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289B1 -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 Google Patents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289B1
KR101341289B1 KR1020130080608A KR20130080608A KR101341289B1 KR 101341289 B1 KR101341289 B1 KR 101341289B1 KR 1020130080608 A KR1020130080608 A KR 1020130080608A KR 20130080608 A KR20130080608 A KR 20130080608A KR 101341289 B1 KR101341289 B1 KR 10134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ech
saliva
collecting
mouth
anesthes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선
한선대
Original Assignee
한선대
임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대, 임재선 filed Critical 한선대
Priority to KR102013008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81Protease inhibitors
    • C07K14/815Protease inhibitors from leeches, e.g. hirudin, egl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irudo Verbana 또는 Hirudinaria Manillensis 등 의료용 및 미용용으로 사용되는 거머리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히루딘, 칼린 또는 데스타빌라제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타액을 거머리의 손상없이 채취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은,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하는 단계(S10); 마취된 거머리로부터 위액의 용출이 억제되도록 하며, 가압을 통해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S20); 목 주위의 가압에 의해 벌어진 거머리의 입을 통해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30); 및 채취된 타액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거나, 거머리로부터 위액의 용출이 억제되도록 하며, 가압을 통해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S10');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로 가압한 상태에서,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하는 단계(S20'); 마취를 통해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된 상태에서, 벌어진 거머리의 입을 통해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30'); 및 채취된 타액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머리의 손상없이 일시적인 마취만으로 타액을 채취할 수 있어 거머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거머리 위액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거머리의 위액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유해 세균이 거머리의 타액에 섞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Extraction method of leech saliva}
본 발명은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Hirudo Verbana, Hirudinaria Manillensis, Hirudo nipponica 등 의료용 또는 미용용으로 사용되는 거머리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히루딘, 칼린 또는 데스타빌라제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타액을 거머리의 손상없이 채취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머리 요법은 메소포타미아, 그리스, 마야 및 아즈텍을 포함한 고대부터 존재해 왔던 오래되고 광역적으로 분포된 의술이다. 그리스에서 히포크라테스와 헤로필로스 무렵, 거머리 사혈법은 치료의 기본이 될 정도였다.
Hirudo Verbana, Hirudinaria Manillensis, Hirudo nipponica 등 거머리의 타액에는 100여 가지 이상의 생리활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거머리만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LDTI(Leech Derived Tryptase Inhibitor, 거머리에서 추출한 트립타제 억제 요소)를 포함하여, 히루딘, 칼린, 데스타빌라제, B델린, 에글린, Xa 억제 요소, 카르복시펩티다제 A 억제요소, 히얄루로니다제, 히멘틴, 히스타민 성분, 마취 성분, 아피라제, 리파제/에스트라제, 콜라게나아제 및 아세틸콜린 등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양평면 전기영동법 검사를 통해 입증되었다.
종래에는 거머리가 가지고 있는 타액의 효능을 이용하기 위해 의료용으로 번식시킨 후, 거머리를 환자의 환부에 직접 접촉시켜 피를 빼내는 치료를 수행하곤 하였다. 그러나, 거머리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방식으로 인해 환자의 혐오감을 유발하였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경우 서양에 비해 거머리의 활용이 미진한 측면이 있다. 환자의 혐오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직접 채취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1991-171호 (공개일자: 1991. 01. 29.) 는 헤멘테리아 길리아니 거머리로부터 항응고 물질을 추출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거머리의 타액으로부터 팩터 Xa억제활성을 지닌 단백질성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추출된 타액으로부터 Xa 억제요소인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일 뿐, 거머리로부터 실제 타액을 채취하는 방법과는 거리가 먼 측면이 있다.
