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776B1 -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776B1
KR101347776B1 KR1020120123017A KR20120123017A KR101347776B1 KR 101347776 B1 KR101347776 B1 KR 101347776B1 KR 1020120123017 A KR1020120123017 A KR 1020120123017A KR 20120123017 A KR20120123017 A KR 20120123017A KR 101347776 B1 KR101347776 B1 KR 10134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coating layer
soundproof wall
film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수
김덕주
최헌식
Original Assignee
(주)이노웍스
조혜숙
(주) 세명폴리텍
최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웍스, 조혜숙, (주) 세명폴리텍, 최헌식 filed Critical (주)이노웍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7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되,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액과 필름, 상기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 및 상기 필름의 타면에 형성된 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층은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3:4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튼튼하고, 파손 시 비산의 위험이 없으며, 내후성이 강하고, 재활용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여 저렴한 방음벽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COATING SOLUTION AND SOUNDPROOF WA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내후성이 좋은 방음벽을 제조하기 위한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현대인의 삶의 질이 날로 향상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기술은 생산성 및 효율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 존재하는 여러 공해의 감소도 함께 고려하여 진보하고 있다. 여러 공해 중 도심 속 교통 수단의 증가와 인구 밀도 증가로 인하여, 생활 환경 내의 소음 공해 역시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음 감소를 위하여 방음시설이 설치되고 있는데, 방음벽도 그 시설 중 하나이다. 종래의 방음벽으로는 도 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 스크레치 코팅된 투명 방음 플라스틱이 있다. 그러나, 이는 변형이 쉽게 일어나고, 사고로 인한 방음벽 파손 시 방음벽 파편이 날려 제2의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존재하며, 내후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방음벽으로는 도 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장의 방음 유리 사이에 한 장의 투명한 고무 재질의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방음벽이 있다. 이 방음벽의 구성 중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접착된 한 장의 투명한 접착 필름은 방음벽이 사고로 인하여 파손될 경우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제2의 사고 유발 가능성을 낮추고, 사고 후 잔해물 처리를 용이하도록 한다.
하지만, 개선된 방음벽 역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 방음벽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두 장의 유리 각각의 두께를 줄이고, 두 장의 유리가 접착 필름을 사이에 두고 포개어져 있는 형태이므로 취급 시 측면 파손 및 균열이 잘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내후성이 나빠서 장시간 옥외용으로 사용 시 열화가 진행되어 황변 현상 등이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방음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i)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301), ii) 이를 가열한 후 롤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접합하는 단계(S302), iii) 압력용기에서 고온상태로 가압하는 단계(S303)를 거쳐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여, 제작이 쉽지 않고, 불량률이 높으며, 이로 인하여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넷째로, 재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방음 시설이 설치된 후 다른 장소에 다시 사용하지 못하므로 폐기하여야 하고, 내후성 부족으로 인한 열화 발생시에도 방음벽을 통째로 폐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튼튼하고, 파손 시 비산의 위험이 없으며, 내후성이 강하고, 재활용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여 저렴한 방음벽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액 및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과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되,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필름; 상기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 상기 필름의 타면에 형성된 유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제조 방법은 올리고머, 모노머, 유기 용매, 광개시제,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및 표면 강화제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을 필름 일 면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이 형성된 필름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코팅액이 형성된 필름을 자외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튼튼하고, 파손 시 비산의 위험이 없으며, 내후성이 강하고, 재활용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여 저렴한 방음벽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방음벽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방음벽의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UV흡수제 및 UV안정제의 함유비에 따른 황변지수값(YI)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UV흡수제 및 UV안정제를 3: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의 함유비에 따른 황변지수값(YI)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PHR"(parts per hundred resin) 단위는 "중량부" 단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음벽은 코팅층(410), 필름(420), 접착층(430) 및 유리(4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음벽의 각 층별 기능을 살핀다.
