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244B1 -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서버,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서버,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244B1
KR101345244B1 KR1020117021440A KR20117021440A KR101345244B1 KR 101345244 B1 KR101345244 B1 KR 101345244B1 KR 1020117021440 A KR1020117021440 A KR 1020117021440A KR 20117021440 A KR20117021440 A KR 20117021440A KR 101345244 B1 KR101345244 B1 KR 101345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sequence
component carriers
sequence
componen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722A (ko
Inventor
다카미치 이노우에
겐지 고야나기
요시카즈 가쿠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단일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 및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대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 및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무선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할 경우에, 컴포넌트 캐리어간에서 동일한 CAZAC 계열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레퍼런스 신호의 PAPR을 작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서버,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신호 처리에 관한 것이다.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에서의 표준화가 수속(收束) 단계에 있는 Long Term Evolution(LTE)의 상향 링크의 액세스 방식은,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SC-FDMA)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주파수 영역에서 서브캐리어 맵핑(mapping)을 행하는 송신기 구성의 경우, 그 액세스 방식은,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DFT-S-OFDM)이라고도 불린다.
SC-FDMA가 채용되어 있는 이유로서, 피크 대(對) 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 : PAPR)가 작기 때문에, 커버리지를 크게 할 수 있음을 들 수 있다. 또한, SC-FDMA의 리소스 블록 할당은, 주파수축상에서 연속적인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 RB)만으로 제한된다. 여기에서, 리소스 블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LTE에서는 1리소스 블록은 12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LTE 상향 링크의 레퍼런스 신호는, PAPR이 작다는 특징을 갖는 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CAZAC) 계열이 채용되어 있다. CAZAC 계열은, 시간 및 주파수 양(兩)영역에서 일정 진폭이고 그리고 위상차 0 이외의 자기(自己) 상관값이 0이 되는 계열이다. 시간 영역에서 일정 진폭이므로 PAPR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그리고 주파수 영역에서도 일정 진폭이므로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반로(傳搬路) 추정에 적합한 계열이다. CAZAC 계열의 계열수는, 그 계열 길이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CAZAC 계열의 1개로서, LTE에서 채용되어 있는 식 1로 표시되는 Zadoff-Chu 계열이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식 1)
Figure 112011071541622-pct00001
Zadoff-Chu 계열에서는, 계열수가 최대가 되는 것은 계열 길이가 소수(素數)(L)가 될 경우이며, 그 계열수는 L-1이 된다. LTE에서는 CAZAC 계열의 계열수를 확보하기 위해, 소수 길이의 Zadoff-Chu 계열을 사이클릭 익스텐션한 계열이 이용된다. 사이클릭 익스텐션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adoff-Chu 계열을 데이터 신호의 서브캐리어수에 맞춰, 주파수 영역에서 계열 길이를 확장하는 수법이다. 사이클릭 익스텐션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CAZAC 계열의 성질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많은 계열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LTE에 이용되는 레퍼런스 신호 계열을 CAZAC 계열이라고 기술한다.
LTE의 스펙에서는, 계열 길이가 다른 CAZAC 계열을 포함하는 CAZAC 계열 그룹이 30종류 규정되어 있으며, 각 셀에서 1개의 CAZAC 계열 그룹이 할당된다. 또한, 1개의 CAZAC 계열은 어느 1개의 CAZAC 계열 그룹에만 속하기 때문에, CAZAC 계열 그룹이 다르면, 반드시 다른 CAZAC 계열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CAZAC 계열 그룹이 서포트하는 계열 길이는 현재, LTE의 최대 대역폭인 20MHz까지로 되어 있다.
B.M.Popovic, "Generalized Chirp-Like Polyphase Sequences wiht Optimum Correlation Propertie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38, No.4, pp1406-1409, July 1992.
현재, 3GPP에 있어서 LTE의 차세대 시스템인 LTE-Advanced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LTE-Advanced의 최대 통신 속도로서 하향 링크 1Gbps, 상향 링크 500Mbps 정도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LTE-Advanced에서는, LTE의 20MHz보다 넓은 시스템 대역폭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LTE에서 이용되고 있던 컴포넌트 캐리어(캐리어라고도 부름. 최대 20MHz)를 복수 묶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고 불리는 기술이 이용된다.
LTE-Advanced에서는, LTE와 공통의 물리 채널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함의되어 있다. 따라서, LTE-Advanced 상향 링크의 물리 채널 구성은,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어 신호 송신에 이용하는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이 컴포넌트 캐리어의 양단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 송신에 이용하는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은 주파수축상에서 불연속적인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게 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캐리어 애그리게이션)를 이용하여 송신할 경우, LTE-Advanced 상향 링크의 액세스 방식은 복수의 DFT를 이용하는 N x DFT-S-OFDM을 이용한다. 여기에서, N은 묶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가 된다.
