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68B1 -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868B1
KR101347868B1 KR1020130105015A KR20130105015A KR101347868B1 KR 101347868 B1 KR101347868 B1 KR 101347868B1 KR 1020130105015 A KR1020130105015 A KR 1020130105015A KR 20130105015 A KR20130105015 A KR 20130105015A KR 101347868 B1 KR101347868 B1 KR 10134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ps
fastening
groov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중원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이엔씨(주) filed Critical 중원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3010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인공위성(S),
거치대본체(11)와, 거치대본체(11) 보다 큰 폭을 가지며, 양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12a)이 형성되고, 거치대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삽입체(12)와, 거치대본체(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3)를 갖춘 거치대(10):
하방으로 개구되며 거치대(10)의 삽입체(1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삽입홈(2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홈(21a)과 연통되며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을 갖춘 하판(21); 하판(2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측판(22);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3a)과,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1고정홀(23b)과, 제1고정홀(23b)과 대향되게 하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2고정홀(23c)을 갖추고서, 일단이 제1측판(22)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판(23);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하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측판(24);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5a)을 갖추고서, 일단이 제2측판(24)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이드판(25); 후방에 구비되는 등받이판(26);을 갖춘 측량기수용기구(20):
일단이 제1가이드판(23)의 가이드홈(23a)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가이드판(25)의 가이드홈(25a)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판(23) 및 제2가이드판(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바(31); 일단이 슬라이드바(31)에 설치되고 타단이 등받이판(26)의 상단에 설치되어 측량기수용기구(20)를 개폐하는 개폐막(32);을 갖춘 개폐기구(30):
측량기수용기구(20)의 제1가이드판(23) 또는 제2가이드판(25)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41); 지지대(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2); 삽입홀(43a)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회전대(42)에 설치되는 설치대(43);를 갖춘 안테나보관기구(40):
측량기수용기구 제1측판(22)의 제1 및 2고정홀(23b,23c)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삽입홀(43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부(51); 체결부(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단자(52); 체결부(5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결단자(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다단의 안테나(53)를 갖춘 수신기구(50):
수신기구(50)의 체결부(51)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61)과, 체결홈(61)의 하방에 상하 관통형성되며 수신기구(50)의 연결단자(52)가 삽입통과하는 통과홀(62)과, 하방으로 개구되는 결합홈(63)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 제1가이드판(23)의 하부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기구(60):
둘레부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홀(71a)이 형성되며, 측량기수용기구 하판(21)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71); 고정부(71)의 체결홀(71a) 및 거치대(10)의 고정홀(12a)에 삽입되는 볼트부(72); 거치대(10)의 삽입체(12) 하부에 배치되며 볼트부(72)와 체결되는 너트부(73); 고정부(71)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GPS측량기(74); 체결기구(60)의 결합홈(6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75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5b)와, 개구부(75b)에 설치되며 수신기구 연결단자(5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단자(75c)를 갖춘 커넥터(75); 접속단자(75c)와 GPS측량기(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라인(76);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20)에 수용되는 GPS측량기기(70):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의 외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쿠션부재(80):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에 설치되는 멜빵부재(90):
를 갖추고서, 각각의 측량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GPS측량장비(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과 통신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이룰 수 있어, 오차 감소를 통한 정확한 GPS 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측량 위치까지의 이동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을 이동할 시, GPS측량기를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GPS Observation System}
본 발명은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PS 측량이란 복수의 인공위성 및 복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량기를 이용하여, 관측점 간의 3차원 상대위치를 구하여, 기준점의 측지학적 좌표와 표고를 결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한편 GPS 관측을 위해서는 GPS 측량기를 측량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데, 산속 또는 숲 속 등에 측량 위치가 있을 경우, GPS 측량기를 측량 위치로 이동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GPS 관측을 함에 있어서, 산속 또는 숲 속 등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이 불량할 때가 있어, 정확한 GPS 측량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209286호 등록특허 10-12178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정확한 GPS 측량을 수행할 수 있는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인공위성(S),
거치대본체(11)와, 거치대본체(11) 보다 큰 폭을 가지며, 양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12a)이 형성되고, 거치대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삽입체(12)와, 거치대본체(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3)를 갖춘 거치대(10):