코팅층(410)은 코팅액을 필름(420) 위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상처를 견디어내는 내스크래치성 및 비, 바람, 태양광과 같은 외부 기후에 견디어내는 내후성을 가지므로 방음벽을 상처 및 기후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필름(420)은 유리가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깨어지는 경우, 유리(440) 파편이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음 유리가 방음벽으로 사용되는 경우, 교통사고 등에 의한 물리적인 충격을 받으면 사방으로 흩어져 제2의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유리(440) 일 면에 필름(420)을 형성하여 비산(飛散)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층(43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420)이 유리(440)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리(440)와 필름(42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43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430)은 외부 기후에 견디어내는 내후성을 가지므로, 외부 기후로부터 방음벽을 보호할 수 있다.
유리(440)는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방음벽을 보호할 수 있고, 차음성이 있어, 유리 일 면 밖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다른 일면 밖의 공간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하거나 음파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서 코팅층 및 필름이 형성된 유리는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비산 방지 기능, 진동 흡수 기능, 내충격성 및 차음성을 가지는 방음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방음벽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방음벽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방음벽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방음벽의 코팅층(4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팅액을 제조한다.( S610 )
코팅층(410)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은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및 표면 강화제를 포함 할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와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의 열화에 의해 유리 또는 필름의 색상이 누렇게 변화하는 황변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 자외선 안정제는 octyl 3-[3-tert-butyl-4-hydroxy-5-(5-chloro-2H-benzotriazol-2-yl)phenyl]propionate 일 수 있다.
표면 강화제는 코팅층 표면을 강화하는 기능을 가지며, Tyzor TPT 일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및 표면 강화제의 혼합 비율에 따라 코팅층(410)의 황변을 방지하는 정도 및 표면 경도가 달라지므로, 아래에서 적정 혼합 비율을 설명한다.
아래의 표 1은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비에 따른 황변지수값(YI)을 UV 1W를 습도 90%, 온도 60℃ 조건에서 500시간 동안 비춘 후(QUV Weathering Tester(한승이앤아이) 조건) 열화에 의한 황변지수값(YI;Yellow Index)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8은 UV흡수제 및 UV안정제의 함유비에 따른 황변지수값(YI)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함유비(PHR) 0 1 2 3 4 5 6
UV흡수제 2 1.5 1.3 1.2 1.2 1.2 1.2
UV안정제 2 1.4 1 0.8 0.7 0.7 0.7
표 1 및 도8을 참조하면, UV흡수제는 2.5 내지 3.5PHR인 경우에 1.2YI로 가장 낮은 황변지수값(YI)을 나타내고, UV안정제는 3.5 내지 4.5PHR인 경우에 0.7YI로 가장 낮은 황변지수값(YI)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을 기초로 하여 UV흡수제에 대한 UV안정제의 최적의 혼합비(중량비)가 3:4임을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본 발명은 최적의 혼합비만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UV흡수제와 UV안정제를 3: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의 함유비에 따른 황변지수값(YI)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UV흡수제 및 UV안정제를 3: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하, UV혼합물이라고 칭함.)의 함유비에 따른 황변지수값(YI)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함유비(PHR) 0 2 4 6 8 9
UV혼합물 2 1 0.6 0.3 0.2 0.2
표 2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표 1 및 도 8과 비교하면, UV흡수제와 UV안정제가 3:4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하, UV혼합물이라고 칭함.)을 사용한 경우, UV흡수제 또는 UV안정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황변지수값(YI)이 전반적으로 눈에 띄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데이터는 UV흡수제와 UV안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황변을 낮추는 효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2 및 도 9를 참조하면, UV혼합물의 함유비가 8PHR이상인 경우, 황변지수값(YI)이 0.2YI로 최소값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UV혼합물의 함유비가 4.5PHR이상인 경우, 표면 경도가 낮아져 내스크레치 특성이 너무 나빠질 수 있고, UV혼합물의 함유비가 3.5PHR 이하인 경우 황변지수값(YI)이 높아서 충분한 황변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충분한 황변 방지 효과를 확보하면서 표면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하기 위해서는, UV혼합물의 함유비는 3.5 내지 4.5PHR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의 황변지수값(YI)은 0.6YI이다.
UV혼합물을 상기의 범위내인 4PHR의 함유비로 혼합하여 코팅층을 제조하는 경우, 내 스크래치성은 1H(연필경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표면 강화제를 첨가하여 코팅층의 표면 경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강화제는 tyzor TPT 일 수 있다.
