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654B1 -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654B1
KR101340654B1 KR1020120079081A KR20120079081A KR101340654B1 KR 101340654 B1 KR101340654 B1 KR 101340654B1 KR 1020120079081 A KR1020120079081 A KR 1020120079081A KR 20120079081 A KR20120079081 A KR 20120079081A KR 101340654 B1 KR101340654 B1 KR 10134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ct portion
side contact
contact
acoustic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주
정남진
권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2007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에 회로 기판과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가 마련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스프링 구조의 측면 접촉부가 음향변환장치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외부 장치의 기판과 측면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SOUND TRANSDUCER HAVING A SIDE TERMINAL}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 측면에 외부 전원 공급부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음향변환정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향변환장치는, 음향변환장치가 장착되는 장치의 회로와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나 FPCB를 납땜하여 연결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장치에 설치되는 소형의 음향변환장치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납땜 작업 시 불량에 의한 손실이 많았다.
조립 공정에서 납땜 작업을 없애기 위해 금속 스프링을 이용한 전기적 연결 방식을 많이 채용하고 있으나, 주로 음향변환장치에서는 후면에 터미널을 구비하여 후면을 통해 접촉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러한 후면 접촉 방식은, 음향변환장치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장치의 기판이 음향변환장치의 후측에 존재함으로써, 전체적인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측면에 회로 기판과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가 마련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스프링 구조의 측면 접촉부가 음향변환장치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외부 장치의 기판과 측면으로 접촉하고, 측면 접촉부는,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부와,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를 구비하고, 노출부는 측면 접촉부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hook)를 포함하고, 프레임은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고정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턱에 고정되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인서트부는 1개 이상의 핀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인서트부는 1개 이상의 절곡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노출부는 스프링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장치의 기판과 접촉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프링부는 외부 장치의 기판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노출부는 프레임의 하면으로 절곡되며, 프레임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밀착부로부터 프레임의 상면으로 절곡되어 스프링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장치의 기판과 접촉하는 스프링부, 밀착부로부터 프레임의 상면으로 절곡되어 측면 접촉부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밀착부를 고정하기 위한 리브가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프레임은 스프링부와 고정부의 절곡부와 맞닿는 부위가 모따기 또는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회로 기판과 접촉을 위한 접촉부가 측면에 마련되어 음향변환장치가 설치되는 기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측면 접촉부를 절곡하기 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측면 접촉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측면접촉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고정부 및 접촉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일반적인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프레임(100), 요크(200), 자기 회로(미도시), 보이스 코일(미도시), 진동판(미도시), 서스펜션(미도시)를 구비하는 진동부, 프로텍터(500)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음향변환장치가 장착되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의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미도시)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측면 접촉부(600)를 포함한다. 측면 접촉부(600)는 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과 측면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회로 기판 위에 음향변환장치가 설치되지 않고, 회로 기판과 음향변환장치가 나란히 설치되어 전체적인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측면 접촉부를 절곡하기 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측면 접촉부(600)는 프레임(100) 성형 시에 인서트 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이때, 측면 접촉부(600)를 고정하기 위해 일부만이 프레임(100) 내에 인서트 되며,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절곡하여 회로 기판과 접촉하는 접촉부(630; 도 4 참조)를 형성하게 된다. 외부로 노출된 부분 중 일부는, 프레임(100)에 인서트 사출 시에 측면 접촉부(600)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사출 성형이 완료되면 절단하여 제거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프레임(100) 하면에(도면상에서는 상부에 위치) 요크(200)가 설치되고, 요크(200) 상에 자기 회로(미도시)가 부착된다. 또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자기 회로(미도시)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미도시)를 비롯한, 진동판(미도시), 서스펜션(미도시)을 포함하는 진동부가 프레임(100) 내에 위치되며, 프레임(100)의 상부에 프로텍터(500)가 결합되어, 프레임(100) 내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측면 접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측면 접촉부(600)는 (+)극과 (-)극이 각각 접촉되도록 한 쌍이 프레임(100; 도 1 ~ 3 참조)에 사출성형된다. 측면 접촉부(600)는 프레임(100) 내에 인서트 되는 인서트부(610)와 프레임(100)에 인서트 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한다. 인서트부(610)에는 프레임(100)과의 고정력을 높이고 노출부를 벤딩할 때 프레임(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홀(612)이 형성된다. 홀(612) 내로 프레임(100) 사출물이 유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인서트부(610)가 프레임(100) 외부로 이탈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프레임(100)과의 고정력을 높이고 노출부를 벤딩할 때 프레임(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의 절곡부(614) 또한 구비된다. 절곡부(614)는 노출부를 벤딩할 때, 응력을 절곡부(614)를 따라 분산해줌으로써 프레임(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서트부(610)가 프레임(10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612)과 절곡부(614)는 모두 인서트부(610)에 형성되어, 프레임(100)에 인서트 사출된 후에는 외부로 그 형상이 드러나지 않는다.
