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563B1 -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 Google Patents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563B1
KR101343563B1 KR1020120079105A KR20120079105A KR101343563B1 KR 101343563 B1 KR101343563 B1 KR 101343563B1 KR 1020120079105 A KR1020120079105 A KR 1020120079105A KR 20120079105 A KR20120079105 A KR 20120079105A KR 101343563 B1 KR101343563 B1 KR 10134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d
led light
axi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동훈
노명재
Original Assignee
노명재
현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명재, 현동훈 filed Critical 노명재
Priority to KR102012007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563B1/ko
Priority to EP13820607.3A priority patent/EP2876362A4/en
Priority to PCT/KR2013/006336 priority patent/WO2014014249A1/ko
Priority to JP2015523004A priority patent/JP6046252B2/ja
Priority to US14/415,801 priority patent/US96119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producing an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0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 G02B19/001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at least one surface having opti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비대칭의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제공함으로써 광원인 LED의 광 제어에 따른 타겟 영역에 대한 균제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외곽이나 도심 또는 편도 4차선이나 2차선 등 고속도로의 주변 여건과 차선 특성에 맞는 광 제어 및 조명효율을 발휘하는 고속도로 전용의 LED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으며, 입사면과 출사면 모두에 비구면으로 형성하되 비대칭의 자유곡면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비구면 계수 등의 조정을 통해 곡면을 보다 자유롭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고, 자유 곡면에 의한 수치설계 및 수학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수치 제어를 통해 미세한 컨트롤까지 가능하므로 광 제어에 따른 정밀성을 높일 수 있는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LED LIGHT DIFFUSING LENS USING NUMERICAL FORMULA OF ASYMMETRIC FREE CURVED SURFACE}
본 발명은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LED) 가로등용 LED 광확산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칭의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하여 균제도(Uniformity ratio of illumination)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고속도로의 주변 여건 및 차선 특성에 맞는 LED 가로등으로서 제(諸) 기능을 발휘토록 LED 광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속도로 전용의 LED 가로등을 시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명장치를 비롯한 산업전반에 걸쳐 에너지 절감을 위해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LED를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각 산업분야에서의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LED 광원은 빛의 직진성이 강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점광원에 가까운 LED의 빛에너지 방사형태는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주변에 비해 중심부분에 광 분포가 집중되는 가우시안 분포를 이루게 된다. 이는 중심 광이 주변에 비해 너무 강하므로 인해 반짝거림에 의한 눈부심 현상 및 빛 공해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중심 광 집중에 따른 눈부심 현상 및 빛 공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LED측에 결합 사용함으로써 LED의 광 분포를 확산 조정하여주기 위한 광학렌즈(확산렌즈)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LED 광확산용 광학렌즈(확산렌즈)를 살펴보면, 점광원인 LED에 대해 광확산을 통해 면광원의 형태로 광 조정하기는 하나, 광 조정된 LED의 방사형태는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램버시안 분포를 이루고 있어 여전히 중심 광이 주변에 비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고 고른 밝기를 유도하지 못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LED 광원의 광 확산 조정에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에 있다.
즉, 중심 광 집중에 따른 반짝거림이 여전하여 눈부심 현상을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광 조정효율이 크게 떨어지며, 이는 광 확산 등 LED의 발산광 조정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한편, LED는 여러 가지 장점에 의해 실내 조명용, 실외 조명용, 백라이트용 등 각 산업분야에 다양하게 활용 및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데, 각각의 사용처에 맞는 광분포 조정 및 그에 따른 안정된 광학특성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종래 개발 및 제안되고 있는 LED 광확산용 광학렌즈는 LED의 발산광에 대해 단순히 광확산만을 유도하고 있으며, 각 사용처별 특성에 관계없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어느 한 축 방향에 대해서만 광확산을 유도하도록 광 조정함에 따라 각 사용처별 특수성에 따른 조명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최대로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원출원인은 LED의 광원에 대해 각 사용처별 특수성에 따른 조명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특허등록 제10-1053951호(엘이디 조명장치용 아이시클 광 조정렌즈), 제10-1109581호(엘이디 광확산용 확산형 아이시클타입 광 조정렌즈), 제10-1149580호(엘이디 광원의 광조정용 확산형 반사체) 등 다수를 제안한 바 있다.