아래의 표 3에서 표면강화제 함유비에 따른 코팅층의 연필 경도값을 도시하였다.
함유비(PHR) 0 0.1 0.2 0.3 0.4 0.5 0.6
표면 강화제 1H 1H 2H 3H 3H 2H 2H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UV혼합물의 4PHR 함유비 조건에서 표면 강화제를 혼합하지 않은 경우, 표면 경도는 1H의 연필경도를 나타내고, 표면 강화제를 0.6PHR 이상 혼합한 경우, 표면 경도는 2H의 연필경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표면 강화제를 0.3 내지 0.4PHR의 범위내의 함유비로 혼합한 경우, 코팅층의 표면 경도는 3H로서 오히려 표면 강화제를 0.6PHR이상 혼합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UV혼합물 4PHR 함유비 조건에서 표면 경도 보완을 위한 표면 강화제 함유비는 0.3 내지 0.4PHR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팅층의 황변 방지 기능과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을 위하여, 코팅액에 혼합되는 UV흡수제 및 UV안정제의 혼합비는 3:4인 것이 바람직하고, 코팅액에 혼합되는 UV혼합물의 함유비는 3.5 내지 4.5PHR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UV혼합물의 함유로 인하여 낮아진 코팅층의 표면 경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표면 강화제의 함유비는 0.3 내지 0.4PHR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액은 올리고머, 모노머, 유기 용매 및 광개시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데카알리패틱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다이펜타아크리 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펜타아크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펜타에리스톨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펜타크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아크릴티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알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에리스톨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메틸올프로판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메틸올프로판트라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헥산다이올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페닐글리콜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부탄다이올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에틸렌글리콜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트라이에틸올프로판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코팅액에 첨가되는 원료들을 녹여 혼합하는 용매로써,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셀루솔브, 에틸셀루솔브, 부틸셀루솔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아세톤,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아세톤알콜, 노르말메틸피롤리돈, 자일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photoinitiator)는 자외선 램프로 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올리고머 및 모노머가 중합반응에 의해 고분자 물질(Polymer)로 경화되도록 하는 광 중합을 개시시키는 물질로써, 상기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메이트,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4-모포린일)페닐]-1-부탄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포린일)-1-프로판온, 다이페닐(2,4,6-트라이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포스핀옥사이드페닐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 비스(에타5-2,4-사이클로펜타다이엔-1-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1수소-페롤-1-일)페닐]타이탄늄, 아오돈늄 및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코팅액은 올리고머 100PHR, 모노머 30PHR, 유기 용매 10PHR, 광개시제 4PHR,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가 혼합된 혼합물(UV혼합물) 3.5 내지 4.5PHR 및 표면 강화제 0.3 내지 0.4PHR의 혼합비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510)이 형성된 필름(520)을 형성한다.(S62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팅층(510)이 형성된 필름(520)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코팅액을 필름(520) 일 면에 도포하여 형성한다.(S710)
상기 필름(520)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 및 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필름(520)의 두께는 25 내지 250 μm일 수 있다.
