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561B1 -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 Google Patents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561B1
KR101345561B1 KR1020110043667A KR20110043667A KR101345561B1 KR 101345561 B1 KR101345561 B1 KR 101345561B1 KR 1020110043667 A KR1020110043667 A KR 1020110043667A KR 20110043667 A KR20110043667 A KR 20110043667A KR 101345561 B1 KR101345561 B1 KR 10134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binder resin
sum
formula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918A (ko
Inventor
유의상
서희성
김주혜
이현경
이재경
권미연
전준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4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56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4351574-pat001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ⅰ) R5
Figure 112011034351574-pat00108
또는
Figure 112011034351574-pat00109
, 또는 이들의 복수종이고;
(ⅱ) R6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0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1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2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이상의 복수종이며;
(ⅲ) R7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3
또는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4
, 또는 이들의 복수종이고;
(ⅳ) R8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5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6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7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8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19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20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21
,
Figure 112011034351574-pat00122
(n=3~20),
Figure 112011034351574-pat00123
(n=3~20),
Figure 112011034351574-pat00124
(R9는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Figure 112011034351574-pat00125
(R10은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수종이며;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Description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Acrylic binders having hydroxy group and amide group for color filter}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LCD)의 주요부품 중 하나인 컬러필터(color filter) 제조에 이용되는 바인더 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컬러필터용 잉크젯 잉크 제조에 첨가되는 경화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에 관한 것이다.
액정디스플레이(LCD)는 백라이트에서 조사된 백색 광원이 1차 편광판 및 액정층을 통과한 후 적색, 청색, 녹색의 3가지 색상을 가지는 컬러필터에 의해 발색된 후 다시 2차 편광판을 거침으로서 투과된 3색이 조합되어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액정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컬러필터는 화질과 직결된 핵심 부품 중 하나이다.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포토리소그래피법(photolithography)이 광범위하게 이용되었으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되었고,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잉크젯 프린팅 방식이 개발되었다.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서는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 공간인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에 잉크를 주입시키는 방식이다. 잉크젯 프린팅 방식은 포토리소그래피법과 달리 별도의 코팅, 노광, 현상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공정에 필요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정의 단순화를 가능케 한다.
컬러필터용 잉크젯 잉크에는 적색, 청색, 녹색의 안료는 물론이거니와, 반응성 희석제로서의 모노머와, 개시제, 용매 및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등 다양한 화학물질이 첨가된다. 더불어 안료를 접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바인더 수지는 빠질 수 없는 필수 구성성분이다.
잉크젯 잉크에 함유되는 이들 첨가제들 간에 서로 상용성(compatibility)이 떨어지게 되면 잉크로서의 충분한 물성을 가지지 못하여 잉크 제조가 어렵고, 제품 불량이 많다. 따라서 잉크젯 잉크에 이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무엇보다 안료와의 친화성이 우수함은 물론, 내화학성과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며, 다른 모노머, 용매 및 기타 첨가제 등 다른 구성성분들과의 상용성이 우선시 된다.
종래 바인더 수지 제조에 사용되는 안료 친화성 모노머로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과, 용매 친화성 및 산기(acidic radical) 부여를 위한 모노머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의 랜덤형 공중합 화합물이 가장 흔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9-0127232호 및 제10-2009-119720호 등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9-0049467호는 특정의 관능기로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한 바인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경우에 내화학성, 내열성, 내수성, 경도 및 가교밀도를 강화하여 휘도 및 명암대비에 현격한 상승효과가 있어 TFT-LCD, OLED 등의 제조시 개선된 광학물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잉크젯 잉크 제조에 사용되는 종래 바인더 수지들 중에는 안료 친화성이 떨어지거나, 잉크에 함유된 다른 구성성분들과의 상용성이 떨어져 분산성이 안정되지 않고 색 특성이 불균일하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종래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나 기타 첨가제를 과량 사용하기도 하고, 점도조절을 위해 반응성 희석제로 사용하는 모노머를 과량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잉크젯 