이하에서도, LED를 광원으로 채택한 LED 조명에 대해 각 사용처별 특수성에 맞게 LED 광원을 매우 효과적으로 광 제어함으로써 조명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LED용 광확산렌즈를 제안하고자 한다.
부연하면, 현재 LED를 광원으로 채택한 LED 조명이 일반 가로등이나 보안등, 터널등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되어지고 있으나, 고속도로용 LED 조명은 부재한 실정에 있다.
또한, 현재 운용되고 있는 고속도로용 가로등은 물론 일반 LED 가로등을 고속도로용 가로등으로 단순히 용도 변경하여 적용한다 하더라도 LED 조명의 균제도(Uniformity ratio of illumination; 일정한 공간에서 빛의 균일한 분포 정도)가 낮으므로 인해 운전자 피로를 유발하게 되고, 고속도로 특성상 고속으로 운행하게 되는 차량의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대칭의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함으로써 LED 광 제어에 따른 균제도(Uniformity ratio of illumination; 일정한 공간에서 빛의 균일한 분포 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고속도로의 주변 여건 및 차선 특성에 맞는 LED 가로등으로서 제(諸) 기능을 발휘토록 광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속도로 전용의 LED 가로등을 시장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LED 광원에 대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의 모든 방향 광 조정을 제어함으로써 모든 방향 광 방사 조정이 가능한 디퓨저(diffuser)로서 기능하게 하되 고속도로의 특성에 맞는 면광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유지보수의 간소화 또한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외면 모두에 비구면을 갖되 자유 곡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치 제어에 의한 미세 컨트롤까지 가능토록 하여 광 제어에 따른 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고속도로 조사면의 타겟 영역에 대해 균제도를 높임으로써 조명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가시성을 개선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 발생을 없애고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는, 몸체 전체가 유리 재질 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구조체는 몸체의 내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1차적으로 LED 광원의 광 균일도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산과 골이 형성되는 굴곡라인의 형태로 파여진 곡면을 이루되 중심부에 광원인 LED 측을 향하여 돌기 배치된 아이시클(icicle)형 광조정돌부를 포함하고, X축방향 입사내면과 Y축방향 입사내면 모두에 “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1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시킨 광 입사내면과; 상기 몸체의 외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2차 광확산을 유도하여 타겟 영역을 넓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X축방향 출사외면이 “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2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Y축방향 출사외면이 “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3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광 출사외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는, 몸체 전체가 유리 재질 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구조체는 몸체의 내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1차적으로 LED 광원의 광 균일도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산과 골이 형성되는 굴곡라인의 형태로 파여진 곡면을 이루되 중심부에 광원인 LED 측을 향하여 돌기 배치된 아이시클(icicle)형 광조정돌부를 포함하고, X축방향 입사내면과 Y축방향 입사내면 모두에 “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4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시킨 광 입사내면과; 상기 몸체의 외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2차 광확산을 유도하여 타겟 영역을 넓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X축방향 출사외면이 “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5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Y축방향 출사외면이 볼록형 곡면 중심부에 오목형태의 패인 골을 갖는 “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6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광 출사외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 출사외면은, 아래의 수학식에 대한 비선형의 자유 곡면식으로 나타낼 때, x,y,z변수 중에서 어느 하나는 홀수차항의 오더 계수가 반드시 0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학식)
T = ax + by + cz + dx2 + ey2 + fz2 + gx3 + hy3 + iz3 + jx4 + ky4 + lz4 + α= 1
여기서, α=0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대칭의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제공함으로써 광원인 LED의 광 제어에 따른 타겟 영역에 대한 균제도(Uniformity ratio of illumination; 일정한 공간에서 빛의 균일한 분포 정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외곽이나 도심 또는 편도 4차선이나 2차선 등 고속도로의 주변 여건과 차선 특성에 맞는 광 제어 및 조명효율을 발휘하는 고속도로 전용의 LED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사면과 출사면 모두에 비구면으로 형성하되 비대칭의 자유곡면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비구면 계수 등의 조정을 통해 곡면을 보다 자유롭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고, 자유 곡면에 의한 수치설계 및 수학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수치 제어를 통해 미세한 컨트롤까지 가능하므로 광 제어에 따른 정밀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 전용의 LED 