또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어느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내의 상향 링크 액세스 방식은, Channel-dependent 스케줄링에 의한 멀티 유저 다이버시티 효과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주파수축상에서 불연속적인 리소스 블록에 할당이 가능하도록 확장된다. 여기에서, Channel-dependent 스케줄링이란, 전반로가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fading)이 되는 환경에서 주파수 영역의 전반로 품질이 우수한 이동국에 리소스 블록을 할당하는 스케줄링 방법이다. 즉,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서는, LTE와 마찬가지로 1개의 DFT를 이용하지만, 주파수축상에서 불연속적인 리소스 블록의 할당이 가능한 Clustered DFT-S-OFDM을 이용한다.
또한, LTE-Advanced 기지국은, SC-FDMA의 액세스 방식에만 대응하고 있는 LTE 이동국도 서포트하는 것이 LTE-Advanced 시스템에 있어서의 요구 조건으로서 들어져 있을 필요가 있다. 즉, LTE 이동국은 LTE-Advanced 기지국, LTE 기지국의 모든 셀 내에서도 문제없이 통신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이용하여 광대역(廣帶域) 송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일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이동국 또는 기지국에도 대응시키기 위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동일한 레퍼런스 신호 계열을 반복하여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PAPR이 커져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이는,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레퍼런스 신호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신호를 동상(同相) 가산할 경우가 발생해 버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 및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대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로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기지국에,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에,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 및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무선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사이클릭 익스텐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를 적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를 적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AZAC 계열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CAZAC 계열의 송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2의 CAZAC 계열의 송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3의 CAZAC 계열의 송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4의 CAZAC 계열의 송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AZAC 계열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5의 CAZAC 계열의 송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6의 CAZAC 계열의 송신에 관한 제어 신호에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LTE-Advanced의 물리 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의 CAZAC 계열을 이용하고,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다른 위상 오프셋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과 복수의 이동국(UE : User Equipment)을 갖는다. 도 2에서는 각각 2개의 기지국과 이동국을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각각 적어도 1개의 기지국과 이동국을 갖고 있으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수가 N인 경우의 예이다.
기지국(200)은, 무선 통신부(201), 제어부(202),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부(203), IFFT부(204),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05), 채널 추정부(206), 데이터 신호는 주파수 등화부(207), IDFT부(208), 데이터 신호 복조부(209), 및 제어 신호 생성부(210)를 갖는다.
기지국(200)의 무선 통신부(201)는, 이동국으로부터의 레퍼런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201)는, 수신한 레퍼런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부(203)에 출력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주로 Demodulation 레퍼런스 신호를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Sounding 레퍼런스 신호나 RACH(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 등, 다른 신호여도 된다.
제어부(202)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부(203),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05-1∼205-N), 채널 추정부(206-1∼206-N), 제어 신호 생성부(210)를 각각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자국(自局)에서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를 제어 신호 생성부(210)에 통지한다. 기지국이 위상 오프셋을 이동국에 통지하는 구성을 취할 경우, 제어부(202)는 위상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제어 신호 생성부(210)에 통지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부(203)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등의 정보를 기초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의 신호마다 IFFT부(204-1∼204-N)에 각각 출력한다.
IFFT부(204-1∼204-N)에서는, 시간 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05-1∼205-N)에 입력한다.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05-1∼205-N)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서브캐리어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맵핑된 서브캐리어를 원래대로 되돌리고, 레퍼런스 신호는 채널 추정부(206-1∼206-N)에, 데이터 신호는 주파수 등화부(207-1∼207-N)에 각각 출력한다.
채널 추정부(206-1∼206-N)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CAZAC 계열 그룹 및 위상 오프셋을 이용하여, 수신한 레퍼런스 신호 계열에 통지된 레퍼런스 신호의 공역을 승산(乘算)한다. 이에 따라, 전반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추정하고, 추정한 채널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주파수 등화부(207-1∼207-N)에 입력한다.
주파수 등화부(207-1∼207-N)는, 입력된 데이터 신호 및 채널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이용하여, 전반로의 페이딩에 의한 진폭 변동 및 위상 변동을 보상하는 주파수 영역 등화를 행하고, IDFT부(208-1∼208-N)에 출력한다.