그리고, 코팅액이 형성된 필름을 70 내지 90℃의 온도조건에서 8 내지 12분간 건조한다.(S720)
그 후에, 자외선을 비추면, 코팅층(510)에 함유된 올리고머 및 모노머가 광개시제에 의해 광 중합반응을 하여, 필름(520) 위의 코팅층(510)이 경화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 코팅층(510)이 형성된 필름(520)을 제조할 수 있다.(S730)
그 다음으로, 필름(520)의 타면에 접착층(530)을 형성한다.( S630 )
상기 접착층(530)은 코팅층(510)이 형성된 필름(520)과 유리(540)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접착층(530)은 8 내지 150 μm 범위 내의 두께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리(540)의 일면 위에 접착층(530)을 형성하여 방음벽을 제조한다.(S640)
보다 상세하게, 유리(540)의 일면과 접착층(530)의 양면 중에 필름(520)과 접착되지 않은 일면이 접촉하도록 한 후, 15 내지 150 ℃의 온도 조건에서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을 수행하여 방음벽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리(540)는 방음 기능 및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견디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유리(540)는 3 내지 30 mm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는 강화 방음 유리일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팅액을 제조한다.( S610 )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520)의 일면 위에 코팅층(510)을 형성한다.(S620)
그 다음으로, 유리(540)의 일 면 위에 접착층(530)을 형성한다.( S650 )
상기 유리(540)는 방음 기능 및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견디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유리(540)는 3 내지 30 mm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는 강화 방음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530)은 필름(520)과 유리(540)가 견고하게 접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접착층(540)은 8 내지 150 μm 범위 내의 두께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착층(530)이 형성된 유리(540) 위에 필름(520)을 형성하여 방음벽을 제조한다.(S660)
보다 상세하게, 접착층(530)의 양면 중에, 유리(540)와 접착되지 않은 일면이 필름(520)의 양면 중에, 코팅층(510)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15 내지 150 ℃의 온도 조건에서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을 수행하여 방음벽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방음벽은 종래의 방음벽과 비교하여 튼튼하고, 내후성이 강하며, 재활용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종래의 방음벽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방음벽이 가지는 장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첫째, 본 발명의 방음벽은 튼튼하다.
종래의 방음벽은 두장의 유리 사이에 필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동성 있는 필름층 때문에, 측면 파손이 잦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쉽게 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밞여의 방음벽은 한장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방음벽과 동일한 두께일 경우 유리의 두께가 약 2배로 커질 수 있으며, 한장의 유리로 형성되므로 가운데 유동성 있는 필름층이 없어, 파손될 위험이 더욱 감소하는 장점을 가진다.
둘째, 본 발명의 방음벽은 내스크래치성 및 내후성이 강하여, 이에 따라, 변 현상이 적고, 방음벽으로서의 수명이 길다.
본 발명의 코팅층(410)이 가지는 내스크래치성으로 인해,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변형이 적고, 내후성으로 인해, 코팅층이 없는 종래의 방음벽이 가지는 황변지수값(YI)이 2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방음벽이 가지는 황변지수값(YI)은 0.6으로, 종래의 방음벽보다 3배 이상 적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방음벽은 도심 속에 주로 설치되는 시설물임을 감안할 때, 도시 경관상 보기 좋고, 수명이 길어 교체 주기가 길어지는 장점 또한 가진다.
셋째, 본 발명의 방음벽은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종래의 방음벽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이나 열화로 의해 표면의 변형이 유발되는 경우, 방음벽을 통째로 교환해야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방음벽은 코팅층(410)이 있고,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이 외부로 드러나 있어, 물리적 충격이나 열화에 의한 필름층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간단하게 필름층의 교환으로 방음 유리를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넷째, 본 발명의 방음벽은 종래의 방음벽에 비해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도 2는 도 1의 (b)에 도시된 종래의 방음벽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1의 (b)에 도시된 종래의 방음벽의 제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방음벽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두 장의 유리판(210) 사이에 접착 필름을 형성한다.(S310)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제1 방음벽(230)을 가열하고, 롤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접합한다.(S320) 마지막으로, 가접합된 제2 방음벽(240)을 압력용기(AUTOCLAVE)에서 고온의 조건으로 가압하여 방음벽(250)을 제조한다.(S330) 이렇게 종래의 방음벽은 가열, 롤프레스를 이용한 가접합 및 고온의 조건에서 가압과정을 거치므로 복잡한 공정을 가진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방음벽은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의 타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유리의 일면 위에 상온을 포함하는 15 내지 150 ℃의 온도 조건에서 라미네이션 공정만으로 제조 가능하므로, 공정이 단순하고, 불량 발생률이 적어,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8)

  1.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되,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octyl 3-[3-tert-butyl-4-hydroxy-5-(5-chloro-2H-benzotriazol-2-yl)phenyl]propionat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표면 강화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강화제는 Tyzor TP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올리고머, 모노머, 유기 용매 및 광개시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데카알리패틱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다이펜타아크리 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펜타아크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펜타에리스톨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펜타크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아크릴티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알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에리스톨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메틸올프로판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메틸올프로판트라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헥산다이올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페닐글리콜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부탄다이올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트라이에틸렌글리콜다이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트라이에틸올프로판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셀루솔브, 에틸셀루솔브, 부틸셀루솔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아세톤,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아세톤알콜, 노르말메틸피롤리돈, 자일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메이트,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4-모포린일)페닐]-1-부탄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포린일)-1-프로판온, 다이페닐(2,4,6-트라이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포스핀옥사이드페닐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 비스(에타5-2,4-사이클로펜타다이엔-1-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1수소-페롤-1-일)페닐]타이탄늄, 아오돈늄 및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13. 제1항에 있어서,
    올리고머, 모노머, 유기 용매, 광개시제 및 표면 강화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올리고머가 100중량부일 때 상기 모노머는 30중량부이고, 상기 유기 용매는 10 중량부이며, 상기 광개시제는 4중량부이고, 상기 자외선 안정제와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혼합된 혼합물은 3.5 내지 4.5 중량부이며, 상기 표면 강화제는 0.3 내지 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코팅액.