잉크에 함유된 안료 및 용매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요구 물성을 충족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최종 요구물성인 휘도(Brightness) 및 명암대비(Contrast)가 보다 개선된 바인더 수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료 및 용매 친화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내화학성, 내열성, 내수성, 경도 등 물성이 우수한 바인더 수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를 잉크에 이용할 때 우수한 반응성, 분산 안정성 및 색 특성, 그리고 화학적, 물리적 내구성과 동시에 유연성을 가지고 종래에 비해 휘도 및 명암대비가 향상된 컬러필터용 잉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인더의 물성 강화와 안료 혼화성 상승을 위해 바인더 고분자의 모노머로 3개의 하이드록시기와 아미드기를 동시에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도입하는 데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아미드기의 영향으로 바인더의 용해성이 떨어질 가능성을 해결하고자 모노머 작용기의 사슬길이가 연장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도입하는 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를 제공한다.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ⅰ) R5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2
또는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3
, 또는 이들의 복수종이고;
(ⅱ) R6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5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6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이상의 복수종이며;
(ⅲ) R7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7
또는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8
, 또는 이들의 복수종이고;
(ⅳ) R8
Figure 112011034351574-pat00009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0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1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2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3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5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6
(n=3~20),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7
(n=3~20),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8
(R9는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Figure 112011034351574-pat00019
(R10은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수종이며;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를 제공한다.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0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1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2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3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는 종래 바인더에 비해 안료 친화성이 상승되며, 내열성, 내화학성, 강도 및 경도 등의 물성이 상승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용매에의 용해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컬러필터용 잉크젯 잉크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잉크젯 잉크는 경화 후 수축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표면강도가 우수하며, 토출성이 뛰어나고, 색 특성과 색 안정성이 유리하여 잉크젯 방식에 적용하였을 때 우수한 휘도 및 명도대비의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컬러필터용 바인더 수지에 요구되는 특성을 다음과 같이 상정하고, 해당 특성에 적합한 기능성 모노머를 이용하여 합성, 실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 안료의 벤젠 또는 알킬그룹과의 친화성.
(B) 바인더의 기계적 강도와 물성.
(C) 용매와의 친화성 및 산기 부여.
(D) 용매와의 상용성(compatibility) 상승.
본 발명은 상기 4가지 특성을 단독 또는 복수로 충족시킬 수 있는 4 종 또는 그 이상의 기능성 모노머가 중합된 바인더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특성(A)의 안료 친화성을 부여하기 위한 모노머(Ⅰ)로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Benzyl methacrylate, BzMA), 벤질 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BzA),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의 복수종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성(C)의 용매 친화성 및 산기 부여를 위한 모노머(Ⅱ)로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MAA), 2-카르복실에틸 아크릴레이트, 2-카르복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 및 모노-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의 복수종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특성(B)의 내화학성, 내열성, 내수성, 경도 및 가교밀도 등 바인더 물성을 강화하여 휘도 및 명암대비 등을 충족시키기 위한 모노머(Ⅲ)로 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아크릴아미드, 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3,3-bis(하이드록시메틸)부틸 아크릴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3,3-bis(하이드록시메틸)부틸 메타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수종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성(D)의 용매 상용성(compatibility)을 증가시켜 용해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용매와 비슷한 관능기 즉, 에테르기를 가지는 모노머(Ⅳ)로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ethyl ether 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페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시클로펜테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cyclopentenyl ether 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수종을 포함한다.
상술한 모노머(Ⅰ), 모노머(Ⅱ), 모노머(Ⅲ), 모노머(Ⅳ)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모노머
타입
구조식 화학명