IDFT부(208-1∼208-N)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신호 복조부(209-1∼209-N)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 복조부(209-1∼209-N)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10)에서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의 레퍼런스 신호에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및 리소스 할당에 관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신호는 무선 통신부(201)를 통해 이동국에 송신된다. 리소스 할당 정보에는,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정보,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의 리소스의 할당이 나타난 할당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기지국이 위상 오프셋을 이동국에 통지하는 구성을 취할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위상 오프셋에 관한 정보,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및 리소스 할당에 관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CAZAC 계열 그룹은, CAZAC 계열 그룹마다 계열 길이가 다른 CAZAC 계열이 규정되어 있다. 즉, 1개의 CAZAC 계열은 어느 1개의 CAZAC 계열 그룹에만 속한다. 따라서, CAZAC 계열 그룹이 다르면 반드시 다른 CAZAC 계열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하의 설명에서는, LTE의 스펙에 준거한 CAZAC 계열 그룹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사용하는 CAZAC 계열을 기지국이 이동국에 통지하는 구성이어도, CAZAC 계열수 생성부(304)의 기억부에 미리 기억해 두어도 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수가 N인 경우의 예이다.
도 4에서 이동국(300)은, 무선 통신부(301), 제어 정보 추출부(302), 제어부(303), CAZAC 계열수 생성부(304), DFT부(305),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 위상 오프셋 부가부(307), 데이터 신호 생성부(308), DFT부(309), 서브캐리어 맵핑부(310), IFFT부(311), 신호 합성부(312),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313)를 갖는다.
무선 통신부(301)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하향 제어 신호를 제어 정보 추출부(302)에 출력한다.
제어 정보 추출부(302)는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및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303)에 출력한다. 기지국이 위상 오프셋을 이동국에 통지하는 구성을 취할 경우, 제어 정보 추출부(302)는 위상 오프셋에 관한 정보도 추출한다.
제어부(303)는, CAZAC 계열수 생성부(304),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 위상 오프셋 부가부(307), 데이터 생성부(308-1∼308-N), 서브캐리어 맵핑부(310-1∼310-N),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313)를 각각 제어한다.
CAZAC 계열수 생성부(304)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및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레퍼런스 신호에 이용되는 CAZAC 계열수를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하고, DFT부(305)에 각각 출력한다. CAZAC 계열수 생성부(304)는, 리소스 할당 정보로부터, 자(自)단말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의 수를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알 수 있다. LTE의 경우, 1리소스 블록은 12서브캐리어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의 수가 n이라고 하면, 데이터 신호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레퍼런스 신호의 계열 길이는 12×n=12n이 된다. 따라서, CAZAC 계열수 생성부(304)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에서, 계열 길이 12n으로 정의되어 있는 CAZAC 계열수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의 수가 3이라고 하고, 비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계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신호의 서브캐리어수는 12n, 즉 12×3=36이 되기 때문에, 36의 최대 소수인 계열 길이 L=31인 CAZAC 계열을 발생시킨다. 이때, 계열수는 계열 길이-1이 되므로, 31-1=30이 된다.
DFT부(305)는, 시간 영역의 신호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에 출력한다.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는, CAZAC 계열수 생성부(304)에서 생성된 CAZAC 계열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서브캐리어수에 맞춰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확장한 CAZAC 계열인 레퍼런스 신호를 위상 오프셋 부가부(307)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의 계열 길이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리소스 할당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수 n이 3이라고 하면, 데이터 신호의 서브캐리어수는 상술한 대로 36이 된다. 도 1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CAZAC 계열수 생성부(304)에서 생성된 계열 길이 31의 CAZAC 계열을 이용하여 36이 되도록 확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AZAC 계열수를 CAZAC 계열수 생성부(304), DFT부(305)를 통해 통지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제어부(303)로부터 통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위상 오프셋 부가부(307)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마다의 위상 오프셋 정보를 기초로, 위상 오프셋을 부가한 레퍼런스 신호를 서브캐리어 맵핑부(310-1∼310-N)에 각각 출력한다. 또한, 주파수축 영역에서 사이클릭 익스텐션한 CAZAC 계열을 미리 CAZAC 계열수 생성부(304)의 기억부에 기억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DFT부(305),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는 필요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상 오프셋 정보를 제어부(303)로부터 통지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CAZAC 계열수 생성부(304), DFT부(305),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를 통해 통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308-1∼308-N)는, 제어부(303)의 제어하에,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데이터 생성을 행하고, 각각 DFT부(309-1∼309-N)에 출력한다.
DFT부(309-1∼309-N)는, 시간 영역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서브캐리어 맵핑부(310-1∼310-N)에 입력한다.
서브캐리어 맵핑부(310-1∼310-N)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를 서브캐리어에 맵핑하고, IFFT부(311-1∼311-N)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Clustered DFT-S-OFDM에서는 SC-FDMA와 달리, 주파수축상에서 불연속적인 서브캐리어에도 신호를 맵핑할 수 있다.
IFFT부(311-1∼311-N)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합성부(312)에 출력한다.