하방으로 개구되며 거치대(10)의 삽입체(1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삽입홈(2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홈(21a)과 연통되며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을 갖춘 하판(21); 하판(2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측판(22);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3a)과,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1고정홀(23b)과, 제1고정홀(23b)과 대향되게 하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2고정홀(23c)을 갖추고서, 일단이 제1측판(22)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판(23);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하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측판(24);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5a)을 갖추고서, 일단이 제2측판(24)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이드판(25); 후방에 구비되는 등받이판(26);을 갖춘 측량기수용기구(20):
일단이 제1가이드판(23)의 가이드홈(23a)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가이드판(25)의 가이드홈(25a)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판(23) 및 제2가이드판(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바(31); 일단이 슬라이드바(31)에 설치되고 타단이 등받이판(26)의 상단에 설치되어 측량기수용기구(20)를 개폐하는 개폐막(32);을 갖춘 개폐기구(30):
측량기수용기구(20)의 제1가이드판(23) 또는 제2가이드판(25)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41); 지지대(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2); 삽입홀(43a)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회전대(42)에 설치되는 설치대(43);를 갖춘 안테나보관기구(40):
측량기수용기구 제1측판(22)의 제1 및 2고정홀(23b,23c)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삽입홀(43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부(51); 체결부(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단자(52); 체결부(5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결단자(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다단의 안테나(53)를 갖춘 수신기구(50):
수신기구(50)의 체결부(51)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61)과, 체결홈(61)의 하방에 상하 관통형성되며 수신기구(50)의 연결단자(52)가 삽입통과하는 통과홀(62)과, 하방으로 개구되는 결합홈(63)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 제1가이드판(23)의 하부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기구(60):
둘레부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홀(71a)이 형성되며, 측량기수용기구 하판(21)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71); 고정부(71)의 체결홀(71a) 및 거치대(10)의 고정홀(12a)에 삽입되는 볼트부(72); 거치대(10)의 삽입체(12) 하부에 배치되며 볼트부(72)와 체결되는 너트부(73); 고정부(71)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GPS측량기(74); 체결기구(60)의 결합홈(6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75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5b)와, 개구부(75b)에 설치되며 수신기구 연결단자(5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단자(75c)를 갖춘 커넥터(75); 접속단자(75c)와 GPS측량기(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라인(76);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20)에 수용되는 GPS측량기기(70):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의 외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쿠션부재(80):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에 설치되는 멜빵부재(90):
를 갖추고서, 각각의 측량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GPS측량장비(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과 통신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이룰 수 있어, 오차 감소를 통한 정확한 GPS 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측량 위치까지의 이동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을 이동할 시, GPS측량기를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PS측량기기를 생략한 GPS측량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은 복수의 인공위성(S) 및 복수의 GPS측량장비(G)를 통해 이루어진다.
인공위성(S)은 GPS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GPS측량장비(S)는 거치대(10), 측량기수용기구(20), 개폐기구(30), 안테나보관기구(40), 수신기구(50), 체결기구(60), GPS측량기기(70), 쿠션부재(80) 및, 멜빵부재(90)를 갖춘다.
거치대(10)는 패널 형상의 거치대본체(11)와, 거치대본체(11) 보다 큰 폭을 가지며, 양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12a)이 형성되고, 거치대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삽입체(12)와, 거치대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본체(11) 및 지지다리(13)의 연결은 전체적으로 삼각대 형상을 이룬다.
측량기수용기구(20)는 하판(21), 제1측판(22), 제1가이드판(23), 제2측판(24), 제2가이드판(25) 및, 등받이판(26)을 갖추고서, 전체적으로 백팩(Backpack) 형상을 이룬다.
하판(21)은 하방으로 개구되며 거치대(10)의 삽입체(1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삽입홈(2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홈(21a)과 연통되며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을 갖춘다.
제1측판(22)은 하판(21)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측벽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제1측판(22)은 전방 상부 모서리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판(23)은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3a)과,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1고정홀(23b)과, 제1고정홀(23b)과 대향되게 하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2고정홀(23c)을 갖춘다. 그리고 제1가이드판(23)은 일단이 제1측판(22)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2측판(24)은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하판(21)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측벽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제2측판(24)은 전방 상부 모서리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판(25)은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5a)을 갖춘다. 그리고 제2가이드판(25)은 일단이 제2측판(24)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내측으로 돌출된다.
