(50')의 양측 단부쪽에서 보면 반원형상이다. 상기 밸런스웨이트(60)의 횡단면은 본 실시예에서 대략 정사각형에 가깝다.
상기 밸런스웨이트(60)에는 상기 결합돌기(56)가 삽입되는 결합요홈(6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홈(62)은 상기 결합돌기(56)와 대응되는 형상이다. 즉, 상기 결합요홈(62)은 상기 회전축공(53)의 중심에 인접한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회전축공(53)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홈(62)의 양단을 따라서는 상기 걸림단부(58)가 걸어지는 걸림채널(6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채널(64)은 상기 밸런스웨이트(60)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요홈(62)의 내부 폭이 상대적으로 더 폭이 넓게 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60)는 원주방향으로의 양단에 경사면(66)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부커버(54)에 인접한 밸런스웨이트(6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커버(54)가 구비된 측으로 진행할수록 외주길이가 증가되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에 경사면(6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54’)에 인접한 밸런스웨이트(6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커버(54’)가 구비된 측으로 진행할수록 외주길이가 증가되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에 경사면(66)이 형성된다.
삭제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모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회전자본체(50')는 규소강판을 적층하여서 일체로 된 코어부(52)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를 장착하여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회전자본체(50')는 원통형상으로 그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만들어진 회전축공(53)에는 상기 회전축(40)이 압입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60)는 상기 회전자본체(50')의 상부커버(54) 및 하부커버(54')에 형성된 결합돌기(56)가 결합요홈(62)에 끼워짐에 의해 회전자본체(5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웨이트(60)를 상기 회전자본체(50')의 중심축공(53)쪽으로 약간 치우친 상태로 상기 결합돌기(56)가 결합요홈(6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밸런스웨이트(60)를 도 6의 화살표 방향, 즉 회전자본체(50')의 원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밸런스웨이트(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56)는 상기 결합요홈(62)에 완전히 삽입된다.
특히, 상기 결합돌기(56)의 걸림단부(58)는 상기 결합요홈(62)의 걸림채널(64)에 걸어져 상기 밸런스웨이트(60)가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밸런스웨이트(60)는 상기 회전자(50)의 회전중심방향으로는 일정 이상의 힘을 주면 빠질 수 있으나, 상기 회전자(50')의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상기 결합돌기(56)와 결합요홈(62)의 형상 때문에 분리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밸런스웨이트(60)가 장착된 회전자(50)는 상기 고정자(44)의 코일(48)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자(50)의 회전은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을 만들어내고,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선회스크롤(33)이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도록 한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의 공전은 상기 선회스크롤(33)의 선회랩(34')과 상기 고정스크롤(27)의 고정랩(28')이 협력하여 압축실(35)을 형성하여 냉매를 압축시키게 된다. 상기 압축실(35)은 상기 선회스크롤(33)의 공전에 따라 상기 토출구(30)를 향해 가면서 점차 체적이 작아져 냉매의 압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30)를 통해 상기 토출실(24)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토출파이프(24')를 통해 공기조화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실(23)로는 상기 흡입파이프(23')를 통해 공기조화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 부터 전 달된 냉매가 흡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터(42)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런스웨이트(60)에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원심력의 방향은 도 6의 화살표 A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50)에 밸런스웨이트(60)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향이다. 즉, 회전자(50)의 동작중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상기 결합돌기(56)와 결합요홈(62)의 결합작용에 의해 밸런스웨이트(60)와 회전자본체(50')의 결합이 더 강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웨이트(60)의 양측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66)은 회전자의 회전시에 상기 밸런스웨이트(60) 주변에서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회전자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56)와 결합요홈(62)은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 그리고 밸런스웨이트(60)에 하나 씩 형성되었으나, 각각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모터(42)가 스크롤 압축기에 채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왕복동식이나 스카치요크식 압축기와 같이 압축기구부의 구조상 편심회전이 발생할 수 있는 압축기에는 어디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터용 회전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모터용 회전자에 밸런스웨이트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런스웨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밸런스웨이트가 회전자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하우징 21: 상부캡
22: 톱플레이트 23: 흡입실
24: 토출실 26: 압축기구부
27: 고정스크롤 28: 고정단판
28': 고정랩 32: 프레임
33: 선회스크롤 34: 선회단판
34': 선회랩 38: 보스
40: 회전축 42: 모터
44: 고정자 46: 고정자본체
48: 코일 50: 회전자
50': 회전자본체 52: 코어부
53: 회전축공 54: 상부커버
54': 하부커버 56: 결합돌기
58: 걸림단부 60: 밸런스웨이트
62: 결합요홈 64: 걸림채널
66: 경사면

