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578B1 - Wiring structure for motor shaft of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Wiring structure for motor shaft of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4578B1 KR101344578B1 KR1020120031320A KR20120031320A KR101344578B1 KR 101344578 B1 KR101344578 B1 KR 101344578B1 KR 1020120031320 A KR1020120031320 A KR 1020120031320A KR 20120031320 A KR20120031320 A KR 20120031320A KR 101344578 B1 KR101344578 B1 KR 101344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shaft
- hole
- electric vehicle
- wheel
- wir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모터 고정자에 연결된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 배선 구조를 제공한다. 전동 차량은 휠(56)에 배치되는 추진식의 인 휠 구동 모터(58)를 구비한다. 구동 모터(58)는, 차축으로서 기능하며 차축 지지부(18L, 18R, 46L, 46R)에 의해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양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모터 샤프트(50)와, 휠(56) 내에서 모터 샤프트(50)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자(110)와, 휠(56) 내에 고정 배치되는 회전자(112)와, 모터 샤프트(50)를 통과하여 고정자(110)에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며, 모터 샤프트(50)는 모터 샤프트(50)의 끝단 내측 및 차축 지지부(18L, 18R, 46L, 46R) 내측에 형성된 관통 구멍(144)을 구비하고, 전선은 관통 구멍(144)을 통과하여 고정자(110)에 연결된다.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provides a motor shaft wir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protect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a motor stator. The electric vehicle has a propulsion in-wheel drive motor 58 disposed on the wheel 56. The drive motor 58 functions as an axle and has a motor shaft 50 in which both ends are rotatably fixed to the body frame assembly by the axle support portions 18L, 18R, 46L, 46R, and the motor shaft in the wheel 56. A stator 110 fixedly disposed at 50, a rotor 112 fixedly disposed within wheel 56,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stator 110 through the motor shaft 50, the motor shaft 50 has a through hole 144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motor shaft 50 and inside the axle support portions 18L, 18R, 46L, 46R, and the wir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to stator 110. Is connected to.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모터 샤프트를 통과하여 모터 고정자와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shaft wir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and includes an electric wire passing through the motor shaft and connected to the motor stator.
종래에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54-153644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전선들을 인 휠 모터의 고정자에 연결하는 기술이 있었으며, 이때 전선들은 차축이나 모터 샤프트의 끝단으로부터 차축이나 모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된다.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54-153644, there has been a technique of connecting the electric wires to the stator of the in-wheel motor, wherein the electric wires are orien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axle or the motor shaft from the end of the axle or the motor shaft. It is inserted into the formed hole.
그러나, 인 휠 모터에 연결된 전선들은 고압 전선이므로, 차축 끝단의 전선들을 인체나 장애물과 같은 물리적 간섭으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해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안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보호 덮개를 추가하는 것과 같은 노력으로 인해, 필요한 부품의 수가 늘고 따라서 전체 조립체의 비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wires connected to the in-wheel motors are high voltage wires, special care has to be taken to isolate the wires at the axle end from physical interference such as human body and obstacles. Efforts such as adding protective covers to meet these safety requirements have ten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required parts and thus increase the cost of the entire assembly.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모터 고정자에 연결되는 전선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전선을 다른 물체들의 물리적 간섭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는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 배선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 shaft wir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can protect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motor stator, and can block electric wires from physical interference of other objects.
전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르면, 휠(56)에 배치되는 추진식의 인 휠 구동 모터(58)를 구비하는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로서, 구동 모터(58)는, 차축으로서 기능하며 차축 지지부(18L, 18R, 46L, 46R)에 의해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양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모터 샤프트(50)와, 휠(56) 내에서 모터 샤프트(50)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자(110)와, 휠(56) 내에 고정 배치되는 회전자(112)와, 모터 샤프트(50)를 통과하여 고정자(110)에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며, 모터 샤프트(50)는 모터 샤프트(50)의 끝단 내측 및 차축 지지부(18L, 18R, 46L, 46R) 내측에 형성된 관통 구멍(144)을 구비하고, 전선은 관통 구멍(144)을 통과하여 고정자(110)에 연결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s a
청구항 2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휠(56)은 적어도 타이어(100)를 유지하는 림(102)을 구비한 본체(104)와 모터 샤프트(50)의 축 방향으로부터 본체(104)에 장착되는 측면 부재(106R)를 포함하는 분리가능한 휠로 구성되고, 관통 구멍(144)은 측면 부재(106R)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 입구(150)와 측면 부재(106R)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 출구(152)를 갖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청구항 3에 따르면, 제2항에 있어서, 측면 부재(106R)와 모터 샤프트(50) 사이에 개재된 회전 지지 부재(124R)를 더 구비하고, 휠(56)이 회전 지지 부재(124R)에 의해 모터 샤프트(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 지지 부재(124R)는 측면 부재(106R)의 측면 부재 접촉부(126R)에 대해 접하는 축방향 외측면과 모터 샤프트(50)의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에 대해 접하는 축방향 내측면을 구비하고,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의 직경은 회전 지지 부재(124R)가 장착된 모터 샤프트(50)의 부분의 직경보다 크고, 전선 출구(152)는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의 안쪽에 배치된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4에 따르면, 제3항에 있어서, 모터 샤프트(50)는, 전선 출구(152)의 축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자(110)가 고정되는 고정부(114)를 포함하며, 고정부(114)의 직경은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의 직경보다 작은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The
청구항 5에 따르면, 제2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144)에 근접한 측면 부재(106R)와 브레이크 패널(15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브레이크 드럼(156)을 더 포함하고, 브레이크 패널(154)에는, 고정자(110)와 연결되는 전선(148)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158)이 형성되고, 전선(148)은 삽입 구멍(158)과 공간을 통하여 관통 구멍(144)에 삽입되며, 삽입 구멍(158)은 그 내부에 방수 부재(160)를 수용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The
청구항 6에 따르면, 제5항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모터 샤프트(50)의 우측 영역에 관통 구멍(144)이 형성되고 브레이크 드럼(156)이 배치된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The motor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rough-
청구항 7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144)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모터 샤프트(50)의 우측 영역에 형성된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The
청구항 8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차축 지지부(46L, 46R)는 후륜을 지지하는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The
청구항 9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차축 지지부(18L, 18R)는 전륜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The
청구항 10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144)은 모터 샤프트(50) 내부에서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144)은 그 하부 개구로서의 전선 입구(150) 및 그 상부 개구로서의 전선 출구(152)를 갖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전술한 청구항 1 내지 3에 따르면, 관통 구멍은 모터 샤프트 내에서 모터 샤프트의 끝단 내부 및 차축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선은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므로, 구동 모터에 연결된 고압의 전선을 위한 별도의 덮개가 필요하지 않고, 전선(148)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전동 차량의 운전자와 같은 사람 및 장애물 등의 물체들로부터 보호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laims 1 to 3,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end of the motor shaft and inside the axle support in the motor shaft, and the wire extends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a separate high voltage wire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he
전술한 청구항 5에 따르면, 브레이크 패널은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전선은 삽입 구멍을 통해 관통 구멍으로 연장된다. 방수 부재가 삽입 구멍(158)에 수용되어 있어 액체가 삽입 구멍을 통하여 구동 모터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5 described above, the brake panel has an insertion hole, and the electric wire extends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the through hole. The waterproof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전술한 청구항 6 및 7에 따르면, 관통 구멍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모터 샤프트의 우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자가 전동 차량에 타거나 내릴 때, 운전자는 대체로 전동 차량의 좌측에 서게 되고, 관통 구멍 및 전선으로부터 떨어져서 서게 되므로 고압 전선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laims 6 and 7,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ight part of the motor shaft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body frame assembly. When the driver rides in or gets off the electric vehicle, the driver usually stands on the lef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stands away from the through-holes and wires and thus is not negatively affected by the high voltage wires.
