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897A -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897A
KR20140040897A KR1020120107432A KR20120107432A KR20140040897A KR 20140040897 A KR20140040897 A KR 20140040897A KR 1020120107432 A KR1020120107432 A KR 1020120107432A KR 20120107432 A KR20120107432 A KR 20120107432A KR 20140040897 A KR20140040897 A KR 2014004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vibration motor
linear vibration
circuit board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순구
정영빈
정경양
최남진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2010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897A/ko
Publication of KR2014004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선형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선형진동모터의 구동시 또는 외력 작용시 진동자가 고정자의 코일 인출선과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단선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성형진동모터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끝단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통해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PCB)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자;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의 상부면에는 절연 및 회로 보호를 위한 커버레이 필름(coverlay film)이 부착 형성되되, 상기 커버레이 필름의 높이는 상기 코일의 인출선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Protection Structure for coil draw out line of linear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선형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형진동모터의 구동시 또는 외력의 작용시 진동자가 고정자의 코일 인출선과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코일 인출선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무음의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선형진동모터는 진동자의 행정거리가 짧고,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기존의 편심 회전형 진동모터에 비해 시작과 정지 시에 빠른 진동 특성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터치반응 및 리듬믹스 기능의 추세에 부응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형진동모터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진동자와, 진동자를 지지하는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정자에 배치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자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구 자석이 상하로 이동하여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선형진동모터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일 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13701호 및 특허등록 제10-1142284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선형진동모터(10)는 진동자(14)와 고정자(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자(14)는 버링부를 구비한 요크(141)와, 영구자석(15) 및 중량체(1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11)는 외형 케이스(12)와, 브라켓(111)과, 코일(13)을 포함한다.
상기 영구자석(15)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링부는 요크(141)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15)의 외주면에는 중량체(16)가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15)은 코일(13)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요크(141)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14)와 브라켓(111) 사이에는 탄성체(17)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자(14)의 동작 시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선형진동모터(10)는 구동시 또는 외력의 작용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동자(14)가 하행정 위치로 이동되면서 탄성체(17)가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는데, 상기 탄성체(17)의 일부분이 고정자(11)의 코일(13)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외부 전원을 내부의 코일에 인가할 수 있도록 코일로부터 연성회로기판(FPCB)의 납땜 패드 부분까지 연장된 코일 끝단부)과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진동자(14)의 탄성체(17) 부분과 코일 인출선(13a) 사이에 기계적 접촉이 발생할 경우 코일 인출선(13a)이 손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코일(13)의 단선을 유발하여 선형진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는 치명적인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형진동모터의 고정자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FPCB)에서 절연 및 회로 보호를 위해 부착되는 커버레이 필름의 높이(두께)를 고정자에 구비된 코일 인출선의 높이(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형진동모터의 구동시 혹은 외력 작용시 진동자가 하행정 위치로 이동되더라도 커버레이 필름이 스토퍼 기능을 하여 탄성체가 고정자 코일의 인출선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의 단선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형진동모터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끝단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통해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PCB)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자;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의 상부면에는 절연 및 회로 보호를 위한 커버레이 필름(coverlay film)이 부착 형성되되, 상기 커버레이 필름의 높이는 상기 코일의 인출선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선형진동모터는,코일과, 상기 코일의 끝단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통해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PCB)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자;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의 상부면에는 절연 및 회로 보호를 위한 커버레이 필름(coverlay film)이 부착 형성되고, 상기 커버레이 필름 위에는 별도의 보강판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레이 필름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레이 필름과 상기 보강판이 이루는 전체 높이는 상기 코일의 인출선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레이 필름 또는 상기 보강판은 캡톤(kapton) 또는 에폭시(epoxy)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성회로기판 또는 보강판은 코일의 하단부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모양을 