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117B1 -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 Google Patents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117B1
KR101346117B1 KR1020110036883A KR20110036883A KR101346117B1 KR 101346117 B1 KR101346117 B1 KR 101346117B1 KR 1020110036883 A KR1020110036883 A KR 1020110036883A KR 20110036883 A KR20110036883 A KR 20110036883A KR 101346117 B1 KR101346117 B1 KR 10134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xhaust
pump housing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116A (ko
Inventor
성백철
Original Assignee
성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백철 filed Critical 성백철
Priority to KR102011003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11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프의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공펌프는, 모터;와, 모터의 모터축이 돌출되는 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형성된 모터하우징;과, 베인을 구비하여 모터축에 축 결합되는 로터가 장착되어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모터 측으로 배기시키고, 모터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하우징의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모터 내부를 경유하여 압력이 감소된 후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에 의해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VACUUM PUMP WITH STRUCTURE FOR LOWERING SOUND LEVEL FOR AUTOMOBILE BRAKE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펌프의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는 통상의 자동차의 제동 시스템은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조향장치용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유량의 일부를 축압기에 고압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차량 제동시 배력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기관대신에 축전지의 전원을 동력원으로 이용하고 전기자동차의 제동 시스템은 진공을 이용한 배력작용으로 차량이 제동이 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의 제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자동차의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은 진공압과 대기압의 차로써 배력되도록 한 진공 부스터(booster)(400)에 의해 배력되어 진공 부스터(400)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 송출 작용에 의해 차량의 전,후 차륜에 설치된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가 제동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공 부스터(400)는 소정의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진공실과 대기압실을 분리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 중심부에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진공실 내부의 진공 형성은 별도로 마련된 진공 발생부에 의해 가능하며, 진공 발생부는 진공스위치(2)와 체크벨브(50)에 의해 진공스위치(20)와 연결된 진공펌프(200)와 진공탱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진공 발생부(50)는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진공 펌프(200)가 작동되어 진공탱크(300) 내부가 일정한 압력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진공탱크(300)내의 진공 압력이 진공스위치(2)의 기 설정된 압력으로 되어 이 진공스위치(2)가 오프되면, 전공펌프(20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반대로 진공탱크(300)내의 압력이 낮아져 진공스위치(2)가 온되면, 진공펌프(200)의 구동이 개시되는 바, 이 전동기는 진공탱크(54)내의 압력이 진공스위치(2)의 설정된 압력으로 복귀할 때 까지만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진공탱크(300) 내의 압력에 따라 진공펌프(200)의 운전 및 정지가 자동으로 행해지게 된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브레이크 시스템(1)에 장착되는 진공펌프(2)의 유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의 브레이크 시스템(1)에서 상기 진공펌프(200)는 도 2의 구조를 가진다.
도 2와 같이 종래기술의 진공펌프(200)는 모터(210)와, 펌프실(231)로 진공탱크(300)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구(221)가 형성되어 모터(210)의 일측에 장착되는 모터하우징(220)과, 배기구(233)가 형성되어 모터축(미도시)에 슬라이드베인이 결합된 로터가 장착되는 펌프실(231)을 형성하도록 모터하우징(220)의 일측에 장착되어 펌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기술의 진공펌프(200)는 로터의 회전에 의해 흡기구(221)를 통해 유입되는 진공탱크(300)의 공기가 펌프실(231) 내부에서 로터에 장착된 슬라이드베인에 의해 배기구(233)를 통해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하여 진공탱크(300)의 내부로 진공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 경우 진공을 위해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손실됨이 없이 그대로 유지되어 큰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가장 큰 소음이 바로 진공펌프(2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되므로 진공펌프(2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것이 전기자동차 제조사의 가장 큰 과제가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1)은 진공펌프(2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자 소음커버(232) 또는 별도의 소음장치를 장착해야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의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브레이크시스템(1)의 