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625B1 -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625B1
KR101344625B1 KR1020120130635A KR20120130635A KR101344625B1 KR 101344625 B1 KR101344625 B1 KR 101344625B1 KR 1020120130635 A KR1020120130635 A KR 1020120130635A KR 20120130635 A KR20120130635 A KR 20120130635A KR 101344625 B1 KR101344625 B1 KR 10134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ear plates
directional
frame
skate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연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김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김이연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12013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주 놀이기구 중 하나인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의 롤링 또는 전,후 플레이트 (110,120)를 가깝게 하거나 멀게 하는 차이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는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여 도움 닫기 없이도 자체 추진이 가능할뿐 아니라 사행운동없이 직선운동으로 주행할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자력 추진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발을 각기 올려놓도록 구성되고 전,후방으로 나누어진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와, 4개의 링크로 구성되어져 구속동작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전,후 플레이트(110,120) 및 프레임의 하부 경사면(140)에 형성되는 방향성 캐스터(310,320).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져 프레임(200) 동작시 복귀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Self-Propulsion Skate board}
본 발명은 활주 놀이기구 중 하나인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발을 각기 올려놓도록 앞뒤로 구성되는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와: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연결 구성하고 4개의 링크로 구성되어져 구속 동작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 및 프레임(200)의 하부의 경사면(140)에 취부 되어져 좌우 움직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방향성 캐스터(310,320)와: 상기 프레임(200)에 형성되어져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일정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400):으로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로서,
전,후방 방향성 캐스터(310) 및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의 롤링 또는 전,후 플레이트 (110,120)가 가깝거나 멀거나의 차이에 따라 연동하여 펴졌다 오무려졌다를 반복하여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에 의해 도움 닫기 없이도 자체 추진이 가능할뿐 아니라 사행운동 없이 직선운동으로 주행할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자력 추진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크게 운전자가 발을 얹을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휠(회전바퀴), 플레이트와 휠을 연결해주는 트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를 타고자 할때는 한발은 플레이트에 얹어 무게중심을 잡고 다른 한발로는 지면을 차면서 추진력을 얻거나, 양쪽발을 플레이트에 얹고 전후 좌우로 플레이트에 비틀림을 발생시켜 추진력을 발생하여 앞으로 나아갈수 있었다.
이와같은 스케이트 보드는 두 다리로 방향을 조절하면서 달리는 균형 감각을 익힐 수 있고 경사진 길에서는 가속에 의한 스피드를 만끽할 수 있어서 특히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높은 반면, 다양한 기술 습득이 쉽지 않고 평지에서는 가속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발목, 무릅, 골반, 허리 등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어린이들이나 여성들이 즐기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특히, 전후 4개의 바퀴가 장착된 스케이트보드는 회전을 위하여 무리하게 데크 전후 좌우에 힘을 가하여야 하고 이마저도 평지에서는 자유로운 동작이 어려워 일부 마니아층 이외에는 스케이트보드의 대중화가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스케이트보드가 개발되어 왔으며, 그중에 일명 에스보드가 있다.
에스보드는 두 개의 플레이트에 각각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고 두 발을 엇갈리게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방향성캐스터에 의해 전진 및 회전을 할 수 있다.
간단히 구조를 살펴보면, 플레이트가 전방 플레이트와 후방 플레이트로 나누어져 있고, 두 개의 플레이트가 비틀림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에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채로 보드의 저면에 부착되는 방향성캐스터가 각각 한개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의 움직임에 따라 앞으로 전진하거나 좌우 양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에스보드는, 기존의 4륜형 스케이트보드가 한 발을 바닥면에 딛고 도움 동작을 통해 스케이트보드를 추진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두 발을 각각의 플레이트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두 발이 엇갈리게 플레이트에 힘을 가함으로써 전방으로 추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추진 동작의 묘미가 있다.