전술한 청구항 10에 따르면, 관통 구멍의 전선 입구가 모터 샤프트의 하면에 위치하고, 관통 구멍의 전선 출구(152)가 모터 샤프트의 상면에 위치하므로, 전동 차량이 비를 맞거나 물에 잠긴 경우라도 액체가 관통 구멍을 통해서 구동 모터에 침투할 가능성이 작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그 외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예시적으로 도시된 첨부 도면을 통해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by way of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륜 전동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그 실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브레이크 드럼이 후륜의 좌측에 장착된 경우의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륜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 고정 구조로서, 도 1에 도시한 스윙 아암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한 고정 구조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스토퍼의 배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한 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윙 아암에 장착되어, 모터 샤프트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도 6a, 6b 및 6c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의 확대도이다.
도 8b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의 배면도이다.
도 8c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스윙 아암이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에 부착되어, 모터 샤프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의 확대도이다.
도 10b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의 배면도이다.
도 10c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스토퍼가 제2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에 부착되어, 모터 샤프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스토퍼가 제3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에 부착되어, 모터 샤프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시스템의 전기적 구조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전기 충전 시스템의 전기적 구조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 14의 XVI-X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 14의 XVI-X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 14의 XVI-X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 14의 XVI-X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leg shield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when the brake drum is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wheel as viewed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assembly.
5 is an enlarged view of a swing arm shown in FIG. 1 as a motor shaft fixing structure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6A is a front view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xing structure shown in FIG.
FIG. 6B is a rear view of the stopper shown in FIG. 6A.
FIG. 6C is a plan view of the stopper shown in FIG. 6A.
FIG. 7 shows the stopper of FIGS. 6A, 6B and 6C mounted to the swing arm shown in FIG. 5 to fix the motor shaft in place.
8A is an enlarged view of the swing arm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8B is a rear view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8C is a plan view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ng arm is attached to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to fix the motor shaft.
10A is an enlarged view of a swing arm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10B is a rear view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10C is a plan view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opper is attached to the swing arm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to fix the motor shaft.
12 is an enlarged view of a swing arm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stopper was attached to the swing arm which concerns on 3rd modification, and fixed the motor shaft.
14 is a diagram of the electrical structure of an electric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of the electrical structure of an electric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variant.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14, showing an example of the vehicle body-side electric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14,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body-side electric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14 showing an example of the vehicle body-side electric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14,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body-side electric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 배선 구조,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 및 전기 충전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tor shaft wir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 motor shaft of an electric vehicle, and an electric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륜 전동 차량(10; 전동 차량)의 측면도이다. 차체의 좌우 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 장치 및 구성요소들은, 좌측에 배치된 경우 참조 번호에 L을, 우측에 배치된 경우 참조 번호에 R을 붙여 나타내었다.1 is a side view of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0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s and components arrang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are indicated by adding L to the reference number when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R to the reference number when placed on the right si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륜 전동 차량(10)은 스티어링 스템(14)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헤드 파이프(16)에 상부 끝단이 연결된 메인 프레임(12)을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다. 전륜(WF)은 스티어링 스템(14)과 연결된 한 쌍의 프론트 포크 부재(18L, 18R; 차축 지지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전륜(WF)은 스티어링 스템(14)의 상단에 장착된 핸들바(20; 핸들)에 의해서 조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wo-wheeled
한 쌍의 상측 프레임(22L, 22R)이 메인 프레임(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22L, 22R)은 하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고, 구부러져 후방으로 연장된다. 48볼트의 전압을 갖는 배터리(24)가 상측 프레임(22L, 22R) 사이에 배치된다. 배터리(24)는 각각 12볼트의 전압을 갖는 배터리 모듈들이 직렬 연결된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상측 프레임(22L, 22R) 각각의 후방 끝단은 비스듬히 윗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26L, 26R)과 연결된다.A pair of
이륜 전동 차량(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 크로스 전방 파이프(28)가 메인 프레임(12)의 하부 끝단에 장착된다. 하부 크로스 전방 파이프(28)의 양 끝단에는 각각 수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프레임(30L, 30R)이 연결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30L, 30R) 각각의 후방 끝단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 브라켓(32L, 32R)과 연결된다. 브라켓(32L, 32R)각각의 상부 끝단은 상측 프레임(22L, 22R)과 각각 연결된다. 이륜 전동 차량(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크로스 후방 파이프(34)의 양 끝단은 브라켓(32L, 32R)의 하부 끝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륜 전동 차량(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레그(36L, 36R)를 구비한 중앙 스탠드(38)가 하부 크로스 후방 파이프(34)에 장착된다. 크로스 브라켓(40a, 40b)은 하측 프레임(30L, 30R)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연결한다. 배터리(24)는 크로스 브라켓(40a, 40b)에 의해 지지된다.The lower
스윙 아암 피벗(42)이 장착된 피벗 플레이트(44L, 44R)는 후방 프레임(26L, 26R)의 전방부에 각각 연결된다. 후륜(WR)을 지지하는 스윙 아암(46L, 46R; 차축 지지부) 각각의 전방 끝단은 스윙 아암 피벗(42)에 의해 스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스윙 아암(46L, 46R)은 아암 커버(48L, 48R)에 의해 각각 보호된다. 후륜(WR)은 스윙 아암(46L, 46R)의 후방 끝단에 고정된 차축(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차축(50)은 중실 샤프트를 포함한다. 스윙 아암(46L, 46R)의 후방부는 각각 리어 쿠션 유닛(52L, 52R)에 의해 후방 프레임(26L, 26R)에 현수되어 있다. 차축(50)이 스윙 아암(46L, 46R)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54L, 54R)가 스윙 아암(46L, 46R)의 후방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후륜(WR)의 내부에는 이륜 전동 차량(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8; 구동 모터)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58)는 인 휠 모터로 작동한다. 후방 프레임(26L, 26R)은 배터리(24)로부터 전력선(60)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를 3상 교류로 변환시키고 이 3상 교류를 구동 모터(58)에 공급하기 위한 동력 구동 유닛(62; PDU)을 리어 쿠션 유닛(52L, 52R)의 상부에 받치고 있다. 따라서, 동력 구동 유닛(62)은 3상 교류를 구동 모터(58)에 공급한다. 후방 프레임(26L, 26R)은 또한 배터리(24)의 전압을, 이륜 전동 차량(10)의 구동 모터(58) 이외의 전기적 구성요소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 구동 유닛(62)의 뒷편에 배치된 DC-DC 컨버터(64)를 받치고 있다. 동력 구동 유닛(62)은 동력 구동 유닛(62)과 DC-DC 컨버터(64) 및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66; ECU)을 그 위에 받치고 있다.Inside the rear wheel WR, a motor 58 (drive motor) for driving the two-wheeled