진공펌프(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커버링 또는 소음장치를 장착해야 하므로 그 부피가 크게 하는 문제점을 가질 뿐 아니라 소음 제거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진공펌프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기되는 공기의 압력을 최소로 하여 배출하는 유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는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저감효율을 향상시면서도 진공펌프의 크기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펌프는, 모터;와, 모터의 모터축이 돌출되는 면에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형성된 모터하우징;과, 베인을 구비하여 모터축에 축 결합되는 로터가 장착되어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모터 측으로 배기시키고, 모터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하우징의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모터 내부를 경유하여 압력이 감소된 후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에 의해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은, 흡기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유로;와, 펌프하우징의 내부 공기를 모터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배기유로;와, 모터 내부에서 순환한 공기를 펌프하우징의 배기구로 배출하는 제2배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흡기구와 연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공;과, 모터 측의 면에 소음부재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요입되어 형성되고 중심부는 모터축이 펌프하우징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모터축공이 형성된 소음부재 안착공간;과, 상기 펌프하우징과 대향하는 면과 소음부재 안착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제1배기유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1배기공;과, 모터와 마주하는 상기 소음부재 안착공간의 둘레면을 따라 소음부재 안착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터내측배기공;과, 상기 모터내측배기공의 사이에서 펌프하우징의 배기구와 연통하여 제2배기유로를 형성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배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은, 펌프하우징과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흡기홈;과, 상기 제2배기공과 펌프하우징에 형성되는 펌프하우징 배기구를 연결하도록 일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제2배기홈;을 포함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압력을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제1배기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다수의 모터내측배기공으로 분산 배출시키도록 모터축의 외주연에 삽입 결합된 후 소음부재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소음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하우징은, 펌프하우징의 측벽 내부를 따라 제2배기유로가 형성되도록 관통된 펌프하우징배기공;과, 펌프하우징커버와 결합하는 면에서 펌프하우징배기공과 배기구를 연결하도록 일정 깊이로 요입되는 펌프하우징배기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진공펌프는 진공탱크의 진공화를 위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배출되는 공기가 모터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여 유로를 연장하고, 유로의 연장에 의해 배기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진공펌프의 구동 중 배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펌프는 펌프하우징 측에 별도의 소음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음발생을 최소로 하는 것에 의해, 진공펌프의 크기의 증가 없이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로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펌프는 자체 소음이 최소화되는 것에 의해 전기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켜 전기자동차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되는 공기가 모터 내부를 순환하면서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이에 의해 모터에 대한 냉각을 별도의 외부장치 없이 수행하여 모터의 구동안정성을 제공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자동차 제동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진공펌프(200)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펌프(100)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진공펌프(100)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진공펌프(100)의 구성 중 모터하우징(120)과 펌프하우징(1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에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펌프(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진공펌프(100)를 도 5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후 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진공펌프(100)의 구성 중 모터하우징(120)과 펌프하우징(1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100)는 모터(110), 모터하우징(120) 및 펌프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서 (a)는 모터하우징(120)의 좌측면도(도면 중 모터(110)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b)는 (a)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후 A방향에서 바라본 모터하우징(120)의 단면도이며, (c)는 모터하우징(120)의 우측면도(도면 중 펌프하우징(130)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d)는 