또한, 두 발의 엇갈림을 조절하여 좌우 회전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에스보드는 바퀴가 앞뒤로 한 쌍밖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정지 상태에서는 중심을 잡을 수 없으며 스케이트보드 초보자는 전방으로 추진하는 것은 물론 보드 위에 서 있기도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추진력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사행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두 발의 엇갈림 동작에 의해서만 전진 및 회전이 진행되어 라이딩 중 관절이나 기타 신체 부위에 부상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후방에 위치하는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에 각각 발을 올려놓고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가까이하거나 멀리하는 동작에 의해 측면 링크의 경사면(140)에 설치되어지는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를 오무렸다 폈다를 반복하여 스스로 추진력을 발생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력 추진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4개의 휠에 의해 추진하게 되어 누구나 즐길수 있는 안정적인 자력 추진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원상태로 복원되게 하는 복귀수단(400)을 프레임(200)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쉽게 전,후 플레이트(110,120)를 가까이 하거나 멀리할수 있어 보다 쉽게 추진력을 얻을수 있는 자력 추진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여 윗면에는 발이나 신발이 안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표면을 갖고, 저면에는 방향성 캐스터(310)가 부착될수 있도록 경사면(140)을 갖는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와: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각각 연결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가까이 하거나 멀리 할수 있도록 제한된 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4개의 링크(210,220,230,240)로 구성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의 하부 경사면(140) 및 상기 양 측면 프레임(200)의 1,2번 링크(210.220) 하부 경사면(140)에 각각 설치되는 방향성 캐스터(310,320)와: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지는 복귀수단(400):으로 구성 되어져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서로 가까이 하거나 또는 멀리하는 동작에 의해 측면부에 형성되는 방향성 캐스터(320)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여 스스로 주행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는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을 지지하는 고정바 또는 고정 기둥(도면 생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크게 전,후방 플레이트(110,120),프레임(200) 및 방향성 캐스터(310,320), 복귀수단(400)으로 구성되어져 구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전,후방 플레이트 (110,120)를 가까이 하거나 또는 멀리 하는 단순 동작에 의해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를 양측면 방향으로 폈다 오무렸다를 반복하여 스스로 추진력을 발생할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가 보드의 좌우에서 대칭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스케이트 보드는 사행 운동없이 직선운동으로 추진력을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스케이트 보드를 즐길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4개의 방향성 캐스터(310.320)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잡기가 쉬워 누구나 쉽게 스케이트보드를 즐길수 있어 스케이드보드가 대중 스포츠로 자리 잡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중 리어 및 프런터 데크를 가까이 오무렸을때의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중 리어 및 프런터 데크를 가까이 오무렸을때의 평면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중 리어 및 프런터 데크를 멀리 펼쳤을때의 평면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첨부도면 도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여 윗면에는 발이나 신발이 안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표면을 갖고, 저면에는 방향성 캐스터(310,320)가 부착될수 있도록 경사면(140)을 갖는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와: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각각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가까이 하거나 멀리 할때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방향성 캐스 터(320)가 연동하여 제한된 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4개의 링크로 구성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의 하부 경사면(140) 및 상기 프레임(20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방 및 측면 방향성 캐스터(310,320)와: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지는 복귀수단(400):으로 구성 되어져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의 롤링 및 전,후 플레이트(110,120)의 가깝거나 멀거나의 차이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는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에 의해 도움 닫기 없이도 자체 추진이 가능할뿐 아니라 4개의 바퀴에 의해 동작되어져 안정적으로 즐길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추진 스케이트보드이다.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는 스케이트의 진행방향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져 탑승자가 발을 얹고 주행할수 있도록 구성된 판으로서, 상부는 발이나 신발이 안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표면을 갖고, 저면에는 방향성 캐스터(310)가 부착될수 있도록 경사면(140)이 구성되며, 경사면(140)은 후방측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게된다.
또한, 전방 플레이트(110)의 후방 및 후방 플레이트(12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레임(200)이 결속되는 브라켓트(130)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측면 방향성캐스터(320)가 오무려졌을때 상기 후방 플레이트(12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후방 플레이트(120)의 측면을 상부로 약간 굴곡지게 하거나 또는 충분한 높이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각각 연결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가까이 하거나 멀리 함에 따라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가 양측 옆으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는 구속동작을 할수 있도록 4개의 링크(상부에서 봤을때 전면 우측링크 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1,2,3,4 링크로 호칭) 기구로 구성되게 된다.
제1링크(210)는 일측이 전방 플레이트(110)의 브라켓트(130)에 동작핀(6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타측의 측면부는 제4링크(240)와 동작핀(6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속되게 되며, 제1링크(210) 타측 끝단은 보드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끝단에는 측면 방향성캐스터(320)가 고정 취부된다.
