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142B1 -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142B1
KR101346142B1 KR1020110101320A KR20110101320A KR101346142B1 KR 101346142 B1 KR101346142 B1 KR 101346142B1 KR 1020110101320 A KR1020110101320 A KR 1020110101320A KR 20110101320 A KR20110101320 A KR 20110101320A KR 101346142 B1 KR101346142 B1 KR 10134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ouch screen
tempered
unit cel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014A (ko
Inventor
정기로
Original Assignee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1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및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터치 스크린 제작 과정은,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고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하는 과정과,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보호 필름 및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터치 스크린을 생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터치 스크린은, 상부면, 하부면, 및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측면의 일부와,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강화 영역을 가진 강화 유리와, 상기 강화 유리에 부착된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Touch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및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터치 스크린은 손 등의 물체에 접촉(touch)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장착한 화면을 말한다. 즉,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과 같은 패널 유리(21)에 터치패널(20;touch panel)을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 패널(20)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은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휴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패널 유리(21)는 쉽게 깨지지 않도록 강화 처리되어야 한다.
상기 패널 유리는 상하면 측면이 깨지지 않도록 강화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패널 유리와 같은 단위 셀의 유리를 강화 처리한 사시도로서, 상하면 및 측면을 포함한 6면이 모두 강화 처리되는 장점이 있으나, 단위 셀 유리(10a)의 모든 면을 일일이 강화 처리하여 단위 셀 강화 유리(10)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시간이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공정 시간 소요 및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셀이 아닌 원판 단위의 유리(100a)의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한 후 이를 절단하여 강화 처리된 단위 셀 강화 유리(100)를 생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유리(100a)를 마련하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유리(100a)의 상하부 표면을 열 강화 또는 화학 강화를 통하여 강화 처리한다. 그 후,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등의 컷팅 수단을 이용하여 강화된 원판 유리(100)를 절단하게 되면, 도 3(d)와 같은 절단된 단위 셀 강화 유리(10)를 취득할 수 있다. 그런데, 도 3의 과정을 거친 단위 셀 강화 유리(10)의 경우, 유리의 상하면만이 강화 처리될 뿐 측면이 강화 처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측면이 충격이나 외부 자극에 취약하고 측면의 충격에 쉽게 깨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1) 한국공개특허 10-2011-009277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강화 성능이 향상된 터치 스크린을 제작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대량 양산에 유리한 터치 스크린을 제작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터치 스크린 제작 과정은,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고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하는 과정과,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보호 필름 및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터치 스크린을 생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제작 과정은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고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한 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제작한 강화 유리를 마련하는 과정과, 터치 패널을 상기 강화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강화 유리를 마련하는 과정은, 원판 유리를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원판 유리의 표면을 강화 처리하는 과정과, 강화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강화 유리를 생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터치 스크린은, 상부면, 하부면, 및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측면의 일부와,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강화 영역을 가진 강화 유리와, 상기 강화 유리에 부착된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은 상하 방향 수직면과, 상부면에서 측면을 잇는 모서리면을 구비하고, 모서리면에 강화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면은 경사면, 곡면, 단차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판을 이용한 강화 처리 시에 성능이 향상된 강화 유리를 갖는 터치 스크린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강화 유리의 상하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 일부에도 강화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량 양산에 유리하며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단위 셀의 유리를 강화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원판 유리를 강화 처리 후 절단하여 단위 셀 강화 유리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가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인 홈이 원판 유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양측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판 유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양측 모두 형성된 라인 홈을 따라 절단했을 때 생산된 단위 셀 강화 유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과정으로 최종 제작된 단위 셀 강화 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인 홈을 이용하여 절단한 단위 셀 강화 유리와 터치패널을 서로 부착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제작한 강화 유리와 복수의 터치 패널을 부착한 후 절단하여 터치 스크린을 생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 유리가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유리(100a)를 마련한다. 상기 원판 유리(100a)의 재질은, 소다 석회 규산염(soda lime silicate) 등 다양한 유리 원료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판 유리(100a)의 크기는 대형 크기를 가지는데, 강화된 원판 유리를 절단하여 다수의 단위 셀 유리를 제작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위 셀 유리는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기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음극선관, 전기 방전 램프(electric discharge device), 형광 램프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판 유리(100a)는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콘, 황, 칼륨, 칼슘, 티타늄, 철, 염소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 화학 강화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나트륨(Na) 성분이 화학 강화를 위한 이온 치환에 필수적인 성분이므로 원판 유리의 나트륨 함량이 중요하다. 나트륨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충분한 이온 치환이 일어나지 않아 원하는 화학 강화가 일어나기 어려우며, 나트륨 함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유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유리의 백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학 강화에 적합한 나트륨 함량은 약 12 중량% 내지 18 중량% 수준이다. 나트륨 함량이 12% 미만인 경우 치환될 수 있는 나트륨 이온의 양이 부족하여 충분한 강화가 일어나기 어려우며, 나트륨 함량이 1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화 처리 중에 유리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어 적절하지 않다. 나트륨 함량이 12 중량% 이하인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처리를 해야한다.