KR 10-1991-171 A 1991. 01. 29.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Hirudo Verbana, Hirudinaria Manillensis, Hirudo nipponica 등 의료용 또는 미용용으로 사용되는 거머리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타액을 채취하되, 비교적 고가인 의료용 거머리를 재활용하도록 마취 상태에서 타액이 채취되도록 함으로써 거머리의 손상없이 타액을 채취할 수 있는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은,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하는 단계(S10); 마취된 거머리로부터 위액의 용출이 억제되도록 하며, 가압을 통해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S20); 목 주위의 가압에 의해 벌어진 거머리의 입을 통해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30); 및 채취된 타액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거나, 거머리로부터 위액의 용출이 억제되도록 하며, 가압을 통해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S10');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로 가압한 상태에서,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하는 단계(S20'); 마취를 통해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된 상태에서, 벌어진 거머리의 입을 통해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30'); 및 채취된 타액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취제는, 에틸에테르, 비닐에테르 트리클로에틸렌, 클로로포름, 메톡시플루렌, 엔플루렌, 아산화질소 또는 시크로프로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S30 단계 또는 S30' 단계에서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추출하는 과정은, 면 또는 0.5 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흡착재질을 거머리의 입에 접촉하여 타액이 상기 흡착재질에 흡착되도록 하며, 상기 흡착재질에 흡착된 거머리의 타액은 6,000 ~ 80,000 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원심분리기에 투입되어 추출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실시 예로서 흡입장치의 전방에 상기 흡착재질을 부착한 다음, 상기 흡착재질이 거머리의 입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장치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흡착물질에 흡착된 타액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머리의 손상없이 일시적인 마취만으로 타액을 채취할 수 있어 거머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머리 위액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거머리의 위액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유해 세균이 거머리의 타액에 섞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실시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흐름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타액이 채취되는 거머리의 일반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를 마취하는 실시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하는 도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의 입으로부터 타액을 채취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일 실시 예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실시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흐름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타액이 채취되는 거머리의 일반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거머리는 환형동물문의 1강(綱)으로서, 몸은 가늘고 길며 모두 30개 내외의 체절을 갖고 있다. 소화관은 곧게 뻗어 있고, 몸의 앞 끝에 입 흡반이 있고 몸의 뒤끝에는 후흡반이 있으며 자웅동체이다. 거머리는 전단부((110), 중앙부(120) 및 후단부(130)로 나눌 수 있고, 전단부는 입, 목 및 식도로 나뉘어져 있으며, 전체 몸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단부(110)에 입(111)과 목(112)이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식도는 입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거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마취를 시키도록 한다(S10). 거머리를 죽인 상태에서도 타액의 채취가 가능하긴 하나, 의료용 거머리가 마리당 비교적 고가에 거래되는 실정을 감안하면, 마취를 시킨 상태에서 타액을 채취한 후 지속적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머리는 피를 빤 다음 3 ~ 4개월 후에 다시 먹이를 찾게 되는 특성이 있으며, 이 때 타액을 가장 많이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거머리에게 먹이를 먹인 후 3 ~ 4개월 후에 타액을 채취하도록 하며, 이후에는 먹이를 주고 다시 3 ~ 4 개월을 기다린 후 타액을 채취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마취방법에는 흡입마취, 정맥마취 또는 부위마취 등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거머리의 마취는 흡입마취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거머리가 마취가스를 호흡기를 통해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마취되어 전신이 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거머리를 마취하지 않을 경우, 후술하는 목주위 가압단계(S20) 및 타액 채취단계(S30)에서 거머리가 입을 벌리지 않으며 전신을 비틀며 저항하기 때문에 타액의 채취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거머리의 호흡기를 통해 흡입마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한 상태에서 타액을 채취하더라도 거머리가 저항하지 않고 입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취제로는 에틸에테르, 비닐에테르 트리클로에틸렌, 클로로포름, 메톡시플루렌, 엔플루렌, 아산화질소 또는 시크로프로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를 마취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a는 원형의 패트리디쉬(Petri Dish, 200) 내부에 마취용 솜(300)을 구비하고, 거머리(100)를 투입한 후 뚜껑을 닫은 다음 상기 마취용 솜에 묻어있는 마취가스를 통해 거머리가 마취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서 직경 80 ~ 120 mm, 높이 10 ~ 30 mm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패트리디쉬(200) 내부에 마취용 솜(300)을 구비한 후, 상기 마취용 솜에 0.5 ~ 1.5 ml의 마취제를 묻힌 다음, 살아있는 의료용 거머리를 넣고 뚜껑을 닫아 30 ~ 60초의 시간이 경과되도록 함으로써 거머리를 마취시킬 수 있다.