노출부는 인서트부(610)에 평행하게 180도 벤딩되어 프레임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620)와, 밀착부(620)로부터 상부로 절곡되며 판 스프링 구조를 형성하여 기판과 접촉하는 접촉부(630)와, 밀착부(620)와 접촉부(630)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밀착부(620)로부터 상부로 절곡되며 단부가 프레임(100)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64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프레임(100)은, 내부에 자기 회로(미도시)와 진동부(미도시)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110)을 포함하며, 일 측에는 측면 접촉부(600)가 사출 성형 시에 인서트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인서트부(610)와 밀착부(620)는 서로 평행하도록 180도 벤딩되기 때문에 프레임(100) 뿐만 아니라 측면 접촉부(600) 또한 파절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밀착부(620)의 벤딩 시에 원활한 벤딩을 위해 프레임(100)에는 라운딩부(132)가 형성된다. 물론 라운딩부(132) 대신 모따기 형상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밀착부(620)가 벤딩되어 프레임(100)에 밀착시에, 밀착부(620)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00)에는 리브(122, 124)가 형성된다. 리브(122, 124) 형상 외에 밀착부(6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부(630)는 밀착부(620)에서 상방으로(도면상에서는 하방) 벤딩되며, 판 스프링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부(630)의 벤딩 시에 접촉부(630)의 원활한 벤딩을 위한 라운딩부(134)가 형성된다. 접촉부(630)의 벤딩을 위한 라운딩부(134)는 접촉부(630)의 판 스프링 구조 형성을 돕기 위해 하방으로(도면에서는 상방) 돌출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운딩부(134)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630)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640) 또한 상방으로(도면상에서는 하방) 벤딩되며, 프레임(100)에 걸림되도록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고정부(640)의 원활한 벤딩을 위해 프레임(100)에는 고정부(640)의 벤딩 위치에 라운딩부(136)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640)의 존재와, 라운딩부(134)의 돌출 형성에 의해 접촉부(630)가 원래 고정된 위치로부터 좌, 우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측면 접촉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고정부 및 접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640)는 단부(642)가 후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프레임(100)은 고정부(640)의 단부(64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141) 및 걸림턱(142)를 구비한다. 고정부(640)의 단부(642)가 수용부(141)에 수용되며, 걸림턱(142)에 의해 걸림으로써, 밀착부(620)가 하부로(도면상으로 상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640)는 판 스프링 구조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회로 기판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640)가 회로 기판과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640)는 표면에 소정 높이 돌출된 엠보 형상(642)을 구비한다. 또한 접촉부(640)가 회로 기판과 접촉하면서 변형되면서 위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00)은 접촉부 걸림턱(143)을 구비한다. 한편 프레임(100)은 측면에 진동부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통풍홀(150)이 형성된다. 통풍홀(150)이 프레임(1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프레임(100)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통풍홀(150)의 존재에 의해 자기 회로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일반적인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프레임(100), 요크(200), 자기 회로(310, 320, 330, 340), 보이스 코일(미도시), 진동판(미도시), 서스펜션(미도시)를 구비하는 진동부, 프로텍터(500)를 모두 포함한다. 도면 상에서는 보이스 코일(미도시), 진동판(미도시), 서스펜션(미도시)이 도시되지 않고 생략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음향변환장치의 진동부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가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촉부(700)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측면 접촉부(7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0)의 사출시에 인서트 되는 인서트부(미도시)와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노출부가 접촉부(730)만을 포함하며, 밀착부(620; 도 4 및 도 6 참조) 및 고정부(640; 도 4 및 도 6 참조)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측면 접촉부(700)를 프레임(100)에 인서트 사출할 때, 고정하기 위한 홀더(720)가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사출 성형이 완료된 다음, 홀더(720)은 절단하여 삭제한다. 접촉부(730)부는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방(도면상으로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판 스프링 구조를 형성한다.