제2링크(220)는 일측이 전방플레이트(110) 저면에 형성되는 브라켓트(130)에 고정핀(500)에 의해 고정 취부되며, 타측은 제3링크(230)와 동작핀(6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다. 또한 제2링크(220)의 타측은 제1링크(210)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져 끝단부에는 측면 방향성캐스트(320)가 고정 취부된다.
제3링크(230)는 일측이 후방 플레이트(120) 저면에 형성되는 브라켓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동작핀(600)에 의해 결속되며, 타측은 상기의 제2링크(220)와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다.
제4링크(240)는 일측이 후방 플레이트(120) 저면에 형성되는 브라켓트(130)에 고정핀(500)에 의해 고정 취부되며, 타측은 상기의 제1링크(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다.
상기 방향성 캐스터(310,320)는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의 저면 및 제1.2링크(210,220)의 돌출부 끝단 경사면(140)에 각각 형성되며, 경사면(140)은 후면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상기 복귀수단(400)은 탄성체의 인장력과 압축력에 의해 전,후 플레이트 (110,120)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려는 힘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4개의 링크 중 2개의 링크를 탄성체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구성되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둥근형상으로 말려있는 스프링의 양쪽 끝단을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 및 제3링크(330) 와 제4링크(4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것으로써 전,후방 플레이트(110,120)가 제일 가까이 있을때는 인장력을 받고, 멀리 있을때는 압축력을 받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복귀수단(400)은 전,후방 플레이트(110,120)가 멀리 있게 될 경우에는 복귀수단(400)은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전,후 플레이트 (110,120)가 가까이 있을 경우에는 인장력을 저장하고 있다가 탑승자가 발의 힘을 제거하게 되면 각각의 링크는 일정한 각도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보다쉽게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수 있게 되므로, 보다 쉽게 전,후방 플레이트 (110,120)를 앞뒤로 움직여서 추진력을 얻을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스케이트 보드의 여러가지 동작상태를 첨부도면 도4내지 도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는 전,후 플레이트(110,120)에 각각 한쪽발을 올려놓고 첨부도면 도4 와 같이 전,후방 플레이트(110,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양쪽발을 벌리게 된다.
이때 전방 플레이트(110)에 고정 취부되어 있는 제2링크(220)와 후방 플레이트(120)에 고정 취부되어 있는 제4링크(240)도 동일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제2링크(220)와 연결 구성되는 제3링크(330) 및 제4링크(240)와 연결 구성되는 제1링크(210)를 각각 밀게되어 전,후 플레이트(110,120)는 서로 멀어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양쪽발을 벌려 줌으로써 보다 쉽게 전,후 플레이트 (110,120)를 벌릴수가 있게 된다.
이때 복귀수단(400)은 압축력을 저장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4개의 링크 (210,220,230,240)에 의해 구성되어져 구속 동작하는 측면 방향성캐스터(320)는 중심부로 오무려지게 되고, 이때 경사면에 부착되어 있는 방향성캐스터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복귀수단(400)은 저장된 압축력에 의해 쉽게 전,후 플레이트(110,120)를 일정한 거리로 쉽게 복귀시킬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는 반대로 도 5와 같이 양쪽발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발을 오무리게 되면 전,후 플레이트(110,120)는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측면 방향성캐스터(320)는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경사면에 부착되어 있는 방향성 캐스터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에도 복귀수단(400)은 인장력을 축적하게 되고, 축적된 인장력은 전,후 플레이트(110,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때 보다 쉽게 복귀할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스케이트 보드는 추진력을 발생하는 측면 방향성캐스터(320)가 좌,우 대칭으로서 방향이 서로 반대쪽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측면 방향성캐스터 (320)를 오므리거나 벌리는 동작에 관계없이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은 서로 상쇄되어 사라지고 전방 방향으로만 진행하게 되어 사행운동 없이 앞으로 추진할수가 있게 된다.