등받이판(26)은, 제1측판(22) 및 제2측판(24)의 후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하판(21)의 후단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등받이판(26)은 상단이 제1가이드판(23) 및 제2가이드판(25)과 맞대어져 제1가이드판 가이드홈(23a) 및 제2가이드판 가이드홈(25a)의 일측방을 폐쇄한다.
개폐기구(30)는 슬라이드바(31) 및 개폐막(32)을 갖춘다.
슬라이드바(31)는 일단이 제1가이드판(23)의 가이드홈(23a)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가이드판(25)의 가이드홈(25a)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판(23) 및 제2가이드판(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바(3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개폐막(32)는 일단이 슬라이드바(31)에 설치되고 타단이 등받이판(26)의 상단에 설치되어 측량기수용기구(20)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막(32)은 일정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보관기구(40)는 측량기수용기구(20)의 제1가이드판(23) 또는 제2가이드판(25)의 내측에 설치되며, 제1가이드판(23) 또는 제2가이드판(25)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41)와, 지지대(41)에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2)와, 삽입홀(43a)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설치대(43)를 갖춘다.
수신기구(50)는 측량기수용기구 제1측판(22)의 제1 및 2고정홀(23b,23c)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삽입홀(43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부(51)와, 체결부(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단자(52)와, 체결부(5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결단자(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다단의 안테나(5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51)는 상단이 상기 제1 및 2고정홀(23b,23c)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진다.
체결기구(60)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신기구 체결부(51)의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61)과, 체결홈(61)의 하방에 상하 관통형성되며 수신기구(50)의 연결단자(52)가 삽입통과하는 통과홀(62)과, 하방으로 개구되는 결합홈(63)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 제1가이드판(23)의 하부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기구(60)는 상기 제1 및 2고정홀(23b,23c)과 상기 회전대 삽입홀(43a)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며, 수신기구(50)의 체결부(51)와 나사산 결합된다.
GPS측량기기(70)는 고정부(71), 볼트부(72), 너트부(73), GPS측량기(74), 커넥터(75) 및, 통신라인(76)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20)에 수용된다.
고정부(71)는 둘레부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홀(71a)이 형성되며, 측량기수용기구 하판(21)의 상부에 배치된다.
볼트부(72)는 고정부(71)의 체결홀(71a) 및 거치대(10)의 고정홀(12a) 및 하판(21)의 관통홀(2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나사산 결합된다.
너트부(73)는 거치대(10)의 삽입체(12) 하부에 배치되며 볼트부(72)와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73)는 볼트부(72)와 나사산 체결된다.
GPS측량기(74)는 고정부(71)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GPS측량기(74)는 수신기구(50)의 안테나(53)를 통해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GPS측량기(74)는 자체 수신기를 내장하여 인공위성(S)과 통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GPS측량기(74)는 GPS 측량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커넥터(75)는 체결기구(60)의 결합홈(6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75a)와, 상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의 개구부(75b)와, 개구부(75b)에 설치되며 수신기구 연결단자(5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단자(75c)를 갖춘다.
통신라인(76)은, 일단이 커넥터(75)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GPS측량기(74)에 설치되며, 접속단자(75c)와 GPS측량기(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쿠션부재(80)는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의 외측에 설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멜빵부재(90)는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측량기구수용기구(20)를 멜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GPS 측량을 수행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측량기수용기구(20)에 수신기구(50)를 수용한다. 이때 작업자는 체결기구(60)를 이용하여 수신기구(50)를 안테나보관기구(40)에 고정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GPS측량기(74)를 측량기수용기구(20)에 수용한 후, GPS측량기기(70)의 볼트부(72) 및 너트부(73)를 이용하여, GPS측량기(74)를 측량기수용기구(20)의 하판(21)에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개폐기구(30)의 슬라이드바(3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개폐막(32)이 측량기수용기구(20)의 전방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후 다수의 작업자는 복수의 측량기구수용기구(20)를 각각 멘 후, GPS 측량이 필요한 복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측량위치에 도착한 각각의 작업자는 거치대(10)에 측량기수용기구(20)를 설치하고, 개폐막(32)을 제1가이드판(23) 및 제2가이드판(25)의 상부로 이동시켜 측량기구수용기구(20)를 개구한다.
