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266B1 - 전자 개폐기 - Google Patents

전자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266B1
KR101343266B1 KR1020120057481A KR20120057481A KR101343266B1 KR 101343266 B1 KR101343266 B1 KR 101343266B1 KR 1020120057481 A KR1020120057481 A KR 1020120057481A KR 20120057481 A KR20120057481 A KR 20120057481A KR 101343266 B1 KR101343266 B1 KR 10134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housing
cylind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169A (ko
Inventor
손솔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26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09Polarised relays with rectilinearly movabl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는,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접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실린더; 상기 코일 조립체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접압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 및 가동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박단소한 제품의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개폐기{ELECTRONICS SWITCH}
본 발명은 전자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개폐기란, 전선로 상에서 전원을 개폐하는 전력 기기이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 연료 전지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에서, 배터리의 전력에서 전력 변환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 개폐기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개폐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개폐기(100)의 외관을 하우징(110)이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제1 및 제2하우징(111)(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1)(112)은 각각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1)(112)의 연결 부분에는 실컵(113)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는, 고정 접점(12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접점(120)의 적어로 일부는,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 접점(120)의 하단에는 고정 단자(1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코일 조립체(130)가 설치된다. 상기 코일 조립체(130)는, 보빈(131) 및 코일(133)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133)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빈(131)의 외주면에 권선된다. 상기 코일(133)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보빈(131)의 내부를 관통하여 실린더(135)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135)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가동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부(140)는, 상기 실린더(135)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141), 및 상기 가동 샤프트(141)를 이동시키는 코어(143)(1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샤프트(141)의 외주면에는 샤프트 와셔(142)가 구비된다. 상기 코일(133)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이 발생하면, 상기 코어(143)(145)가 상기 가동 샤프트(141)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코어(143)(145)는, 상기 실린더(135)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코어(143), 및 상기 가동 샤프트(141)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동 코어(145)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샤프트(141)의 상단에는 가동 접점(150)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 접점(150)에는, 상기 고정 단자(121)와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상기 고정 단자(121)로부터 이격되는 가동 단자(15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1)(112)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베리어(160)(17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베리어(160)는, 상기 고정 접점(120) 및 가동 접점(150)이 접촉되는 공간과, 상기 코일 조립체(130)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상기 제1베리어(160)에는, 상기 가동부(140)가 관통하는 제1관통 개구(16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베리어(170)에는, 상기 가동부(140)가 관통하는 제2관통 개구(17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접압 스프링(181) 및 복귀 스프링(183)이 설치된다. 상기 접압 스프링(181)은, 상기 가동 접점(150)이 상기 고정 접점(120)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140)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140)에 부여한다. 상기 복귀 스프링(183)은, 상기 가동 접점(150)이 상기 고정 접점(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140)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140)에 부여한다. 상기 접압 스프링(181)의 상하단은, 각각 상기 가동 접점(150)의 저면 및 상기 제1베리어(160)의 상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 스프링(183)의 상하단은, 각각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면 내측 및 상기 가동 코어(145)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제2베리어(170)에는 완충 부재(19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 부재(190)는, 상기 제2관통 개구(172) 상에 설치된다. 상기 완충 부재(190)는, 상기 가동부(14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베리어(170)의 상면과 상기 샤프트 와셔(142)의 저면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개폐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상기 가동부(14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완충 부재(190)가 흡수한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190)는, 상기 제2베리어(170)와 샤프트 와셔(142)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실린더(135)의 내면 및 상기 가동 샤프트(141)의 하단이 서로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190)가 상기 가동 샤프트(141)를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샤프트(141)와 완충 부재(190)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가동 샤프트(141)의 이동이 간섭받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하우징(110), 실질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111)의 높이가, 적어도 상기 접압 스프링(181) 및 복귀 스프링(183)의 높이의 합 이상의 값만큼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높이가 증가됨으로써, 결국 제품의 크기가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거나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가동 접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중공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일 조립체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가동부;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에 부여하는 접압 스프링;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에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 및 가동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거나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가동 접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중공의 실린더; 상기 가동 접점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 상기 코일 조립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가동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코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접촉 또는 이격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으로 구획하는 제1베리어;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 샤프트에 부여하고, 일단이 상기 제1베리어에 지지되는 접압 스프링;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 샤프트에 부여하고, 일단이 상기 제1베리어에 지지되는 복귀 스프링;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 샤프트가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 및 가동 샤프트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완충 부재가 실린더와 가동 샤프트 사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의 테두리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한 상기 가동 샤프트의 이동이 간섭받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압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이, 양자의 적어도 일부가 좌우로 중첩되게 위치되고, 양자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접압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 중 상대적으로 큰 어느 하나의 높이에 해당하는 값 만큼만 제품의 높이가 확보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경박단소한 제품의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개폐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개폐기(200)의 외관을 하우징(210)이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제1 및 제2하우징(211)(2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211)(212)은 각각 저면 또는 상면이 개구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211)(212)은 각각 개구되는 저면 및 상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고정 접점(22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접점(220)은 상기 제1하우징(211)의 외측에서 상기 제1하우징(211)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하로 연장된다. 