가로등에 적용시 고속도로 조사면의 타겟 영역에 대해 균제도(Uniformity ratio of illumination; 일정한 공간에서 빛의 균일한 분포 정도)를 높일 수 있어 고속도로의 가시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자의 피로 발생을 없애고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특성에 맞는 면광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음과 더불어 광원인 LED의 발산광을 1차 조정하여주는 1차렌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균제도와 조명효율 및 에너지효율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또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LED 광원에 대한 일반적인 빛에너지 방사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광확산렌즈에 의해 광 조정되는 LED 광원의 방사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나타낸 외형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에 있어 도 3의 X-X선을 절취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에 있어 도 3의 Y-Y선을 절취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가 적용된 배광곡선을 나타낸 방사패턴 데이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가 적용된 광분포밀도 데이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나타낸 외형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에 있어 도 6의 X-X선을 절취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에 있어 도 6의 Y-Y선을 절취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포함하는 LED 등기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 광 출사외면의 자유 곡면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도면.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는 LED가 광원으로 사용되고 비대칭의 자유곡면 수식이 적용된 LED 광원의 디퓨저(diffuser)로서 기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몸체 전체가 유리 재질 또는 폴리머(Polymer)계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구조체(1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폴리머계 재질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싸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yclo Olenfin Copolymer; COC)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구조체(100)는 몸체의 내측라인을 형성하며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축대칭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곡면의 광 입사내면(110)과, 몸체의 외측라인을 형성하며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 구조이고 Y축 방향에 대해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곡면의 광 출사외면(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광원인 LED는 광 입사내면(11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광 입사내면(110)과 광 출사외면(120)은 비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비구면 코닉상수 및 비구면계수 등을 조정함에 따라 곡면 자유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광원인 LED의 발산광에 대해 방사경로 및 광분포를 자유롭게 임의 조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입사내면(110)은 산과 골이 형성되는 굴곡라인의 형태로 파여진 곡면을 이루되 중심부에 광원인 LED 측을 향하여 돌기 배치된 아이시클(icicle)형 광조정돌부(111)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X축방향 입사내면(110x)과 Y축방향 입사내면(110y) 모두에 “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7
”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의 광 입사내면(110)은 광원인 LED의 발산광이 입사되기 시작하는 부분이면서 LED의 발산광에 대해 1차 확산광 유니트로 기능토록 하여 광분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부분으로, 중심부에서 내부 반사(reflection) 및 굴절(refraction)의 동시 작용으로 LED로부터 발산되어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光) 조정하여줌과 더불어 중심부의 외측에서는 LED의 입사광을 굴절시킴으로써 면광원이 되게 고르게 광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광 입사내면(110)은 상술한 작용을 통해 광원인 LED로부터 방사되는 발산광에 대해 전체적으로 고른 밝기를 유도하도록 광(光)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수치 제어를 통해 각 필드별로 미세하게 광을 컨트롤 및 광분포를 조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1차적으로 전체적인 광 균일도(light uniformity)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있어 광 입사내면(110)에 대한 비구면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본 발명에 있어 광 입사내면이 갖는 비구면 데이터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8
여기서, 표 1에서는 축대칭 구조의 비구면을 갖는 광 입사내면(110)이 비구면 곡률값(radius)과 코닉상수(conic constant) 및 비구면 표면계수(aspheric coefficient)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비구면 곡률값과 코닉상수 및 비구면 표면계수를 조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광원인 LED의 발산광에 대해 방사경로 및 광분포를 임의대로 자유롭게 조율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광 균일도(light uniformity)를 구현하기 위한 비구면 데이터를 갖는 것이다.
부연하여, 일반적으로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성 고차 비구면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57994696-pat00009
즉, 비구면 방정식인 수학식 1은 코닉상수 및 비구면 계수를 포함하는 식으로 구성되며, 비구면 형상을 나타내는 값이 된다.