모노머 (Ⅰ)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5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6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7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Ⅱ)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8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29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0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1
2-카르복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카르복실에틸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2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3
모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
모노-2-(아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






모노머 (Ⅲ)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5
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6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7
N-(4-하이드록시-3,3-bis(하이드록시메틸)부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3,3-bis(하이드록시메틸)부틸 아크릴아미드





모노머 (Ⅳ)
(다음 페이지에 계속)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8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39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0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1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Ⅳ)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2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3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5
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6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7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8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49
에틸렌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페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0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1
에틸렌글리콜 디시클로펜테닐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시클로펜테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2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3
올리고(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5
올리고(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6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7

R9는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디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8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59

R10은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랜덤형 고분자이다. 상기 '반복단위를 포함한다'는 것은 하기 화학식 1의 중합에 사용되는 상기 모노머(Ⅰ),(Ⅱ),(Ⅲ),(Ⅳ) 외에 다른 모노머가 추가되어 중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ⅰ) R5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1
또는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2
, 또는 이들의 복수종이고;
(ⅱ) R6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3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5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이상의 복수종이며;
(ⅲ) R7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6
또는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7
, 또는 이들의 복수종이고;
(ⅳ) R8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8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69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0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1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2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3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4
,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5
(n=3~20),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6
(n=3~20),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7
(R9는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8
(R10은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수종이다.
상기 기능성 모노머들의 사용비는 적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종류와 비율이 각각 달라진다. 최적의 비율과 종류는 우선 잉크 조성에 함유될 안료의 극성 정도, 원하는 점도, 사용하고자 하는 용매의 특성을 기본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구조 내에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가 유기용매와의 친화성을 갖음으로서 안정화를 이루게 해준다. 그러나 카르복실기에 의한 높은 산가를 갖는 바인더 수지는 중합성 관능기의 도입 시 사용되는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중합도중 침전이 생겨 원하는 분자량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기 모노머의 비율을 높게 하는 경우, 다른 특성을 부여하는 모노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다른 특성을 해치게 된다.
i) 상기 화학식 1의 각 반복단위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ⅱ) 상기 x, y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x는 60 내지 90몰%, y는 10 내지 40 몰%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x는 70 내지 80몰%, y는 20 내지 30 몰%이다.
ⅲ) 상기 z, w 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z는 50 내지 90 몰%, w는 10 내지 50 몰%이다.
상기 i), ⅱ), ⅲ)의 각 성분 몰% 범위를 기준으로 재산정하면, 상기 화학식 1의 각 반복단위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는 30 내지 76.5 몰%, y는 5 내지 34몰%, z는 7.5 내지 45 몰%, w는 1.5 내지 25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 제조방법은 상기 기능성 모노머(Ⅰ),(Ⅱ),(Ⅲ),(Ⅳ)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공중합시키기 위한 열중합개시제 및 반응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공중합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라디칼 반응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모노머(Ⅰ),(Ⅱ),(Ⅲ),(Ⅳ)를 상기에서 설명한 적절한 몰비로 혼합하여 반응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열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50~120℃를 유지하며 5~20시간 반응시켜 바인더 수지를 얻는다. 이때 열중합개시제는 반응용매에 따로 용해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가열된 모노머들의 혼합물에 2~3시간 서서히 적하시키는 방법이 유리하다. 