또한, 상기 원판 유리(100a)는 두께는 300㎛ 이상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학 강화가 가능하다. 다만, 열 강화를 수행할 경우, 원판 유리 두께는 3mm가 됨이 바람직하다. 3 mm 이상의 원판 유리 역시 열 강화나 화학 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유리의 표면의 처리를 통한 강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원단 유리의 두께의 상한은 의미가 없으며 열 강화나 화학 강화가 가능한 두께 이상을 갖는다면 원판 유리의 두께는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원판 유리를 마련한 후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유리(100a)의 표면에 라인 홈(101)을 형성하는 과정을 가진다. 상기 라인 홈(101)은 나중에 단위 셀 강화 유리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판 유리(100a)를 절단할 때 절단할 위치로서 표면에 홈을 라인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라인 홈(101)은 단위 셀 강화 유리의 크기에 따라서, 가로 및 세로로 각각 교차하는 복수개의 라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라인 홈(101)은 V자 형태와 같이 날카로운 형태로 홈이 파여지거나, U자 형태와 같이 굴곡 형태로 홈이 파여지거나, 사각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홈이 파여질 수 있다. V자 형태의 경우 절단 시에 쉽게 절단되는 장점이 있으며, U자 형태나 사각 형태의 경우 절단 후 일직선 형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라인 홈(101)이 파여지는 깊이는 원판 유리 두께의 1/2 미만으로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원판 유리 두께의 1/2을 초과할 경우, 원판 유리를 강화 처리하거나 이송 시에 의도하지 않게 원판 유리가 깨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원판 유리 두께의 1/3 깊이로 라인 홈이 파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300㎛의 원판 유리 두께를 가질 경우, 표면에서 100㎛의 깊이로 라인 홈이 파여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인 홈(101)은 원판 유리(100a)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어느 한쪽면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라인 홈이 원판 유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양측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원판 유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양측 모두에 라인 홈을 형성함으로써, 추후에 절단된 단위 셀 강화 유리의 측면의 강화 처리된 면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라인 홈(101)을 형성한 후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유리의 표면을 강화 처리하여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100)를 제작하는 과정을 가진다. 원판 유리의 표면에 대한 강화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라인 홈(101) 깊숙히 까지도 강화 처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라인 홈을 따라서 원판 유리를 절단하게 되면, 절단된 측면까지도 강화 처리를 이룰 수 있다.
강화 처리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는 열 강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화학 강화 방식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 처리 방식으로서, 열 강화 방식 및 화학 강화 방식의 일 예를 간단히 설명할 것이나, 이밖에 다양한 강화 처리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열 강화 방식은, 유리의 표면을 가열한 후 냉각제를 이용하여 표면을 급냉시켜 유리 강도를 강화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질화 세슘(cesium nitrate, CsNO3)을 30 mol%로 포함하고 알루미나(alumina, Al2O3)를 70 mol%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라인 홈이 형성된 유리 원판의 표면에 코팅한다. 이때, 알루미나는 입자의 평균 크기가 약 0.1㎛인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유리 원판의 표면으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유리 표면에 고체상의 염 함유층(salt-containing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건조 공정 후 상기 유리 원판을 전기로(electric furnace)에 도입하여 설정된 온도-시간 스케쥴에 따라 열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온도-시간 스케쥴에서는 먼저, 60분 동안 20℃에서 45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120분 동안 450℃를 유지한 후 60분 동안 450℃에서 20℃로 냉각한다. 상기 열처리를 수행한 후, 유리 원판을 세척함으로써 유리 표면에 표면 확산층(surface diffusion layer)을 형성하여 강화 처리 할 수 있다.