이때, 비구면 계수를 제외한 식에 K = 0 이면 구면, -1< K <0 이면 타원, K = -1이면 포물면, K < -1 이면 쌍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상기 코닉상수의 곡면을 벗어난 정도를 의미하는 비구면 계수를 적용하면 비구면 계수를 조정함에 따라 비구면에 의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비구면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광 입사내면(110)을 통해서 광원인 LED의 발산광에 대해 1차적으로 전체적인 광 균일도(light uniformity)를 맞추기 위한 광 조정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광 출사외면(120)은 광 입사내면(110)에 의해서 1차적으로 광 균일도를 이끌어낸 광들을 다시 확산시켜 2차로 광을 제어함으로써 타겟 영역을 넓게 비춰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X축방향 출사외면(120x)이 볼록형 곡면을 이루되 비대칭 곡면구조를 갖는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0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Y축방향 출사외면(120y)이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1
”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의 광 출사외면(120)은 광 입사내면(110)에 의해서 1차적으로 광 균일도를 이끌어낸 광들에 대해 굴절작용을 통해 2차로 확산을 유도함으로써 타겟 영역을 향하도록 출광시키는 부분으로서, 고속도로 조사면의 타겟 영역에 대해 보다 넓은 면적을 커버함과 아울러 고른 밝기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광 출사외면(120)은 X축 방향에 대해 비대칭 구조이고 Y축 방향에 대해 대칭구조를 갖는 비선형의 자유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자유 곡면의 형상에 대해 수치 해석적으로 표현하였을 때,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자유 곡면식(T)을 나타낼 수 있는데,
(수학식 2)
T = ax + by + cz + dx2 + ey2 + fz2 + gx3 + hy3 + iz3 + jx4 + ky4 + lz4 + α= 1
여기서, z가 독립변수가 되어 독립변수가 3개이므로 종속변수까지 합하면 원칙적으로 4차원함수가 되나, 함수 f(x,y,z) = T 로 정의하고, 이때 T = 1로 레벨 세트(level set)하여 단일 수식으로 전개한 것이고, α=0 이 되는 것으로서, 이는 최종적으로 3차원의 비대칭 자유 곡면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광 출사외면(120)을 형성함에 있어 x,y,z변수 중에서 어느 하나는 홀수차항의 오더 계수가 반드시 0을 만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선의 수직방향으로도 기함수 형태를 갖도록 하고, 차선 방향으로는 좌우 대칭형의 배광이 필요한 우함수 형태를 갖도록 하여 배광보정 효율 및 광 확산효율을 크게 넓힐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광 출사외면(120)은 상기한 수학식 2에서의 3차원 형상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서, 도 13에서의 왼쪽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참조하면 아래의 수학식 3으로 다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3)
T = 0x + 3.37y + 3.85z + -0.461x2 + 1.17y2 + 0z2 + 0x3 + 0y3 + 0.0627z3 + 0.127x4 + 0y4 + -0.0922z4 + 0 = 1
여기서, 상기 수식 조건을 살펴보면, x변수의 1차측과 3차측(홀수차항) 오더 계수가 0을 나타내고 있고, y변수의 3차측 오더 계수가 0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광 출사외면(120)은 x,y,z변수 중에서 어느 하나는 홀수차항의 오더 계수가 반드시 0을 만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한쪽으로만 발광이 되는 면광원인 LED의 표면에서 법선방면으로 기함수 형태를 가져야하고, 차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로등이 차선에 빗겨서 설치가 되어 중앙선에서 일정 거리로 틀어져 조명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배광보정을 위해서는 차선의 수직방향으로도 기함수 형태를 가져야 하는 반면, 차선 방향으로는 좌우 대칭형의 배광이 필요한 우함수 형태임을 만족하는 조건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100)는 편도 4차선의 고속도로용 LED 가로등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광폭을 갖는 국내 고속도로 또는 미주나 러시아 등지의 대륙 설치에 적합한 고속도로용 LED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와 광원인 LED가 어셈블리된 상태에서의 배광곡선을 나타낸 방사패턴 데이터로서, 도 6의 방사패턴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의 광 제어에 의해 이중 확산처리의 방사패턴을 갖는 배광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가 LED 광원에 대해 X축 방향으로 20~40도의 화각으로 광 조정하는 배광을 수행함을 나타내고 있고, Y축 방향으로 110~130도의 화각으로 광 조정하는 배광을 수행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대칭 구조의 광 입사내면과 비대칭 구조의 광 출사외면을 효과적으로 구조배치 설계함에 따라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해 이중 화각을 갖도록 광 조정 및 제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보다 넓은 폭을 갖는 8차선 고속도로나 대륙 등지에 설치할 수 있는 고속도로용 LED 가로등에 유용한 광확산렌즈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와 광원인 LED가 어셈블리된 상태에서의 광분포밀도를 나타낸 데이터로서, 편도 4차선의 고속도로 폭을 감안하여 높이 12m 및 배열간격 28m로 설치하였을 경우 시뮬레이션 데이터이다.