거머리가 마취된 후에는 상기 패트리디쉬로부터 거머리를 꺼낸 다음,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목 주위를 가압하도록 한다(S20). 거머리의 위(胃)에는 공생균(Aeromonas hydrophilia)이 서식하고 있는데, 상기 공생균이 섞인 거머리의 타액을 이용하는 경우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타액 채취를 위해서는 먼저 거머리의 위액이 입으로 용출되지 않도록 목 주위를 가압할 필요가 있으며, 목 주위를 가압함으로써 거머리의 입이 쉽게 벌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하는 도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거머리의 목 주위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형태의 직경을 갖는 가압도구(400)를 사용하거나, 핀셋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할 수 있다.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가압도구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하면서 다른 손으로는 거머리의 입에 있는 타액을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거머리의 목 주위가 가압된 상태에서 거머리의 입으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도록 한다(S30). 타액의 채취는 다공성으로 이루어지며 흡착성이 좋은 물질로 구성된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타액의 채취를 위한 일 실시 예로, 면 또는 0.5 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흡착재질을 거머리의 입에 접촉하여 거머리의 타액이 상기 흡착재질에 흡착되도록 한다. 면의 경우 섬유소가 주성분으로서 흡수성이 큰 장점이 있다. 극세사는 굵기가 60 ~ 80 데니어인 머리카락보다 1/100 정도 가는 실로서 면 소재보다 흡수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5a는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일 실시 예에 사용되는 흡착재질(600)이 형성된 채취장치(500)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채취장치(500)의 일측 끝단에 상기 면 또는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흡착재질(600)을 구비한 다음, 가압도구(40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한 손으로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채취장치를 잡고 흡착재질이 거머리의 입으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채취장치(500)는 작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채취장치없이 직접 면 또는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흡착재질(600)을 거머리의 입 주위에 접촉시킴으로써 타액을 채취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의 가압도구(400) 및 도 5a의 채취장치(50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마취된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한 상태에서 타액의 채취가 이루어지는 일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흡착재질(600)을 통해 타액을 채취한 후에는, 상기 흡착재질을 회수하여 원심분리기에 투입한 다음, 상기 원심분리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흡착재질에 묻어있는 타액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심분리기는 6,000 ~ 80,000 rpm의 속도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흡착된 타액의 양이 많은 경우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적은 양이라 하더라도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의 입으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다른 실시 예에 사용되는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5b를 참조하면, 흡입장치(700)의 전방에 흡착재질(600)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장치를 구동하여 전방으로부터 에어가 흡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방에 형성된 흡착재질을 거머리의 입에 접촉시킴으로써 거머리의 타액이 흡착재질에 흡착된 다음 흡입장치의 에어 흡입에 따라 상기 흡입장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저장장치(미도시)에 흡입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S30 단계를 통해 추출된 타액은 회수하여 저장된다(S40). 도 5a의 채취장치를 이용하거나, 채취장치없이 흡착재질을 이용하여 타액을 채취하는 경우, 원심분리기를 통해 채취된 타액이 저장장치(미도시)에 회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5b의 흡입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흡입장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저장장치(미도시)에 타액이 흡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b를 참조하면 먼저 거머리로부터 위액의 용출이 억제되도록 하며, 가압을 통해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도록 한다(S10'). 거머리가 목 주위를 가압당하는 경우 전신을 비틀며 저항하면서 입을 벌리지 않아 타액의 채취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하여 거머리의 위로부터 공생균 등의 용출을 방지한 상태에서 거머리의 저항 방지를 위해 거머리를 마취하도록 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거머리를 마취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패트리디쉬와 달리 마취장치(200')를 별도로 구비한 다음, 상기 마취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출입구(210')를 통해 가압도구를 통해 목 주위가 가압된 거머리를 마취장치의 내부로 삽입하도록 한다. 상기 마취장치의 내부에는 거머리 마취를 위한 마취가스가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마취장치의 외부케이스는 바람직하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거머리의 마취상태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출입구(210')는 가압도구를 이용한 거머리의 출입시에만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취장치 자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출입구는 원형 또는 사각형태로 거머리가 출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거나, 작업자의 손이 출입가능할 정도의 크기이면 족하며, 출입구는 고무재질 등으로 여러 조각형태로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써 평소에는 폐쇄된 상태에서, 거머리를 출입시키는 경우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또는 인큐베이터에 형성된 손의 출입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취 이후의 타액 채취단계(S30') 및 타액의 회수 및 저장단계(S40')는 도1a 의 S30 단계 및 S40 단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머리의 손상없이 일시적인 마취만으로 타액을 채취할 수 있어 거머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거머리 위액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거머리의 위액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유해 세균이 거머리의 타액에 섞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거머리