이루며 그 일측이 브라켓 외부로 인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레이 필름은 상기 코일 인출선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납땜 패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과 함께 내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체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중량체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코일의 상부를 덮는 판상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크는 ‘+’자 혹은 ‘T’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진동모터에 있어서, 고정자측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FPCB)의 상면에 부착되는 절연 및 회로 보호용 필름인 커버레이 필름의 높이(두께)를 고정자에 구비된 코일 인출선의 높이(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형진동모터의 구동시 혹은 외력 작용시 진동자가 하행정 위치로 이동되더라도 커버레이 필름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탄성체가 고정자 코일의 인출선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의 단선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 필름에 절연 및 회로보호 기능과 함께 스토퍼 기능까지 부여함으로써, 진동자와 코일 인출선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스토퍼 부품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아울러, 연성회로기판의 재질로서 캡톤(kapton) 등의 경질 자재를 적용하게 됨에 따라 연성회로기판의 유연성에 따른 변형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선형진동모터의 구동시 진동자의 하행정 과정에서 탄성체가 코일 인출선과 접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인 코일 인출선과 커버레이 필름 부분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인 코일 인출선과 커버레이 필름 부분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300)는 고정자(100), 진동자(200) 및 탄성체(2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자(100)와 진동자(200)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고정자(100)는 상기 진동자(200)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진동자(200)는 상기 고정자(100)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30)는 고정자(100)와 진동자(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200)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100)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에 설치되는 코일(120)과, 상기 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CB)(130)과, 상기 코일(120)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140)와, 외부 전원이 코일(120)로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120)로부터 인출된 인출선(122)과, 상기 코일(120)과 연성회로기판(130) 및 요크(140)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16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10)은 케이스(160)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판 형태의 구조물로서, 진동자(200)의 진동 시에 탄성체(230)와 함께 진동자(200)의 전체 중량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30)은 유연성을 가지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으로서, 코일(120)의 하단부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모양을 이루며 그 일측이 브라켓(110) 및 케이스(160)의 외부로 인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연성회로기판(130)은 브라켓(1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코일(120)과 인출선(12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연성회로기판(130)의 상면 일측에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도록 납땜 패드(pad)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120)로부터 인출된 인출선(122)이 상기 납땜 패드(135)에 연결된 구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레이 필름(150)은 캡톤(kapton) 또는 에폭시(epoxy) 등의 경질 자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커버레이 필름(150)을 경질 자재로 구성하게 되면 연성회로기판(130)의 유연성에 따른 변형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코일(120)은 브라켓(110) 상에 영구자석(220)과 함께 배치되어 요크(140)와 영구자석(220)에 의해 형성된 자기회로를 통해 진동자(200)에 상하방향으로의 진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외부 전원이 상기 코일(120) 측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120) 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연성회로기판(130)의 납땜 패드(135) 부위까지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인출선(122)이 구비된다.
상기 요크(140)는 자성체 기능을 갖는 금속 재질의 구조물로서 내부가 채워져 있는 십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코일(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요크(140)는 브라켓(110) 상에 고정되어 코일(120)의 상단부 외측 수직 상방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요크(140)는 상기 코일(120), 영구자석(220)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크(140)는 코일(12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코일(120)의 상부를 덮으며 안착되는 판형 돌출부(141)와, 상기 판형 돌출부(141)의 하부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코일(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 하부(142)와, 상기 판형 돌출부(141)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판형 돌출부(141)의 상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상부(143)와, 상기 원통형 하부(142)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1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형 돌출부(141)는 코일(120)의 외경과 같거나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코일(1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120)을 보호하도록 한다. 