도 7에서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해 각각의 광 조정 및 제어를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면광원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고속도로 조사면의 타겟 영역에 대해 고른 밝기를 가짐을 보여주고 있어 높은 균제도를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7에서 적색 원형이 표기된 부분은 X축 방향으로도 광 균일도가 형성됨을 나타내는 부분인데, 이는 아이시클(icicle)형 광조정돌부(111)를 갖는 광 입사내면(110)의 내부 형상에 의해 균일한 광 제어가 수행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부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속도로의 차선 폭 및 비구면 적용에 따라 광 출사외면(120)에 있어 X축방향 출사외면(120x) 및 Y축방향 출사외면(120y)에 대한 곡면의 수정 또는 변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할 것인데, 도 9 및 도 10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X축방향 출사외면(120x)에 대해 볼록형 곡면을 이루되 비대칭 곡면구조를 갖는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2
”의 단면형상을 형성하도록 수정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Y축방향 출사외면(120y)에 대해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3
”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수정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상술한 다른 실시예를 갖는 X축방향 출사외면(120x)과 볼록형 곡면 중심부에 오목형태의 패인 골(121)을 형성시킨 구조를 갖게 한 Y축방향 출사외면(120y)은 광 입사내면(110)을 통해 광 균일도를 유지하도록 광 제어된 LED의 발산광에 대해 광확산을 더욱 확장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 8은 도 9와 도 10의 변형 곡면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외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광확산렌즈(100)는 편도 2차선의 고속도로용 LED 가로등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국내 고속도로 또는 일본이나 유럽 등지의 장소에 적합한 고속도로용 LED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100)는 광 출사외면(120)의 X축방향 출사외면(120x)에 대해 비구면 코닉상수 및 비구면계수 등을 조정함으로써 곡면을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는 것으로서, 광확산렌즈(100)를 통해 X축방향 출사광에 대해 자체적으로 10~30도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휘어져 조사되게 할 수 있고, 때로는 도 11에서 보여주는 예시에서와 같이 광원인 LED와 결합한 LED등기구를 가로등의 수직 폴(pole) 축에 대해 0~30도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X축방향 출사외면(120x)에 대한 광확산렌즈(100)의 곡면 조정이나 또는 광확산렌즈(100)를 가로등에 기울어지게 설치함에 따라 보다 넓은 타겟 영역을 균일한 밝기로 커버할 수 있게 되며, 고속도로 전용의 LED 가로등에 적합 및 더욱 유용함을 발휘되게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갖는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100)는 X축방향 출사외면(120x)과 Y축방향 출사외면(120y)을 포함하는 비구면에 의한 광 출사외면(120)의 크기 및 곡면 형상을 수정 및 변형함에 따라 고속도로에 설치시 LED 등기구의 배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등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형도로서, LED 광확산렌즈의 전체적인 크기 및 곡면 형상의 변형 예시를 보여주는 것이며, 고속도로의 주변 여건과 차선폭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일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LED 광확산렌즈
110: 광 입사내면
110x: X축방향 입사내면 110y: Y축방향 입사내면
120: 광 출사외면
120x: X축방향 출사외면 120y: Y축방향 출사외면

Claims (3)

  1. 몸체 전체가 유리 재질 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구조체는 몸체의 내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1차적으로 LED 광원의 광 균일도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산과 골이 형성되는 굴곡라인의 형태로 파여진 곡면을 이루되 중심부에 광원인 LED 측을 향하여 돌기 배치된 아이시클(icicle)형 광조정돌부를 포함하고, X축방향 입사내면과 Y축방향 입사내면 모두에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4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시킨 광 입사내면과;
    상기 몸체의 외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2차 광확산을 유도하여 타겟 영역을 넓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X축방향 출사외면이 볼록형 곡면을 이루되 비대칭 곡면구조를 갖는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5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Y축방향 출사외면이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6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광 출사외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
  2. 몸체 전체가 유리 재질 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구조체는 몸체의 내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1차적으로 LED 광원의 광 균일도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산과 골이 형성되는 굴곡라인의 형태로 파여진 곡면을 이루되 중심부에 광원인 LED 측을 향하여 돌기 배치된 아이시클(icicle)형 광조정돌부를 포함하고, X축방향 입사내면과 Y축방향 입사내면 모두에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7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시킨 광 입사내면과;
    상기 몸체의 외측라인을 형성하는 비구면으로 2차 광확산을 유도하여 타겟 영역을 넓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X축방향 출사외면이 볼록형 곡면을 이루되 비대칭 곡면구조를 갖는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8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Y축방향 출사외면이 볼록형 곡면 중심부에 오목형태의 패인 골을 갖는 “
    Figure 112013059823577-pat00019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광 출사외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외면은,
    아래의 수학식에 대한 비선형의 자유 곡면식으로 나타낼 때,
    x,y,z변수 중에서 어느 하나는 홀수차항의 오더 계수가 반드시 0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LED 광확산렌즈.