이륜 전동 차량(10)을 덮는 차체 커버의 일부분인 전면 커버(68)는 스티어링 스템(14), 헤드 파이프(16) 및 핸들바(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면 커버(68)는 그 윗부분에 핸들바(20)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기적 구성요소의 하나인 속도계를 포함하는 미터 유닛(70)과 또한, 전기적 구성요소의 하나인 전방 램프(72)를 받치고 있다. 이륜 전동 차량(10)을 덮는 차체 커버의 일부분인 레그 실드(74)는 스티어링 스템(14)과 헤드 파이프(16)의 뒤쪽에 배치되며 전면 커버(68)와 연결된다. 레그 실드(74)는 후방 프레임(26L, 26R)의 위에 배치된 운전자 시트(76)에 앉은 운전자의 다리의 앞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륜 전동 차량(10)을 덮는 차체 커버의 일부분인 프론트 펜더(78)가 전륜(WF)의 위에 배치된다. 운전자 시트(76)에 앉은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기 위한 스텝 플로어(80)가 배터리(24)의 위에 배치되며 레그 실드(74)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륜 전동 차량(10)을 덮는 차체 커버의 일부분인 시트 커버(82)가 후방 프레임(26L, 26R)의 외측에 배치되며, 시트 커버(82)의 위에 운전자 시트(76)가 배치된다. 전기적 구성요소의 하나인 후방 램프(84)와 리어 펜더(86) 및 수화물 선반(88)은 시트 커버(82)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다.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89)는 레그 실드(74)의 상방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레그 실드(74)의 상방 좌측, 즉 스티어링 스템(14)을 중심으로 전원 스위치(89)의 반대편에 장착되어 있다.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배터리(24)를 충전시키기 위해 전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암형 커넥터이다.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차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향된다.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그 내부에 전기 충전기의 수형 커넥터 단자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을 갖추고 있다. 슬롯은 차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진 개구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89)는 그 안에 열쇠를 삽입하기 위한 열쇠 구멍을 구비한다. 열쇠 구멍은 레그 실드(74)의 상부 우측, 전원 스위치(89)의 아래에 배치된 셔터 키(91)에 의해 닫힐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인체 등과 같은 외부 도체와의 접촉을 막아,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로부터 그러한 외부 도체들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92)을 포함한다. 배터리(24)는 전력선(94)에 의해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vehicle body side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가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자 시트(76)의 전방에 위치한 레그 실드(7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운전자와의 의도치 않은 물리적 접촉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한다.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가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배향되고, 뚜껑(92)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와의 접촉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경우에도, 뚜껑(92)이 개방된 상태에서,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전기 충전기의 수형 커넥터와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이륜 전동 차량(10)에 탑승시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전원 스위치(89)를 빈번하게 돌리게 된다.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가 좌측에 위치해 있으므로,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운전자가 전원 스위치(89)를 돌리는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운전자는 전원 스위치(89)를 돌릴 때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를 의도치 않게 건드리지 않게 된다.Since the body side
도 3은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이륜 전동 차량(10)의 차축(50) 내부의 배선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차축(50)은 후륜(WR)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어 후륜(WR)을 지지한다. 스윙 아암(46L, 46R)은 후륜(WR)의 양 측면에서 차축(50)을 단단히 정위치에 고정시킨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and shows a wiring structure inside the
후륜(WR)은 휠(56)과 타이어(100)를 포함한다. 휠(56)은 타이어(100)를 고정시키는 림(102)을 구비한 본체(104)와 본체(104)의 양 측면에 축 방향으로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측면 부재(106L, 106R)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휠이다. 본체(104)와 측면 부재(106L, 106R)는 볼트(108)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The rear wheel WR includes a
구동 모터(58)는 영구 자석(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고정자(110)와 회전자(112)를 구비한다. 고정자(110)는 휠(56)에서 차축(50)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차축(50)은 구동 모터(58)의 모터 샤프트로서 기능한다. 고정자(110)에 끼워진 차축(50; 이하 “모터 샤프트”라 지칭함)의 일부분을 이하 “고정부(114)”라 지칭한다. 회전자(112)는 본체(104)의 내면, 즉 휠(56)의 림(102)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The
모터 샤프트(50)는 고정부(114)의 양측에, 측면 부재(106L, 106R)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측면 지지부(116L, 116R)를 구비하고, 측면 지지부(116L, 116R)의 축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된 체결부(118L, 118R)를 구비한다. 측면 지지부(116R)는 고정부(114)의 근처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원기둥부를 갖고, 또한 체결부(118R)의 근처에서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원기둥부를 구비한다. 측면 지지부(116L)는 제3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이다. 체결부(118L, 118R)는 스윙 아암(46L, 46R)을 통해서 모터 샤프트(50)를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고정시키며,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18L, 118R)는 각각 그 원기둥 표면에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상부와 하부 체결면의 쌍을 갖는다. 상부 체결면들은 120L, 120R로, 하부 체결면들은 122L, 122R로 표시하였다.The
베어링(124L, 124R; 회전 지지 부재)은 측면 부재(106L, 106R)와 모터 샤프트(5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모터 샤프트(50)가 베어링(124L, 124R)에 의해 측면 지지부(116L, 116R)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휠(56)은 모터 샤프트(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베어링(124L, 124R)은 측면 부재(106L, 106R)의 접촉부(126L, 126R; 측면 부재 접촉부) 및 모터 샤프트(50)의 접촉부(128L, 128R; 모터 샤프트 접촉부)에 접하여 정위치에 고정된다.The
접촉부(128L)는 고정부(114)의 직경과 측면 지지부(116L)의 직경(제3 직경)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단차로서 형성되고, 베어링(124L)이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116L)의 원기둥의 제3 직경보다 더 큰 외경을 구비한다. 접촉부(128R)는 고정부(114) 근처의 측면 지지부(116R)의 원기둥의 제1 직경과 체결부(118R) 근처의 측면 지지부(116R)의 원기둥의 제2 직경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단차로서 형성되고, 베어링(124R)이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116R)의 원기둥의 제2 직경보다 큰 제1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The
밀봉 부재(130L, 130R)도 또한 측면 부재(106L, 106R)와 모터 샤프트(5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베어링(124L, 124R)이 모터 샤프트(50)를 따라 각각 측면 부재(106L, 106R)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데 반해, 밀봉 부재(130L, 130R)는 모터 샤프트(50)를 따라 각각 측면 부재(106L, 106R)의 외측에 위치한다.The sealing
칼라(134R)가 측면 지지부(116R)와 체결부(118R) 사이의 단차로서 형성되는 접촉부(132R)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스윙 아암(46R)은 칼라(134R)에 접하여 체결부(118R)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54R), 록킹 리테이너(136R), 와셔(138R) 및 너트(140R; 체결 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스윙 아암(46R)의 외측에서 체결부(118R)에 언급된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장착되어 있다.The
칼라(134L)가 측면 지지부(116L)와 체결부(118L) 사이의 단차로서 형성되는 접촉부(142)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스윙 아암(46L)은 칼라(134L)에 접하여 체결부(118L)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54L), 록킹 리테이너(136L), 와셔(138L) 및 너트(140L; 체결 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스윙 아암(46L)의 외측에서 체결부(118L)에 언급된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장착되어 있다.A
타이어(100), 휠(56) 및 구동 모터(58)를 포함하는 후륜(WR)은 모터 샤프트(50)를 통해 너트(140L, 140R)에 의해 스윙 아암(46L, 46R)에 장착되며, 따라서 후륜(WR)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된다. 너트(140R)가 조여지면, 스윙암(46R)은 너트(140R)와 모터 샤프트(50)의 접촉부(132R) 사이에서 가압된다. 따라서, 너트(140R)가 조여질 때 발생된 힘은 휠(56)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너트(140L)가 조여지면, 스윙 아암(46L)은 너트(140L)와 모터 샤프트(50) 상의 접촉부(142) 사이에서 가압된다. 따라서, 너트(140L)가 조여질 때 발생된 힘은 휠(56)에는 작용하지 않는다.The rear wheel WR comprising the