신호 합성부(312)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신호의 합성을 행하고, 합성된 신호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313)에 출력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313)는, 제어부(303)의 제어하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부가한다. 그 후, 무선 통신부(301)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15를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CAZAC 계열의 송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의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및 리소스 할당에 관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제어 신호에 기록하여 송신한다(스텝 S1501). 또한, 기지국이 위상 오프셋을 이동국에 통지하는 구성을 취할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위상 오프셋에 관한 정보,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및 리소스 할당에 관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제어 신호에 기록한다.
서브캐리어수, CAZAC 계열, 위상 오프셋을 인식한다(스텝 S1502). 여기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1∼#3의 3개를 사용하는 것이 나타나 있었다고 인식한다. 또한, 리소스 할당 정보로부터 컴포넌트 캐리어 #1에 연속한 리소스 블록이 5 및 3인 불연속 리소스 블록 그룹이 2개 할당되었음을 인식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컴포넌트 캐리어 #2에 연속한 리소스 블록이 4, 3, 및 3인 불연속 리소스 블록 그룹이 3개 할당되고, 컴포넌트 캐리어 #3에 연속한 리소스 블록이 20인 불연속 리소스 블록 그룹이 1개 할당되었음을 인식했다고 한다. 또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공통의 #2의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그룹 번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2의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가 송부되었다고 한다. 단, 위상 오프셋 부가부(306)에 의해,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레퍼런스 신호에 위상 오프셋이 부가된다.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는 위상 오프셋 없음, 컴포넌트 캐리어 #2에서는 위상 오프셋 π/4, 컴포넌트 캐리어 #3에서는 위상 오프셋 π/2로 하고 있다. 또한, 위상 오프셋의 설정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는, 서브캐리어수 60의 리소스 블록과 서브캐리어수 36의 리소스 블록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컴포넌트 캐리어 #1의 합계의 서브캐리어수는 96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의 서브캐리어수는 96이 되어,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의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계열 길이 96의 CAZAC 계열을 생성한다(스텝 S1503). 그리고, CAZAC 계열에 위상 오프셋을 부가하는 처리를 행하지만(스텝 S1504), #1에서는 위상 오프셋을 부가하지 않는다. 생성된 CAZAC 계열인 레퍼런스 신호를 60과 36의 계열로 분할한다(스텝 S1505). 그리고, 데이터 신호와 합성하여(스텝 S1506), 동일 대역에서 송신한다(스텝 S1507). 이때, 데이터 신호와 레퍼런스 신호는 시분할 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TDM))된다.
컴포넌트 캐리어 #2에서는, 서브캐리어수는 108이 되기 때문에,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의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계열 길이 108의 CAZAC 계열을 생성한다(스텝 S1503). 그리고, CAZAC 계열에 π/4의 위상 오프셋을 부가(스텝 S1504)한 후에 48, 36, 36의 계열로 분할(스텝 S1505)한다. 그리고 데이터 신호와 합성하여(스텝 S1506), 동일 대역에서 송신한다(스텝 S1507).
또한, 컴포넌트 캐리어 #3에서는, 서브캐리어수는 240이 되기 때문에,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의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계열 길이 240의 CAZAC 계열을 생성한다(스텝 S1503). 그리고, CAZAC 계열에 π/2의 위상 오프셋을 부가(스텝 S1504)한 후, 분할(스텝 S1505)한다. 컴포넌트 캐리어 #3에서는 불연속적인 리소스 블록 그룹이 없으므로 분할하지 않고 데이터 신호와 합성하여(스텝 S1506), 동일 대역에서 송신한다(스텝 S1507).
(실시예 1)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1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어 신호를 통해,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및 위상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200)의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에 의해 지정되는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의 리소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 중에,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으로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및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위상 오프셋을 기재한다.
도 6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및 위상 오프셋을 통지한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 #1, #2, #3에서는, 공통으로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 및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위상 오프셋 0, π/4, π/2를 각각 통지하게 된다.
이동국(300)의 제어 정보 추출부(302)는, 자국에서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1∼#3을 인식하고,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 및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위상 오프셋을 추출한다. 즉, 제어 정보 추출부(302)는,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 및 위상 오프셋 0을 추출하고, 컴포넌트 캐리어 #2에서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 및 위상 오프셋 π/4를 추출하고, 컴포넌트 캐리어 #3에서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 및 위상 오프셋 π/2를 추출하여 제어부(303)에 통지한다.
실시예 1에서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LTE와의 공통성이 높다. LTE의 이동국은,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를 이용하고, 위상 오프셋은 부가하지 않는다. LTE의 이동국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지 않으므로, PAPR이 증가한다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2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어느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및 위상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200)의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어느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PBCH 또는 PBCH에 의해 지정되는 PDSCH의 리소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 중에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으로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및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위상 오프셋을 기록한다.