그리고, 원통형 하부(142)는 상기 판형 돌출부(141)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코일(12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 하부(142)의 하부측에는 상기 원통형 하부(14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브라켓(11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1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원통형 상부(143)는 상기 판형 돌출부(141)의 중심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영구자석(220)을 관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크(140)는 상기한 원통형 상부(143) 구조가 없는 'T' 자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성회로기판(130)의 상면에는 내부에 배선된 전기회로를 외부로부터 절연 및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레이 필름(coverlay film)(15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커버레이 필름(150)은 코일(120)의 인출선(122) 높이(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레이 필름(150)의 높이(H1)를 코일(120)의 인출선(122) 높이(H2)보다 더 높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커버레이 필름(150)은 코일 인출선(122)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130)의 납땜 패드(135) 부분을 제외한 상기 연성회로기판(130)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연성회로기판(1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 필름(150)의 높이(H1)를 코일 인출선(122)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하게 되면, 성형진동모터(300)의 구동시 진동자(200)가 하방 이동시 커버레이 필름(150)이 스토퍼(stpper) 역할을 하여 진동자(200)의 탄성체(230)가 코일 인출선(122)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필름(150)의 높이(두께)가 코일 인출선(122)의 높이(두께)보다 낮은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커버레이 필름(150) 위에 별도의 소정 높이(두께)를 갖는 보강판(미도시)을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커버레이 필름(150)과 일체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은 상기 연성회로기판(130) 및 커버레이 필름(150)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커버레이 필름(1580)과 상기 보강판이 이루는 전체 높이(두께)는 상기 코일의 인출선(122) 높이(H2)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강판이 탄성체의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의 재질은 상기 커버레이 필름가 마찬가지로 캡톤(kapton) 또는 에폭시(epoxy)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60)는 브라켓(110)과 함께 선형진동모터(3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서, 진동자(200)의 외주부를 감싸며 커버할 수 있도록 덮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케이스(160)는 자성 재질 또는 비자성 재질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진동자(200)는 고정자(100)의 요크(140)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영구자석(220)과, 상기 영구자석(220)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중량체(2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자(100)와 진동자(2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자(200)를 탄성 지지하도록 하는 탄성체(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량체(210)는 영구자석(220)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비중을 갖는 구조물로서, 전체적 형상이 링(ring)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면과 하면, 내경면과 외경면을 갖는다. 이러한 중량체(210)는 영구자석(220) 및 요크(140)의 판형 돌출부(141)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특히, 상기 중량체(210) 내경면은 영구자석(220) 외경면과 면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220)은 상기 중량체(210)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형상이 링(ring)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면과 하면, 그리고 외경면과 내경면을 갖는다. 이러한 영구자석(220)은 코일(120) 및 요크(140)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코일(120)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선형진동모터(300)의 자기회로가 중심 쪽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영구 자석(220) 외경면은 비자성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30)는 브라켓(110)과 영구자석(220) 사이에서 코일(120)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230)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상단보다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 크기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영구자석(220)의 상부측에는 상기 영구자석(220)과 중량체(210)의 상면에 동시에 고정되는 중공 구조의 상부 플레이트(17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172)의 외경면은 중량체(210)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내경면은 영구자석(220)의 내경면 상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220)의 하부측에는 상기 중량체(210)의 하부면과 탄성체(230)의 상단면에 동시에 고정되는 중공 구조의 하부 플레이트(17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 플레이트(174)는 그 상부면이 상기 영구자석(220)의 하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외경면이 중량체(210)의 하단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230)의 상단은 하부 플레이트(174)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상기 탄성체(230)의 하단은 브라켓(110)과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72)(174)는 금속 재질 또는 자성체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자계 누설 방지 및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172)(174)는 상기 요크(140)와 영구자석(22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회로가 코일(120)이 있는 중심 쪽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선형진동모터(300)는 영구자석(220)과 요크(140)에 의해 형성된 자기회로에 의해 코일(120)과 함께 진동자(200)에게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는 진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선형진동모터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성형진동모터(300)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진동자(200)가 하행정 위치로 이동할 경우 연성회로기판(130)의 상부에서 코일의 인출선(122)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한 커버레이 필름(150)이 진동자(200)의 탄성체(230)와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접촉되는 스토퍼(stpper) 역할을 하게 되어 진동자(200)가 코일(120)의 인출선(122)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처럼 진동자(200)가 코일 인출선(122)과 직접이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던 코일 인출선(122)의 파손 및 단선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형진동모터(300)의 고정자(100)측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130)의 커버레이 필름(150)의 높이(H1)를 코일(120)의 인출선(122) 높이(H2)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선형진동모터(300)의 구동시 또는 외력의 작용에 의해 진동자(200)가 하행정 위치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커버레이 필름(150)이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진동자(200)가 코일 인출선(122)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자(200)와 코일 인출선(122)과의 접촉에 따른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성회로기판(1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커버레이 필름(150)에 회로보호 기능과 함께 스토퍼 기능까지 부여함으로써, 진동자(200)와 코일(120) 인출선(122)과의 접촉차단을 위한 별도의 스토퍼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고정자 110 : 브라켓