모터 샤프트(50)는,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우측 영역에, 전선을 통과시켜 고정자(110)에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144)을 구비한다. 고정자(110)의 코일(14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48)이 관통 구멍(144)을 통해 연장된다. 관통 구멍(144)은 모터 샤프트(50)를 따라 측면 부재(106R)의 바깥쪽에 배치된 전선 입구(150)와, 모터 샤프트(50)를 따라 측면 부재(106R)의 안쪽에 형성된 전선 출구(152)를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선 입구(150)는 모터 샤프트(50)를 따라 밀봉 부재(130R)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전선 출구(152)는 모터 샤프트(50)를 따라 접촉부(128R)의 안쪽에 배치된다. 모터 샤프트(50)내의 관통 구멍(144)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선 입구(150)는 관통 구멍(144)의 하부 개구로 정의되고, 전선 출구(152)는 관통 구멍(144)의 상부 개구로 정의된다.The
상방 체결면(120L, 120R)에는 위치 확인을 위한 마크가 마련된다. 이 마크가 위쪽을 향하도록 모터 샤프트(50)가 배치되었을 때, 전선 출구(152)는 위쪽을 향하여 열린다. 따라서,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 46R)과 체결될 때, 모터 샤프트(50)가 잘못된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upper fastening surfaces 120L and 120R are provided with marks for positioning. When the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우측에 위치한 측면 부재(106R)는 그 외측에서 브레이크 패널(154)과 결합되어 있다. 측면 부재(106R)와 브레이크 패널(154)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드럼(156)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브레이크 드럼(156)은 브레이크 패널(154)에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패널(154)에는 전선(148)이 통과하는 삽입 구멍(158)이 구비된다. 그로밋(160)이 방수 부재로서 삽입 구멍(158)에 삽입된다. 전선(148)은 삽입 구멍(158)의 그로밋(160)을 통해, 측면 부재(106R)와 브레이크 패널(154) 사이의 공간을 지나서, 관통 구멍(144)을 통과하여 구동 모터(58)의 고정자(110)와 접속된다.The
관통 구멍(144)이 모터 샤프트(50)의 끝단 내측에서, 스윙 아암(46L, 46R) 사이에 형성되며, 전선(148)이 관통 구멍(144)을 통과하므로, 구동 모터(58)에 연결되는 고압 전선(148)을 위한 별도의 덮개가 필요하지 않으며, 전선(148)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전동 차량의 운전자와 같은 사람 및 장애물 등의 물체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A through
브레이크 패널(154)은 전선(148)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158)을 구비하고, 전선(148)은 삽입 구멍(158) 내의 그로밋(160)을 통과하여 관통 구멍(144)으로 연장된다. 그로밋(160)은 액체가 삽입 구멍(158)을 통하여 구동 모터(58)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관통 구멍(144)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모터 샤프트(50)의 우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자가 이륜 전동 차량(10)에 타거나 내릴 때, 운전자는 대체로 이륜 전동 차량(10)의 좌측에 서게 되고, 관통 구멍(144) 및 전선(148)으로부터 떨어져서 서게 되므로, 고압 전선(148)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륜 전동 차량(10)은 일본과 같이 차량이 차도의 좌측으로 통행하는 국가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관통 구멍(144)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모터 샤프트(50)의 우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륜 전동 차량(10)이 차량이 차도의 우측으로 통행하는 국가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면, 관통 구멍(144)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모터 샤프트(50)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다.The through
관통 구멍(144)의 전선 입구(150)가 모터 샤프트(50)의 하면에서 개방되고, 관통 구멍(144)의 전선 출구(152)가 모터 샤프트(50)의 상면에서 개방되므로, 이륜 전동 차량(10)이 비를 맞거나 물에 잠긴 경우에 액체가 관통 구멍(144)을 통해서 구동 모터(58)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58)는 후륜(WR)의 휠(56) 내에 수용된다. 그러나, 구동 모터(58)가 전륜(WF)의 휠(56)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변형에서는, 전륜(WF)의 차축은 프론트 포크 부재(18L, 18R)에 의해 지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드럼(156)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휠(56)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다. 그러나, 브레이크 드럼(156)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휠(56)의 좌측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도 3의 단면도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브레이크 드럼(156)이 후륜(WR)의 좌측 영역에 장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륜 전동 차량(10)의 모터 샤프트(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윙 아암(46L)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스토퍼(54L)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스토퍼(54R)의 배면도이다. 도 6c는 스토퍼(54L)의 평면도이다.Hereinafter,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모터 샤프트(50)의 체결부(118L)는 너트(140L)를 이용하여 모터 샤프트(50)를 스윙 아암(46L), 즉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조이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118L)는 상방 체결면(120L)과 하방 체결면(122L)을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면(120L, 122L)들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스윙 아암(46L)은 아암(200)과 아암의 끝단에 결합된 엔드 피스(202)를 포함한다. 엔드 피스(202)는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후방으로 개방되는 결합 슬롯(204)을 구비한다. 결합 슬롯(204)은 그 안에 체결부(118L)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 슬롯(204)은 부분적으로 체결부(118L)와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모터 샤프트(50)가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각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결합 슬롯(204)은,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폭 방향으로 한 쌍의 엣지(206a, 206b)를 구비한다. 체결부(118L)가 결합 슬롯(204)에 삽입되면, 체결부(118L)의 체결면(120L, 122L)이 각각 엣지(206a, 206b)와 접촉한다. 따라서, 스윙 아암(46L)은 엔드 피스(202)의 엣지(206a, 206b)를 통해 모터 샤프트(50)에 작용하는 회전 반력을 지지하므로, 체결부(118L)에 대해 죄어진 너트(140L)의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다.The
스토퍼(54L)는 체결부(118L)가 삽입되는 관통부(208), 스윙 아암(46L)에 형성된 제1 피팅 구멍(210)에 맞물리는 제1 결합부(212) 및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에 맞물리기 위한 피팅부(214)를 구비한다. 관통부(208)는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폭 방향으로 한 쌍의 엣지(216a, 216b)를 구비한다. 체결부(118L)가 관통부(208)에 삽입되면, 체결부(118L)의 체결면(120L, 122L)이 각각 엣지(216a, 216b)와 접촉한다.The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의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으로부터 삽입된 후, 스토퍼(54L)가 스윙 아암(46L)의 엔드 피스(202)에 부착되고, 이로써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피팅부(214)가 스토퍼(54L)를 스윙 아암(46L)에 대해 위치 결정시키므로, 스토퍼(54L)는 스윙 아암(46L) 상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된다.After the
도 7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스토퍼(54L)가 도 5의 스윙 아암(46L)에 장착되어 모터 샤프트(50)를 정위치에 고정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50)의 체결부(118L)는 스윙 아암(46L)의 결합 슬롯(204) 및 스토퍼(54L)의 관통부(208)에 삽입된다. 따라서, 만일 너트(140L)가 느슨해지더라도, 관통부(208)가 모터 샤프트(50)의 이동을 방지하여 스윙 아암(46L)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관통부(208)는 그 크기가 모터 샤프트(50)의 체결부(118L)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모터 샤프트(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FIG. 7 shows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의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에 삽입된 후, 너트(140L)가 모터 샤프트(50)에 배치되기 전에, 스토퍼(54L)의 제1 결합부(212)는 스윙 아암(46L)의 제1 피팅 구멍(210) 안에 맞물린다. 이 때 모터 샤프트(50)가 관통부(208)에 삽입되고, 피팅부(214)가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에 맞물리며, 그 후에 너트(140L)가 모터 샤프트(50) 상에 배치되고 조여진다. 그 결과로, 간단한 구조만으로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모터 샤프트(50)가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각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체결부(118L)에 체결면(120L, 122L)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구동 모터(58)의 고정자(110)가 받는 회전 반력에 의하여 모터 샤프트(50)를 회전시키려는 힘이, 체결면(120L, 122L)과 평평하게 접촉하고 있는 결합 슬롯(204) 및 관통부(208)에 의해 효율적으로 지지되고, 이로써 너트(140L)의 체결력이 유지된다. 만일 너트(140L)가 느슨해지더라도,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의 상기 스토퍼(54L)는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고, 따라서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에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다.Since the fastening surfaces 120L and 122L are provided in the
(제2 실시예의 변형예)(Modification of Second Embodiment)
상기 제2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may be modified as follows.