Claims (11)

  1.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스프링 구조의 측면 접촉부가 음향변환장치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외부 장치의 기판과 측면으로 접촉하고,
    측면 접촉부는,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부와,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를 구비하고,
    노출부는 측면 접촉부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hook)를 포함하고,
    프레임은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고정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턱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부는, 1개 이상의 핀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부는, 1개 이상의 절곡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노출부는, 스프링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장치의 기판과 접촉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부는, 외부 장치의 기판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노출부는 프레임의 하면으로 절곡되며, 프레임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밀착부로부터 프레임의 상면으로 절곡되어 스프링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장치의 기판과 접촉하는 스프링부, 밀착부로부터 프레임의 상면으로 절곡되어 측면 접촉부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밀착부를 고정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가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스프링부와 고정부의 절곡부와 맞닿는 부위가 모따기 또는 라운딩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20120079081A 2012-07-20 2012-07-20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1340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81A KR101340654B1 (ko) 2012-07-20 2012-07-20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81A KR101340654B1 (ko) 2012-07-20 2012-07-20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654B1 true KR101340654B1 (ko) 2013-12-10

Family

ID=4998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081A KR101340654B1 (ko) 2012-07-20 2012-07-20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755B1 (ko) * 2021-12-07 2024-05-21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97A (ko) * 2000-04-14 2001-11-07 이웅길 마이크로 스피커용 프레임본체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된 프레임본체를 가진 마이크로 스피커
KR20020043623A (ko) * 2000-08-08 2002-06-10 나미키 쇼지 전자 유도형 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장착 구조 및 휴대용정보기기
KR20020045483A (ko) * 2000-12-08 2002-06-19 이형도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42253B1 (ko) * 2010-08-18 2012-05-07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97A (ko) * 2000-04-14 2001-11-07 이웅길 마이크로 스피커용 프레임본체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된 프레임본체를 가진 마이크로 스피커
KR20020043623A (ko) * 2000-08-08 2002-06-10 나미키 쇼지 전자 유도형 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장착 구조 및 휴대용정보기기
KR20020045483A (ko) * 2000-12-08 2002-06-19 이형도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42253B1 (ko) * 2010-08-18 2012-05-07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755B1 (ko) * 2021-12-07 2024-05-21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476B1 (en) Receiver
US9294845B2 (en) Miniature speaker
US9456280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EP2770752A2 (en) Inner ring magnet type microspeaker
US9148711B2 (en) Micro-speaker
US10993034B2 (en)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eaker
CN103763667A (zh) 多功能电声器件
US11076235B2 (en) Speaker assembly
CN211531289U (zh) 发声器件
CN203691624U (zh) 扬声器
CN101257727A (zh) 电声变换器
CN204616073U (zh) 发声装置
WO2017166400A1 (zh) 振动马达以及便携式设备
KR100910621B1 (ko) 동축 스피커
KR101052622B1 (ko)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KR101340654B1 (ko) 측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US10321240B2 (en) Receiver
CN209526870U (zh) 扬声器和耳机
US8855355B2 (en) Micro-speaker
CN107396264B (zh) 扬声器
KR20120017219A (ko) 음향 변환 장치
CN205142501U (zh) 微型发声器
KR20150075816A (ko) 마이크로스피커의 터미널 구조
KR101481652B1 (ko) 내부 터미널 구조를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1318698B1 (ko) 마이크로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