화학 강화 방식은, 이온 교환 처리를 통하여 압축 응력층을 유리 패널의 표면에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화학 강화 방식은 표면의 알칼리 금속 제거 방식과 알칼리 금속의 교환 방식이 있다. 알칼리 금속의 교환 방식은, 고온형 이온 교환법과 저온형 이온 교환법이 있다.
고온형 이온 교환법의 경우 유리의 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며, KNO3의 용액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리에 있는 Na+ 이온을 K+ 이온으로 치환시킨 후, 재열처리에 의해 유리의 표면에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결정화층을 유도하여 응력을 발생시켜 유리를 강화시키는 방식이다. 이와는 다르게 저온형 이온 교환법은, 유리의 서냉 온도 이하인 약 500℃로 유지되고 있는 알칼리염 용융액 속에 유리를 담그어 두면, 유리 내부에 있는 알칼리 이온과 용융액 내의 알칼리 이온 가의 교환이 이루어져 유리 표면에 압축 응력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라인홈이 형성된 원판 유리를 열 강화 또는 화학 강화 방식으로 강화 처리한 후에는, 라인 홈(101)을 따라 원판 유리를 절단하여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사용되는 강화 유리(10;단위 셀 강화 유리)를 최종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강화된 원판 유리(100)의 절단 공정은 화학 강화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며, 열에 의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절단법이 바람직하다.
원판 유리에 대한 강화 처리의 강도가 약하게 된 경우에는 워터 젯트에 의한 절단이 가능할 수 있다. 워터 젯트는 고압의 물과 연마제를 섞은 물을 분사를 하여 유리를 절단 하는 방법으로서, 열 발생이 거의 없어 적합한다. 다만, 연마제의 비산으로 유리 표면에 긁힘이 발생할 수 있고, 연마제의 충격으로 인한 절단면에 미세한 파쇄가 발생하여 연마 후에도 파쇄 부위가 남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절단면의 파세 부위를 완전히 제거 하기 위해서는 연마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이즈가 작은 연마제를 사용함으로써 위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다만, 워터 젯트의 경우 강화 처리의 강도가 강하게 된 원판 유리를 절단하지 못해 부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강화 처리의 강도가 강하게 된 원판 유리의 경우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을 실시하는 경우, 절단면이 아주 깨끗하며 파쇄 부위가 적다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레이저 절단 시에는 고온(약 1,100℃)이 발생하고, 이러한 온도는 화학 강화 온도보다 높고 유리의 용해 온도에 가깝기 때문에 절단면이 열강화의 수준으로 경화가 되어, 레이저 절단 중에 화학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가 깨질 위험이 있다. 강화 이후 표면 경도 및 내부 잔류 응력으로 인해 외력을 강화유리 표면에 작용시키는 경우 쉽게 파손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저 절단 전에 라인 홈에 대한 전처리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절단을 실시한 경우, 고온에 의한 절단면의 열영향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 전처리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절단의 경우 고온 절단으로 인해 화학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가 깨질 위험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마스크 식각을 이용한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화학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경우, 라인 홈을 제외한 영역의 원판 유리 표면에 마스크를 입히고, 상기 라인 홈의 표면에 있는 경화된 화학 성분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그 후, 식각 처리된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원판 유리를 절단하는 것이다. 식각 처리된 라인 홈의 절단은, 경화 성분이 없어졌기 때문에 워터 젯트, 레이저 등을 통하여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원단 유리의 절단 후에는 절단면에 발생한 미세 크랙(crack) 및 열 영향부를 반드시 제거하여야만 하며, 이러한 미세 크랙 및 열 영향부의 제거는 제조된 강화 유리의 품질의 균일성 및 불량률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설명된 절단법 이외의 절단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어떠한 경우에도 미세 크랙 및 열 영향부를 제거하기 위해 절단면의 연마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최종 제작된 도 4(d)의 단위셀 강화 유리(10)의 상부면 및 하부면뿐만 아니라 측면의 일부까지도 강화 처리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원판 유리의 표면에 대한 강화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라인 홈 깊숙히 까지도 강화 처리가 되어, 결국, 라인 홈을 따라서 원판 유리를 절단하여 절단된 홈이 파진 측면까지도 강화 처리가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도 5와 같이 라인 홈(101)이 원판 유리(100a)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양쪽에 형성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 생산된 단위 셀 강화 유리의 측면의 상하가 강화 처리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과정으로 최종 제작된 단위 셀 강화 유리의 단면도이다.