(제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46L)과 스토퍼(54L)를 도시한다. 도 8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46L)의 확대도, 도 8b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54L)의 배면도, 도 8c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54L)의 평면도이다. 제1 변형예에 따른 부분들 중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8A to 8C show the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4L)는 체결부(118L)가 삽입되는 관통부(208), 스윙 아암(46L)에 형성된 제1 피팅 구멍(210)에 맞물리는 제1 결합부(212) 및 스윙 아암(46L)에 형성된 제2 피팅 구멍(220a, 220b)에 각각 맞물리는 제2 결합부(222a, 222b)를 구비한다. 제1 결합부(212)는 스윙 아암(46L)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피팅 구멍(210)에 맞물리고, 제2 결합부(222a, 222b)는 스윙 아암(46L)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 피팅 구멍(220a, 220b)에 각각 맞물린다. 제2 결합부(222a, 222b)는 스토퍼(54L)를 스윙 아암(46L)에 대해 위치 결정시킨다.As shown in FIGS. 8A to 8C, the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의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에 삽입된 후, 너트(140L)가 모터 샤프트(50)에 배치되기 전에, 스토퍼(54L)의 제2 결합부(222a, 222b)는 스윙 아암(46L)의 제2 피팅 구멍(220a, 220b) 안에 각각 맞물린다. 이 때 모터 샤프트(50)가 관통부(208)에 삽입되고, 제1 결합부(212)가 제1 피팅 구멍(210) 안에 맞물리며, 그 후에 너트(140L)가 모터 샤프트(50)상에 배치되고 조여진다.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54L)는 스윙 아암(46L)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50)를 정위치에 고정시킨다.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므로, 모터 샤프트(50)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After the
(제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46L)과 스토퍼(54L)를 도시한다. 도 10a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46L)의 확대도, 도 10b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54L)의 배면도, 도 10c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54L)의 평면도이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부분들 중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10A to 10C show the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4L)는 체결부(118L)가 삽입되는 관통부(208), 스윙 아암(46L)에 형성된 제1 피팅 구멍(210) 안에 맞물리는 제1 결합부(212) 및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에 맞물리는 피팅부(214)를 구비한다. 스토퍼(54L)는 또한 스토퍼(54L)가 스윙 아암(46L)에 부착되었을 때 모터 샤프트(50)를 향하여 연장되고 체결부(118L)의 체결면(120L, 122L)과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연장부(224a, 224b)를 포함한다. 연장부(224a, 224b)는 체결면(120L, 122L)과 각각 견고하게 접촉되어 고정되는 각각의 접촉 표면(226a, 226b)을 구비한다. 접촉 표면(226a, 226b)은 엣지(216a, 216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s. 10A to 10C, the
모터 샤프트(50)가 스윙 아암(46L)의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으로부터 삽입된 후, 너트(140L)가 모터 샤프트(50)에 배치되기 전에, 스토퍼(54L)의 제1 결합부(212)가 스윙 아암(46L)의 제1 피팅 구멍(210) 안에 맞물리고, 연장부(224a, 224b)가 체결부(118L)를 양쪽에서 감싸도록 결합 슬롯(204)에 삽입되며, 그에 의해 모터 샤프트(50)가 관통부(208) 내부로 삽입된다. 피팅부(214)는 결합 슬롯(204)의 후방 개방단 안에 맞물리며, 그 후에 너트(140L)가 모터 샤프트(50) 상에 배치되고 조여진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결합 슬롯(204)의 폭, 즉 양 엣지(206a, 206b) 사이의 거리가 양 체결면(120L, 122L) 사이의 체결부(118L)의 두께보다 크다.After the
도 11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54L)가 스윙 아암(46L)에 장착되어, 모터 샤프트(50)를 정위치에 고정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50)의 체결부(118L)는 스윙 아암(46L)의 결합 슬롯(204) 및 스토퍼(54L)의 관통부(208)에 삽입되고, 양 연장부(224a, 224b) 사이에 끼워진다. 이 때에, 연장부(224a, 224b)의 접촉 표면(226a, 226b)은 체결부(118L)의 체결면(120L, 122L)에 각각 견고하게 접촉되게 된다. 제2 변형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제2 변형예에 따르면, 회전시에 모터 샤프트(50)에 작용하는 회전 반력이 연장부(224a, 224b)에 의해 지지되므로, 모터 샤프트(50) 중 회전 반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표면 압력이 감소할 수 있고, 모터 샤프트(50) 중 회전 반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FIG. 11 shows the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시에 모터 샤프트(50)에 작용하는 회전 반력이 결합 슬롯(204)의 엣지(206a, 206b) 및 관통부(208)의 엣지(216a, 216b)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시에 모터 샤프트(50)에 작용하는 회전 반력을 받는 영역은 스윙 아암(46L)의 두께와 스토퍼(54L)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두께들이 얇아질수록 모터 샤프트(50) 중 반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표면 압력은 커지게 된다. 나아가, 모터 샤프트(50) 중 반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스윙 아암(46L)의 엔드 피스(202) 전체와 스토퍼(54L)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곧 비용 상승을 야기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otational reaction forces acting on the
(제3 변형예)(Third Modification)
전술한 제2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46L)의 엔드 피스(202)는 아래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12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46L)의 확대도이다. 제3 변형예에 따르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54L)가 스윙 아암(46L)과 결합된다. 제3 변형예에 따른 부분들 중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아암(46L)의 엔드 피스(202)에 형성된 결합 슬롯(204)은 엔드 피스(202)의 엣지(206a, 206b)들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리세스(228a, 228b)를 구비하며, 리세스(228a, 228b)에는 스토퍼(54L)의 연장부(224a, 224b)가 각각 감합된다. 리세스(228a, 228b)의 깊이는 연장부(224a, 224b)의 두께와 대등하다.As shown in FIG. 12, the
도 13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스윙 아암(46L)에 스토퍼(54L)가 장착되어, 모터 샤프트(50)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50)의 체결부(118L)는 스윙 아암(46L)의 결합 슬롯(204) 및 스토퍼(54L)의 관통부(208)에 삽입되고, 양 연장부(224a, 224b)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에, 연장부(224a, 224b)는 각각 결합 슬롯(204)의 리세스(228a, 228b)에 감합되며, 연장부(224a, 224b)의 접촉 표면(226a, 226b)은 체결부(118L)의 체결면(120L, 122L)과 각각 견고하게 접촉하여 고정된다.FIG. 13 shows that the
제3 변형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제3 변형예에 따르면, 회전시에 모터 샤프트(50)에 작용하는 회전 반력이 연장부(224a, 224b)에 의해 지지되므로, 모터 샤프트(50) 중 회전 반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표면 압력이 감소할 수 있고, 모터 샤프트(50) 중 회전 반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The third modification provides the same advantages as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since the rotational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연장부(224a, 224b)가 결합 슬롯(204)의 리세스(228a, 228b)에 각각 감합되면, 연장부(224a, 224b)의 접촉 표면(226a, 226b)은 결합 슬롯(204)의 엣지(206a, 206b)와 각각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만일 체결부(118L)가 연장부(224a, 224b)로부터 이탈하더라도, 결합 슬롯(204)의 엣지(206a, 206b)가 여전히 체결부(118L)의 체결면(120L, 122L)과 접하고 있으므로, 결합 슬롯(204)의 엣지(206a, 206b)가 회전시에 모터 샤프트(50)에 작용하는 반력을 지탱할 수 있고, 따라서 너트(140L)의 체결력이 유지된다. 연장부(224a, 224b)들이 리세스(228a, 228b)에 각각 감합되므로, 스토퍼(54L)는 스윙 아암(46L)에 대해 용이하게 위치 결정된다.When
제2 실시예와 그 제1 내지 제3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샤프트(50)의 체결부(118L)는 스윙 아암(46L)과 스토퍼(54L)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모터 샤프트(50)의 체결부(118R)도 유사한 방법, 즉 스윙 아암(46L) 및 스토퍼(54L)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스윙 아암(46R) 및 스토퍼(54R)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irst to third modifications thereof,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이륜 전동 차량(10)을 전기 충전기(250)로 충전하기 위한 전기 충전 시스템의 전기적 구조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륜 전동 차량(10)은 배터리(24)와 암형 커넥터로서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 도 2에 도시된 전원 스위치(89)와 기능상 동일한 이륜 전동 차량(10)용의 전원 스위치(252) 및 연동 스위치(254)를 포함한다. 전기 충전기(250)는 수형 커넥터로서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와 전기 충전기 유닛(258)을 구비한다.14 is a diagram of the electrical structure of an electrical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two-wheeled
배터리(24)는 각각 12볼트의 전압을 갖는 배터리 모듈들이 직렬 연결된 조립체로 이루어진 배터리 팩(260)과 배터리 팩(260)의 양극에 연결되는 퓨즈(262)를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252)는 배터리(24)의 양극에 연결되어 있다.The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배터리(24)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 입력 부재(264)와 배터리(24)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 입력 부재 조립체(266)를 구비한다. 상기 음극 입력 부재 조립체(266)는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와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를 포함한다. 연동 스위치(254)는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와 배터리(24)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 스위치(254)는, 전원 스위치(252)가 꺼졌을 때에는 연동 스위치(254)가 켜지고, 전원 스위치(252)가 켜졌을 때에는 연동 스위치(254)가 꺼지도록 전원 스위치(252)에 연결되어 있다.The vehicle body side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는 전기 충전기 유닛(258)의 양극에 연결된 양극 출력 부재 조립체(268)와 전기 충전기 유닛(258)의 음극에 연결된 음극 출력 부재(270)를 포함한다. 양극 출력 부재 조립체(268)는 양극 입력 부재(264)에 연결되는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와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에 연결되는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를 포함한다. 음극 출력 부재(270)는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에 연결된다.The charger side
릴레이 회로(272)가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와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전기 충전기 유닛(258)의 양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릴레이 회로(272)는 코일(274)과 상시 개방형 릴레이 스위치(276)를 구비한다.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와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는 코일(274)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시 개방형 릴레이 스위치(276)는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와 전기 충전기 유닛(258)의 양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The
전기 충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가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에 연결될 때, 전원 스위치(252)가 꺼져 있는 경우, 연동 스위치(254)가 켜진다. 연동 스위치(254)가 켜지면, 배터리(24)는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를 통해서, 그리고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와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를 통해서 코일(274)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세하게, 전류는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를 통해서 코일(274)로 흐르고, 이어서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와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를 통해서 배터리(24)로 돌아온다. 이에 코일(274)에 동력이 공급되어, 릴레이 스위치(276)를 켜거나 끄게 된다. 릴레이 스위치(276)가 켜지면, 전기 충전기 유닛(258)으로부터 전류가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 및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를 통해 배터리(24)로 공급되어, 배터리(24)를 충전시킨다. 전원 스위치(252)가 켜지면, 연동 스위치(254)가 꺼지고, 코일(274)로의 전류의 흐름이 멈춘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252)가 켜지면 릴레이 스위치(276)가 꺼지고, 즉 닫히고, 따라서 배터리(24)는 충전되지 않는다.The electrical charging system operates as follows: When the charger side