120 : 코일 122 : 인출선
130 : 연성회로기판(FPCB) 140 : 요크(york)
141 : 판형 돌출부 142 : 원통형 하부
143 : 원통형 상부 150 : 커버레이 필름
160 : 케이스 200 : 진동자
210 : 중량체 220 : 영구자석
230 : 탄성체 300 : 선형진동모터

Claims (11)

  1. 코일과, 상기 코일의 끝단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통해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PCB)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자;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의 상부면에는 절연 및 회로 보호를 위한 커버레이 필름(coverlay film)이 부착 형성되되, 상기 커버레이 필름의 높이는 상기 코일의 인출선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2. 코일과, 상기 코일의 끝단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통해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PCB)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자;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의 상부면에는 절연 및 회로 보호를 위한 커버레이 필름(coverlay film)이 부착 형성되고,
    상기 커버레이 필름 위에는 별도의 보강판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레이 필름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레이 필름과 상기 보강판이 이루는 전체 높이는 상기 코일의 인출선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필름은 캡톤(kapton) 또는 에폭시(epoxy)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선형진동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캡톤(kapton) 또는 에폭시(epoxy)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선형진동모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코일의 하단부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모양을 이루며 그 일측이 브라켓 외부로 인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레이 필름은 상기 코일 인출선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납땜 패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코일의 하단부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모양을 이루며 그 일측이 브라켓 외부로 인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레이 필름은 상기 코일 인출선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납땜 패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함께 내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중량체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코일의 상부를 덮는 판상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자 혹은 ‘T’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KR1020120107432A 2012-09-26 2012-09-26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KR20140040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32A KR20140040897A (ko) 2012-09-26 2012-09-26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32A KR20140040897A (ko) 2012-09-26 2012-09-26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97A true KR20140040897A (ko) 2014-04-04

Family

ID=5065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432A KR20140040897A (ko) 2012-09-26 2012-09-26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89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584A (ko) 2014-08-11 2016-02-22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WO2017078309A1 (ko) * 2015-11-06 2017-05-11 자화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 장치
CN107565789A (zh) * 2016-07-01 2018-01-09 磁化电子株式会社 振动致动器
US10381910B2 (en) * 2015-07-06 2019-08-13 Jahwa Electronic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978267B1 (ko) * 2018-11-28 2019-09-03 주식회사 블루콤 리시버 기능을 가진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584A (ko) 2014-08-11 2016-02-22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US10381910B2 (en) * 2015-07-06 2019-08-13 Jahwa Electronic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O2017078309A1 (ko) * 2015-11-06 2017-05-11 자화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 장치
CN107565789A (zh) * 2016-07-01 2018-01-09 磁化电子株式会社 振动致动器
KR101978267B1 (ko) * 2018-11-28 2019-09-03 주식회사 블루콤 리시버 기능을 가진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508B1 (ko) 선형 진동모터
US9219401B2 (en)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69997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US20150123498A1 (en) Linear vibr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880337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099500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22829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8461729B2 (en) Linear vibrator
KR20100111368A (ko) 진동 장치
KR20140040897A (ko) 선형진동모터의 코일 인출선 단선 방지 구조
KR101278418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148530B1 (ko) 선형 진동자
US20170126109A1 (en) Vibration motor
KR101171602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171619B1 (ko) 진동발생장치
US20120146433A1 (en) Linear vibrator
US11025147B2 (en) Vibration motor
KR101115253B1 (ko) 선형 진동 발생기
KR101130064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16361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11370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2066662B1 (ko) 진동 모터
KR20110123162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2280172B1 (ko) 진동 발생기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