    (수학식)
    T = ax + by + cz + dx2 + ey2 + fz2 + gx3 + hy3 + iz3 + jx4 + ky4 + lz4 + α= 1
    여기서, α=0 이다.
KR1020120079105A 2012-07-20 2012-07-20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KR10134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05A KR101343563B1 (ko) 2012-07-20 2012-07-20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EP13820607.3A EP2876362A4 (en) 2012-07-20 2013-07-16 LIGHT DIFFUSION LIGHT EMITTING DIODE LENS ADOPTING ASYMMETRIC FREE FORM SURFACE EXPRESSION
PCT/KR2013/006336 WO2014014249A1 (ko) 2012-07-20 2013-07-16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JP2015523004A JP6046252B2 (ja) 2012-07-20 2013-07-16 Led灯器具
US14/415,801 US9611986B2 (en) 2012-07-20 2013-07-16 LED light-diffusing lens adopting asymmetric free-form surface expre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05A KR101343563B1 (ko) 2012-07-20 2012-07-20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563B1 true KR101343563B1 (ko) 2013-12-19

Family

ID=4994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105A KR101343563B1 (ko) 2012-07-20 2012-07-20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11986B2 (ko)
EP (1) EP2876362A4 (ko)
JP (1) JP6046252B2 (ko)
KR (1) KR101343563B1 (ko)
WO (1) WO201401424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742B1 (ko) * 2014-06-20 2015-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의 렌즈 설계 방법
KR101625352B1 (ko) 2016-01-20 2016-06-10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비구면 광 확산렌즈
KR101625353B1 (ko) 2016-01-20 2016-06-15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비구면을 갖는 광 확산렌즈
WO2016165987A1 (en) * 2015-04-14 2016-10-20 Philips Lighting Holding B.V. Forward throw asymmetric optic design
KR20190061164A (ko) * 2017-11-27 2019-06-05 한국광기술원 자유곡면 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1750B1 (en) * 2013-05-07 2021-02-17 Goodrich Lighting Systems GmbH LED light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an LED light unit
EP2801749B1 (en) 2013-05-07 2021-09-15 Goodrich Lighting Systems GmbH LED light unit and method of replacing an LED light unit
JP6172042B2 (ja) * 2014-05-16 2017-08-02 伸和エクセル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用レンズ
TWI610470B (zh) * 2016-06-13 2018-01-01 隆達電子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晶片級封裝結構、直下式背光模組及發光裝置的製造方法
KR102623546B1 (ko) 2016-09-23 202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용 렌즈, 조명용 렌즈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CN108343861B (zh) * 2017-01-24 2020-07-10 清华大学 自由曲面照明系统
EP3596525B1 (en) * 2017-03-15 2023-06-07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Asymmetric illumination lens
CN108227298A (zh) * 2017-12-28 2018-06-29 重庆秉为科技有限公司 基于液晶显示扩展光源的照明设计方法
JP7365625B2 (ja) * 2018-10-10 2023-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CN112984415B (zh) * 2021-02-25 2022-09-16 江苏大学 一种led灯偏光透镜结构及led仓库货架灯
KR102416246B1 (ko) * 2022-02-18 2022-07-05 더웨이(주) 식물생장 친화적 가로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4315A (ja) 2009-08-20 2011-03-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光学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110235338A1 (en) 2010-03-29 2011-09-29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ens thereof
KR101109581B1 (ko) 2010-12-01 2012-01-31 노명재 엘이디 광확산용 확장형 아이시클타입 광 조정렌즈