펌프하우징커버(140)가 장착되는 펌프하우징(130)의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펌프하우징커버(140)를 나타내는 (d)는 모터하우징(120)과 결합되는 면이 반대측에 있고, 보여지는 면은 모터하우징(120)과 결합된 후 우측에 위치하는 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모터(1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내부에서 회전하는 전기자(115)와, 전기자(115)의 중심에 축 결합된 후 펌프하우징(130)으로 단부가 돌출되는 모터축(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2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모터(110)의 펌프하우징(130) 측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것으로서, 흡기구(121), 흡기공(511), 흡기홈(512), 제1배기공(521), 소음부재안착공간(123), 소음부재(126), 다수의 모터내측배기공(522), 모터축공(124), 제2배기공(5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기구(121)는 외부의 진공탱크(300)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펌프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모터하우징(120)의 외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511)은 일측은 흡기구(121)와 연통되고 타측은 펌프하우징(13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모터하우징(120)의 펌프하우징(130)과 면하는 면에서 펌프실(134)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흡기홈(512)은 펌프실(134)의 내부와 면하는 모터하우징(120)의 면에서 흡기공(511)에서 유입된 공기가 로터(136)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펌프실(134) 내부로 유도되록 일정 깊이를 가지는 원호 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배기공(521)은 로터(136)의 슬라이드베인(135)에 의해 이송된 공기를 모터(110) 내부로 배출하도록, 모터하우징(120)의 펌프실(134)과 면하는 면에서 소음부재안착공간(123)이 형성되는 면을 관통하여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도 5의 경우 제1배기공(521)이 2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음부재안착공간(123)은 모터하우징(120)의 모터(110)와 대향하는 면에서 소음부재(126)가 안착될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되며, 소음부재안착공간(123)의 중심부에는 펌프실(134) 내부의 로터(136)와 축결합하도록 모터축(113)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모터축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소음부재(126)는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공을 위한 배기 중의 소음을 흡수하며, 제1배기공(521)을 통해 소음부재안착공간(123)으로 유입된 공기를 다수의 제2배기공(532)으로 분산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소음부재(126)는 모터(110) 측의 외경은 소음부재안착공간(123)의 내 측면과 긴밀히 밀착되는 직경을 가지며, 소음부재안착공간(123) 내부에 위치되는 외경은 소음부재안착공간(123)의 내측벽과 일정 간격을 가지는 직경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모터축(1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모터내측배기공(522)들은 소음부재(126)와 소음부재안착공간(123)의 내측벽이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영역과 연통하도록 모터하우징(120)의 모터(110)와 대향하는 소음부재안착공간(123)의 둘레의 면을 따라 다수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배기공(532)은 모터내측배기공(522)들이 형성되는 모터하우징(120)의 면에서 펌프하우징(130)의 펌프하우징배기공(533)이 형성되어 모터하우징(120)과 밀착되는 면까지 모터하우징(120)을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20)의 펌프하우징과 밀착되는 면에는 제2배기공(532)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유로를 변경한 후 펌프하우징(130)의 펌프하우징배기공(533)으로 이송시키는 제2배기홈(532a)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펌프하우징(130)은, 도 4와 같이, 펌프실(134)을 형성하도록 중심부가 관통형성되고, 모터하우징(120)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개구부를 차폐하는 펌프하우징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펌프하우징(130)은 도 5와 같이, 펌프실(134) 내부에는 다수의 슬라이드베인(135)이 등 각도 간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터(136)가 모터축(113)에 축결합된 후 장착된다.
상기 펌프실(134)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130)의 측벽에는 모터하우징(120)의 제2배기홈(532a)과 연통하는 펌프하우징배기공(533)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펌프하우징커버(140)가 결합되는 면에는 펌프하우징배기공(533)과 외측면까지 일정 깊이로 요입형성되는 펌프하우징배기홈(533a)이 형성되어 배기구(132)와 연통시킨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진공펌프(100)는 모터(110)와 모터하우징(120)과 펌프하우징(130)이 도 4와 같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진공을 위해 배기되는 공기의 유로를 연장함으로써 배기압력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분산시키도록 흡기유로(510), 제1배기유로(520), 제2배기유로(530)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각각의 공기유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기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기공(511)을 통해 펌프실(134)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기구(121)와 흡기공(511)이 흡기유로(510)를 형성한다.
펌프실(134)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로터(136)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슬라이드베인(135)들에 의해 회전 이송된 후 제1배기공(521)을 통해 모터(110)의 내부로 배출되는데, 이 경우 제1배기공(521)-소음부재안착공간(123)의 소음부재(126)와 모터하우징(120)의 사이 공간과, 다수의 모터내측배기공(522)들이 연통하여 제1배기유로(520)를 형성한다.