Claims (5)

  1.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44)와
    중앙에 회전축공(53)이 형성된 코어부(52)와 상기 코어부(52)의 양단부에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자본체(50')와,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에 장착되어 회전자본체(50')의 회전시 중량편차에 의한 진동을 제거하는 밸런스웨이트(6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44)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44)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회전되는 회전자(5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냉매의 압축을 위해 설치된 압축기구부(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압축기용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54)와 밸런스웨이트(60) 및 하부커버(54')와 밸런스웨이트(6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회전자(5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56)와 결합요홈(6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56)는 상기 상부커버(54)와 하부커버(54')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홈(62)은 상기 밸런스웨이트(6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56)와 결합요홈(62)은 상기 회전축공(53)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모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홈(62)은 상기 회전자본체(50’)와 대응되는 밸런스웨이터(60) 표면을 기준으로 내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에 걸림채널(6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56)는 상기 걸림채널(64)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단부(5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모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54)에 인접한 밸런스웨이트(6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커버(54)가 구비된 측으로 진행할수록 외주길이가 증가되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에 경사면(6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54’)에 인접한 밸런스웨이트(6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커버(54’)가 구비된 측으로 진행할수록 외주길이가 증가되도록 원주방향으로의 양단에 경사면(6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모터.
KR1020080003623A 2008-01-11 2008-01-11 압축기용 모터 KR10134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623A KR101348860B1 (ko) 2008-01-11 2008-01-11 압축기용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623A KR101348860B1 (ko) 2008-01-11 2008-01-11 압축기용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591A KR20090077591A (ko) 2009-07-15
KR101348860B1 true KR101348860B1 (ko) 2014-01-07

Family

ID=4133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623A KR101348860B1 (ko) 2008-01-11 2008-01-11 압축기용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6910A (zh) * 2017-09-08 2018-01-05 宁波拓普智能刹车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电子冷却水泵电机的平衡块结构
KR102665224B1 (ko) 2019-09-02 202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099A (ko) * 2004-09-06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의 슬라이드타입 밸런스웨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099A (ko) * 2004-09-06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의 슬라이드타입 밸런스웨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591A (ko)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250B2 (en) Oil discharge preventing apparatus of scroll compressor
EP3093493B1 (en) Electric scroll compressor
US20050260065A1 (en) Blower
CN101002024A (zh) 用于单叶片真空泵的叶片
US20160123326A1 (en) Scroll compressor
KR101348860B1 (ko) 압축기용 모터
CN110581613A (zh) 压缩机
JP6508807B2 (ja) 圧縮機用ブラケット及びロータリ圧縮機
KR102097499B1 (ko) 스크롤형 압축기
US20180252234A1 (en) Compressor Staking Arrangement And Method
JP4045125B2 (ja) 電動圧縮機
JP5146263B2 (ja) ロータ、モータおよび圧縮機
KR20100006237A (ko) 전동식 압축기
KR102171451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6710088B2 (ja) 圧縮機
JP2008099365A (ja) 電動機ステータの固定構造
KR102491474B1 (ko) 스크롤 압축기
US6669456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reversion preventing device
CN112384699B (zh) 涡旋式压缩机
US6912871B2 (en) Structure for reducing refrigerant flow loss in compressor
KR100447207B1 (ko) 아우터 로터형 전동기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
KR100252664B1 (ko) 압축기용 회전자의 플레이트 지지 구조
KR20060024740A (ko) 압축기의 회전자
KR20210080889A (ko) 인버터 일체형 전동 압축기
KR100592674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