한편 GPS측량에 있어서, 주변에 숲이 우거지는 등의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인공위성(S)과의 통신이 어렵다.
그러면 상기 작업자는 수신기구(50)를 안테나보관기구(4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수신기구 체결부(51)를 제1측판(23)의 제1고정홀(23b), 가이드홈(23a), 제2고정홀(23c)를 통과시킨 후, 개폐기구(30)의 슬라이드바(31)를 건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는 체결기구(60)를 수신기구(50)의 체결부(51)에 체결하여, 개폐기구 슬라이드바(31)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GPS측량기기(70)의 커넥터(75)를 체결기구(60)에 결합하여, 커넥터(75)의 접속단자(75c) 및 수신기구(50)의 연결단자(52)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수신기구(50)의 안테나(53)를 상방으로 뽑아내어 도 6과 같이 GPS측량기(74)가 인공위성(S)과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GPS측량기(74)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GPS측량기(74)는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함으로써, 측량위치가 관측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GPS측량기(74)는 각각의 측량위치에서 동시 관측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관측된 측량 정보는 후처리(Static) 방식을 통한 미지점에 대한 측량에 사용된다. 여기서 후처리 방식을 통한 GPS 측량은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기구(50)를 이용하여, 인공위성(S)과 통신이 어려운 지역에서 안정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개폐기구 슬라이드바(31)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측량기수용기구(20)의 개구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하여, 작업자가 GPS측량기(74)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작업자가 측량 위치까지의 이동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을 이동할 시, GPS측량기(74)를 측량기수용기구(20)에 수용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S; 인공위성 G; GPS측량장비
10; 거치대 20; 측량기수용기구
30; 개폐기구 40; 안테나보관기구
50; 수신기구 60; 체결기구
70; GPS측량기기 80; 쿠션부재
90; 멜빵부재

Claims (1)

  1. 복수의 인공위성(S),
    거치대본체(11)와, 거치대본체(11) 보다 큰 폭을 가지며, 양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고정홀(12a)이 형성되고, 거치대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삽입체(12)와, 거치대본체(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3)를 갖춘 거치대(10):
    하방으로 개구되며 거치대(10)의 삽입체(1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삽입홈(2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홈(21a)과 연통되며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을 갖춘 하판(21); 하판(2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측판(22);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3a)과,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1고정홀(23b)과, 제1고정홀(23b)과 대향되게 하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홈(23a)과 연통되는 제2고정홀(23c)을 갖추고서, 일단이 제1측판(22)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판(23);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하판(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측판(24); 내측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5a)을 갖추고서, 일단이 제2측판(24)의 상부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며, 제1측판(22)과 대향되게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이드판(25); 후방에 구비되는 등받이판(26);을 갖춘 측량기수용기구(20):
    일단이 제1가이드판(23)의 가이드홈(23a)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가이드판(25)의 가이드홈(25a)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판(23) 및 제2가이드판(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바(31); 일단이 슬라이드바(31)에 설치되고 타단이 등받이판(26)의 상단에 설치되어 측량기수용기구(20)를 개폐하는 개폐막(32);을 갖춘 개폐기구(30):
    측량기수용기구(20)의 제1가이드판(23) 또는 제2가이드판(25)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41); 지지대(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2); 삽입홀(43a)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회전대(42)에 설치되는 설치대(43);를 갖춘 안테나보관기구(40):
    측량기수용기구 제1측판(22)의 제1 및 2고정홀(23b,23c)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삽입홀(43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부(51); 체결부(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단자(52); 체결부(5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결단자(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다단의 안테나(53)를 갖춘 수신기구(50):