모터(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자(115)의 회전에 의해 회전 순환된 후 배기구(132)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 경우 모터(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2배기공(532)과, 제2배기공(532)과 펌프하우징배기공(533)을 연통시키는 제2배기홈(532a)과, 펌프하우징(130)에 형성되는 펌프하우징배기공(533)과, 펌프하우징커버(140)가 장착되는 면에서 펌프하우징배기공(533)과 배기구(132)을 연통시키는 펌프하우징배기홈(533a)이 연통하여 모터(110)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기유로(530)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서 제2배기유로(530)를 형성하는 제2배기공(532) 및 배기구(132)는 도 5의 (a)의 A-A 선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그 위치 및 지시선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펌프(100)는 진공탱크(300) 내부의 공기가 흡기구(121)와 흡기공(511)이 형성하는 흡기유로(510)를 통해 펌프실(134)로 유입된다. 이때 다수의 모터내측배기공(522)들은 수도관의 물이 샤워기 노즐을 통하여 토출될 때 압력이 낮아지는 것과 같이 배기되는 공기의 압력을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펌프실(134)로 유입된 공기는 로터(136)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슬라이드베인(135)들에 의해 제1배기공(521)측으로 이송된 후, 제1배기공(521)과 소음부재장착공간()과 다수의 모터내측배기공(522)들이 형성하는 제1배기유로(520)를 통해 모터(110) 내부로 유입된다.
모터(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자(115)의 회전에 의해 모터 내부를 순환하면서 배기압력이 감소됨은 물론 모터(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포집한 후 제2배기공(532)과 제2배기홈(532a)과 펌프하우징배기공(533)과, 펌프하우징배기홈(533a)과 배기구(132)가 형성하는 제2배기유로(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배기되는 공기들이 모터의 아마추어(armature)에 의해 회전되어 배기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의 저주파에서 고주파 성분까지를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진공을 위한 배기 소음이 더욱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펌프(100)는 다수의 모터내측배기공(522)들에 의해 배기 압력을 감소시키고, 모터 내부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배기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의 저주파 성분에서 고주파 성분들을 분산시키며, 진공탱크(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탱크(300)를 진공화시키는 과정에서 공기 유로의 길이를 현저히 연장시켜 배기압력을 더욱 최소로 하는 것에 의해 진공펌프(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의 진공펌프(100)는 배기되는 공기가 모터(110)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모터(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포집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 의해 모터(110)에 대한 자연 냉각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모터(110)의 구동안정성이 확보되고 수명을 연장시킨다.
즉, 본 발명의 진공펌프(100)는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 소리의 파장과 파고를 분산과 와류현상을 이용하여 배기 시 소리의 전달손실을 매우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소음을 최소로 한다.
이러한 원리로 본 발명의 진공펌프(100)는 전혀 커버링을 하지 않고도 약 55dB로 소음을 최소화시켰다.
상술한 본 발명의 진공펌프(100)는 건식으로 제작되나 모터 내부의 코일이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되고 밀봉된 경우에는 습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100: 진공펌프,
110: 모터, 113; 모터축, 115: 전기자
120: 모터하우징, 121: 흡기구
123: 소음부재안착공간, 124: 모터축공, 126: 소음부재,
130: 펌프하우징
132: 배기구, 134; 펌프실, 135: 슬라이드베인, 136: 로터
140: 펌프하우징커버,
510: 흡기유로, 511: 흡기공, 512: 흡기홈, 520: 제1배기유로
521: 제1배기공, 522: 모터내측배기공, 530: 제2배기유로, 532: 제2배기공
533: 펌프하우징배공, 532a: 제2배기홈, 533a: 펌프하우징배기홈
550: 와류

Claims (6)

  1. 모터;와,
    모터의 모터축이 돌출되는 면에 결합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흡기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유로와, 펌프하우징의 내부 공기를 모터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배기유로와, 모터 내부에서 순환한 공기를 펌프하우징의 배기구로 배출하는 제2배기유로가 형성된 모터하우징;과,
    베인을 구비하여 모터축에 축 결합되는 로터가 장착되어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모터 측으로 배기시키고, 모터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하우징의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모터 내부를 경유하여 압력이 감소된 후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에 의해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흡기구와 연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펌프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공;과,
    모터 측의 면에 소음부재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요입되어 형성되고 중심부는 모터축이 펌프하우징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모터축공이 형성된 소음부재 안착공간;과,