이륜 전동 차량(10)의 전원 스위치(252)가 꺼지지 않는 이상 배터리(24)는 충전될 수 없으므로, 배터리(24)는 특별한 주의 없이 충전될 수 있다. 전기 충전 시스템에는 어떠한 고가의 셀렉터 스위치도 불필요하다. 릴레이 스위치(276)가 전압 조절 가능한 전기 충전기(250) 내부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릴레이 스위치(276)를 저렴한 스위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륜 전동 차량과 같은 저렴한 자동차에 적합한 저렴한 전기 충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기 충전기(250)는 일반적으로 내전압성이 높은 부품들을 채용하고, 그에 따라 전기 충전기 유닛(258) 내부의 릴레이 코일(274) 역시 내전압성이 높은 부품이므로, 그러한 내전압성이 높은 부품들을 이륜 전동 차량(10)에 탑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저렴한 전기 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가 암형 커넥터이므로, 사람의 손가락 등과 같은 외부의 도체가 양극 입력 부재(264),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또는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에 접촉할 가능성이 작고, 따라서 전류가 그러한 외부의 도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vehicle body side
이에 더해서, 릴레이 스위치(276)는 전원 스위치(252)가 꺼진 상태에서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가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에 연결되지 않는 한 켜지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의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 또는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가 외부 도체와 접촉된 경우라도, 전류는 외부 도체로 흐르지 않는다.In addition, the
(제3 실시예의 변형예)(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The third embodiment may be modified as follows.
(제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도 1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전기 충전 시스템의 전기적 구조의 다이어그램이다. 제1 변형예에 따른 부분들 중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15 is a diagram of the electrical structure of an electrical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variant. Among the parts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the same parts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characters.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스위치(254)가 배터리(24)의 음극과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연동 스위치(280; 제2 연동 스위치)가 배터리(24)의 음극과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5, an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입력 부재(264)와 배터리(24)의 양극은 항상 연결되어 있고,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와 배터리(24)의 음극도 항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외부 도체가 양극 입력 부재(264)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와 접촉할 경우, 배터리(24)로부터의 전류가 외부 도체로 흐르게 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ositive
그러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연동 스위치(280)가 배터리(24)의 음극과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전원 스위치(252)가 켜져 있는 한 배터리(24)의 음극은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및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외부 도체가 양극 입력 부재(264)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또는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와 접촉하더라도, 배터리(24)로부터의 전류는 외부 도체로 흐르지 않는다.However,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the
연동 스위치(280)는 전원 스위치(252)가 켜져 있는 한 배터리(24)로부터의 전류가 외부 도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배터리(24)의 양극과 양극 입력 부재(264)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제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도 16은 도 14의 XVI-X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부분들 중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in FIG. 14, showing an example of the vehicle body-sid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는 제1 개구(290), 제2 개구(292) 및 제3 개구(294)를 포함한다.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의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는 각각 제1 개구(290), 제2 개구(292) 및 제3 개구(294)에 삽입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6, the vehicle body-side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의 양극 입력 부재(264),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및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는 각각 제1 개구(290), 제3 개구(294) 및 제2 개구(292) 내부에 깊이 배치되어 있다.The positive
외부 도체가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와 접촉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300a, 300b)가 제2 개구(292)와 제3 개구(294)의 입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리미터(300a)는 제2 개구(292)의 입구단과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의 사이에 배치되고, 리미터(300b)는 제3 개구(294)의 입구단과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의 사이에 배치된다.
리미터(300a, 300b)는 수지 또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된 제1 부재(302a, 302b)와 제2 부재(304a, 304b)를 구비한다. 제1 부재(302a, 302b)와 제2 부재(304a, 304b)가 이격된 거리는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의 두께(D)보다 작아서,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와 음극 출력 부재(270)가 각각 제2 개구(292)와 제3 개구(294)에 삽입될 때, 리미터(300a, 300b)는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에 대해 마찰 저항을 나타낸다.The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를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에 연결시키지 않는 한,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는 각각 양극 입력 부재(264),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에 연결되지 않아,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와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Thus, unless the user intentionally connects the charger side
리미터(300a, 300b)가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와 제2 개구(292) 및 제3 개구(294)의 입구단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도체가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또는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와 접촉할 가능성은 더욱 감소되고, 따라서 전류가 외부 도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리미터(300a, 300b)를 제2 개구(292) 및 제3 개구(294)의 입구 영역에 배치하기보다, 하나의 리미터(300a 또는 300b)를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제1 개구(290)의 입구단 사이, 즉 제1 개구(290)의 입구 영역에 배치할 수도 있다.Rather than placing the
도 17은 도 14의 XVI-X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된 부분들 중 도 1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in FIG. 14, showing yet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body-sid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가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와 접촉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310a, 310b)가 제2 개구(292)와 제3 개구(294)의 입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리미터(310a)는 제2 개구(292)의 입구단과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의 사이에 배치되고, 리미터(310b)는 제3 개구(294)의 입구단과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의 사이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7,
리미터(310a, 310b)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된 제1 부재(312a, 312b)와 제2 부재(314a, 314b)를 구비한다. 제1 부재(312a, 312b)와 제2 부재(314a, 314b)는 디스크 스프링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312a, 312b)와 제2 부재(314a, 314b)가 이격된 거리는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의 두께(D)보다 작아서,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와 음극 출력 부재(270)가 각각 제2 개구(292)와 제3 개구(294)에 삽입될 때, 리미터(310a, 310b)는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에 대해 마찰 저항을 나타낸다.The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를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에 연결시키지 않는 한,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는 각각 양극 입력 부재(264),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에 연결되지 않아,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와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Thus, unless the user intentionally connects the charger side
리미터(310a, 310b)가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와 제2 개구(292) 및 제3 개구(294)의 입구단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도체가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 또는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와 접촉할 가능성은 더욱 감소되고, 따라서 전류가 외부 도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상기 리미터(310a, 310b)를 제2 개구(292) 및 제3 개구(294)의 입구 영역에 배치하기보다, 하나의 리미터(310a 또는 310b)를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제1 개구(290)의 입구단 사이, 즉 제1 개구(290)의 입구 영역에 배치할 수도 있다.Rather than placing the
(제3 변형예)(Third Modification)
제2 변형예에 따르면, 리미터(300a)는 제2 개구(292)의 입구단과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의 사이에 배치되고, 리미터(300b)는 제3 개구(294)의 입구단과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변형예에 따르면, 하나의 리미터가 제1 개구(290)의 입구단과 양극 입력 부재(264)의 사이에 배치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the
도 18은 도 14의 XVI-X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부분들 중 도 1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14, showing the vehicle body-side
외부 도체가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터(300c)가 제1 개구(290)의 입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리미터(300c)는 제1 개구(290)의 입구단과 양극 입력 부재(26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미터(300c)는 수지 또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제1 부재(302c) 및 제2 부재(304c)를 구비한다. 제1 부재(302c)와 제2 부재(304c)가 이격된 거리는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의 두께(D)보다 작아서,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가 제1 개구(290)에 삽입될 때, 리미터(300c)는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에 대해 마찰 저항을 나타낸다.A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를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에 연결시키지 않는 한,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는 각각 양극 입력 부재(264),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에 연결되지 않아,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와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Thus, unless the user intentionally connects the charger side