상기 제1하우징(211)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 접점(220)의 하단에는 고정 단자(2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코일 조립체(230)가 설치된다. 상기 코일 조립체(230)는, 보빈(231) 및 코일(233)을 포함한다. 상기 보빈(231)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233)은 상기 보빈(231)의 외주면에 권선된다. 상기 코일(233)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상기 코일 조립체(230)는, 상기 제2하우징(212)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실린더(235)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35)는, 실질적으로, 상기 보빈(231)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35)는, 예를 들면,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가동부(240)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부(240)는, 가동 샤프트(241) 및 코어(243)(245)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샤프트(24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린더(235)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동 샤프트(241)의 외주면에는 샤프트 와셔(2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243)(245)는 고정 코어(243) 및 가동 코어(24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코어(243)는, 상기 실린더(235)의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코어(245)는 상기 가동 샤프트(241)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가동 코어(245)의 상단은, 상기 고정 코어(243)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고정 코어(243) 및 가동 코어(245)는, 상기 코일(233)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이 발생하면, 상기 가동 샤프트(241)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실질적으로 상기 가동 코어(245)는, 상기 가동 샤프트(241)와 함께 상하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 코어(245)의 저면에 설치홈(246)이 구비된다. 상기 설치홈(246)은, 상기 가동 코어(245)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샤프트(241)의 상단에는 가동 접점(250)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 접점(250)은, 상기 가동부(24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접점(220)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상기 고정 접점(220)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가동 접점(250)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 단자(221)와 접촉되는 가동 단자(25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1베리어(26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베리어(260)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하단에 위치된다. 상기 제1베리어(260)는, 상기 고정 접점(220) 및 가동 접점(250)이 접촉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으로 구획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베리어(260)는, 상기 고정 접점(220) 및 가동 접점(250)의 접촉 과정에서 발생되는 아크의 상기 코일 조립체(230)로의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베리어(260)는, 아크 프로텍터 등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베리어(260)는, 차폐부(261), 스프링 설치부(263), 및 지지부(269)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폐부(261)는, 대략 상기 제1하우징(21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261)의 상면 테두리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하단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61)의 중앙에는, 상기 가동부(240)가 관통하는 제1관통 개구(262)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는, 후술할 접압 스프링(281) 및 복귀 스프링(283)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는, 상기 제1관통 개구(262)에 인접하는 상기 차폐부(26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의 상면에는 관통홀(26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64)은, 상기 가동부(240)가 관통하는 곳으로, 상기 제1관통 개구(262)와 상하로 연통되게 위치된다.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의 내부, 실질적으로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의 상면 및 테두리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접압 스프링(281) 및 복귀 스프링(283)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의 테두리면 내측에는 제1지지 리브(26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 리브(265)는,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의 테두리면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단, 상기 제1지지 리브(265)의 위치 및 형상은, 상기 가동부(24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 리브(265)는, 접압 스프링(281)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에는, 제2지지 리브(267)가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 리브(267)는, 상기 관통홀(264)에 인접하는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의 상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지지 리브(267)는, 복귀 스프링(283)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269)는, 상기 차폐부(26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269)는, 후술할 제2베리어(270)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269)는, 상기 제1관통 개구(262)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2베리어(27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베리어(270)는, 상기 제2하우징(212)의 개구되는 상면을 차폐하고, 상기 제1베리어(260)를 지지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베리어(27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를 상기 코일 조립체(230)가 설치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베리어(270)의 중앙에는, 제2관통 개구(272)가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 개구(272)는, 상기 가동부(240)가 관통하는 곳으로, 상기 제1관통 개구(262) 및 관통홀(264)과 상하로 연통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접압 스프링(281)이 설치된다. 상기 접압 스프링(281)은, 상기 가동 접점(250)이 상기 고정 접점(220)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240)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240)에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압 스프링(281)이 상기 가동 샤프트(24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접압 스프링(281)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가동 단자(251)의 저면 및 상기 제1지지 리브(265)의 상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복귀 스프링(283)이 구비된다. 