도 7을 이용하여 실시예 2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 제어 신호를 보내는 경우이다. 따라서, 컴포넌트 캐리어 #1의 PDSCH를 통해, 컴포넌트 캐리어 #1, #2, #3에서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 및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위상 오프셋 0, π/4, π/2를 통지하게 된다.
이동국(300)의 제어 정보 추출부(302)는, 자국에서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1∼#3을 인식하고, 컴포넌트 캐리어 #1의 제어 신호로부터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 및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위상 오프셋을 추출한다. 즉, 제어 정보 추출부(302)는,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 이용되는 위상 오프셋 0, 컴포넌트 캐리어 #2에서 이용되는 위상 오프셋 π/4, 및 컴포넌트 캐리어 #3에서 이용되는 위상 오프셋 π/2를 추출하여 제어부(303)에 통지한다. 또한,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및 위상 오프셋의 정보가 통지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미리 정해 두어도, 제어 정보에 기재해도 된다.
실시예 2에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이동국은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수신하면,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및 위상 오프셋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LTE의 이동국은 CAZAC 계열 그룹을 통지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어느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위상 오프셋의 설정이 있어도 LTE의 이동국에 관해서는 위상 오프셋을 부가하지 않는다.
(실시예 3)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3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3에서는 어느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공통으로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및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위상 오프셋의 양의 차분을 통지한다.
도 8을 이용하여 실시예 3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 제어 신호를 보내는 경우이다. 따라서, 기지국(200)의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컴포넌트 캐리어 #1의 PDSCH의 리소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 중에,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으로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 및 위상 오프셋의 차분인 2π/3를 기재한다. 이 경우, 컴포넌트 캐리어 #2, #3에서는 0+2π/3=2π/3, 0+2π/3+2π/3=4π/3를 위상 오프셋으로서 사용하게 된다.
이동국(300)의 제어 정보 추출부(302)는, 자국에서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1∼#3을 인식하고, 컴포넌트 캐리어 #1의 제어 신호로부터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 및 위상 오프셋의 차분을 추출하여 제어부(303)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3)는, 전(全)컴포넌트 캐리어에서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가 이용되고,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 이용되는 위상 오프셋은 0, 컴포넌트 캐리어 #2에서 이용되는 위상 오프셋은 π/4, 및 컴포넌트 캐리어 #3에서 이용되는 위상 오프셋은 π/2인 것을 인식한다. 또한,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및 위상 오프셋의 정보가 통지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미리 정해 두어도, 제어 정보에 기재해도 된다.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이동국은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PBCH 및 PDSCH를 수신하면,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및 위상 오프셋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력 소비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CAZAC 계열에 관한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LTE의 이동국은 CAZAC 계열 그룹을 통지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어느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위상 오프셋의 설정이 있어도 LTE의 이동국에 관해서는 위상 오프셋을 부가하지 않는다.
(실시예 4)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4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4에서는, 어느 1개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에 이용하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여기에서는, 어느 1개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의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만을 통지한다.
도 8을 이용하여 실시예 4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 제어 정보를 보내는 경우이다. 따라서, 기지국(200)의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컴포넌트 캐리어 #1의 PDSCH의 리소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 중에, 컴포넌트 캐리어 #1을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를 기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컴포넌트 캐리어 #2, #3에서 사용되는 위상 오프셋을 부가하는 패턴을 미리 정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과 이동국에 미리, 캐리어마다 부가하는 위상 오프셋량이 2π/(컴포넌트 캐리어수)라고 정의되어 있다고 한다. 컴포넌트 캐리어수는 3이므로, 위상 오프셋량은 2π/3이 된다. 따라서, 제어부(303)는, 컴포넌트 캐리어 #2, #3에서는, 0+2π/3=2π/3, 0+2π/3+2π/3=4π/3를 위상 오프셋으로서 사용한다고 인식하게 된다.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2, 3과 마찬가지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이동국은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PBCH 및 PDSCH를 수신하면,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위상 오프셋량을 통지하지 않으므로 CAZAC 계열에 관한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간에서 위상 오프셋을 일정량씩 변경하여 부가하고 있지만, 일정량이 아니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다른 위상 오프셋을 부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위상 오프셋 대신에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를 병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용하는 모든 캐리어에서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각의 캐리어마다 고유의 신호 처리를 가함으로써, 캐리어간에서 다른 레퍼런스 신호 계열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PAPR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의 CAZAC 계열 그룹을 이용한다. 단, CAZAC 계열 그룹은 송신하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을 서포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개략적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상이점은, 위상 오프셋 부가부(307)가 없고,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로부터 직접 서브캐리어 맵핑부(310-1∼310-N)에 생성한 레퍼런스 신호를 입력하는 점이다. 또한,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는, 발생시킨 CAZAC 계열을,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불연속적인 리소스 블록 그룹으로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6을 이용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CAZAC 계열의 송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의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및 리소스 할당에 관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제어 신호에 기재하여 송신한다(스텝 S1601).