  14. 삭제
  15.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 및 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25 내지 250μm 범위 내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표면 강화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19. 방음벽에 있어서,
    필름;
    상기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및
    상기 필름의 타면에 형성된 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3 내지 30 mm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는 강화 방음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표면 강화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및 상기 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8 내지 150 μm 범위 내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4. 올리고머, 모노머, 유기 용매, 광개시제,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및 표면 강화제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을 필름 일 면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이 형성된 필름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코팅액이 형성된 필름을 자외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에서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제조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20123017A 2012-08-16 2012-11-01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7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9383 2012-08-16
KR1020120089383 2012-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776B1 true KR101347776B1 (ko) 2014-01-27

Family

ID=5014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017A KR101347776B1 (ko) 2012-08-16 2012-11-01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801A (ko) 2019-01-17 2020-07-28 (주)플라벡스 내화학약품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CN112646504A (zh) * 2020-12-15 2021-04-13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保护盖板及移动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2305A2 (en) * 1990-02-16 1991-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Acrylic coated thermoplastic substrate
KR0148853B1 (ko) * 1994-12-30 1998-10-01 김충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이용한 광경화형 도막조성물
KR20070108692A (ko) * 2006-05-08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격벽 재료조성물
KR20110050952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도료 수지 및 조성물, 및 그 코팅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렌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2305A2 (en) * 1990-02-16 1991-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Acrylic coated thermoplastic substrate
KR0148853B1 (ko) * 1994-12-30 1998-10-01 김충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이용한 광경화형 도막조성물
KR20070108692A (ko) * 2006-05-08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격벽 재료조성물
KR20110050952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도료 수지 및 조성물, 및 그 코팅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렌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801A (ko) 2019-01-17 2020-07-28 (주)플라벡스 내화학약품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CN112646504A (zh) * 2020-12-15 2021-04-13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保护盖板及移动终端
CN112646504B (zh) * 2020-12-15 2022-05-03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保护盖板及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073B1 (ko) 광 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경도 시트
KR101379491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1431B1 (ko) 플라스틱 필름
EP3040200B1 (en) Plastic film laminate
KR101501686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70464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389967B1 (ko)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JP7083834B2 (ja) フレキシブルウィンドウ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102556906B1 (ko)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20200008007A (ko) 하드코팅필름
KR20160103682A (ko) 폴더블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1028463B1 (ko) 광 경화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용 조성물
KR101347776B1 (ko)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106061A (ja) 耐候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
JP6476676B2 (ja) 車両用風防板
KR100831497B1 (ko) 고해상 방현성 보상필름의 제조방법
JP5306635B2 (ja) ハードコ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JP7229833B2 (ja) 成型用積層フィルム
KR101351625B1 (ko) 반사 방지 필름
JP5729002B2 (ja) 耐候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3619A (ko) 대전방지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방현필름
CN117083547A (zh) 光学膜
KR20150000745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40082531A (ko) 액정화면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3874588A (zh) 抗静电性透明光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