단위 셀 강화 유리는, 상부면, 하부면, 및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는 유리 본체를 구비한다. 또한 측면의 일부와,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강화 영역을 가진다. 상기 측면은 상하 방향 수직면(A)과, 상부면에서 측면을 잇는 모서리면(B)을 구비하고, 모서리면(B)에 강화 영역이 형성된다. 모서리면(B)은 라인 홈의 파인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V자 형태의 라인 홈으로 파일 경우 경사면을 가지며, U자 형태의 라인 홈으로 파일 경우 곡면, 사각 형태의 라인 홈으로 파일 경우 단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면(B)의 높이(H1)는 측면 전체 높이(H)의 1/2 미만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고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한 후, 상기 라인 홈을 따라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를 절단하여 제작한 단위 셀 강화 유리(도 5 및 도 6)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패널에 부착되는 패널 유리로 사용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홈을 이용하여 절단한 강화 유리(10)의 표면에는 터치 패널(20)이 부착되어 최종적인 터치 스크린(1)으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터치 패널(20)은 기존에 알려진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방식, 적외선방식, 초음파방식, 커버 글라스 일체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만약, 터치 패널과 패널 유리를 일체화한 커버 글라스 일체형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라인 홈을 이용하여 절단하여 생산한 단위 셀 강화 유리의 표면에 전극을 형성한 후 터치 패널과 부착해야 한다.
한편, 상기 도 8과 같이 라인 홈을 이용하여 절단한 단위 셀 강화 유리와 터치패널을 서로 부착하는 것은, 낱개 형태로 일일이 부착 작업이 수행되야 하므로 공정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강화 처리된 원판에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부착한 후 절단하여 낱개의 터치 스크린을 제작한다.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우선,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유리(100a)를 마련한다. 원판 유리에 대해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 홈(101)을 형성한다. 그 후, 원판 유리(100a)의 표면 전체를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화 처리한다. 강화 처리는 열 강화 방식 또는 화학 강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을 가진다.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수지와 같은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원판 유리 표면에 부착할 수 있다. 즉,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 패널(20)을 상부면에 부착한 보호 필름(30)을 마련한다. 그 후,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100)의 표면과 보호 필름(300)의 상부면을 접착시키고,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을 제거한다.
그리고,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도 9(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낱개의 터치 스크린(1)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터치 스크린 20: 터치 패널
21: 패널 유리 30: 보호 필름
10: 단위 셀 강화 유리 100a: 원판 유리
100: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 101: 라인홈

Claims (18)

  1.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는 과정;
    라인 홈이 형성된 원판 유리의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하는 과정;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
    상기 터치 패널 및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터치 스크린을 생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은,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상부면에 부착한 보호 필름을 마련하는 과정;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과 보호 필름의 상부면을 접착시키는 과정;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과정;
    을 포하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3.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는 과정;
    라인 홈이 형성된 원판 유리의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하는 과정;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강화 유리를 마련하는 과정;
    터치 패널을 상기 단위 셀 강화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강화 유리를 마련하는 과정은,
    원판 유리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원판 유리의 표면을 강화 처리하는 과정;
    강화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강화 유리를 생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인 홈은, 원판 유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인 홈은, V자 형태, U자 형태, 사각 형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서 홈이 파여지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인 홈은, 원판 유리 두께의 1/2 미만으로 홈이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강화 처리는 열 강화 처리, 화학 강화 처리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는 것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원판 유리를 절단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원판 유리를 절단하기 전에, 고온에 의한 절단면의 열영향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는 것은,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라인 홈을 제외한 영역에 마스크를 입히는 과정;