110 : 전방 플레이트 120 : 후방 플레이트
130 : 브라켓트 140 : 경사면
200 : 프레임
210 : 제1 링크 220 : 제2 링크
230 : 제3 링크 240 : 제4 링크
310 : 전,후방 방향성 캐스터
320 : 측면 방향성 캐스터
400 : 복귀수단
500 : 고정핀 600 : 동작핀

Claims (2)

  1.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여 윗면에는 발이나 신발이 안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표면을 갖고, 저면에는 방향성 캐스터(310)가 부착될수 있도록 경사면(140)을 갖는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와:
    4개의 링크 (210,220,230,240)로 구성되어져 상호 구속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와 연결 구성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전,후방 플레이트(110,120) 및 상기 양 측면 프레임(200)의 하부 경사면(140)에 각각 설치되어져 추진력을 발생하는 방향성 캐스터(310,320)와: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져 전,후방 플래이트(110,120)를 일정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400):으로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로서,
    전,후방 방향성 캐스터(310,320)의 롤링 또는 전,후방 플레이트 (110,120)가 가깝거나 멀거나의 차이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는 측면 방향성 캐스터(320)에 의해 도움 닫기 없이도 자체 추진이 가능할뿐 아니라 사행운동 없이 직선운동으로 주행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추진 스케이트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은 4개의 링크 (상부에서 봤을때 전면 우측링크 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1,2,3,4 링크로 호칭)로 연결 구성되어져 상호 구속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1링크(210)는 일측이 전방 플레이트(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타측 끝단부는 측면 방향성캐스터(320)가 고정 취부되고.
    제2링크(220)는 일측이 전방 플레이트(110)와 고정 취부되며, 타측은 제3링크(230)와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타측 끝단부는 측면 방향성캐스트(320)가 고정 취부되고.
    제3링크(230)는 일측이 후방 플레이트(120)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타측은 상기의 제2링크(220)와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제4링크(240)는 일측이 후방 플레이트(120) 저면에 고정 취부되며, 타측은 상기의 제1링크(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어져 상호 구속동작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추진 스케이트 보드.
KR1020120130635A 2012-11-19 2012-11-19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 KR10134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635A KR101344625B1 (ko) 2012-11-19 2012-11-19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635A KR101344625B1 (ko) 2012-11-19 2012-11-19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625B1 true KR101344625B1 (ko) 2013-12-26

Family

ID=4998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635A KR101344625B1 (ko) 2012-11-19 2012-11-19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6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467Y1 (ko) 2006-04-11 2006-07-13 조동표 스케이트보드
KR100612427B1 (ko)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JP2008545480A (ja) 2006-04-28 2008-12-18 レイザー ユーエスエイ,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可撓型ワンピース形スケートボ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467Y1 (ko) 2006-04-11 2006-07-13 조동표 스케이트보드
KR100612427B1 (ko)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JP2009533133A (ja) 2006-04-12 2009-09-17 トリスポーツ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自発的前進が可能なボード
JP2008545480A (ja) 2006-04-28 2008-12-18 レイザー ユーエスエイ,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可撓型ワンピース形スケートボ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0517B2 (en) Ski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4434981A (en) Cross country skiing simulating exerciser
KR101591253B1 (ko)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US9254413B2 (en) Elliptical exerciser
KR100933532B1 (ko) 스트리트보드
JP2007523684A (ja) 複数の移動手段アタッチメントを有する足載せ式人体移動装置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KR101344625B1 (ko) 자력추진 스케이트 보드
KR101438904B1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EP3177374B1 (en) Standup paddle board core activator
KR100734953B1 (ko) 유희용 주행 보드
CN201164710Y (zh) 旱地滑雪式轮板
KR101158422B1 (ko) 롤러 스케이팅 승용기구
KR100729339B1 (ko) 유희용 보드의 이동장치
KR100810577B1 (ko) 자체추진 스케이트보드
CN205598531U (zh) 履带式健腹轮
KR101392253B1 (ko) 놀이기구
US11071921B2 (en) Ride-on toy
WO2017123134A1 (en) Cross country skiing machine
KR101719798B1 (ko) 이동 장치
JP3097676U (ja) 腰運動器
KR20130055170A (ko) 랜드 서핑 보드
KR100992636B1 (ko) 스트리트 보드
KR101621707B1 (ko) 접이식 자전거형 퀵 보드
KR101628844B1 (ko) 주행 기능을 갖는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