US20120039077A1 (en) 2010-08-11 2012-02-16 Fraen Corporation Area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4618B2 (ja) 2005-11-11 2011-07-1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7618163B2 (en) * 2007-04-02 2009-11-17 Ruud Lighting, Inc. Light-directing LED apparatus
TWM352000U (en) * 2008-09-19 2009-03-01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 lens emitting light from both lateral sides
TW201200798A (en) * 2010-06-25 2012-01-01 Alliance Optotek Co Ltd Optic element of lighting device and design method thereof
US8331037B2 (en) * 2010-08-30 2012-12-11 Edison Opto Corporation Optical lens
US20120051047A1 (en) * 2010-08-30 2012-03-01 Edison Opto Corporation Street 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4315A (ja) 2009-08-20 2011-03-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光学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110235338A1 (en) 2010-03-29 2011-09-29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ens thereof
US20120039077A1 (en) 2010-08-11 2012-02-16 Fraen Corporation Area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KR101109581B1 (ko) 2010-12-01 2012-01-31 노명재 엘이디 광확산용 확장형 아이시클타입 광 조정렌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742B1 (ko) * 2014-06-20 2015-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의 렌즈 설계 방법
US9589077B2 (en) 2014-06-20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signing lens of lighting device
WO2016165987A1 (en) * 2015-04-14 2016-10-20 Philips Lighting Holding B.V. Forward throw asymmetric optic design
CN107850764A (zh) * 2015-04-14 2018-03-27 飞利浦照明控股有限公司 前冲程非对称光学器件设计
US10241309B2 (en) 2015-04-14 2019-03-2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Forward throw asymmetric optic design
RU2699384C2 (ru) * 2015-04-14 2019-09-05 Филипс Лайтинг Холдинг Б.В. Несимметричная опт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фронтальным проецированием
KR101625352B1 (ko) 2016-01-20 2016-06-10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비구면 광 확산렌즈
KR101625353B1 (ko) 2016-01-20 2016-06-15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비구면을 갖는 광 확산렌즈
KR20190061164A (ko) * 2017-11-27 2019-06-05 한국광기술원 자유곡면 렌즈
KR102041019B1 (ko) * 2017-11-27 2019-11-05 한국광기술원 자유곡면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2256A1 (en) 2015-07-09
JP6046252B2 (ja) 2016-12-14
US9611986B2 (en) 2017-04-04
JP2015531885A (ja) 2015-11-05
WO2014014249A1 (ko) 2014-01-23
EP2876362A1 (en) 2015-05-27
EP2876362A4 (en)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563B1 (ko) 비대칭 자유곡면 수식을 적용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RU2456503C2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светового луча
KR101207517B1 (ko) 엘이디 가로등의 조명효율 향상을 위한 엘이디 광확산렌즈
KR101109581B1 (ko) 엘이디 광확산용 확장형 아이시클타입 광 조정렌즈
KR20120093271A (ko) 비대칭 광 빔 발생을 위한 렌즈
CN104456420B (zh) 一种用于筒灯配光的凸透镜
CN102121678B (zh) Led灯具配光模块的设计方法
TW201523033A (zh) 全向發光二極體透鏡
JP2016058284A (ja) 照明装置
WO2010133183A1 (zh) Led光源的非成像光学定向配光透镜
WO2010133182A1 (zh) Led光源的非成像光学定向配光方法
CN211040856U (zh) 一种防眩光led照明装置
KR101625352B1 (ko) 비구면 광 확산렌즈
TWI670448B (zh) 光源模組
KR20110008876A (ko) 엘이디 조명장치용 아이시클형 광 조정렌즈
KR101464277B1 (ko) 틸트 구조의 등기구용 복합 굴절 렌즈 및 이를 갖는 가로등 장치
US20110273891A1 (en) Lighting device
KR101320869B1 (ko) 비구면 조명렌즈
KR101149580B1 (ko) 엘이디 광원의 광 조정용 확산형 반사체
TWI795896B (zh) 發光裝置
KR102668856B1 (ko) 엘이디 가로등용 광확산렌즈
US20230375152A1 (en) Luminaire with glare control
KR101362186B1 (ko) 전반사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가로등의 광확산렌즈
CN219473486U (zh) 智能灯具
KR101461614B1 (ko) Led용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