서브캐리어수, CAZAC 계열을 인식한다(스텝 S1602). 여기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1∼#3의 3개를 사용함이 나타나 있었다고 인식한다. 또한, 리소스 할당 정보로부터, 컴포넌트 캐리어 #1에, 연속한 리소스 블록 5 및 3인 불연속 리소스 블록 그룹이 2개 할당되었음을 인식한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컴포넌트 캐리어 #2에, 연속한 리소스 블록 4, 3, 및 3인 불연속 리소스 블록 그룹이 3개 할당되고, 컴포넌트 캐리어 #3에, 연속한 리소스 블록이 20인 불연속 리소스 블록 그룹이 1개 할당되었음을 인식했다고 한다. 또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공통의 #2의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2의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가 송부되었다고 한다. 단,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할당하는 서브캐리어 전체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CAZAC 계열을 이용하고, 각각의 불연속적인 리소스 블록 그룹으로 분리하는 것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컴포넌트 캐리어 전체에서 할당하는 서브캐리어수인 456의 계열 길이를 갖고,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 #2 중에 정의되는 CAZAC 계열을 생성한다(스텝 S1603). 생성한 CAZAC 계열을,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는 6개의 불연속 리소스 블록에 각각 계열 길이 60, 36, 48, 36, 36, 240으로 순서대로 분리한다(스텝 S1604). 분리한 CAZAC 계열의 레퍼런스 신호를 서브캐리어 맵핑부(310-1∼310-N)에 입력한다. 각 구성부에서 처리가 행해지고, 신호 합성부(312) 데이터 신호와 합성하여(스텝 S1605), 동일 대역에서 송신한다(스텝 S1606).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서포트하는 최대의 송신 대역폭에 대응한 계열 길이의 CAZAC 계열을 각 CAZAC 계열 그룹 중에 정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에 정의하고 있는 CAZAC 계열 길이는, 제1 실시형태에 이용하는 것보다 커진다.
(실시예 5)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5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5에서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PBCH에 의해 지정되는 PDSCH를 통해,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으로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도 11을 이용하여 실시예 5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5에서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어 신호에서, 공통으로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200)의 제어 신호 생성부(210)는, PBCH에 의해 지정되는 PDSCH의 리소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 중에, 컴포넌트 캐리어 #1, #2, #3 공통으로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를 각각 기록한다.
실시예 5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LTE와의 공통성이 높다. 실시예 5에서는, 현재의 LTE와 마찬가지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CAZAC 계열 그룹을 통지하기 때문에, LTE의 이동국은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6)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6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6에서는, 어느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PBCH에 의해 지정되는 PDSCH를 통해, 컴포넌트 캐리어 공통으로 이용하는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도 12를 이용하여 실시예 6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 #1의 제어 신호에서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보내는 경우이다. 따라서, 컴포넌트 캐리어 #1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CAZAC 계열 그룹 인덱스인 #2를 각각 통지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 6에서는, LTE의 이동국은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보내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신을 행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용하는 전(全)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각각의 캐리어에서 다른 신호 계열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각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한 후, 분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분리한 후에 위상을 부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CAZAC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 이외는 통지하지 않으므로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작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국에 할당하지만,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행하지 않을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제2 실시형태에 적용시켜도 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개략적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상이점은, DFT부(305), 사이클릭 익스텐션부(306), 및 위상 오프셋 부가부(307)가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실시하고 있던 처리를, 사용하는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행하는 점이다.
또한, 사용하지 않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레퍼런스 신호에는 0을 삽입하여,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일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 및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무선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조건은, 컴포넌트 캐리어수가 2,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브캐리어수를 60으로 하고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서 연속 리소스 할당의 경우와 불연속 리소스 할당(서브캐리어수 24와 36으로 분할)의 경우에 대해서 플롯하고 있다. 발명 비적용시에는, 컴포넌트 캐리어간의 위상 오프셋을 0으로 하고, 위상 발명 적용시에는, 컴포넌트 캐리어간의 위상 오프셋을 π/2로 하고 있다. 도 14에서 본 발명에 의해 연속 리소스 할당시에 3dB 정도, 불연속 리소스 할당시에 1dB 정도 Cubic Metric을 저감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Cubic Metric은 진폭의 3승값으로부터 계산되고, PAPR에 상당하는 지표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상향 링크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하향 링크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LTE-Advanced에 준거한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i-Burst, Wimax, CDMA2000 3x, MC-HSDPA(Multi Carrie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멀티 캐리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송신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컴포넌트 캐리어수가 2 이상이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레퍼런스 신호 계열로서 CAZAC 계열을 이용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M 계열, gold 계열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기지국 및 단말은, 상기 설명에서도 분명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 동작을 실현시킨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 및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무선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는 경우에, 컴포넌트 캐리어간에서 동일한 CAZAC 계열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레퍼런스 신호의 PAPR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일반에 적용 가능하다.