    수신기구(50)의 체결부(51)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61)과, 체결홈(61)의 하방에 상하 관통형성되며 수신기구(50)의 연결단자(52)가 삽입통과하는 통과홀(62)과, 하방으로 개구되는 결합홈(63)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 제1가이드판(23)의 하부 또는 안테나보관기구 설치대(43)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기구(60):
    둘레부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홀(71a)이 형성되며, 측량기수용기구 하판(21)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71); 고정부(71)의 체결홀(71a) 및 거치대(10)의 고정홀(12a)에 삽입되는 볼트부(72); 거치대(10)의 삽입체(12) 하부에 배치되며 볼트부(72)와 체결되는 너트부(73); 고정부(71)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인공위성(S)과 통신하는 GPS측량기(74); 체결기구(60)의 결합홈(6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75a)와,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5b)와, 개구부(75b)에 설치되며 수신기구 연결단자(52)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단자(75c)를 갖춘 커넥터(75); 접속단자(75c)와 GPS측량기(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라인(76);을 갖추고서, 측량기수용기구(20)에 수용되는 GPS측량기기(70):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의 외측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쿠션부재(80):
    측량기수용기구(20)의 등받이판(26)에 설치되는 멜빵부재(90):
    를 갖추고서, 각각의 측량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GPS측량장비(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KR1020130105015A 2013-09-02 2013-09-02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KR101347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015A KR101347868B1 (ko) 2013-09-02 2013-09-02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015A KR101347868B1 (ko) 2013-09-02 2013-09-02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868B1 true KR101347868B1 (ko) 2014-01-07

Family

ID=5014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015A KR101347868B1 (ko) 2013-09-02 2013-09-02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8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5A (ja) * 1994-06-24 1996-01-09 Mitsui Constr Co Ltd Gps測量装置携帯用治具
JPH0815467A (ja) * 1994-06-24 1996-01-19 Mitsui Constr Co Ltd Gps測量作業補助用治具
KR20110097409A (ko) * 2010-02-25 2011-08-31 픽스코리아 주식회사 전자지도용 파노라마 사진 촬영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5A (ja) * 1994-06-24 1996-01-09 Mitsui Constr Co Ltd Gps測量装置携帯用治具
JPH0815467A (ja) * 1994-06-24 1996-01-19 Mitsui Constr Co Ltd Gps測量作業補助用治具
KR20110097409A (ko) * 2010-02-25 2011-08-31 픽스코리아 주식회사 전자지도용 파노라마 사진 촬영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70B1 (ko) 국가수준점을 기초로 한 지표면의 표고 측량 전용 수준 측량 시스템
US7372276B2 (en) Digital locating system and device for underground object detection
KR101347859B1 (ko)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US20120232838A1 (en) Installation of Magnetic Signal Sources for Positioning
JP2015190935A (ja) 携帯型測位装置
Bakuła et al. Reliable and redundant RTK positioning for applications in hard observational conditions
KR101479604B1 (ko)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KR101347868B1 (ko) 오차감소를 통한 정확도 향상 gps 관측시스템
KR101331820B1 (ko) 기준점 측량을 위한 정밀 gps 측량시스템
KR101358981B1 (ko) 관측지역 내 gps측량 전용 기준점 측량 시스템
KR101346203B1 (ko) 수준점 및 표고점을 기반으로 gps를 측량하는 기본측량시스템
KR101820122B1 (ko)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US20130033395A1 (en) Dual coaxial nss receiver system
AU2020279821B2 (en) Underground line locator system with real time kinematic and global satellite positioning
KR100978947B1 (ko) 지피에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수치정보 갱신시스템
KR101492221B1 (ko) Rtk를 이용한 기준점 좌표값 정밀 보정장치
KR101830956B1 (ko) 정확도가 향상된 gis 데이터 수정용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329276B1 (ko) 지형의 정밀 측량에 따른 기준점별 gps 측지측량값 변동 여부 확인시스템
US9310460B2 (en) Method and detector for searching a transmitter
KR1012425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형공간정보 측량 시스템
KR101183653B1 (ko) 스마트폰 및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착탈식 디지피에스 측량시스템
KR102567645B1 (ko) 하나 이상의 기준핀을 기점으로 한 rf 기반의 위치측정공작도구
KR101753139B1 (ko) 천공위치 설정용 지그
CN205449081U (zh) 测绘用位置定位系统
KR101746660B1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위치정보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