    상기 펌프하우징과 대향하는 면과 소음부재 안착공간을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제1배기유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1배기공;과,
    모터와 마주하는 상기 소음부재 안착공간의 둘레면을 따라 소음부재 안착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터내측배기공;과,
    상기 모터내측배기공의 사이에서 펌프하우징의 배기구와 연통하여 제2배기유로를 형성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배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펌프하우징과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흡기홈;과,
    상기 제2배기공과 펌프하우징에 형성되는 펌프하우징 배기구를 연결하도록 일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제2배기홈;을 포함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압력을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제1배기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다수의 모터내측배기공으로 분산 배출시키도록 모터축의 외주연에 삽입 결합된 후 소음부재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소음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은,
    펌프하우징의 측벽 내부를 따라 제2배기유로가 형성되도록 관통된 펌프하우징배기공;과,
    펌프하우징커버와 결합하는 면에서 펌프하우징배기공과 배기구를 연결하도록 일정 깊이로 요입되는 펌프하우징배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KR1020110036883A 2011-04-20 2011-04-20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KR10134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883A KR101346117B1 (ko) 2011-04-20 2011-04-20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883A KR101346117B1 (ko) 2011-04-20 2011-04-20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16A KR20120119116A (ko) 2012-10-30
KR101346117B1 true KR101346117B1 (ko) 2013-12-31

Family

ID=4728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883A KR101346117B1 (ko) 2011-04-20 2011-04-20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0289A1 (de) 2015-11-24 2017-05-24 Hella Kgaa Hueck & Co. Anordnung einer elektrischen Vakuumpumpe in einem Fahrzeug
KR101968124B1 (ko) 2016-07-12 2019-04-12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인쇄 시스템에서 제판 가공 정밀도 측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8081A (ja) * 1982-05-25 1984-02-14 テイ−ア−ルダブリユ・インコ−ポレ−テツド 回転ポンプ組立体
JP2001241388A (ja) 2000-02-29 2001-09-07 Unisia Jecs Corp ロータリ型ポンプ
KR20090004857A (ko) * 2006-02-10 2009-01-12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모터 - 펌프 어셈블리
KR100953626B1 (ko) * 2009-06-18 2010-04-20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진공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8081A (ja) * 1982-05-25 1984-02-14 テイ−ア−ルダブリユ・インコ−ポレ−テツド 回転ポンプ組立体
JP2001241388A (ja) 2000-02-29 2001-09-07 Unisia Jecs Corp ロータリ型ポンプ
KR20090004857A (ko) * 2006-02-10 2009-01-12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모터 - 펌프 어셈블리
KR100953626B1 (ko) * 2009-06-18 2010-04-20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진공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16A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700B2 (ja) モータの放熱を行うインフレータ構造
KR101346117B1 (ko)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US20150110661A1 (en) Vacuum pump
RU2005131940A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автомобиля с гидротормозом-замедлителем
KR102140330B1 (ko) 전동 진공 펌프
JP5939514B2 (ja) 負圧ポンプ
KR101706113B1 (ko) 소음 감소를 위한 전동 진공 펌프
CN207246016U (zh) 车用制动系统无传感无刷直流电动真空泵
CN105464981B (zh) 一种双作用真空泵
WO2013137053A1 (ja) 真空ポンプ
KR101738929B1 (ko) 전동 진공 펌프
JP5940803B2 (ja) 負圧ポンプ
CN101568730B (zh) 封闭式压缩机
CN205370995U (zh) 一种真空泵隔音结构
TWI752554B (zh) 打氣機裝置
KR100962966B1 (ko) 차량의 브레이크 냉각 시스템
CN217415729U (zh) 一种真空泵倒吸弱化及虹吸排水结构
KR101671004B1 (ko) 과급방식을 이용한 유체식 리타더
KR100387467B1 (ko) 차량용 진공 펌프
KR20170001492U (ko) 소음 저감이 가능한 차량용 진공펌프
KR200354654Y1 (ko) 로터리 베인형 진공펌프 장치
CN217354812U (zh) 一种用于制动系统的新能源汽车电子真空泵
CN207246017U (zh) 低噪音车用制动系统直流干式石墨旋片电子真空泵
KR20210155422A (ko) 리저버 일체형 진공 펌프
KR101512904B1 (ko) 복합 웨스코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