리미터(300c)가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제1 개구(290)의 입구단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도체가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접촉할 가능성은 더욱 감소되고, 따라서 전류가 외부 도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리미터(300a, 300b, 300c)는 제1 개구(290), 제2 개구(292) 및 제3 개구(294) 모두의 각각의 입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9는 도 14의 XVI-X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부분들 중 도 1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로 나타내었다.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in FIG. 14, showing yet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body-side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가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터(310c)가 제1 개구(290)의 입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리미터(310c)는 제1 개구(290)의 입구단과 양극 입력 부재(26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미터(310c)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된 제1 부재(312c)와 제2 부재(314c)를 구비한다. 제1 부재(312c)와 제2 부재(314c)는 디스크 스프링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312c)와 제2 부재(314c)가 이격된 거리는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의 두께(D)보다 작아서,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가 제1 개구(290)에 삽입될 때, 리미터(310c)는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에 대해 마찰 저항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 19, a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를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에 연결시키지 않는 한, 제1 양극 출력 부재(268a), 제2 양극 출력 부재(268b) 및 음극 출력 부재(270)는 각각 양극 입력 부재(264), 제2 음극 입력 부재(266b) 및 제1 음극 입력 부재(266a)에 연결되지 않아, 차체측 전기 충전 커넥터(90)와 충전기측 전기 충전 커넥터(256)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Thus, unless the user intentionally connects the charger side
리미터(310c)가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제1 개구(290)의 입구단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도체가 양극 입력 부재(264)와 접촉할 가능성은 더욱 감소되고, 따라서 전류가 외부 도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리미터(310a, 310b, 310c)들은 제2 개구(292), 제3 개구(294) 및 제1 개구(290) 모두의 각각의 입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는,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화나 변형이 가능할 것임이 명백하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따라, 그러한 변화나 변형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첨부된 청구 범위의 괄호 안에 삽입된 참조 부호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참조 문자들과 일치시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이 그러한 참조 문자들이 나타낸 구성 요소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from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inserted in parentheses in the appended claims are only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haracter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components indicated by such reference character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46: 스윙 아암(차축 지지부) 50: 모터 샤프트
54: 스토퍼 56: 휠
58: 구동 모터 100: 타이어
102: 림 104: 본체
106: 측면 부재 110: 고정자
112: 회전자 118: 체결부46: swing arm (axle support) 50: motor shaft
54: stopper 56: wheel
58: drive motor 100: tire
102: Figure 104: Body
106: side member 110: stator
112: rotor 118: fastening portion
Claims (10)
상기 구동 모터(58)는, 차축으로서 기능하며 차축 지지부(18L, 18R, 46L, 46R)에 의해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양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모터 샤프트(50)와, 상기 휠(56) 내에서 상기 모터 샤프트(50)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자(110)와, 상기 휠(56) 내에 고정 배치되는 회전자(112)와, 상기 모터 샤프트(50)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자(110)에 연결되는 전선(148)을 구비하며,
상기 모터 샤프트(50)는 상기 모터 샤프트(50)의 끝단 내측 및 상기 차축 지지부(18L, 18R, 46L, 46R) 내측에 형성된 관통 구멍(144)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148)은 상기 관통 구멍(144)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자(110)에 연결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As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ropulsion in-wheel drive motor 58 disposed on a wheel 56,
The drive motor 58 has a motor shaft 50 which functions as an axle and is fixedly rotatably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assembly by axle support portions 18L, 18R, 46L, 46R, and in the wheel 56. A stator 110 fixedly disposed on the motor shaft 50, a rotor 112 fixedly disposed in the wheel 56,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stator 110 through the motor shaft 50. 148,
The motor shaft 50 has a through hole 144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motor shaft 50 and inside the axle support portions 18L, 18R, 46L, 46R, and the wire 148 has the through hole.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that is connected to the stator (110) through (144).
상기 휠(56)은 적어도 타이어(100)를 유지하는 림(102)을 구비한 본체(104)와 상기 모터 샤프트(50)의 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본체(104)에 장착되는 측면 부재(106R)를 포함하는 분리가능한 휠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144)은 상기 측면 부재(106R)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 입구(150)와 상기 측면 부재(106R)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 출구(152)를 갖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wheel 56 has a body 104 having a rim 102 holding at least the tire 100 and a side member 106R mounted to the body 104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shaft 50. A detachable wheel comprising;
The through hole 144 has a wire inlet 150 located outside the side member 106R and a wire outlet 152 located inside the side member 106R. 50) wiring structure.
상기 측면 부재(106R)와 상기 모터 샤프트(50) 사이에 개재된 회전 지지 부재(124R)를 더 구비하고, 상기 휠(56)이 상기 회전 지지 부재(124R)에 의해 상기 모터 샤프트(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 지지 부재(124R)는 상기 측면 부재(106R)의 측면 부재 접촉부(126R)에 대해 접하는 축방향 외측면과 상기 모터 샤프트(50)의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에 대해 접하는 축방향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의 직경은 상기 회전 지지 부재(124R)가 장착된 상기 모터 샤프트(50)의 부분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전선 출구(152)는 상기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의 안쪽에 배치된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rotation support member 124R interposed between the side member 106R and the motor shaft 50, wherein the wheel 56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50 by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4R. Rotatably supported;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4R has an axial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contact portion 126R of the side member 106R and an axial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otor shaft contact portion 128R of the motor shaft 50. Equipped;
The diameter of the motor shaft contact 128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motor shaft 50 on which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4R is mounted;
The wire outlet (152) is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posed inside the motor shaft contact portion (128R).
상기 모터 샤프트(50)는, 상기 전선 출구(152)의 축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110)가 고정되는 고정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14)의 직경은 상기 모터 샤프트 접촉부(128R)의 직경보다 작은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The method of claim 3,
The motor shaft 50 includes a fixing part 114 disposed inside the wire outlet 152 in the axial direction and to which the stator 110 is fixed, and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114 is the motor shaft. The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whi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tact part 128R.
상기 관통 구멍(144)에 근접한 상기 측면 부재(106R)와 브레이크 패널(15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브레이크 드럼(15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널(154)에는, 상기 고정자(11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48)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158)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148)은 상기 삽입 구멍(158)과 상기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관통 구멍(144)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 구멍(158)은 그 내부에 방수 부재(160)를 수용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rake drum (156) dispo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side member (106R) and the brake panel (154) proximate the through hole (144);
The brake panel 154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58 into which the wire 148 connected to the stator 110 is inserted;
The wire 148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4 through the insertion hole 158 and the space;
The insertion hole (158) is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to accommodate the waterproof member 160 therein.
상기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상기 모터 샤프트(50)의 우측 영역에 상기 관통 구멍(144)이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156)이 배치된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The method of claim 5,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the through hole (144) is form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motor shaft (50) and the brake drum (156)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frame assembly.
상기 관통 구멍(144)은 상기 차체 프레임 조립체의 진행방향 쪽으로 보아 상기 모터 샤프트(50)의 우측 영역에 형성된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 hole (144) is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is form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motor shaft (50) as viewed towar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assembly.
상기 차축 지지부(46L, 46R)는 후륜을 지지하는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axle support (46L, 46R) is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that includes a swing arm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상기 차축 지지부(18L, 18R)는 전륜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axle support (18L, 18R) is a motor shaft (50) wiring 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that includes a front fork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s.