적하 후 총 중합반응 시간은 80~100℃의 범위에서 5~8시간 반응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개시제(radical initiator)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peroxide, DTBPO), 큐민-하이드로 퍼옥사이드(Cumene hydroperoxide, CHPO), 터셔리-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ert-Butyl-hydroperoxide), 터셔리-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이에이트(tert-Butyl-peroxy-2-ethylhexnoate), 터셔리-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tert-Butyl-peroxy-benzoate),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V-65],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ile, AIB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중합개시 효과를 지니는 한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특히 아조비스이소부틸로나이트릴(AIBN)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중합개시제는 전체 반응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5 ~ 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용매는 바인더 수지의 제조 또는 이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의 고형분 및 점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응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과, 물을 제외한 프로틱 용매(protic solvent)와 애프로틱 용매(aprotic solvent)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용매 가운데 컬러필터용 바인더 제조에 사용되는 바인더 합성용매는 애프로틱 용매에서 합성되는 것이 공정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해성, 각 성분과의 반응성, 안료 및 개시제와의 상용성, 잉크 조성 시 도막형성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용매는 반응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60 ~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는 고분자 공중합체로 랜덤형 고분자(random polymer)이며, 합성된 고분자는 반응용매를 제거하거나 존재하는 상태에서 잉크 조성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용매를 제거하여 미반응 모노머를 모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애프로틱 용매 내에서 합성될 경우 반응용매의 분리없이 바로 적용될 수도 있어 공정 단축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 산가(acid value)는 0에서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1,000 미만일 경우 박막 형성이 어렵고, 50,000을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 다루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5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합성될 바인더 수지용 고분자의 분자량은 반응 시 농도와 온도, 사용되는 개시제의 양에 따라 조절한다. 농도, 반응온도가 높고 개시제의 사용량이 많으면 분자량은 작아지고, 반응농도는 무게비로 전체 모노머 사용량이 전체 반응조성물 중 10 내지 40%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는 잉크젯용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어 컬러필터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바인더 수지 1 내지 20중량%, 에틸렌성 불포화결합을 갖는 관능성모노머 1 내지 20중량%, 중합개시제 0.05 내지 10중량%, 및 용매 50 내지 97.9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가 잉크 조성물 전체 조성 중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1~100㎛ 두께의 박막을 형성하기에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일 경우 박막 형성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상승하고 박막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바인더 수지 1의 제조
안료 친화성을 위한 모노머(Ⅰ)로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BzMA),
용매 친화성과 산기 부여를 위한 모노머(Ⅱ)로 2-카르복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바인더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노머(Ⅲ)로 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용매 상용성을 위한 모노머(Ⅳ)로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DEGMEMA)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바인더 제조 방법은 온도계, 콘덴서, 적하깔대기 및 교반기를 갖춘 3구 플라스크를 반응용기로 사용하여 반응용매(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DPMA)와 함께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2-카르복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48/12/30/10 의 몰비로 투입한 후 질소분위기 하에서 120℃로 승온하였다.
중합개시제로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IBN)을 반응용매(DPMA)에 녹인 후 플라스크에 2시간동안 서서히 균일하게 가한 후 120℃의 반응온도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4시간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바인더 수지 1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바인더 수지 1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약 14,000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34351574-pat00079
실시예 2 : 바인더 수지 2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르복실기(-COOH)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사슬길이를 늘려 용해성을 상승시키고자 모노머(Ⅱ)로 모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를 사용하여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였다.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48/12/30/10 의 몰비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바인더 수지 2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바인더 수지 2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약 16,500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34351574-pat00080
실시예 3 : 바인더 수지 3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용매 친화성과 산기 부여를 위한 모노머(Ⅱ)로 메타아크릴산,
바인더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해성을 상승시키 위해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사슬길이를 늘린 모노머(Ⅲ)로 N-(4-하이드록시-3,3-bis(하이드록시메틸)부틸 메타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하여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였다.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N-(4-하이드록시-3,3-bis(하이드록시메틸)부틸 메타아크릴아미드/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48/12/30/10 의 몰비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바인더 수지 3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바인더 수지 3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약 13,500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34351574-pat00081
실시예 4 : 바인더 수지 4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안료 친화성을 위한 모노머(I)로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용매 친화성과 산기 부여를 위한 모노머(Ⅱ)로 메타아크릴산,