(부기 1)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2)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3)
상기 처리 수단은, 각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4)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일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5)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全)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6)
상기 처리 수단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7)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8)
상기 처리 수단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9)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0)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1)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부기 12)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3)
상기 처리 수단은, 각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부기 12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4)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부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5)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부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6)
상기 처리 수단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부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7)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부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8)
상기 처리 수단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부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9)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부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20)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부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21)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부기 22)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에 기재된 단말.
(부기 23)
상기 처리 수단은, 각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또는 부기 22에 기재된 단말.
(부기 24)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내지 부기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
(부기 25)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내지 부기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
(부기 26)
상기 처리 수단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내지 부기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
(부기 27)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내지 부기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
(부기 28)
상기 처리 수단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내지 부기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
(부기 29)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내지 부기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
(부기 30)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내지 부기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말.
(부기 31)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2)
상기 처리 스텝은, 복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3)
상기 처리 스텝은, 각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또는 부기 32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4)
상기 처리 스텝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내지 부기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5)
상기 처리 스텝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준하는 계열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내지 부기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6)
상기 처리 스텝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내지 부기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7)
상기 처리 스텝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내지 부기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8)
상기 처리 스텝은,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내지 부기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9)
상기 처리 스텝은, 특정한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내지 부기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40)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 내지 부기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41)
기지국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기지국에,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기 42)
단말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에,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에, 각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00 : 기지국 201 : 무선 통신부
202 : 제어부 203 :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부
204 : IFFT부 205 : 서브캐리어 디맵핑부
206 : 채널 추정부 207 : 주파수 등화부
208 : IDFT부 209 : 데이터 신호 복조부
210 : 제어 신호 생성부 300 : 이동국
301 : 무선 통신부 302 : 제어 정보 추출부
303 : 제어부 304 : CAZAC 계열수 생성부
305 : DFT부 306 : 사이클릭 익스텐션부
307 : 위상 오프셋 부가부 308 : 데이터 신호 생성부
309 : DFT부 310 : 서브캐리어 맵핑부
311 : IFFT부 312 : 신호 합성부
313 :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

Claims (42)

  1.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에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여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마다의 레퍼런스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데이터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신호 처리는 상향 링크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全) 컴포넌트 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하여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고,
    상기 신호 처리는 상향 링크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여 각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 컴포넌트 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에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여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마다의 레퍼런스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데이터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신호 처리는 상향 링크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 컴포넌트 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1.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에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여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마다의 레퍼런스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 스텝과,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데이터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갖고,
    상기 신호 처리는 상향 링크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다른 위상 오프셋 및 사이클릭 시프트 중 적어도 1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하는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상기 신호 계열에 있어서, 이용하는 전 컴포넌트 캐리어의 리소스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계열 길이의 최대 소수를 계열 길이로 하는 신호 계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신호 계열에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9.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스텝은,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통지되는 위상 오프셋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0.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은,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1. 기지국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기지국에,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하여,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행하고,
    상기 신호 처리는 상향 링크에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을 이용하여 각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2. 단말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에,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용되는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의 신호 계열 그룹 중에 정의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소정 길이의 신호 계열에,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마다의 레퍼런스 신호를 출력시키고,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생성된 데이터 신호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합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신호 처리는 상향 링크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17021440A 2009-04-10 2010-03-19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서버,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345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6493 2009-04-10