    상기 라인 홈의 표면을 식각하는 과정;
    식각 처리된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원판 유리를 절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식각 처리된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원판 유리를 절단하는 것은, 워터 젯트 또는 레어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원판 유리를 절단하는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13.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는 과정과, 라인 홈이 형성된 원판 유리의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하는 과정과, 복수개의 터치 패널을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패널 및 강화 처리된 원화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강화 유리를 제작하는 과정을 거쳐서,
    상부면, 하부면, 및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측면의 일부와,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강화 영역을 가진 단위 셀 강화 유리;
    상기 단위 셀 강화 유리에 부착된 터치 패널;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14. 원판 유리의 표면에 라인 홈을 형성하는 과정과, 라인 홈이 형성된 원판 유리의 표면 전체를 강화 처리하는 과정과, 강화 처리된 원판 유리를 상기 라인 홈을 따라 절단하여 단위 셀 강화 유리를 마련하는 과정과, 터치 패널을 상기 단위 셀 강화 유리의 표면에 부착하는 과정을 거쳐서,
    상부면, 하부면, 및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측면의 일부와,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강화 영역을 가진 단위 셀 강화 유리;
    상기 단위 셀 강화 유리에 부착된 터치 패널;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하 방향 수직면과, 상부면에서 측면을 잇는 모서리면을 구비하고, 모서리면에 강화 영역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1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면은 경사면, 곡면, 단차면으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
  17.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면의 높이는 측면 전체 높이의 1/2 미만인 터치 스크린.
  18.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하부면의 전체 표면, 측면의 라인 홈 깊이까지 강화 처리된 터치 스크린.
KR1020110101320A 2011-10-05 2011-10-05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KR10134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320A KR101346142B1 (ko) 2011-10-05 2011-10-05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320A KR101346142B1 (ko) 2011-10-05 2011-10-05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014A KR20130037014A (ko) 2013-04-15
KR101346142B1 true KR101346142B1 (ko) 2013-12-31

Family

ID=4843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320A KR101346142B1 (ko) 2011-10-05 2011-10-05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6610A (zh) * 2013-06-17 2013-10-02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面板玻璃及其制备方法以及使用该面板玻璃的触摸屏制备方法
KR102333456B1 (ko) * 2021-02-05 2021-12-03 (주)유티아이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버 윈도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093A (ja) *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のガラス基板
KR100937262B1 (ko) * 2009-08-31 2010-01-18 이기송 터치패널용 강화유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093A (ja) *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のガラス基板
KR100937262B1 (ko) * 2009-08-31 2010-01-18 이기송 터치패널용 강화유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014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919B1 (ko) 화학 강화 유리 및 화학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TWI750807B (zh) 包含金屬氧化物濃度梯度之玻璃基底物件
CN107108305B (zh) 利用离子交换和层压进行的玻璃强化
JP6078481B2 (ja) 化学強化ガラスの切断方法
KR102592896B1 (ko) 고강도, 내스크래치성, 및 투명 유리-계 물질
JP2022191393A (ja) 改良された破壊性能を示すガラス物品
TWI438162B (zh) 強化玻璃切割方法及強化玻璃切割預置結構
US20130288010A1 (en) Strengthened glass article having shaped edge and method of making
US20100279067A1 (en) Glass sheet having enhanced edge strength
JP5668828B1 (ja) 化学強化ガラス板
TW201223895A (en) Method of strengthening edge of glass article
KR20200130746A (ko) 금속 산화물 농도 구배를 포함한 유리 및 유리 세라믹
TW201236985A (en) Local stengthening of glass by ion-exchange
WO2011103798A1 (zh) 能进行后续切割的化学钢化玻璃
US11926552B2 (en) Low stored tensile energy dicing glass and preferential crack fragmentation
WO2016054349A1 (en) Patterned ion-exchanged substr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346142B1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제작 방법
KR20130037013A (ko) 강화 유리 및 강화 유리 제작 방법
KR102192920B1 (ko) 유리 힐링용 조성물
JP2015099171A (ja) 電子機器用ガラス
WO2018120846A1 (zh) 一种硅酸盐制品及其强化方法
JP2019516648A (ja) 光抽出特徴を備えるガラス物品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101493749B1 (ko) 화학 강화 유리 제조방법
WO2015182856A1 (ko) 취성재료의 면취 방법
KR101702969B1 (ko) 강화유리 절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