바인더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노머(Ⅲ)로 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용매 상용성을 위한 모노머(Ⅳ)로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DEGMEMA)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였다.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48/12/30/10 의 몰비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바인더 수지 4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바인더 수지 4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약 15,000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34351574-pat00082
비교예 1 : 바인더 수지 5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바인더 물성을 결정하는 모노머로 기존의 흔히 사용하는 모노머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HEMA)를 사용하여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였다.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48/12/40의 몰비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0로 표시되는 바인더 수지 5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바인더 수지 5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18,000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34351574-pat00083
잉크 제조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인더 수지 1을 2.5 중량%, 다관능성모노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3중량%, 안료 PB 15:6 8중량%, 중합개시제 벤조피나콜(Benzopinacol) 1.5중량%, 계면활성제 FC-4430 0.02중량% 및 용매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DPMA) 75중량%을 첨가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잉크 제조예 2
상기 잉크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의 바인더 수지 2를 이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잉크 제조예 3
상기 잉크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3의 바인더 수지 3을 이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잉크 제조예 4
상기 잉크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4의 바인더 수지 4를 이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잉크 제조예 5
상기 잉크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비교예 1의 바인더 수지 5를 이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잉크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바인더 수지 1 내지 5를 이용하여 제조된 잉크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토출성 : 제조된 잉크 조성물을 50 ㎛ 크기의 싱글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를 확인하고 도트 패턴 및 라인 패턴을 형성, 경화하여 인쇄상태를 평가하였다. 토출량이 5% 감소될 때까지 연속토출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2) 내열성 평가 : 경화된 잉크도막을 250℃로 1시간 방치한 후의 경화 수지층의 색차를 측정하였다. 경화 수지층의 방치 전후의 색차(△Eab)가 2 이하이면 매우 양호, 2 초과 3 이하이면 양호, 3 초과이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3) 경화후 표면경도 : 상기 제조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한 후 80℃에서 10분간 프리베이크(prebake)를 진행 한 후, 220℃에서 포스트베이크(postbake)를 진행하여 도포된 잉크를 완전하게 경화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코팅표면을 3H, 4H, 5H 연필로 스크레치 실험을 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4) 내화학성 평가: 경화된 잉크도막을 이소프로필알콜(IPA)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중 어느 하나의 용매에 액온 25℃로 1시간 침지한 후에 경화 수지층의 색차를 측정하였다. 경화 수지층의 방치 전후의 색차(△Eab)가 2 이하이면 매우 양호, 2 초과 3 이하이면 양호, 3 초과이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5) 휘도 측정: 상기 제조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한 후 80℃에서 10분간 프리 베이크를 진행 한 후, 220℃에서 포스트베이크를 진행하여 도포된 잉크를 완전하게 경화시켰다. 경화 된 잉크도막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휘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지점을 변경하여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표기하였다.
(6) Contrast 측정: 상기 제조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한 후 80℃에서 10분간 프리 베이크를 진행 한 후, 220℃에서 포스트베이크를 진행하여 도포된 잉크를 완전하게 경화시켰다. 경화 된 잉크도막을 Contrast tester를 이용하여 명암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토출성
(토출량 5% 감소까지 연속토출시간)
내열성
(250℃, 60분경과후 △Eab 변화)
경화후
표면경도
내화학성
(약품 처리후 △Eab 변화)
IPA TMAH
실시예1
잉크제조예1
5시간 1.75
(양호)
5H 1.74
(매우양호)
1.84
(매우양호)
실시예2
잉크제조예2
5시간 2.72
(양호)
5H 1.78
(매우양호)
1.89
(매우양호)
실시예3
잉크제조예3
5시간 2.24
(양호)
5H 2.54
(양호)
2.74
(양호)
실시예4
잉크제조예4
5시간 2.61
(양호)
5H 2.77
(양호)
3.42
(불량)
비교예
잉크제조예5
5시간 3.25
(불량)
4H 3.59
(불량)
3.88
(불량)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는 비교예들에 비해 토출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화학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용매 친화성과 산기 부여를 위한 모노머(Ⅱ)로 2-카르복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와 모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를 안료 친화성과 바인더 물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모노머(Ⅲ)로 N-tris(하이드록시메틸)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에 비해 토출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그리고 휘도 및 명암대비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화학식 1]
    Figure 112013032105683-pat0008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ⅰ) R5
    Figure 112013032105683-pat00085
    또는
    Figure 112013032105683-pat00086
    이고;
    (ⅱ) R6
    Figure 112013032105683-pat00087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88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89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택일되며;
    (ⅲ) R7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0
    또는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1
    이고;
    (ⅳ) R8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2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3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4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5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6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7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8
    ,
    Figure 112013032105683-pat00099
    (n=3~20),
    Figure 112013032105683-pat00100
    (n=3~20),
    Figure 112013032105683-pat00101
    (R9는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Figure 112013032105683-pat00102
    (R10은 C2~C14의 알킬 또는 이소알킬)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택일되며;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화학식 2]
    Figure 112013081477094-pat00103