JP2009096493 2009-04-10
PCT/JP2010/054784 WO2010116881A1 (ja) 2009-04-10 2010-03-19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サーバ、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22A KR20110118722A (ko) 2011-10-31
KR101345244B1 true KR101345244B1 (ko) 2013-12-27

Family

ID=4293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440A KR101345244B1 (ko) 2009-04-10 2010-03-19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서버,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3533B2 (ko)
EP (1) EP2418794A4 (ko)
JP (1) JPWO2010116881A1 (ko)
KR (1) KR101345244B1 (ko)
CN (1) CN102362454A (ko)
WO (1) WO2010116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366A1 (ja) * 2010-08-27 2012-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半導体チップ
JP5712953B2 (ja) * 2012-03-08 2015-05-07 アイコム株式会社 通信機および通信方法
JP5712957B2 (ja) * 2012-03-23 2015-05-07 アイコム株式会社 通信機および通信方法
US9119186B2 (en) * 2012-05-24 2015-08-25 Marvell World Trade Ltd. Frequency domain duplication in a long-rang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3841603B (zh) * 2012-11-20 2019-05-3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上行分组调度的方法及设备
US9369252B2 (en) * 2013-01-25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reference signal phase discontinuity and sequence initialization
US10687218B2 (en) * 2013-12-03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etric optimization and uplink DM-RS design for LTE/LTE-A uplink transmissions in unlicensed spectrum
EP3110030B1 (en) * 2014-02-21 2019-02-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WO2018033978A1 (ja) * 2016-08-17 2018-02-2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877452B2 (ja) 2016-09-28 2021-05-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KR102640609B1 (ko) * 2016-11-22 2024-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 및 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
US10693696B2 (en) * 2016-11-22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8803A (ja) * 2004-07-27 2008-03-21 ゼットティーイー・サン・ディエゴ・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Ofdmaまたはofdm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準プリアンブル信号の送信及び受信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179B1 (en) * 2005-02-11 2009-05-05 Marvell International Ltd. Joint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integer carrier frequency offset and channel in OFDM systems
EP1913724A2 (en) * 2005-08-12 2008-04-23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lacing pilots in a multicarrier mimo system
WO2007091675A1 (ja) * 2006-02-10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JP4887357B2 (ja) * 2006-03-20 2012-0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移動局装置および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
US8098745B2 (en) * 2006-03-27 2012-01-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structure for wireless networks
KR101037829B1 (ko) * 2006-04-25 2011-05-3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파일럿 신호 전송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
US7701919B2 (en) * 2006-05-01 2010-04-20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assigning uplink reference signals,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thereof
BRPI0713322A2 (pt) * 2006-06-21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métodos e equipamentos para medição, comunicação e/ou utilização de informações de interferência
TWI451728B (zh) * 2006-09-29 2014-09-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封包化系統中高速通信之具成本效益的前導碼結構
US8228887B2 (en) * 2006-09-29 2012-07-24 Apple Inc. Cell identifier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
PT2068455E (pt) * 2006-09-30 2011-08-17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DISTRIBUIÇÃO DE SEQUjNCIA, MÉTODO E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SEQUjNCIA EM SISTEMA DE COMUNICAÇÃO
EP2071856B1 (en) * 2006-10-02 2015-07-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equence alloc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8111317A1 (ja) * 2007-03-15 2008-09-18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US9344314B2 (en) * 2007-04-24 2016-05-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puter generated sequences for downlink and up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188920B1 (en) * 2007-09-03 2018-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quence hopping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WO2009039383A2 (en) * 2007-09-21 2009-03-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structure for ofdm based transmissions
KR101531551B1 (ko) * 2007-10-02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의 반복 전송
US20090168730A1 (en) * 2007-10-29 2009-07-02 Motorola, Inc. Pilot Signal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541910B1 (ko) * 2007-11-29 2015-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 전송방법
KR101581956B1 (ko) * 2008-10-22 2016-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496304B1 (en) * 2009-01-29 2022-03-16 Sun Patent Trust Wireless transmitter 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8803A (ja) * 2004-07-27 2008-03-21 ゼットティーイー・サン・ディエゴ・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Ofdmaまたはofdm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準プリアンブル信号の送信及び受信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1 #54bis, R1-083491 (2008년 09월 29일 ~ 10월 03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6881A1 (ja) 2010-10-14
JPWO2010116881A1 (ja) 2012-10-18
KR20110118722A (ko) 2011-10-31
CN102362454A (zh) 2012-02-22
US20120026962A1 (en) 2012-02-02
EP2418794A4 (en) 2017-03-01
EP2418794A1 (en) 2012-02-15
US8953533B2 (en)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24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서버,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US108267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ard band utilization for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s
US8817818B2 (en) Backward compatible bandwidth extension
RU2480945C2 (ru)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терминал
JP5213955B2 (ja) 基地局、ユーザ装置及び方法
US8780769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different frame structures
US20130089065A1 (en)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US20090196163A1 (en) Bandwidth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ofdm and tdma
EP3050391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nerating fractional guard periods
US20100128683A1 (en) Orthogonal reference signals with different bandwidth and overlapping spectrum
WO2007145357A1 (ja) データ作成装置、データ作成方法、基地局、移動局、同期検出方法、セクタ同定方法、情報検出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90006746A (ko)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셀 탐색 방법
CN102017461A (zh) 高效及一致的无线下行链路信道配置
US10057004B2 (en) CSI-RS based cell discovery signal
KR1012830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8198287A1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WO2024055182A1 (en)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multiplexed signals
KR1008885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 채널 및 방송 채널 전송 방법및 장치
WO2023164819A1 (en) Pulse shaped and overlapped reference signals
KR100746999B1 (ko) 직교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데이터의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43048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생성 및 전송 방법
KR20170049379A (ko) 협대역 무선통신 셀률러 시스템을 위한 동기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