상기 복귀 스프링(283)은, 상기 가동 접점(250)이 상기 고정 접점(2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240)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240)에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복귀 스프링(283)의 양단은, 각각 상기 스프링 설치부(263)의 상면 내측 및 상기 샤프트 와셔(242)의 상면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압 스프링(281) 및 복귀 스프링(283)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압 스프링(281) 및 복귀 스프링(283)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고, 어느 일방이 나머지 타당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복귀 스프링(283)이, 상기 가동 샤프트(241) 및 접압 스프링(281)를 둘러싸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압 스프링(281)과 좌우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샤프트(241)에는 완충 부재(29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 부재(290)는, 상기 가동 샤프트(241)의 하단이 상기 실린더(235)의 내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290)가 상기 실린더(235)의 저면에만 접촉되고, 상기 실린더(235)의 내주면으로부터는 이격되게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완충 부재(290)는, 삽입부(291) 및 접촉부(29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291)는, 상기 설치홈(24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완충 부재(290)를 상기 가동부(240), 실질적으로 상기 가동 코어(245)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93)는, 상기 삽입부(291)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촉부(293)는, 상기 가동부(240)의 이동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실린더(235)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93)의 테두리면은, 상기 실린더(235)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접촉부(293)는, 상기 실린더(235)의 저면에만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실린더(235)의 내주면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부(291) 및 접촉부(293)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완충 부재(290)가 상기 가동 샤프트(241)의 하단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미설명 도면 부호 213은 실컵이다. 상기 실컵(213)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211)(212)의 연결 부분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실컵(213)의 상하단부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하단 및 상기 제2베리어(270)의 상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개폐기의 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코일 조립체(230), 실질적으로 코일(233)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동부(240), 실질적으로 가동 샤프트(241)에는 복귀 스프링(283)의 탄성력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샤프트(241)는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가동 단자(251)가 고정 단자(221)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상기 코일 조립체(2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233)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가동부(240)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240)는, 상기 복귀 스프링(28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동 단자(251)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 단자(221)에 접촉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290)의 테두리면이 상기 실린더(235)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240)의 이동이 상기 실린더(235)와 완충 부재(29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간섭받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조립체(230)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코일(233)에 의한 자기장의 형성이 중단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240), 실질적으로 상기 가동 샤프트(241)는 상기 복귀 스프링(28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 단자(251)를 상기 고정 단자(22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 샤프트(241)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완충 부재(290)가 상기 실린더(235)의 저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 부재(290)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35) 및 가동 샤프트(241) 사이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제품의 동작 과정에서의 충격이나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거나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가동 접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중공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일 조립체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가동부;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에 부여하는 접압 스프링;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부에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 및 가동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부재의 테두리면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구비되는 전자 개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 및
    상기 코일 조립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가동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코어; 를 포함하는 전자 개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코어의 저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삽입되는 전자 개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 및
    상기 코일 조립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가동 샤프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는 고정 코어 및 상기 가동 샤프트에 고정되는 가동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 를 포함하는 전자 개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가동 코어의 저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삽입되는 전자 개폐기.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실린더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전자 개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그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위치되는 전자 개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은, 양자 중 어느 일방이 나머지 타방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전자 개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접촉 또는 이격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으로 구획하는 제1베리어에 지지되고,
    상기 접압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가동 접점에 지지되는 전자 개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접촉 또는 이격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으로 구획하는 제1베리어에 지지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샤프트 와셔에 지지되는 전자 개폐기.
KR1020120057481A 2012-05-30 2012-05-30 전자 개폐기 KR10134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81A KR101343266B1 (ko) 2012-05-30 2012-05-30 전자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81A KR101343266B1 (ko) 2012-05-30 2012-05-30 전자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69A KR20130134169A (ko) 2013-12-10
KR101343266B1 true KR101343266B1 (ko) 2013-12-18

Family

ID=4998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81A KR101343266B1 (ko) 2012-05-30 2012-05-30 전자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7988B3 (de) * 2014-04-29 2015-09-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ektromagnetische Stell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0055A (ja) * 2008-06-30 2010-01-14 Omron Corp 接点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0055A (ja) * 2008-06-30 2010-01-14 Omron Corp 接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69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60Y1 (ko) 전자개폐장치
KR101086908B1 (ko) 전자 개폐기
US8330565B2 (en) Noise decreasing type electromagnetic switch
ES2894098T3 (es) Relé de corriente continua
US9016674B2 (en) Active mount
US9952086B2 (en) Magnetic float liquid level detector with vertically reversible attachment
KR101090501B1 (ko) 전자 개폐기의 가동부
KR20120039463A (ko) 전자개폐장치
KR101343153B1 (ko) 전자 개폐기
KR101343266B1 (ko) 전자 개폐기
KR101566783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20190016738A (ko) 전자식 릴레이
KR20130057089A (ko) 카메라 모듈
KR20140040897A (ko)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KR20090026472A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072628B1 (ko) 소음 저감형 전자식 개폐기
JP2014170623A (ja) 電気的素子のシール構造
KR20140048770A (ko) 밀폐형 연료탱크의 배플 장치
KR101073109B1 (ko) 전자개폐장치
KR101173283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142199B1 (ko) 전자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68514Y1 (ko) 전자 접촉기의 보조 접점 유닛
JP7508774B2 (ja) 電磁継電器
CN220227659U (zh) 一种电子助力器减震密封结构
CN202502952U (zh) 接点装置以及具备该接点装置的电磁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