    상기 식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화학식 3]
    Figure 112013081477094-pat00104

    상기 식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화학식 4]
    Figure 112013081477094-pat00105

    상기 식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화학식 5]
    Figure 112013081477094-pat00106

    상기 식에서,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x, y, z, w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 y의 합은 50 내지 85몰%이고, z, w의 합은 15 내지 50몰%이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 y 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는 60 내지 90몰%, y는 10 내지 40 몰% 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 y 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x는 70 내지 80몰%, y는 20 내지 30 몰% 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z, w 의 합을 100몰%로 가정할 때, z는 50 내지 90몰%, w는 10 내지 50 몰% 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 인 컬러필터 제조용 바인더 수지.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가는 0 내지 150 인 컬러필터용 제조용 바인더 수지.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경화성 잉크.
KR1020110043667A 2011-05-09 2011-05-09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KR10134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67A KR101345561B1 (ko) 2011-05-09 2011-05-09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67A KR101345561B1 (ko) 2011-05-09 2011-05-09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18A KR20120125918A (ko) 2012-11-19
KR101345561B1 true KR101345561B1 (ko) 2013-12-26

Family

ID=4751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667A KR101345561B1 (ko) 2011-05-09 2011-05-09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753B1 (ko) * 2013-05-31 2015-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내열성, 내약품성이 향상된 컬러필터용 유기 염료 및 이의 조성물
US10894111B2 (en) * 2016-12-16 2021-01-19 Benz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 High refractive index hydrophilic materi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09B1 (ko) 2007-12-28 2009-10-28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WO2010038669A1 (ja) 2008-09-30 2010-04-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09B1 (ko) 2007-12-28 2009-10-28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WO2010038669A1 (ja) 2008-09-30 2010-04-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18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581B1 (ko) 염료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96232A (ko) 비수계 분산제, 컬러 필터용 색재 분산액, 컬러 필터,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133415B2 (en) Ink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KR101345561B1 (ko)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KR101254206B1 (ko)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KR101284153B1 (ko) 컬러필터용 잉크젯 잉크에 이용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JP5652725B2 (ja) 透明膜形成用インクジェッ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4488B1 (ko) 잉크젯 공정에 의한 컬러필터 형성방법
KR101023088B1 (ko)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344449B1 (ko) 컬러필터용 인쇄가능한 경화성 바인더 수지
KR101224261B1 (ko) 열경화성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JP2000352819A (ja) 感光性着色樹脂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KR101448525B1 (ko) 컬러필터용 저용매 잉크젯 잉크 조성물
KR101523753B1 (ko) 내열성, 내약품성이 향상된 컬러필터용 유기 염료 및 이의 조성물
KR100942369B1 (ko) 경화성 수지 제조용 조성물, 이에 의해 제조된 경화성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KR101385175B1 (ko) 컬러필터 제조용 알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KR101523756B1 (ko) 내열성, 내약품성이 향상을 위하여 공유결합이 유도된 컬러필터용 유기 염료 및 이의 조성물
JP2010002746A (ja) カラーフィルタ用赤色インク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KR100622689B1 (ko) 고분자 우레탄 변성 아크릴 안료 분산제
CN113341648B (zh) 一种光阻组合物
JP2014070162A (ja) インク組成物、画像形成方法及び印画物
KR101200633B1 (ko) 컬러필터용 잉크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395018B1 (ko) 잉크젯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20026021A (ko) 컬러 필터용 열 경화성 잉크젯 잉크
KR100907092B1 (ko)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용 화소의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