상기 관통 구멍(144)은 상기 모터 샤프트(50) 내부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144)은 그 하부 개구로서의 전선 입구(150) 및 그 상부 개구로서의 전선 출구(152)를 갖는 것인 전동 차량의 모터 샤프트(50) 배선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 hole (144)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body frame assembly inside the motor shaft (50);
And the through hole (144) has a wire inlet (150) as its lower opening and a wire outlet (152) as its upper op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110083438.7 | 2011-03-29 | ||
CN201110083438.7A CN102730148B (en) | 2011-03-29 | 2011-03-29 | Wiring structure of motor shaft for electric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2114A KR20120112114A (en) | 2012-10-11 |
KR101344578B1 true KR101344578B1 (en) | 2013-12-26 |
Family
ID=4698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1320A KR101344578B1 (en) | 2011-03-29 | 2012-03-27 | Wiring structure for motor shaft of electric vehicl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875883B2 (en) |
KR (1) | KR101344578B1 (en) |
CN (1) | CN102730148B (en) |
IN (1) | IN2012DE00890A (en) |
TW (1) | TWI495598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9491B1 (en) * | 2022-04-26 | 2023-01-18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Wheel motor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61410B (en) * | 2013-07-24 | 2016-12-11 | Aleees Eco Ark Cayman Co Ltd | A detachable vehicle structure for high-voltage segregation and maintenance safety |
TWI555662B (en) * | 2013-11-15 | 2016-11-01 | Yamaha Motor Co Ltd | Electric locomotive |
JP2020028136A (en) | 2018-08-09 | 2020-02-20 | Ntn株式会社 | Vehicle motor drive device |
JP2020192951A (en) * | 2019-05-30 | 2020-12-03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In-wheel motor unit and electric vehicle |
KR102694038B1 (en) * | 2019-12-30 | 2024-08-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wheel motor |
JP6970474B1 (en) * | 2021-02-10 | 2021-11-24 | 株式会社CuboRex | Wheelbarrow motorizer |
WO2022201173A1 (en) * | 2021-03-23 | 2022-09-29 | Tvs Motor Company Limited | An electrical machine |
KR102702126B1 (en) * | 2022-07-15 | 2024-09-04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In_Wheel Motor Airtightness Forming Device |
WO2024057684A1 (en) * | 2022-09-15 | 2024-03-2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Electric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4433B1 (en) | 1992-07-14 | 2002-07-02 | 미셀 드 브룩스 | Electric Motor Type Wheel Assembly |
KR100929644B1 (en) | 2009-03-31 | 2009-12-04 | 경대호 | Hybrid motorcycle using one-direction clutch |
KR100953745B1 (en) | 2009-09-03 | 2010-04-19 | 경진화 | Hybrid motorscooter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53644U (en) * | 1978-04-18 | 1979-10-25 | ||
JPH0162928U (en) * | 1987-10-16 | 1989-04-21 | ||
JP3385639B2 (en) * | 1993-02-24 | 2003-03-10 | スズキ株式会社 | Power unit for electric scooter type vehicle |
JPH0833302A (en) * | 1994-07-20 | 1996-02-02 | Yoshihiro Onishi | Bicycle with dc motor, direct drive dc three-phase brushless motor and driver therefor |
JP3008224U (en) * | 1994-08-24 | 1995-03-07 | 臣機 楊 | Wheel drive device and annular printed circuit board used in the device |
US6321863B1 (en) * | 2000-06-26 | 2001-11-27 | Mac Brushless Motor Company | Hub motor for a wheeled vehicle |
JP3078273U (en) * | 2000-12-11 | 2001-06-29 | 易維特科技股▲ふん▼有限公司 | Wheel-type direct drive motor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
JP2004015977A (en) * | 2002-06-11 | 2004-01-15 | Denso Trim Kk | Magnet type generator |
JP2004306733A (en) * | 2003-04-04 | 2004-11-04 | Hitachi Ltd | Vehicle suspension system, vehicle body attitude control method and its system |
JP4574505B2 (en) * | 2005-09-20 | 2010-11-0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In-wheel motor |
JP2007204008A (en) * | 2006-02-06 | 2007-08-16 |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 Front and rear wheel electric-driven two-wheeler |
JP5046414B2 (en) * | 2006-07-20 | 2012-10-10 | 有限会社スガイ総業 | In-wheel motor for electric vehicles |
JP4254874B2 (en) * | 2007-03-27 | 2009-04-15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Residential ventilation system |
CN201319539Y (en) * | 2008-12-11 | 2009-09-30 | 山东新大洋机电科技有限公司 | Tilted line outgoing device for hub motor of electric bicycle |
US8100208B2 (en) * | 2009-01-05 | 2012-01-24 | Sram, Llc | Drive system for driving a vehicle wheel |
TWM360159U (en) * | 2009-02-17 | 2009-07-01 | Kwang Yang Motor Co | Structure of drive wheel for electric bicycle |
JP5506223B2 (en) * | 2009-03-27 | 2014-05-2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Motor drive vehicle |
JP3157836U (en) * | 2009-12-16 | 2010-03-04 | 摩特動力工業股▲ふん▼有限公司Motive Power Industry Co.,Ltd. | Wheel motor structure |
KR101163108B1 (en) * | 2010-07-23 | 2012-07-06 | 박계정 |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
-
2011
- 2011-03-29 CN CN201110083438.7A patent/CN102730148B/en active Active
-
2012
- 2012-02-03 JP JP2012021443A patent/JP5875883B2/en active Active
- 2012-03-26 TW TW101110334A patent/TWI495598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3-27 IN IN890DE2012 patent/IN2012DE00890A/en unknown
- 2012-03-27 KR KR1020120031320A patent/KR1013445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4433B1 (en) | 1992-07-14 | 2002-07-02 | 미셀 드 브룩스 | Electric Motor Type Wheel Assembly |
KR100929644B1 (en) | 2009-03-31 | 2009-12-04 | 경대호 | Hybrid motorcycle using one-direction clutch |
KR100953745B1 (en) | 2009-09-03 | 2010-04-19 | 경진화 | Hybrid motorscoot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9491B1 (en) * | 2022-04-26 | 2023-01-18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Wheel motor structure |
WO2023210990A1 (en) * | 2022-04-26 | 2023-11-02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Wheel motor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302544A (en) | 2013-01-16 |
JP5875883B2 (en) | 2016-03-02 |
KR20120112114A (en) | 2012-10-11 |
TWI495598B (en) | 2015-08-11 |
IN2012DE00890A (en) | 2015-09-11 |
CN102730148A (en) | 2012-10-17 |
CN102730148B (en) | 2014-09-10 |
JP2012206709A (en) | 2012-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4578B1 (en) | Wiring structure for motor shaft of electric vehicle | |
KR101291478B1 (en) | Fixation structure for motor shaft of electric vehicle | |
TWI499525B (en) | Charging system | |
AU2011265378B2 (en) | Sports type, Saddle type electric vehicle | |
EP2479069B1 (en) | Electrically driven vehicle | |
CN100506632C (en) | Automatic balanced electric bicycle | |
JP5355796B2 (en) |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 |
CN111132894B (en) | Saddle-ride type electric vehicle | |
US8089168B2 (en) | Tire actuated generator for use on cars | |
CN102498031A (en) | Electrically driven two-wheeled vehicle | |
CN111247058B (en) | Saddle-ride type electric vehicle | |
WO2016080214A1 (en) | Battery protection member | |
CN103367679B (en) | Battery unit | |
JP5404435B2 (en) | Electric vehicle regenerative charge control device | |
JPWO2020066208A1 (en) | Saddle-type electric vehicle | |
JP2014113970A (en) | Standing ride type electric vehicle | |
JP5851257B2 (en) | Vehicle power supply system | |
JP2015168380A (en) | electric vehicle | |
WO2024058264A1 (en) | Saddle-type vehicle | |
US20240300608A1 (en) | Electric motorcycle | |
WO2022195604A1 (en) | A vehicle with a drive unit | |
JP2024059367A (en) | Electric work vehicle | |
JP2024127860A (en) | Electric two-wheeler | |
KR20130127068A (en) | Electrical bicycle and charger mean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