110: 전단부
111: 입 112: 목
120: 중앙부 130: 후단부
200: 패트리디쉬
200': 마취장치 210': 출입구
300: 마취용 솜
400: 가압도구 500: 채취장치
600: 흡착재질 700: 흡입장치

Claims (6)

  1.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하는 단계(S10);
    마취된 거머리로부터 위액의 용출이 억제되도록 하며, 가압을 통해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S20);
    목 주위의 가압에 의해 벌어진 거머리의 입을 통해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30); 및
    채취된 타액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2. 거머리로부터 위액의 용출이 억제되도록 하며, 가압을 통해 거머리의 입이 벌어지도록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S10');
    거머리의 목 주위를 가압도구로 가압한 상태에서,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하는 단계(S20');
    마취를 통해 거머리의 움직임이 억제된 상태에서, 벌어진 거머리의 입을 통해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30'); 및
    채취된 타액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단계(S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마취제는,
    에틸에테르, 비닐에테르, 트리클로에틸렌, 클로로포름, 메톡시플루렌, 엔플루렌, 아산화질소 또는 시크로프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에서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추출하는 과정은,
    면 또는 0.5 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흡착재질을 거머리의 입에 접촉하여 타액이 상기 흡착재질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에서 거머리로부터 타액을 추출하는 과정은,
    흡입장치의 전방에 흡착재질을 부착한 다음, 상기 흡착재질이 거머리의 입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장치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흡착재질에 흡착된 타액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질에 흡착된 거머리의 타액은,
    6,000 ~ 80,000 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원심분리기에 투입되어 추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KR1020130080608A 2013-07-09 2013-07-09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KR10134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608A KR101341289B1 (ko) 2013-07-09 2013-07-09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608A KR101341289B1 (ko) 2013-07-09 2013-07-09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289B1 true KR101341289B1 (ko) 2013-12-12

Family

ID=4998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608A KR101341289B1 (ko) 2013-07-09 2013-07-09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0807A1 (en) 2020-11-11 2022-05-19 Bioresources Technology & Engineering Gmbh (Bite) Mucus from leeches and use in cosmetic prepar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171A (ko) * 1988-06-16 1991-01-29 게리 디.스트리트 헤멘테리아 길리아니 거머리로부터 항응고 물질을 추출 및 정제방법
KR101178475B1 (ko) 2012-04-02 2012-09-06 김병구 흰이빨참갯지렁이를 이용한 혈행 개선 및 통증 완화제의 제조방법
US8501241B1 (en) * 2012-09-17 2013-08-06 Biopep Solutions, Inc. Treating cancer with a whole, leech saliva extra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171A (ko) * 1988-06-16 1991-01-29 게리 디.스트리트 헤멘테리아 길리아니 거머리로부터 항응고 물질을 추출 및 정제방법
KR101178475B1 (ko) 2012-04-02 2012-09-06 김병구 흰이빨참갯지렁이를 이용한 혈행 개선 및 통증 완화제의 제조방법
US8501241B1 (en) * 2012-09-17 2013-08-06 Biopep Solutions, Inc. Treating cancer with a whole, leech saliva extr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0807A1 (en) 2020-11-11 2022-05-19 Bioresources Technology & Engineering Gmbh (Bite) Mucus from leeches and use in cosmetic prepar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3041C2 (ru)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жухом для игл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сниж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кожи
JP2004528896A (ja) 皮内に物質を注射する方法
JPH01503756A (ja) 動脈及び静脈血液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装置
CN109562399A (zh) 用于细胞喷雾的模块化装置
AU2011265541A1 (en) Snake venom evacuation an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KR101341289B1 (ko) 거머리 타액의 채취방법
CN104721904B (zh) 内科给药采样一体装置
CN206167475U (zh) 一种简易蛇毒吸排器
CN102553040A (zh) 滤出药粉吸入器及应用
CN208926387U (zh) 一种picc置管采血针
CN103055373A (zh) 输液针防刺伤装置
CN201453528U (zh) 便携式护理急救包
CN201005866Y (zh) 创面减压血供增强敷料
US20090036541A1 (en) Applicator and chemical combination for better topical anesthesia
KR100902373B1 (ko) 무통 사혈기의 사혈침이 내장된 일회용 캡
CN205625946U (zh) 一种指端血液采集装置
CN204734828U (zh) 改良型呼吸面罩
CN200987821Y (zh) 抢救用人工呼吸供氧装置
CN206026791U (zh) 可卸式自带采血端留置针
CN211301540U (zh) 一种新型无菌注射器安全针帽
CN106139330A (zh) 胰岛素笔针头盒
CN203989119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盖帽
CN211911972U (zh) 一种牙科术后止血纱布
CN211461448U (zh) 一种重症临床用吸痰装置
CN203970449U (zh) 一种无创可调皮肤氧疗缝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